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618B1 - 움직이는 보도 - Google Patents

움직이는 보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618B1
KR100206618B1 KR1019930703162A KR930703162A KR100206618B1 KR 100206618 B1 KR100206618 B1 KR 100206618B1 KR 1019930703162 A KR1019930703162 A KR 1019930703162A KR 930703162 A KR930703162 A KR 930703162A KR 100206618 B1 KR100206618 B1 KR 1002066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lt
plate
leading edge
end plate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31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루이스 로더 존
Original Assignee
루이스 로더 존
로더웨이 피티와이.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PCT/AU1992/000163 external-priority patent/WO1992018414A1/en
Application filed by 루이스 로더 존, 로더웨이 피티와이.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루이스 로더 존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618B1/ko

Links

Landscapes

  • Escalators And Moving Walkways (AREA)

Abstract

움직이는 보도는 로울러(8) 둘레에 구속되는 하나 이상의 평탄한 활주벨트(6)과 이 벨트의 배출 단부에 위치하는 말단 플레이트(2)를 포함한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2)는 단부 플레이트이거나 또는 전달 플레이트가 될 수 있다. 상기 말단 플레이트(2)의 형상은 벨트의 속도로 움직이고 벨트에서 벗어나게 되는 물체가 상기 플레이티의 선단 가장자리(4)의 하류방향 위치에서 상기 플레이트를 때리게 되도록 벨트(6)의 속도와 단부 로울러(8)의 직경에 따라 결정된다.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4)는 벨트(6)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미소의 깊이를 지니는 틈새(10)을 형성하며, 이것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와 벨트(6)사이에 형성된 틈새에 끼게되는 어떤 물체를 쉽게 제거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Description

움직이는 보도
본 발명은 움직이는 보도(moving walkway)에 관한 것으로, 특히 벨트로 구성된 형태의 보도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라 평탄한 벨트로 구성된 형태의 보도는 큰 직경의 로울러(통상 600mm)를 중심으로 반송되는 두꺼운 벨트(통상 20 내지 30mm 두께)를 사용하였으며, 이 벨트의 종단에는 직선의 가장자리로 마무리되고 벨트의 폭을 가로질러 자리한 단부 플레이트가 구비되어 있었다. 가능한 부드러운 출구 표면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는 벨트의 접선 지점에 가능한 근접하게 유지되며, 수직방향으로 단부 플레이트에 요구되는 적절한 강도와 칼날 같은 가장자리가 되지않도록 플레이트의 가장자리는 요구되는 반경을 얻을 수 있도록 일치되어야 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해 단부 플레이트의 배면을 약간의 거리를 두고 벨트 표면의 반경에 밀접하게 따라가기 때문에 상기의 두표면 사이에 이동방향으로 비교적 가늘고 긴 구멍이 존재하게 된다. 이것은 수직방향의 강도를 제공하며, 또한 이러한 배열은 신축성의 물체를 삼키지 못하게 하는 것으로 알려져 왔다. 실제로는 그렇지 않으며 위로 부터의 입력으로 얇은 물체가 벨트와 단부 플레이트 사이를 통과하여 그곳에 걸리에 될 수 있다. 이러한 물체가 진입하는 벨트 표면에 반하여 단부 플레이트의 배면에 의해 압축되게 되는 곳의 표면적은 비교적 크기 때문에, 걸리게 되는 어떠한 물체라도 강력한 삼키는 작용력에 대해 심한 힘이 가해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이용자가 수직으로 당겨지게 될, 예를 들면 옷자락을 끌어 당기는 시도에서 물체는 단부 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 대해 약 70도의 예각으로 방향 전환 시켜야 한다. 만약 당기는 힘이 수평일 경우 그 각도는 약 160도로 증가된다. 이러한 예각은 끌어 당기는 것을 더욱 어렵게 만든다. 일례로, 1960년에 상기 형태의 단부 플레이트를 지닌 벨트에 앉아 있는 어린 소녀의 옷이 꽉 끼게 되어 소녀의 힘으로 빼낼 수 없어 팽팽해진 옷에 의해 숨진 사건이 있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현재는 빗 모양의 단부를 구비한 고무로된 벨트가 채택되었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빗 모양의 기구가 리브들 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상기의 경우와 같이 옷가지를 삼키게 될 단부 플레이트의 실질적인 폭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그러나, 신형의 신발류나 구두끈등의 해어진 구두굽이 상기 빛 모양의 기구에 질릴 수 있게 되며, 그리고 하이힐 구두의 뒤꿈치가 벨트의 리브들 사이에 들어가서 빗모양의 기구의 단부상에 충격을 가해 종종 뒤꿈치가 절단되어 신고 있는 사람이 넘어지는 경우가 생긴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빗 모양의 기구의 치부는 파괴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어려움은 더욱 악화되고 심할 경우 어린이의 손가락이나 발끝이 절단되게 되는 경우도 발생한다. 현재에 발생되는 움직이는 보도의 대부분의 사고는 출구 지점에서 리브와 빗 모양의 기구에서 빈번히 발생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일측면에 있어서, 로울러 둘레에 구속되는 하나 이상의 평탄한 벨트와, 이 벨트의 배출 단부에 위치한 말단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보도를 제공하는 것으로, 상기 말단 플레이트는 벨트가 상기 로울러 둘레를 지나 배출 단부 위치에서 벨트의 표면에 인접하게 자리하는 직선의 선단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위치 및 형상은 배출 단부에서 벨트를 떠나고 벨트의 속도로 움직여 증력 가속도로 떨어지는 사람의 몸체가 벨트와 플레이트의 가장 근접한 병렬 지점의 하류방향으로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떼리도록 되는 보도로서,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이 벨트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소량의 깊이를 형성하도록 그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실제적으로 연속된 평탄한 벨트를 구비하는 보도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기 보도는 최소한 하나 이상의 가속구역을 포함하며, 이 가속 구역은 더 빨리 움직이는 긴 벨트로 이르는 하나 이상의 비교적 짧은 벨트와, 가속 구역과 협동하고 긴 벨트의 속도로 움직이는 제1난간을 포함하며, 짧은 벨트의 속도 및 길이는 탑승자의 다리를 움직여서 자세를 바로잡아야될 만큼 불안정한 상태에 도달되지 않도록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호한 실시예들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제1도는 보도의 벨트 단부와 말단 플레이트의 실시예를 대략 도시한 측면도.
제2도는 개선된 구조만 제외하고는 제1도에 도시된 실실예와 유사한 측면도.
제3도는 보도의 가속 구역내의 벨트 및 난간의 구조를 대략 도시한 평면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 쉽게 사용될 수 있는 보도는 소직경을 지닌 로울러 둘레를 지나는 얇고 평탄한 슬라이더 벨트(일반적으로 5mm이내)를 구비한다. 비록 한정되지는 않지만 통상의 로울러 직경은 약 30 내지 70mm로서, 30mm가 양호하다. 그러나, 약 150mm 이내의 대직경을 지닌 로울러도 본 발명의 원리를 적용하여 사용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벨트의 단부에 인접한 말단부에 관련된다. 이 말단부는 보도의 출구 단부에 있는 단부 플레이트일 수 있고, 혹은 보도의 인접한 두 개의 벨트 사이에 있는 전송 플레이트일 수도 있다. 그러나 이하 설명의 용이를 위해 단지 단부 플레이트라고 할 것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부 플레이트(2)는 이것의 선단 가장자리(4)를 벨트(6)에 인접하고, 이 벨트의 폭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자리시켜벨트(6)과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는 위에서 보았을 때 실질적으로 일직선이다. 단부 플레이트(2)는 벨트의 주어진 설계상의 속도, 벨트(6)의 회전중심이되는 단부 로올러(8)의 직경, 그리고 단부 플레이트의 형상에 따라 벨트(6)에 대해 배치되기 때문에 벨트(6)을 떠나는 고체의 몸체는 벨트의 속도로 이동하여 중력하에 떨어질 때 단부 플레이트(2)와 벨트(6)에 가장 가까운 나란한 지점을 지나 단부 플레이트(2)의 상단부면상에 착륙한다. 따라서, 벨트(6)의 속도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중력 가속도로 떨어지는 고체의 몸체는 벨트(6)과 단부 플레이트(2)사이의 공간으로 들어 갈 수 없게 된다. 실제로, 이것은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를 최소한 벨트(6)의 상부면의 연장 평면아래의 위치에, 그리고 전술한 설계상의 매개변수에 따라 결정되는 상기 평면아래의 거리로 배치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이러한 형상은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부를 벨트 상부면의 연장된 평면내에 놓인 플레이트(2)의 하류방향의 부분에 대해 하방향으로 약간 굴곡시키거나 혹은 경사지게 함으로써 이루어지는데, 다르게는 이들 하류방향의 부분을 연장된 평면 아래에 놓을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 벨트상에서 움직이는 이용자의 발은 이용자가 벨트에서 발을 내딛지 않고서도 단부 플레이트 위로 뎄겨질 것이다. 심지어 이용자가 벨트(6)에 앉아 있거나 물체가 벨트(6)위에 놓여 있는 경우에도 단부 플레이트(2)에 나란한 지점으로 운반될 것이다. 예를들면, 어린이가 벨트에 앉아 있을 경우 스카프나 허리 벨트, 혹은 어린이 옷자락의 끝부분은 단부 플레이트의 앞쪽으로 옮겨질 것이고 벨트와 단부 플레이트 사이의 나란한 위치와 접촉하지 않게 될 것이다. 그러나, 어린이의 옷이 단부 플레이트(2)에 앉아 있는 어린이에 깔려 있는 경우와 같이 중력 가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는 방법으로 어떤 물건이 하방향으로 힘이 작용하게 되는 가능성도 존재한다. 이러한 가능성을 해결하기 위해,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부의 형상을 만약의 사고나 전기의 경우와 같은 어린이의 부상을 최소화시키도록 만든다.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최소한 플레이트의 선단부에서 단부 플레이트(2)의 배면을 전술한 설계에서와 같이 벨트(6)의 궤도를 따라 만들기 보다 플레이트(2)를 벨트(6)에서 절단시켜 단지 작은 수직 깊이의 틈새(10)이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와 벨트(6)사이에 형성되도록 만듦으로써 이루어진다.
서두에 언급한 바와 같이, 평탄한 벨트 구조물의 결점중 하나는 단부 플레이트에 수직 강도를 부여하는 것으로, 벨트는 큰 직경의 로올러를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단부 플레이트는 상기 강도를 제공하도록 필요한 두께를 얻기 위해 상당한 거리를 두고 벨트를 따라가야 한다. 이러한 요구 조건의 결과로 단부 플레이트에 필요에 하는 큰 스팬(span)이 벨트에 인접한 위치에 이르게 된다. 이 경우, 단부 로올러(8)의 직경이 작기 때문에 벨트(6)에 이르기 위한 단부 플레이트(2)에 요구되는 스팬은 상당히 줄어들게 되며, 단부 플레이트에 요구된 수직 하증을 견디기에 충분한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는 반면에 단부 플레이트를 크게 절단시킬 수 있다.
벨트(6)과 단부 플레이트(2) 사이에 형성된 틈새(10)의 작은 수직 깊이로 인해 그 면적은 벨트(6)과 단부 플레이트(2) 사이를 통과하는 어떤 물건과의 접촉 면적과 거의 비슷하며, 통상 이 접촉 면적의 수직 길이는 전기의 설계에 의한 10밀리미터 보다 훨씬 적은 수 밀리미터 이내일 것이다. 이러한 구조에 대해서는 벨트(6)과 단부 플레이트(2) 사이의 면적내에 어떤 물체가 쐐기 작용으로 박힐 염려가 없게 되며 그 물체와 단부 플레이트 및 벨트(6) 사이에 발생된 내측으로의 작용력 정도가 적게 된다. 따라서, 어떤 물체가 벨트(6)과 단부 플레이트(2)사이의 공간으로 들어가기 힘든 뿐만 아니라 만약 상기 두곳사이의 공간에 어떤 물체가 존재하면 그것을 쉽게 제거할 수 있으며, 언제라도 상기 공간으로 또다른 물체를 유입시키려는 힘은 이 물체가 접촉하게 되는 유효면적에 의해 제한된다. 추가적으로, 물체를 수직방향으로 당기고 싶을 때는 단지 단부 플레이트(2)의 가장자리(4)에 대해 약 20도 만큼 회전시키면 되고 수평방향의 경우는 약 110도면 만큼 회전시키는데 이러한 각도는 전술한 설계에 적용되는 70도 및 160도에 비해 적은 각도가 된다. 만약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가 벨트와 가장 가깝게 나란한 지점에서 벨트 표면의 접선상에서 벨트에 수직하게 접근하게 된다면 상기와 같은 끄집내기가 더욱 쉬워질 것이다. 이러한 것은 실험을 통해 입증되었다.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는 날카롭게 만들기 보다는 수직영역으로 볼록한 외형을 형성하도록 굴곡되어 있다.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의 여러 가지 반경에 대해 앞서 고려한 바와 같이 반경이 더 클수록 물체가 플레이트의 선단부(4)에 걸려 끌어당겨지게 될 확률이 더 적어지는 반면에, 더 적은 반경일수록 벨트와 선단부의 표면 사이에서 일어나는 쐐기 작용이 감소되기 쉬우며, 그리고 또한 물체를 삼키는 작용력이 발생되어 끼게되는 유효면적도 감소된다. 따라서 2.0mm 이내의 반경이 양호하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또한 굴곡을 지닌 선단부를 다듬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이것은 어떤 물체상에 걸리를 삼키는 작용력과 삼켜진 물체의 끌어당기는 힘에 대한 저항 모두를 감소시킬 것이다.
도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와 벨트 사이에 형성되는 작은 깊이의 틈새(10)은 플레이트의 선단 부분을 비교적 얇게 만듦으로써 형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방법만이 상기 틈새(10)을 형성시키는 유일한 방법은 아니다. 플레이트(2)는 전술한 것보다 더 두꺼울 수 있으며, 이 두꺼운 플레이트에 대해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벨트(6)과 선단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이 10mm 두께의 최소한 두배되는 비율로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바닥면까지 선단 가장자리 두께 이상으로 벨트(6)에서 멀어지게 경사져 있어야 한다.
제2도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부 플레이트(2)는 단부 플레이트(2)와 벨트(6) 사이의 틈새(10)에 물체가 더욱 힘들게 끼게되도록 만드는 수단을 추가로 제공한 것만 제외하고 제1도와 관련하여 설명된 원리에 따라 제작된 것으로, 낀 물체를 더욱 쉽게 끄집어 낼 수 있고 그리고 만약 물체가 끼게될 경우 짧은 시간내에 전장치를 멈출 수 있다.
실험을 통해 보통의 가요성 물체는 제1도에 연관지어 설명한 단부 플레이트의 형상을 이용하여 쉽게 끄집어 낼수 있지만 너덜한 뒤꿈치를 지닌 고무 신발류와 같은압축 가능한 물체가 끼게될 경우 그것을 끄집어내기 위해서는 상당한 힘이 요구된다. 실제로, 이러한 압축성 물체가 끼게되는 경우는 매우 드물지만 만약의 경우를 대비하며 어떤 수단을 준비하여야 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은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와 벨트(6) 사이의 간격 아래로부터 매우 근접하게 단부 플레이트(2) 밑에 직접 장착되어 있다.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의 선단 가장자리(22)는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부와 유사한 형상을 가진다.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은 단부 플레이트(2) 아래에 일정한 거리로 이격된 피벗장치(26)에 그 하단부에 피벗식 운동이 가능하게 장착된 아암(24)의 상단에 수반되기 때문에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은 단부 플레이트(2)와 벨트(6) 사이의 간격이 패쇄되도록 선단 가장자리(22)의 벨트 가까이 인접하게 되는 정지 위치에서 벨트에서 멀어지는 한 위치까지 피벗식 운동을 하게된다. 아암(24)는 스프링으로 편향되기 쉬우며, 예를 들면 가동성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22)가 거의 벨트(6)에 닿게 되도록 벨트에 매우 가까운 정지 위치에 자리되도록 피벗 장치(26)과 연관된 토오숀 스프링을 제공하는 것이다. 벨트(6)에 대해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의 정확한 정지 위치를 조절가능한 멈추개로 정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가동성의 플레이트(20)과 벨트(6)사이에 존재하는 매우 작은 간격사이를 물체가 통과하지 않고는 이 물체가 끼게될 수 없으며, 그리고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이 있기 때문에 전기에 설명한 압축성 물체가 끼게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한다. 가동성의 플레이트(20)에 가해진 스프링의 편향은 비교적 약하기 때문에 가동성의 플레이트(20)은 쉽게 이동될 수 있고 이것은 낀 물체를 끄집어 낼 때 용이하게 해준다. 피벗장치(26)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4)를 지나는 수직한 평면에 대해 전방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플레이트(20)의 이동은 벨트(6)에서 멀어지게 될 뿐만 아니라, 그 결과 플레이트(20)의 상부면이 플레이트(2)의 하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하방향으로 이동된다. 따라서, 상기 틈새 밑의 플레이트(20)상에 쌓이게 되는 어떤 부서러기는 플레이트(20)의 벨트(6)에서 멀어지게되는 운동을 방해하지 못하게 될 것이다.
가동성 플레이트(20)은 양호하게 스위치 장치와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만약 물체가 끼게되어 플레이트(20)이 벨트(6)으로부터 상당한 거리로 멀어지게 될 때, 벨트 구동부는 자동적으로 깨지게 되어 낀 물체를 쉽게 끄집어 낼 수 있게 해준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것은 지지 아암(24)에 대해 회전하는 스위치 아암(28)을 장착시킴으로써 이루어진다. 상기 스위치 아암(28)은 스위치(30)에 연결되어 있으며, 벨트(6)에 인접하는 플레이트(20)의 정상적인 정지 위치에서 스위치 아암(28)은 스위치(30)을 패쇄시킨 상태로 유지시킨다. 물체가 끼게되어 플레이트(20)이 벨트(6)으로부터 멀리 이동되면 스위치 아암(28)을 스위치(30)으로부터 하방향으로 멀어지게 작동시키는데, 이때 스위치(30)은 개방상태로 열림이 개시되고 벨트(6)용 구동부는 멈추게 된다. 스위치 아암(28)은 조절 가능한 멈추개(32)와 맞물려 있으며, 이 멈추개(32)는 예로서 볼트 형태로 되시되며 벨트(6)에 매우 인접한 플레이트(20)의 정상적인 정지 위치를 설정하기 위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양호하게는, 스위치(30)은 이 장치의 민감성을 변화시키기 위해 스위치 아암(28)에 대한 위치에서 조절가능하는데, 이렇게 함으로써, 스위치(30)이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벨트(6)으로부터 멀어지게되는 플레이트(20)의 이동 정도를 변화시키는 것이 허용되게 한다. 그러나 스위치(30)이 작동을 개시하기 전에 벨트(6)에서 멀어지게 되는 플레이트(20)의 움직이는 거리는 틈새(10)의 폭보다 커서는 안된다.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된 바와 같은 이중 플레이트 시스템은 작은 직경의 로울러를 지나는 벨트에 적용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큰 직경의 로올러를 지나는 벨트에도 적용 가능하다. 벨트가 먼거리를 운행하거나 특히 벨트가 경사져 있을 경우에 있어서, 더 두꺼운 게이지 벨트가 요구될 수 있으며, 그 결과 벨트의 양단에는 더 큰 직경의 복귀 로울러가 필요하게 된다. 이 복귀 로울러의 직경이 증가하게 되면 벨트의 단부에서 단부 플레이트로 이동하는 물체의 궤도가 변화게 된다. 단부 플레이트(2)의 선단 가장자리가 제1도와 관련된 설명에 따른 벨트의 단부에 대해 비교적 작은 깊이의 틈새를 형성하려고 했을 때, 로올러 직경의 증가로 인해 단부 플레이트상으로 이동하는 물체의 궤도가 변경되어 그 결과 신발의 하이힐이 단부 플레이의 선단 가장자리에 맞물리게 되는 경우가 발생한다. 아래쪽 간격에 가까이 존재하는 가동성의 플레이트는 하이힐이나 다른 물체가 상기 간격을 관통하는 것을 방지할 것이지만, 이 물체가 스위치 장치의 매개 변수에 따른 소정의 한계 이상으로 플레이트(20)의 이동을 야기시킨다면 플레이트(20)의 움직임은 구동부를 멈추게시키는 결과를 가져올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측면에 있어서, 다른 속도로 움직이는 연속된 벨트를 이용하여 이용자에게 단계별로 속도를 더 높게 가속시키도록 만들어 가속에 따라 이용자가 당황하지 않게 하는 형태의 보도를 제공하는 것이다. 가속 구역을 적용하는 시스템의 성공적인 작동을 위해서는 벨트와 움직이는 난간사이의 적절한 협조가 요구된다. 실제로는 어느 한쪽의 난간을 사용하는 동안 이용자의 발과 손사이에 한정된 차동의 움직임을 규정하는 법규가 명시되어 있다. 미합중국에서는 이러한 차동의 움직임이 400mm를 초과해서는 않된다고 규정되어 있다. 이용자가 편안한 기립 기점으로부터 최소한의 난간 수의 변화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람의 발은 다리의 중심선에서 발꿈치 뒤의 거리보다 4배정도 발끝이 전방으로 돌출해 있기 때문에 이용자에게는 가속에 대응하는 것이 감속에 대응하는 것보다 더욱 어렵다. 사람은 가속에 의해 뒤꿈치를 중심으로 흔들릴 수 있고 균형을 잃기 쉬우며, 반면에 감속은 발끝을 중심으로 사람을 흔들게 되고 발을 아프게 만들어 그 결과 균형의 회복을 쉽게 할 수 있다. 만약 보도의 가속 구역이 한 난간으로부터 더 빨리 움직이는 난간으로 난간 전환이 동반된다면 이 구역에서 이용자에게 상당한 불안정을 가져오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있어서, 가속되는 동안 이용자의 불안정성을 최소화시키고 그리고 난간 전환을 최소화시키는 가속 벨트 및 이와 연관된 난간 시스템이 설명될 것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속 구역은 비교적 짧은 두 개의 초기 벨트(50), (52)를 포함하는데, 제2벨트(52)는 제1벨트(50)보다 더 빠른 속도로, 그리고 이보다 더 긴 제3벨트(54)는 제2벨트(52)보다 더 빠른 속도로 이동한다. 이러한 3개의 벨트는 제3벨트(54)의 속도로 움직이는 난간(56)과 연관되어 있다. 이와 대조적으로, 보도에 있어서 가속 구역의 통상적인 이론은 난간의 특정 구역에서 벨트의 평균속도로 움직여야 된다고 제안하였다. 이것은 최고 속도의 구역에서는 결점을 유발시키는데, 그 이유는 벨트 뒤로 지연되는 난간이 이용자의 뒤꿈치를 중심으로 뒤로 흔들리게 하는 경향을 일으킨다. 가속 구역의 시작점에서 비교적 짧은 벨트를 사용함으로써 제1벨트(50)위로 걷고 있는 이용자의 전방 운동량이 안정성을 야기시키게 되어, 이러한 작용을 가속에 따른 불안정한 효과를 상쇄시키는데, 사용할 수 있다. 제1 및 제2벨트(50), (52)를 충분히 작게 만듦으로써 보통의 이용자에 대해 첫발만 제1벨트(50)에 올려 놓게 될 것이며, 두 번째 발은 첫발이 제2벨트(52)로 옮겨질 때 까지 제1벨트에 닿지 않을 것이다. 이때 이용자의 두발은 대체로 나란히 놓이게 될것이고 이 상태에서는 이용자가 가장 균형을 잃기 쉬울 때이다. 그러나, 이용자는 즉시 그 다음의 긴 제3벨트(54)로 발을 옮길 것이다. 긴 벨트(54)에 있는 이용자는 한쪽 발을 다른쪽 발뒤로 움직여 균형을 잡을수 있으며, 양발은 확실히 동일한 속도로 움직일 것이다. 요약해서 말하자면, 제1 및 제2벨트(50), (52)의 길이는 최소한 이용자가 제3벨트(54)에 도달하기까지 균형을 잡기 위한 발의 움직임이 요구되는 불안정한 상태에 있게되는 시간보다 충분히 짧다. 실제로, 이러한 형상은 제1 및 제2벨트위에서의 전이 시간이 각 벨트에서 약 1초미만이 되게 함으로써 이루어진다.
전술한 바와 같이 세 개의 벨트와 연관된 난간(56)은 가장 빠른 벨트(54)의 속도로 이동한다. 따라서, 이용자가 난간(56)을 붙잡고 제2벨트(52)위로 발을 옮길 때, 비록 이용자의 발은 불안전하게 되는 위치인 제2벨트(52)에 놓이지만 앞으로 끌리게 되는 경향이 발생하여 안정한 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나, 제1 및 제2벨트(50), (52)의 비교적 짧은 길이 때문에, 난간(56)과 처음의 두 벨트간의 속도 차이에도 불구하고 손과 발의 움직임 차이는 난간을 교체할 필요없이 규정에 맞는 범위내에서 쉽게 유지될 수 있다. 이용자가 제3벨트(54)에 서있을 때는 난간(56)과 벨트(54)는 동일한 속도로 움직이기 때문에 손과 발이 차이나게 움직이지 않게 된다. 제3벨트(54)와 난간(56)은 이용자가 난간(56)을 계속 붙잡고 제3벨트(54)에서 안정성을 완전히 회복할 수 있도록 충분하게 요구된 길이만큼 연장될 수 있다.
그 다음 제3벨트(54)는 두 개의 또다른 짧은 벨트(58), (60)으로 구성된 가속 구역으로 이어진 다음 소정의 높은 속도에서 운전되는 주요 벨트(62)로 연결된다. 상기의 벨트(58) 및 (60)의 길이는 이들 벨트상에서 이용자의 불안정성을 없애도록 전술한 벨트(50), (52)의 길이와 일치한다. 주요벨트(62)의 속도로 움직이는 제2난간(64)가 제3벨트(54)의 일부 길이와 또한 제3벨트(54) 후속의 두 개의 짧은 가속 벨트(52), (60)을 넘어 연장한다. 제1난간(56)에서 제2난간(64)로의 전환은 이용자가 제2벨트에서 제3벨트로 옮겨 가서 안정된 자세를 찾기에 충분한 시간이 제3벨트에서 경과한 후 이용자가 제3벨트에 서있을 때 일어난다. 제3벨트(54)상에서의 난간 전환은 이 벨트에 서있는 이용자가 최소한 1초 이상 머물 때까지 일어나서는 않된다. 균형을 바로 잡는 것은 본능적인 작용으로서 난간 전환이 일어나기 전에 이용자의 자세를 바로잡데는 제3벨트(54)에서 최소한 약 1초 이상의 이동시간은 필요로 한다. 예로서, 아래의 표에는 전술한 일련의 두 가속 구역에서의 속도, 벨트의 길이, 그리고 전이 시간이 표기되어 있다. 이러한 수치에 따라, 제1난간(56)은 1.2m/s으로 표시된 제3벨트(54)의 속도로 이동하며, 제2난간(64)는 1.6m/s으로 표기된 주요 벨트(62)의 속도로 움직인다.
만약 더욱 높은 속도가 요구된다면 또다른 가속 구역들이 첨가될 것이며, 이 가속 구역 각각은 긴 벨트를 뒤따르는 두 개의 짧은 벨트와 긴 벨트의 속도로 움직이면서 상기 짧은 벨트와 연관되는 난간을 포함한다. 주요 벨트는 본 장치의 최단까지 이용자를실어 나르게 되는데, 이 곳에서는 일련의 점차적으로 속도가 줄어드는 벨트에 의해 이용자들이 편안하고 안전하게 본 장치에서 빠져나올 수 있는 속도로 감속된다.
상기 벨트는 소직경의 로울러 둘레를 통과하는 얇은 가요성의 벨트가 바람직하며, 움직이는 난간은 연속된 형태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가속 구역 각각은 긴 벨트를 뒤따르는 두 개의 짧은 벨트를 구비하며, 또한 두개의 짧은 벨트 대신 단 하나의 벨트나 그 이상의 벨트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전술한 원리는 특히 짧은 벨트를 또는 이들 각각의 전이 시간은 벨트당 약 1초 이내이어야 하는 것과, 난간은 긴 벨트의 속도로 움직여야 한다는 것과, 그리고 긴 벨트상의 난간의 전환이 긴 벨트상에서 최소한 약 1초의 이동 시간까지 일어나서는 않되는 것에 적용된다.
전술한 수치는 이용자에게 가속이 일어나는 동안 안락과 안전성을 양호하게 제공하도록 해주면서, 난간 전환을 최소화시키고 이용자의 손과 발 사이의 최대움직임 차이를 정해 놓은 규정 범위내에서 작동되게 해준다.
상기 실시예들은 예로써 설명된 것이며 본 발명의 영역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Claims (13)

  1. 로울러 둘레에 구속되는 하나 이상의 평탄한 벨트와, 이 벨트의 배출 단부에 위치하는 단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는 벨트가 상기 로울러 둘레를 지나 배출 단부에 위치할때의 위치에서 이 벨트의 표면에 인접하게 자리하게 되는 일직선의 선단 가장자리를 구비하며, 상기 단부 플레이트의 위치와 형상은 벨트의 속도로 움직이고 배출 단부에서 벨트를 벗어나 중력 가속도로 떨어지게 되는 사람의 몸체가 상기 벨트와 플레이트의 가장 나란하게 인접하는 지점의 하류방향으로 플레이트의 상부면을 때리게 되도록 만들어진 보도로서, 상기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이 벨트의 인접한 부분과 함께 수직방향으로 적은 깊이를 지닌 틈이 형성되도록 한 형상을 가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 부분의 두께는 수 밀리미터를 초과하지 않으며 선단 가장자리는 수직 단면에서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는 플레이트의 상부면에서 하부면까지의 두께 이상으로 벨트와 선단 가장자리 사이의 간격이 최소한 10mm두께당 두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비율로 벨트에서 떨어져 경사를 이루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4. 제1항에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부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 바로 아래에 위치한 가동성 플레이트를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가동성 플레이트는 이것이 정지 위치에 있을 때 단부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 보다 벨트에 더 가까이 자리하는 선단부를 구비하며, 상기 가동성 플레이트가 정지 위치에 상기 틈새에 비해 형성된 간격 아래로부터 폐쇄되며, 상기 가동성 플레이트는 상기 정지 위치로 편향되고 가동성 플레이트와 벨트 사이에 물체가 끼게될 경우 상기 정지 위치로 떨어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의 플레이트는 이 플레이트 아래의 위치에서 수평의 피벗 축을 중심으로 피벗식 운동을 하게끔 장착되며, 상기 피벗 축은 벨트에서 멀어지는 가동성 플레이트의 움직임이 단부 플레이트의 하부면에서부터 멀어지는 가동성 플레이트 상부면의 하방향 움직임이 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6. 제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를 멈추에 하기 위해 가동성 플레이트의 정지 위치에서부터 멀어지게 되는 상기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반응하는 스위치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수단은 단부 플레이트의 선단 가장자리와 벨트간의 거리보다 더 길지않는 거리로 벨트로부터 멀어지는 가동성 플레이트의 움직임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8.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성 플레이트의 정지 위치를 조절하는조절 멈춤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9. 연속의 평탄한 벨트로 이루어진 움직이는 보도로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긴 벨트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비교적 짧은 벨트를 구비하는 하나 이상의 가속 구역과, 이 가속 구역과 연관된 제1난간을 포함하며, 상기 난간은 긴 벨트의 속도로 움직이며, 상기 짧은 벨트의 속도 및 길이는 이용자가 벨트 위에서 발을 움직여 자세를 바로 잡아야 될 만큼 불안정한 상태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만들어지게 되는 것은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10. 제9항에 있어서, 제1가속 구역의 긴 벨트를 뒤따르고 제2가속 구역의 긴 벨트로 이어지는 하나 이상의 비교적 짧은 벨트와 제2가속 구역의 벨트와 연관된 제2난간을 구비하는 제2가속 구역을 추가로 포함하며, 제2가속 구역의 상기 짧은 벨트의 속도 및 길이는 이용자가 벨트위에서 발을 움직여 자세를 바로 잡아야 될 만큼 불안정한 상태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만들어지며, 상기 제2난간은 제2가속 구역의 긴 벨트 속도로 움직이며, 제 1난간에서 제2난간으로의 전환은 이용자가 차후의 가속에 의해 야기되는 어떠한 불균형에서 자세를 바로 잡을 수 있도록 긴 벨트의 시작점으로부터 충분한 거리의 위치에 있는 제1가속 구역의 긴 벨트 상에서 일어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11. 제10항에 있어서, 제1난간에서 제2난간으로의 전환은 제1가속 구역의 긴 벨트위에서 움직이는 이용자가 움직인 시간의 최소한 1초 이상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12. 제9항 내지 제11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가속 구역 각각은 연속적으로 더 빨라지는 속도로 움직이고 상기 구역의 긴 벨트에 이어지는 다수의 상기 비교적 짧은 벨트를 포함하며, 상기 구역의 짧은 벨트 각각의 속도 및 길이는 이용자가 벨트위에서 발을 움직여 자세를 바로잡아야 될만큼 불안정한 상태까지 도달하지 않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13. 제9항에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짧은 벨트 각각의 길이 및 속도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벨트에 1초 이내의 전이 시간을 제공하도록 만들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움직이는 보도.
KR1019930703162A 1991-07-16 1992-04-15 움직이는 보도 KR1002066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UPK722191 1991-07-16
AUPK7221/91 1991-07-16
AUPK882191 1991-10-11
AUPK8821/91 1991-10-11
PCT/AU1992/000163 WO1992018414A1 (en) 1991-04-18 1992-04-13 Moving walkwa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06618B1 true KR100206618B1 (ko) 1999-07-01

Family

ID=25644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3162A KR100206618B1 (ko) 1991-07-16 1992-04-15 움직이는 보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618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52968B1 (en) A moving walkway
KR100343630B1 (ko) 양 방향으로 구동되는 런닝머신
JP3016474B2 (ja) 動く歩道
EP024368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apment prevention and lateral guidance in passenger conveyor systems
JP4309123B2 (ja) マンコンベア乗降口の安全装置
US20050217970A1 (en) Variable speed handrail for passenger moving walkway systems
KR100206618B1 (ko) 움직이는 보도
EP0290255A2 (en) A moving walkway
JPH11171457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CN101304931A (zh) 具有大致圆形截面的抓握表面的乘客输送装置扶手
AU652823B2 (en) Moving walkway
JP2000140154A (ja) 運動装置
EP1939127B1 (en) Safety device for transport systems
EP3533746B1 (en) Passenger conveying device having an antipinch structure
KR200184373Y1 (ko) 양 방향으로 구동되는 런닝머신
JP2776902B2 (ja) ベルト歩道装置
AU626897B2 (en) Moving walkway
JP3046571B2 (ja) 歩行訓練・矯正装置
JP2003104674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
KR960004608Y1 (ko) 에스컬레이터의 발판후륜 안내장치
JPH10226479A (ja) 加速式の動く歩道
JP2003201086A (ja) ベルト式動く歩道の乗降口装置
JP2006062812A (ja) マンコンベヤのインレット安全装置
JPH05246678A (ja) マンコンベアの乗降口安全装置
JPH0848483A (ja) 連結式搬送機械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323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