KR100208313B1 - 사상물의 절단장치 - Google Patents

사상물의 절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8313B1
KR100208313B1 KR1019940020607A KR19940020607A KR100208313B1 KR 100208313 B1 KR100208313 B1 KR 100208313B1 KR 1019940020607 A KR1019940020607 A KR 1019940020607A KR 19940020607 A KR19940020607 A KR 19940020607A KR 100208313 B1 KR100208313 B1 KR 1002083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nner
electromagnet
thread
case
suction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20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7852A (ko
Inventor
쇼오자부로 마끼노
마사노리 기시까미
Original Assignee
마게노 쇼오자브로오
니혼세렌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게노 쇼오자브로오, 니혼세렌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마게노 쇼오자브로오
Priority to KR1019940020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8313B1/ko
Publication of KR960007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7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83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83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1NATURAL OR MAN-MADE THREADS OR FIBRES; SPINNING
    • D01HSPINNING OR TWISTING
    • D01H9/00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 D01H9/02Arrangements for replacing or removing bobbins, cores, receptacles, or completed packages at paying-out or take-up stations ; Combination of spinning-winding machine for removing completed take-up packages and replacing by bobbins, cores, or receptacles at take-up stations; Transferring material between adjacent full and empty take-up elements
    • D01H9/16Yarn-severing arrangements, e.g. for cutting transfer tails; Separating of roving in fl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H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e.g. SHEETS, WEBS, CABLES
    • B65H54/00Winding, coiling, or depositing filamentary material
    • B65H54/70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of yarn-winding machines
    • B65H54/71Arrangements for severing filamentary materi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간단한 구조이며, 실의 주행방향의 변경에 대하여 일부부품의 변경으로 대응할 수 있으며, 그리고, 간단한 조작으로 절단시험을 행함을 가능하게 하였다.
케이스(1) 내에 전기 부품(11), 전자석(10), 흡인판(12) 및 러너(15) 등이 수납되어 뚜껑(37)으로 덮이고, 주행하고 있는 실(34)에 이상이 발생하여, 전자석(10)에 통전되면, 흡인판(12)이 흡인되어서 절단용 용수철(31)에서 탄력을 가지고 있던 런너(15)가 실(34)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하여 그 실 절단칼날(27)과 이와 마주향하는 칼날 받침대(32)에 의하여 실(34)이 절단됨과 동시에, 런너의 유지돌기(28)와 이와 마주향하는 유지 받침대(33)에 의하여 끼워진 실 끝이 유지된다. 그리고, 뚜껑(37)의 작은 구멍(38)으로 부터 런너의 둥근 구멍(20)을 통하여 삽입된 핀(39)에 의한 흡인판(12)의 눌러내림 조작에 의하여 절단시험이 행해진다.

Description

사상물(絲狀物)의 절단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대한 사상물(絲狀物)의 절단장치의 일 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대한 사상물의 절단장치의 일 예의 평면도.
제3도는 러너(runner)의 일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4도는 러너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5도는 전기배선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2 : 수납부
3 : 가이드부 10 : 전자석
11 : 전기 부품 12 : 흡입판
15 : 러너 20 : 둥근 구멍
23 : 계단부(段部) 27 : 실의 절단칼날
28 : 유지 돌출부 29,30 : 슬릿
31 : 절단용 스프링 32 : 칼날 받침대
33 : 유지 받침대 34 : 실
35,36 : 한쌍의 실 가이드 37 : 케이스 뚜껑
38 : 작은 구멍 39 : 시험용 눌러 내림 핀
40 : 표시등
본 발명은, 방적기계 등에서의 사상물에 대응하여 설치되고, 전기신호에 의한 솔레노이드(solenoid)의 동작을 통하여 사상물이 절단됨과 동시에, 그 절단동작이 표시되는 사상물의 절단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방적기계 등에 의하여 생성 내지는 가공되는 사상물(이하, 실이라고 함)은, 그 공정에 있어서, 예를 들면, 실의 공급을 정지하기 위하여 이것을 절단할 필요가 발생한다. 그래서, 이러한 종류의 실의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종래부터, 전자석(電磁石)에 전기신호를 가하여, 이것에 연동하는 칼날에 실을 대어서, 이것을 절단하고 있으며, 그리고, 필요에 따라서 절단된 실 끝을 잡아서 유지하고, 또한 표시하는 구조물이 일반적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것은, 실용상의 문제점으로서, 우선, 실의 주행방향에 대응하여, 실의 유지기구는 절단용의 칼날의 앞쪽에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이와 같은 절단장치를 기계에 장착시키는 경우, 그 설치장소의 제약으로부터 실의 주행이 역방향으로 되는 경우가 있으며, 이 경우는 실의 주행방향에 대하여, 칼날이 유지기구의 앞쪽으로 되며, 따라서, 절단시에 실을 유지할 수가 없다.
그리고, 실의 절단시험을 행하는 경우에는, 그때마다, 절단장치의 전자석에 전기신호를 가하여, 동작시킬 필요가 있으며, 이를 위하여, 스위치 등으로 조작시키기 때문에, 기계 등에 장착 후에 이 조작을 행하는데 수고스럽고, 또한 불편하다. 그리고, 절단장치를 동작할 때에, 전자석에 순간적으로 전류를 흘려 보내기 때문에, 콘덴서의 충전 또는 방전전류를 흘려보내는 전기회로를 외부회로로서 부가할 필요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은, 실의 주행방향의 변경에 대하여 일부의 부품교환으로 대응할 수 있음과 동시에, 간단한 조작으로 절단시험을 행할 수 있는 실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콘덴서 등의 전기 부품, 표시등 등을 일체적으로 조립함으로써 구조를 간단하게 하여, 견고하고, 또 염가로 제작할 수 있는 실의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있다.
이들의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실이 주행하는 실 주행로를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가 설치된 수지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수납 및 배선된 전자석 및 이 전자석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부품과, 전자석의 상방에 있어서의 케이스 내에, 한 쌍의 가이드 내의 실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딩 가능하게 하고, 또 착탈 가능하도록 탄력 장착되고, 그 한쪽 끝에는 병렬로 실의 절단칼날과 유지 돌출부가 돌출 설치됨과 동시에, 그 상면부에는 시험용 눌러 내림 핀의 삽입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러너(runner)와, 이 러너와 전자석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보통 때에는 전자석과 떨어져서 러너를 후퇴방향으로 밀어 누르고 있으며, 전자석이 전류가 통할 시에 있어서는, 전자석에 흡인되어서, 러너의 밀어 누르는 상태를 해제하는 흡인판과, 러너에 있어서의 실의 절단칼날 및 유지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여 케이스에 떼어낼 수 있도록 설치된 각 부착위치에 호환성을 갖는 칼날 받침대 및 유지 받침대와, 상면부에 러너의 핀 삽입구멍과 연통하는 시험용 눌러 내림 핀 삽입구멍이 형성된 개폐 가능한 케이스 뚜껑과, 이 케이스 뚜껑에 설치되고, 또 케이스 내 전기 부품과 배선된 전자석으로의 전류가 통할 시에 점등하는 표시 등을 구비한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그 작용과 함께 설명한다. 제1도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실의 절단장치의 일 예의 종단면도, 제2도는 평면도로서, 이들 도면에 있어서, 합성수지재료에 의한 일체성형품으로서 얻어진 케이스(1)는 수납부(2)와 가이드부(3)를 가지며, 수납부(2)는 상면 개구의 간단한 상자형으로, L형 칸막이 벽(4)에 의하여 전자석 수납부(5)와 전기 부품 수납부(6)로 구분되어 있다. 가이드부(3)는 수납부(2)의 외측에 일체 형성되어 있으며, 수납부(2)에서의 L형 칸막이 벽(4)을 갖고 있는 측면벽(7)과, 이 벽(7)과 마주 향하는 두꺼운 외측면벽(8) 및 저면벽(9)에 의하여 위로 향하는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전자석 수납부(5)에는 전자석(10)이 수납되어 있음과 동시에, 전기 부품 수납부(6)에는, 후술하는 전기 부품(11)등이 수납 배선되어 있다. 전자석(10)의 약간 위쪽에는 흡인판(12) 설치되어 있다. 이 흡인판(12)은 그 일단부가 케이스 측면벽(7)의 구멍(13)을 통하여 가이드부(3)의 저면벽(9)에 설치된 스프링 등의 탄성부재(14)로 탄력을 가짐과 동시에, 그 자유단은 러너(15)의 일부분에 걸려서 밑으로 향하는 사향상(斜向狀)으로 설치되고, 보통 때에는 전자석(10)과 떨어진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러너(15)는 합성수지재료에 의한 일체성형품으로서 얻어지고, 이 러너(15)는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선단부가 원호상으로 된 수평 슬라이딩부(16)와 하면이 개구된 밑으로 향한 상자형상부(箱子狀部)(17)와 상면이 개구한 위로 향한 상자형상부(18)를 갖고 있다. 상자형상부(17)를 형성하고 있는 상면부(19)에는 둥근 구멍(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면부(19)의 끝 테두리부(21)는 상자형상부(18)에 걸쳐서 약간 연장 설치되어, 후술의 절단용 스프링의 걸림부를 형성하고 있다. 상자형상부(18)를 형성하고 있는 두꺼운 저면부(22)에는 L형 계단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자형상부(17)를 형성하고 있는 두꺼운 전면부(24)에는, 그 양끝에 있어서 상면으로부터 두께 방향으로 형성된 잘림부(25,26)에 강판, 세라믹 등의 경질재료의 실의 절단칼날(27)과 수지제의 유지 돌출부(28)가 각각의 선단부를 바깥쪽으로 돌출시킨 상태로 삽입되어 접착고정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실의 절단칼날(27)과 유지 돌출부(28)의 삽입위치는 형상적으로 호환성을 갖고 있다.
그리고, 러너(15)는, 그 수평 슬라이딩부(16)가 케이스 측면벽(7)과 케이스의 두꺼운 외측면벽(8)에 돌출 설치된 슬릿(29,30) 내를 관통하고, 또 상자형상 저면부(22)가 케이스내 칸막이벽(4)의 상단면에 얹어놓은 상태에서 수평으로, 또한 제2도에 실선 화살표로 나타낸 AB의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딩 자유롭게 설치됨과 동시에, 이 러너(15)의 상자형상부(18)에는 절단용 스프링(31)이 탄력 장착되고, 제2도의 실선 화살표 AB의 A방향으로 미는 힘이 작용하고 있다. 그리고, 흡인판(12)의 자유단은 러너(15)의 L형 계단부(23)에 걸려 있어서, 전자석(10)에 전류가 통하지 않고 있을 때에는, 흡인판(12)의 자유단과 계단부(23)에 의한 캠 기구에 의하여 절단 스프링(31)은 압축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러너(15)에서의 상자형상부(17)의 둥근 구멍(20)의 직경은, 러너(15)의 제2도에 나타낸 실선 화살표 AB 방향의 이동범위 보다 약간 큰 값으로 되어 있다.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케이스 가이드부(3)에서의 두꺼운 외측면벽(8)에는, 실의 절단칼날(27)과 유지 돌출부(28)에 상대하여 각각 경질재료의 칼날 받침대(32) 및 합성고무 드의 탄성재료의 유지 받침대(33)가 착탈 가능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칼날 받침대(32)는, 예를 들면 철제의 둥근 나사로, 그 일 단면은 평활하며, 침탄가공이 되고, 다른 일 단면에는 잘라냄 가공이 되어 있으며, 이 칼날 받침대(32)는 외측면벽(8)의 나사구멍에 나사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유지 받침대(33)는, 합성고무제의 원형체이며, 그 단면은 볼록형상을 나타내고, 이 볼록부의 돌출부의 직경은 칼날 받침대(32)의 폭과 거의 동일한 치수로 되어 있다. 또, 볼록부의 저부는 평활하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유지 받침대(33)는 그 돌출부가 칼날 받침대(32)와 동일하게 외측면벽(8)의 나사 구멍에 삽입되어 부착되어 있다. 그러나, 칼날 받침대(32)와 유지 받침대(33)의 부착위치는 호환성을 갖는 것이며, 실의 절단칼날(27)과 유지 돌출부(28)에 각각 대응하여 설치된다. 케이스 가이드부(3)에서의 외측면벽(8)의 양단부에는, 실의 절단칼날(27)과 칼날 받침대(32) 및 유지 돌출부(28)와 유지 받침대(33)의 각각의 사이에, 그들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주행하는 실(34)의 실 주행로를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실 가이드(35,36)가 설치되어 있다. 케이스(1)에는, 러너 등의 수납부재를 덮는 뚜껑(37)이 개폐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뚜껑(37)은 그 상면부위에, 러너(15)의 둥근 구멍(20)과 연통하는 작은 구멍(38)을 갖고 있다. 이 작은 구멍(38)과 둥근 구멍(20)은, 흡인판(12)을 시험용 눌러 내림 핀(39)으로 눌러 내려서, 그 자유단을 러너(15)의 계단부(23)로부터 떨어뜨릴 목적의 것이며, 핀(39)은 1m/mψ 전후의 예를 들면 바늘핀상의 철선이고, 이 핀(39)에 의한 외부조작으로 흡인판(12)과 러너 계단부(23)의 캠 기구가 해제되어서, 러너(15)는 절단용 스프링(31)의 작용에 의하여 제2도에 나타낸 실선 화살표 AB의 A의 방향으로 절단력이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뚜껑(37)에는, 케이스 내장의 전기 부품(11)과 배선되어서 표시등(40)이 부설되고, 전자석(10)으로의 전류가 통할시에 점등하도록 되어 있다.
한편, 전자석(10) 및 표시등(40)에 공급되는 전력은 전기 부품(11)에 포함되는 단자(41,42)에 접속된다. 이들의 전기배선 예를 제5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직류전원(43)과 신호 스위치(44)는 외부에서 직렬상태로 단자(41,42)와 접속된다. 케이스(1)의 내부에 있어서는, 단자(41),(42)에 대하여 콘덴서(45)와 전자석(10)이 직렬로 접속되고, 콘덴서(45)에는 표시등(40)과 저항기(46)를 직렬로 한 회로가 병렬로 접속되고, 그리고, 전자석(10)에는 역기전력 흡수용 다이오드(47)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부품내, 단자(41,42)와 콘덴서(45), 저항기(46), 다이오드(47) 및 표시등(40)의 리드선은 프린트 기판 등에 장착되어 전기 부품(11)으로 되어 있다.
다음에,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5도에 나타낸 회로 구성에 있어서, 어떠한 이상에 의하여 신호 스위치(44)가 폐쇄회로로 되면, 콘덴서(45)를 통하여 전자석(10)에는 순간적으로 전류가 흘러, 흡인판(12)을 흡인하고, 동시에 표시등(40)이 점등한다. 흡인판(12)이 흡인되면, 그 자유단이 러너 계단부(23)로부터 떨어진다. 그러면, 러너(15)는 절단용 스프링(31)의 복귀작용에 의하여 제2도에 나타나 있는 실선 화살표 AB의 A 방향으로 순간적으로 수평이동하며, 또는, 실(34)이 실 주행로의 사이에 끼고, 제2도에 나타나 있는 실선 화살표 CD의 C에서 D의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경우에는, 실의 절단칼날(27)과 칼날 받침대(32)에 의하여 실(34)이 절단됨과 동시에, 유지 돌출부(28)와 유지 받침대(33)에 의하여 끼워져서 그 실끝이 유지된다. 이상 장소가 복원되면, 신호 스위치(44)는 개회로로 되고, 표시등(40)은 소등한다. 그래서, 러너(15)에서의 케이스 외측면벽(8)으로 부터 돌출해 있는 수평 슬라이딩부(16)를 수동에 의하여 제2도에 나타나 있는 실선 화살표 AB의 B 방향으로 밀어 돌려보내면, 러너(15)의 계단부(23)와 흡인판(12)의 자유단이 걸어 맞춰지고, 캠 기구가 리세트되어, 실(34)을 실 주행로에 통과시켜 주행시키면, 본래의 상태로 복귀한다.
그리고, 실(34)의 주행방향이, 제2도에 나타나 있는 실선 화살표 CD의 D에서 C 방향으로 주행하고 있는 장소에 본 장치를 설치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실(34)이 절단된 경우에 유지 돌출부(28)와 유지 받침대(33)에 의한 실 끝의 유지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에 대응하기 위하여, 러너(15)를, 그 실의 절단칼날(27)와 유지 돌출부(28)의 부착위치를 역으로 한 다른 러너(15)와 교환하고, 또 칼날 받침대(32)와 유지 받침대(33)의 위치를 역으로 하면, 실(34)의 실 끝을 유지하는 구성으로 변환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매우 간단한 구성으로, 실(34)을 확실하게 절단할 수 있음과 동시에, 그 실의 주행방향에 대응하여 실 끝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실 끝이 기계의 구동부나 다른 주행 실에 얽히는 일이 없다. 또한, 실(34)의 주행방향에 대하여는 러너(15)의 교환과, 칼날 받침대(32) 및 유지 받침대(33)의 부착 (나사 삽입) 위치의 교환으로 호환성을 가지며, 그리고, 절단시험을 행할 때에는, 케이스 뚜껑(37)의 작은 구멍(38), 러너(15)의 둥근 구멍(20)에 시험용 눌러 내림 핀(39)을 삽입시켜, 그 하단에서 흡인판(12)을 눌러 내리는 조작에 의하여 행할 수 있으며, 그 때마다 전자석(10)에 전류가 통할 필요가 없다. 한편, 본 장치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기 부품(11) 및 동작 전류가 통하는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등(40) 등을 케이스(1)내와 뚜껑(37)에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있기 때문에, 외부와의 전기 배선이 간단하며, 취급하기가 용이하다.

Claims (1)

  1. 실이 주행하는 실 주행로를 규제하기 위한 한 쌍의 가이드가 설치된 수지제 케이스와, 이 케이스 내에 수납 및 배선된 전자석 및 이 전자석을 작동시키기 위한 전기 부품과, 상기 전자석의 상방에 있어서의 상기 케이스내에, 상기 한 쌍의 가이드 내의 실 주행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수평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탄력 장착되고, 또 그 한쪽 끝에는 병렬로 실의 절단칼날과 유지 돌출부가 돌출 설치된 러너와, 이 러너와 상기 전자석과의 사이에 설치되고, 보통 때에는 이 전자석과 떨어져서 러너를 후퇴방향으로 밀어 누르고 있으며, 상기 전자석이 전류가 통할 시에 있어서는, 이 전자석에 흡인되어, 상기 러너의 밀어 누르는 상태를 해제하는 흡인판과, 상기 러너에 있어서의 실의 절단칼날 및 유지 돌출부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케이스에 떼어낼 수 있도록 설치된 칼날 받침대 및 유지 받침대와, 상기 러너 등의 케이스 내의 수납부재를 덮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 뚜껑에, 상기 전기 부품과 배선되고, 상기 전자석으로의 전류가 통할 시에 점등하는 표시등과, 상기 케이스 뚜껑과 상기 러너에, 상기 흡인판에 의한 러너의 밀어 누르는 상태를 시험적으로 해제시키기 위한 흡인판의 시험용 눌러 내림 핀의 삽입 구멍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의 절단장치.
KR1019940020607A 1994-08-20 1994-08-20 사상물의 절단장치 KR1002083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607A KR100208313B1 (ko) 1994-08-20 1994-08-20 사상물의 절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20607A KR100208313B1 (ko) 1994-08-20 1994-08-20 사상물의 절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52A KR960007852A (ko) 1996-03-22
KR100208313B1 true KR100208313B1 (ko) 1999-07-15

Family

ID=193908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20607A KR100208313B1 (ko) 1994-08-20 1994-08-20 사상물의 절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83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201600130095A1 (it) * 2016-12-22 2018-06-22 Eggtronic Eng S R L Sistema per il trasferimento wireless di potenza elettric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7852A (ko) 1996-03-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36168A (en) Multi-unit switch assembly
KR100208313B1 (ko) 사상물의 절단장치
US2494560A (en) Glow switch
US4220937A (en) Electromechanical relay with manual override control
US2503226A (en) Switch locking means for portable electric tools
JP2561892B2 (ja) 糸状物の切断装置
US4700031A (en) Trigger and switch assembly
US3851502A (en) Yarn detector switch-upper
KR20030022908A (ko)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EP3399534B1 (en) Assembly for mounting led and/or contact units and led units for electrical control circuits of industrial plants
US2292043A (en) Socket for tubular lamps
US3149208A (en) Pushbutton switch construction
KR970003346B1 (ko) 일체형 전원스위치
JP4720049B2 (ja) パチンコ機用検出スイッチ
KR200257851Y1 (ko) 모드 일원화가 가능한 차단기용 개폐 스위치장치
KR950004340Y1 (ko) 자동차의 글로브 박스 조명 장치
GB2241382A (en) Control button for domestic appliances such as washing machines
US4413310A (en) Light assembly for a sewing machine
CA2068789C (en) Circuit breaker for use in wall mounted plug
JP2886518B2 (ja) 賞球用タンクに取付ける球検知スイッチ
JP3014711U (ja) 糸状物の切断装置
US2197572A (en) Signal device for phonographs
US4232579A (en) Switch actuating assembly for power tools
JP6602124B2 (ja) 回路遮断器の補助端子台
US2824188A (en) Magnet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4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5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