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7907B1 - 백미러용 복합미러 - Google Patents

백미러용 복합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7907B1
KR100207907B1 KR1019960055241A KR19960055241A KR100207907B1 KR 100207907 B1 KR100207907 B1 KR 100207907B1 KR 1019960055241 A KR1019960055241 A KR 1019960055241A KR 19960055241 A KR19960055241 A KR 19960055241A KR 100207907 B1 KR100207907 B1 KR 1002079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ing surface
mirror
reflection surface
reflection
reflec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52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6460A (ko
Inventor
유이치 하세가와
Original Assignee
모치마루 마모루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모치마루 마모루, 이치코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모치마루 마모루
Publication of KR9700264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64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79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79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8Rear-view mirror arrangements involving special optical features, e.g. avoiding blind spots, e.g. convex mirrors; Side-by-side associations of rear-view and other mirro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8Mirrors
    • G02B5/10Mirrors with curved 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과제]
제조가 용이하고,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경계에 단차가 없다.
[해결수단]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22)의 회전축을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1반사면(21)의 중심(O1)과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원의 중심(O1')과를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또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의 중심을 가상경계선(31)의 중심에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비구면 또는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22)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더욱, 제1반사면(21)과 제2반사면(22)과의 사이의 가상경계선(31)은 제1반사면(21)을 구성하는 구면상 및 제2반사면(22)을 구성하는 비구면 또는 구면상에 각각 있으므로, 제1반사면(21)과 제2반사면(22)과의 사이의 경계에 단차가 없다.

Description

백미러용 복합미러
제1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용의 사시도.
제2도는 같은 설명용의 정면도.
제3도는 설명용의 제2도에 있어서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서변()곡선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5도는 가상경계선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
제6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용의 정면도.
제7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3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용의 정면도.
제8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설명용의 정면도.
제9도는 설명용의 제8도에 있어서 IX-IX선 단면도.
제10도는 제1반사면에서 시인될 수 있는 후방존(Zone)과 제2반사면에서 시인할 수 있는 사각존을 도시한 설명용의 측면도, 및
제11도는 같은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자동차 2, 2A, 2B, 2C : 백미러용 복합미러
21, 21A, 21B, 21C : 제1반사면 22, 22A, 22B, 22C : 제2반사면
3 : 가상구획형성선 30 : 서변곡선
31 : 가상경계선 O1 :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의 중심
R1 :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의 곡률반경
O1 : 가상경계선을 구성하는 원의 중심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이 복합구성된 복합미러로서, 예를들면 백미러(자동차용후사경)에 사용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에 관한 것이고, 특히 제조가 용이하고, 동시에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경계에 단차가 없는 백미러용 복합미러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이하, 상술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에 대하여, 제10도 및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제1도는 자동차, 예를들면 오락전용의 차량, 소위 RV차(Recreational Vehicle)이다. 이 자동차(1)는 운전석이 높은 위치에 있으므로, 운전자의 눈(E·P)의 위치가 높아진다. 이 때문에,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존 ①에 대하여 아래쪽의 후륜부근에서 사각존 ②이 생긴다.
여기서, 후방존 ①을 시인하기 위한 제1반사면(21)과, 사각존 ②을 광각(제11도면중의 ②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후방존 ①에 대하여 광각)으로 시인하기 위한 제2반사면(22)이 복합구성된 백미러용 복합미러(2)가 개발되었다.
여기서, 상술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에 있어서는, 1-제1반사면(21)이 후방존 ①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이상의 범위를 갖는 것.
2-제2반사면(22)이 상술의 제1반사면(21)의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를 월경하는 일 없이 적정범위내에 납입되어 있을 것.
3-제2반사면(22)에 있어서 될 수 있는 한 광각으로 시인할 수 있고 동시에 변형이 작을 것(즉, 구면 및 또는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반사면에 있어서는, 곡률을 크게(곡률반경은 작게)하면 광각으로 시인될 수 있지만 변형이 생기기 쉽고, 역으로 곡률을 작게(곡률반경은 크게)하면 변형이 생기기 어렵게 되지만 광각으로 시인할 수 없게 된다라는 모순요소를 포함한다)등이 중요하다.
그리고 상술의 복합미러로서는, 일본 특개소 54-153448호 공보에 기재의 것과, 일본 특공평 4-20818호 공보에 기재의 것이 있다.
전자는 제2반사면이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또 후자는 제2반사면이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과제]
그런데, 전자는 비구면으로 구성된 제2반사면의 곡률반경의 중심을 설정하는 것이 곤란하므로, 이 비구면으로부터 구성된 제2반사면을 제조하는 것이 곤란하다.
또, 후자는 각각 곡률반경이 다른 구면으로 이루어지고 동시에 그 구면의 중심이 Z-Z축상에 위치하는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를 접합반사면을 사이에 두고 접합하여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제1반사면과 접합반사면과의 사이의 경계에, 또 제2반사면과 접합 반사면과의 사이의 경계에, 단차(각 반사면의 곡률 반경의 차가 크게되면 단차도 크게 된다)가 생기는 일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제조가 용이하고, 동시에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경계에 단차가 없는 백미러용 복합미러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청구항 1 및 청구항 6 기재의 발명(제1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① 내지 ⑤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제1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후방존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이상의 범위를 갖는다.
② -제2반사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이외의 사각존을(광각으로)시인한다.
③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과는 상기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을 둥글게 자르는 원의 일부로서,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상에 그려진 원호로 이루어지는 가상 경계선을 끼고 각각 구성되어 있다.
④ -상기 가상 경계선은 상기 필요 최소한도 범위를 구획형성하는 가상 구획형성선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⑤ -상기 제2반사면의 비구면은 곡률반경이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고 동시에 서서히 변화하여 이루는 서변곡선을,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과 상기 가상 경계선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과를 연결하는 축을 회전축으로서, 회전시켜서 이루는 회전곡면의 일부로부터 구성되어 있다.
또, 청구항 2 및 청구항 7기재의 발명(제2의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 ① 내지 ⑤의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① -제1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후방존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이상의 범위를 갖는다.
② -제2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 이외의 사각존을(광각으로)시인한다.
③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과는 상기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을 둥글게 자르고, 동시에 상기 제2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을 중심을 지나 둥글게 자른 원의 일부로서, 상기 제1반사면 구성 구면상 및 상기 제2반사면구성 구면상에 그려진 원호로 이루어지는 가상 경계선을 끼고 각각 구성되어 있다.
④ -상기 가상경계선은 상기 필요 최소한도 범위를 구획 형성하는 가상 구획형성선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⑤ -상기 제2반사면의 구면은 곡률반경이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고, 동시에 상기 가상경계선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의 발명은 제2반사면이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2의 발명은 제2반사면이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각각 특징으로 한다.
이 결과,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상술의 ④ 및 ④ 중의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사이의 가상 경계선이 제1반사면에 의하여 후방존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를 구획형성하는 가상 구획형성선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으므로, 제1반사면이 후방존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이상의 범위를 갖을 수가 있고, 동시에 제2반사면이 제1반사면의 필요 최소한도 범위를 월경하는 일없이 적정범위내에 납입된다.
또, 청구항 1 및 청구항 2기재의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상술의 ⑤ 중의 서변곡선의 곡률반경 및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으로부터 회전축까지의 곡률반경을, 및 상술 ⑤ 중의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의 곡률 반경을 제2반사면에서 사각존을 될 수 있는 한 광각으로 시인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크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2반사면에 있어서 사각존을 될 수 있는 한 광각으로 시인할 수 있고 동시에 변형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제1의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의 회전축을,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1반사면의 중심과 가상경계선을 구성하는 원의 중심과를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제2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의 회전중심을, 가상 경계선을 구성하는 원의 중심에 위치시킴으로써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더욱,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사이의 가상 경계선이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상 및, 제2반사면을 구성하는 비구면상에, 또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상 및, 제2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상에 각각 있으므로,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사이의 경계에 단차가 없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실시예중의 4예를 제1도 내지 제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도 내지 제5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1실시예를 도시한다.
도면중, 제10도 및 제11도와 같은 부호는 동일부호를 도시한다.
이예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는 RV차의 좌측에 설치되는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M은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표면(반사면)의 대략 중심(약간 기울여 있다)을 도시한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백미러용 복합미러(2)를 정면에서 보아,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중심(M)을 원점으로 하여 수평을 지나는 축을 X-X축으로 하고, 이 중심(M)을 수직으로 지나는 축을 Y-Y축으로 하고, 이 X-X축 및 Y-Y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지나는 축을 Z-Z축으로 한다.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표면(반사면)은 구면 및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좌우양측변과 X-X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평면과의 교점을 X'로 하고, 이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상하 양측변과 Y-Y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직면과의 교점을 Y'로 한다.
이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제1반사면(21)은, 중심(O1)이 Z-Z축상에 위치하고 동시에 곡률반경이 R1인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제10도 및 제11도중의 후방존 ①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 즉 제2도 및 제5도중 3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가상구획형성선(3) 보다도 상방의 범위, 이상의 범위를 갖는다. 이의 제1반사면(21)의 필요 최소한도 범위는, 상술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크기의 범위내에 있어서, 제1반사면(21)에서 시인하는 후방존 ①의 넓이와, 제1반사면(21)을 구성하는 구면의 곡률반경(R1)에 의하여 임의로 설정할 수가 있다.
또,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제2반사면(22)은, 후술하는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10도 및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상기 제1반사면(21)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 ① 이외의 사각존 ②을 광각으로 시인하는 것이다.
상기 제1반사면(21)과 상기 제2반사면(22)과는, 가상 경계선(제1도 및 제2도 및 제5도중, 2점 쇄신으로 도시한다)(31)을 끼고, 각각 구성되어 있다. 이 가상경계선(31)은, 상기 제1반사면(21)을 구성하는 구면(회전중심이 Z-Z축상에 위치하는 O1로, 곡률반경이 R1인 구면)을 둥글게 자르는 원(중심이 O1'로, 곡률반경이 R1'인 원, 더욱, 제5도중에 있어서는 X-X선을 장축, Y-Y축을 단축으로 한 타원으로 보인다)의 일부로서,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회전중심이 Z-Z축상에 위치하는 O1로, 곡률반경이 R1인 구면)상에 그려진 원호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 상술의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O1')의 위치는, 제1도 내지 제5도중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윗변보다도 내측에 또는 외측에 각각 다르게 위치하고 있지만, 실제로는 일정점에 위치하여 있고, 제5도중의 위치가 실제의 위치에 가깝다. 예를들면, 제1반사면(21)을 구성하는 구면의 반경(R1)이 700㎜의 경우, 상술의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반경(R1')(중심(O1')로부터 가상경계선(31)의 중점(M1)까지의 거리)이 약 300㎜로 된다.
이 가상경계선(31)은 정면(제2도)에서 보아, 상기 필요 최소한도 범위를 구획형성하는 가상 구획형성선(3)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상기 가상 구획형성선(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동시에 중앙부가 아래쪽의 상기 제2반사면(22)측 근처에 동시에 좌우 양단부가 상방의 상기 제1반사면(21)측 근처에 각각 돌출한 원호형상을 이룬다.
더욱, 상술의 가상 구획형성선(3)과,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좌우 양측변과의 교점을 A와, 상술의 가상경계선(31)과 백미러용 복합미러(2)의 좌우 양측변과의 교점을 A'로 각각 한다.
상기 제2반사면(21)의 비구면은, 곡률반경(R2∼R16)이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곡률반경(R1)보다도 작고 동시에 무단계로 연속적으로 서서히 변화하여 이루는 서변곡선(30)을,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O1)과 상기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O1')을 연결하도록 축(O1-O1')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시켜서 이루는 회전곡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서변곡선(30)은,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Y-Y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직 절단면상에 M1∼M16의 범위에 걸쳐서 설정되어 있다. 더욱, Y'∼M∼M1의 범위는 제1반사면 구성구면상의 원호로서, 중심(O1)이 Z-Z축상에 위치하고, 동시에 곡률반경이 R1 (이 예에서는 700㎜)의 원호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의 서변곡선(30)은, 컴퓨터 제어에 의하여, 제작되어 있다. 즉, 서변곡선(30)은 중심이 O1로부터 O16까지 무단계로 연속적으로 변화하고, 동시에 곡률반경이 R1에서 R16까지 무단계로 연속적으로 변화하여 점 M1에서 M16까지 무단계로 연속적으로 접촉하여 이루어진다.
이하, 상술의 서변곡선(30)상의 점(M1∼M16)에 있어서 곡률반경(R1∼R16)의 구체적 치수를 표시한다. 더욱 상술의 점(M1∼M6)은 4㎜간격의 Z-Z축과 평행한 수평선과 서변곡선(30)과의 교점이다.
점(M1)에 있어서 곡률반경(R1)은 M1∼O1사이의 거리로서, 상술의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곡률반경(R1)이므로, 700㎜이고,
점(M2)에 있어서 곡률반경(R2)은 M2∼O2사이의 거리로서, 501.4㎜이고,
점(M3)에 있어서 곡률반경(R3)은, M3∼03사이의 거리로서, 329.3㎜이고,
점(M4)에 있어서 곡률반경(R4)은, M4∼04사이의 거리로서, 244.9㎜이고,
점(M5)에 있어서 곡률반경(R5)은, M5∼05사이의 거리로서, 193.4㎜이고,
점(M6)에 있어서 곡률반경(R6)은, M6∼06사이의 거리로서, 161.8㎜이고,
점(M7)에 있어서 곡률반경(R7)은, M7∼07사이의 거리로서, 140㎜이고,
점(M8)에 있어서 곡률반경(R8)은, M8∼08사이의 거리로서, 124.4㎜이고,
점(M9)에 있어서 곡률반경(R9)은, M9∼09사이의 거리로서, 112.8㎜이고,
점(M10)에 있어서 곡률반경(R10)은, M10∼010사이의 거리로서, 104.1㎜이고,
점(M11)에 있어서 곡률반경(R11)은, M11∼011사이의 거리로서, 97㎜이고,
점(M12)에 있어서 곡률반경(R12)은, M12∼012사이의 거리로서, 93.5㎜이고,
점(M13)에 있어서 곡률반경(R13)은, M13∼013사이의 거리로서, 90.9㎜이고,
점(M14)에 있어서 곡률반경(R14)은, M14∼014사이의 거리로서, 89.9㎜이고,
점(M15)에 있어서 곡률반경(R15)은, M15∼015사이의 거리로서, 90.3㎜이고,
점(M16)에 있어서 곡률반경(R16)은, M16∼016사이의 거리로서, 92.1㎜이다.
그리고 상술과 같이 구성된 서변곡선(30)을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O1)과 상기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O1')과를 연결하는 축(O1-O1')을 회전축으로하여 회전시키므로써, 비구면으로 구성되는 제2반사면(22)이 형성되는 것으로 된다. 더욱, 상술의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O1')은 Y-Y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직 절단면상에 동시에 상방의 상기 제1반사면(21)측 근처에 위치한다.
또, 상술의 회전축(O1-O1')은 Z-Z축에 대하여 Y-Y축 방향으로 상방에 θ°, 이 예에서는 22° 경사되어 있다.
이때, 제1반사면(21)과 제2반사면(22)과는 가상경계선(31)을 끼고 각각 구성되어 있고, 게다가 이 가상경계선(31)은 가상 구획형성선(3)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결과, 제1반사면(21)이 후방존 ①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A-A)보다도 아래쪽에 큰 범위(A'-A')를 가질 수가 있어, 동시에 제2반사면(22)이 제1반사면(21)의 필요한 최소한도범위를 월경하는 일 없이 적정범위내로 납입되는 것으로 된다.
또, 상술의 제2반사면(22)에 있어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직면상에서 후방존 ① 보다도 아래쪽의 존 ②을 시인하는 범위는, 서변곡선(30)의 M1∼M16에 있어서 곡률반경(R2(O2-M2)∼R16(O16-M16)에 의하여 결정되고, 또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수평면상에서 후방존 ① 보다도 좌우존 ②을 시인하는 범위는 제2반사면(22)의 회전축(O1-O1')에서 서변곡선(30)까지의 무단계로 변화하는 곡률반경(R1'(O1'-M1)∼R16'(O16-M16)')에 의하여 결정된다.
그 결과, 서변곡선(30)의 곡률반경(R2(O2-M2)∼R16(O16-M16)) 및 서변곡선(30)에서 회전축(O1-O1')까지의 곡률반경(R1'(O1'-M1)∼R16'(O16'-M16)을, 제2반사면(22)에서 사각존 ②을 광각으로 시인할 수 있는 범위내에 있어서 크게 되도록 설정함으로써, 제2반사면(22)에 있어서 사각존 ②을 될 수 있는 한 광각으로 시인할 수 있고 동시에 변형을 작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이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는, 서변곡선(30)을 회전축(O1-O1')둘레로 회전시키므로써 비구면의 제2반사면(22)이 구성되는 것으로, 이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22)의 회전축(O1-O1')을, 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1반사면(21)의 중심(O1)과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원의 중심(O1')을 연결함으로써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제2반사면(22)을 용이하게 제조할 수가 있다.
또, 제1반사면(21)과 제2반사면(22)과의 사이의 가상경계선(31)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반사면(21)을 구성하는 구면상 및 제2반사면(22)을 구성하는 비구면상에 각각 있으므로, 제1반사면(21)과 제2반사면(22)과의 사이의 경계에 단차가 없다.
더욱, 상술의 제1실시예에 있어서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자동차의 좌측에 장비하는 것이므로, 자동차의 우측에 장치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이 제1의 실시예의 것과 비교하여 대략 좌우역으로 된다.
제6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2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중 제1도 내지 제5도 및 제10도 및 제11도와 동부호는 동일한 것을 도시한다.
이 예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A)는, 가상경계선(31)을 구성하는 원의 중심(O1')이 Y-Y축에 대하여 좌측으로 동시에 상방의 제1반사면(21A)측 근처에 위치하는 것이고, 아래쪽의 제2반사면(22A)의 우측이 넓게 확보될 수 있다.
제7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3의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중, 제1도 내지 제6도 및 제10도 및 제11도와 동부호는 동일한 것을 도시한다.
이 예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B)는, 제1반사면(21B)으로 시인할 수 있는 후방존에 대하여, 제2반사면(22B)에서 옆쪽, 이 예에서는 우측의 사각존을 시인하는 것이다.
이 백미러용 복합미러(2B)는 일반승용차에 장비하여 예를들면 고속도로에 있어서 출입할 때에 후방존보다도 옆쪽의 사각존을 제2반사면(22B)으로 시인할 수가 있다.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의 제4 실시예를 도시한 정면도이다. 도면중, 제1도 내지 제7도 및 제10도 및 제11도와 동부호는 동일한 것을 도시한다.
이 예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C)에 있어서는, 정면(제8도)에서 보아 제1반사면(21C)과 제2반사면(22C)이 상하로 복합 구성되어 있고, 제2반사면(22C)에 의하여 시인되는 사각존(제10도중 ②)이 제1반사면(21C)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제10도중 ①)보다도 아래쪽의 존이고, 가상경계선(31)이,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정면에서 보아 가상 구획형성선(3)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여, 동시에 X-X축과 대략 평행을 이루고, 제2반사면(22C)이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제2반사면(22C)을 구성하는 서변곡선(30)이 Y-Y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직 절단면상에 설정되어 있어, 서변곡선(30)을 회전시키는 회전축(O1-O1')(016'))이,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O1)을 지나, 동시에 Y-Y축과 평행한 축으로 이루어진다.
즉, 이 예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C)에 있어서 제2반사면(22C)은, 서변곡선(30)을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O1)을 지나 동시에 Y-Y축과 평행한 회전축(O1-O1'(O16'))둘레로, 회전시켜서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이 예의 백미러용 복합미러(2C)에 있어서 제2반사면(22C)은,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이 제2반사면(22C)의 하부양끝(특히, 이 예에서는 하부 우단부)에 있어서 곡률이 크게 되므로, 그 부분에 있어서, 반사상의 변형이 작아진다.
더욱, 상술의 제8도 및 제9도에서 도시하는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제1반사면(21C)과 제2반사면(22C)과를 상하로 설치한 것이지만, 제1반사면(21C)을 좌측에 제2반사면(22C)을 우측으로, 또는 제1반사면(21C)을 우측에 제2반사면(22C)을 좌측에 설치한 것이라도 좋다.
또,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에 있어서는, 제2반사면이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경우도 있다.
이 경우, 상술의 실시예에 있어서, 중심이 가상경계선(31)의 중심(O1')으로 하고, 동시에 곡률반경이 가상경계선(31)의 곡률반경(R1')으로 한 구면의 일부를 제2반사면으로서 구성한다. 이것도 상술의 실시예의 것과 꼭같은 작용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백미러용 복합미러는, 제조가 용이하고,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과의 경계에 단차가 생길 염려가 없다.

Claims (10)

  1.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이 복합구성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복합미러는 ① -상기 제1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후방존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 이상의 범위를 갖고 있고, ② -상기 제2반사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이외의 사각존을 시인하고 있고, ③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과는 상기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을 둥글게 자른 원의 일부로서,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상에 그려진 원호로 이루어지는 가상경계선을 끼고 각각 구성되어 있고, ④ -상기 가상경계선은 상기 필요 최소한도범위를 구획형성하는 가상 구획형성선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⑤ -상기 제2반사면의 비구면은, 곡률반경이 상기 제1반사면구성구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고 동시에 서서히 변화하여 이루는 서변곡선을,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과 상기 가상경계선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을 연결하는 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회전시켜서 이루어지는 회전곡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2. 제1반사면과 제2반사면이 복합구성된 미러에 있어서, 상기 복합미러는 ① -상기 제1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후방존을 시인하기 위하여 필요한 최소한도의 범위 이상의 범위를 갖고 있고, ② -상기 제2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이외의 사각존을 시인하고 있고, ③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과는 상기 제1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을 둥글게 자르고, 동시에 상기 제2반사면을 구성하는 구면을 그 구면의 중심을 지나 둥글게 자른 원의 일부로서,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상 및 상기 제2반사면의 구성 구면상에 그려진 원호로 이루어지는 가상경계선을 끼고 각각 구성되어 있고, ④ -상기 가상경계선은 상기 필요 최소한도범위를 구획형성하는 가상 구획형성선을 월경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고, ⑤ -상기 제2반사면의 구면은 곡률반경이 상기 제1반사면구성구면의 곡률반경보다도 작고, 동시에 상기 가상경계선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을 중심으로 한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은 상하로 복합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사각존은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보다도 아래쪽의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은 좌우로 복합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사각존은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보다도 옆쪽의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 이외의 사각존을 광각으로 시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반사면은 구면의 일부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 이외의 사각존을 광각으로 시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은 상하로 복합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에 의하여 광각으로 시인되는 사각존은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보다도 아래쪽의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은 좌우로 복합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에 의하여 광각으로 시인되는 사각존은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보다도 옆쪽의 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은 상하로 복합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사각존은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보다도 아래쪽의 존이고, 상기 가상경계선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가상구획형성선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X-X축과 대략 평행을 이루고, 상기 제2반사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을 구성하는 서변곡선은 Y-Y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직절단면상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서변곡선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은 상기 제1반사면 구성구면의 중심을 지나 동시에 Y-Y축과 평행인 축으로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반사면과 상기 제2반사면과는 상하로 복합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에 의하여 광각으로 시인되는 사각존은 상기 제1반사면에 의하여 시인되는 후방존보다도 아래쪽의 존이고, 상기 가상경계선은 정면에서 볼 때, 상기 가상구획형성선보다도 아래쪽에 위치하고, 동시에 중앙부가 아래쪽의 상기 제2반사면측 근처에 동시에 좌우 양단부가 상방의 상기 제1반사면측 근처에 각각 돌출한 원호형상을 이루고, 상기 제2반사면은 비구면으로 구성되어 있고, 상기 제2반사면을 구성하는 서변곡선은 Y-Y축 및 Z-Z축을 포함하는 수직절단면상에 설정되어 있고, 상기 서변곡선을 회전시키는 회전축을 구성하고, 동시에 상기 가상경계선을 구성하는 상기 원의 중심은 상기 수직절단면상에 동시에 상방의 상기 제1반사면측근처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용 복합미러.
KR1019960055241A 1995-11-21 1996-11-19 백미러용 복합미러 KR1002079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303085 1995-11-21
JP30308595 1995-11-21
JP96-144293 1996-06-06
JP14429396A JP3384248B2 (ja) 1995-11-21 1996-06-06 バックミラー用複合ミラ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460A KR970026460A (ko) 1997-06-24
KR100207907B1 true KR100207907B1 (ko) 1999-07-15

Family

ID=264757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5241A KR100207907B1 (ko) 1995-11-21 1996-11-19 백미러용 복합미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384248B2 (ko)
KR (1) KR1002079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7439B1 (ko) * 2007-11-07 2008-11-06 주식회사시리스케이 차량용 후면경
CN102963303A (zh) * 2012-12-12 2013-03-13 四川大学 一种汽车左侧和右侧的后视镜
CN117192666B (zh) * 2023-09-25 2024-05-14 之江实验室 片上自由曲面反射透镜及其形成方法、光电子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6460A (ko) 1997-06-24
JP3384248B2 (ja) 2003-03-10
JPH09202184A (ja) 1997-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93542A (en) Automobile mirror assembly
US11827154B1 (en) Geometrically shaped ellipsoid vehicular mirror
CA1239301A (en) Rearview mirror
US5563744A (en) Vehicle rearview mirror
US4449786A (en) Rearview mirror
US6328450B2 (en) Oval, constant radius convex mirror assembly
US6315419B1 (en) Automotive rearview mirror having a main viewing section and an auxiliary blindzone-viewing section
US5005963A (en) Vehicular mirror
JP2002274262A (ja) 広角バックミラー
JPS62105103A (ja) 凸面反射鏡
US5307211A (en) Truncated convex vehicular mirror surface
US20020159169A1 (en) Vehicle mirrors and related molds whereon the reflective surface is developed by a two-eye method involving the aniseikonia ratio ZETA of the left & right eye apparent image size pairs
KR100207907B1 (ko) 백미러용 복합미러
JPH06506420A (ja) 後方確認ミラー装置
CN116861643A (zh) 一种内后视镜视野校核方法
US5221990A (en) Wide field of view automotive rear vision optical system
JP2004101829A (ja) 車両用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
JP4213223B2 (ja) 光学式後方展望システム
KR20080082684A (ko) 자동차용 백미러
US8172411B2 (en) Multi-curvature convex mirror having an enhanced field of vision
JP3010039U (ja) 自動車用ミラー
US20050161573A1 (en) Mirror mount assembly with dual reflective surfaces
JPH116908A (ja) 道路反射鏡
JPH0976821A (ja) 車両用バックミラー
JPH04129335U (ja) 車輌の側視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17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