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6186B1 -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6186B1
KR100206186B1 KR1019960044937A KR19960044937A KR100206186B1 KR 100206186 B1 KR100206186 B1 KR 100206186B1 KR 1019960044937 A KR1019960044937 A KR 1019960044937A KR 19960044937 A KR19960044937 A KR 19960044937A KR 100206186 B1 KR100206186 B1 KR 1002061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dex
data
area
nonvolatile memory
wr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49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6498A (ko
Inventor
김영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449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618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64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64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61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61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CSTATIC STORES
    • G11C11/00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 G11C11/02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 G11C11/06Digital store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particular electric or magnetic storage elements; Storage elements therefor using magnetic elements using single-aperture storage elements, e.g. ring core; using multi-aperture plates in which each individual aperture forms a storage element

Abstract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그리고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하여 전원전압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된 경우, 메모리의 어느 곳까지 기록했는가에 대한 정보를 메모리 내의 인덱스로부터 얻어, 이 정보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이 정상 동작을 하도록 한다.

Description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Recovery System and Method of Record Information of Re-writable Nonvolatile Memory)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re-writable nonvolatile memory)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입 또는 소거가 완료되지 않은 상황에서 전원전압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된 경우, 기록정보를 찾아 복구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결함 셀들을 갖는 메모리 장치는 사용될 수 없지만 특정용도, 예컨대 자동응답기 또는 녹음기에는 사용이 가능하다.
초기의 자동응답기 또는 녹음기는 테이프(tape)를 사용하였다. 이 방식은 제조 과정에서 조립되고 적용되어야 하는 테이프 전송 메커니즘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테이프에 데이터를 독출 및 기입, 그리고 소거하기 위한 헤드(head)가 필요하며, 헤드에 적절한 신호를 주고 재생하기 위한 전기회로가 필요하다. 그리고 테이프를 진행시키기 위해 모터(motor)를 사용해야 하므로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된다. 이에 따라 테이프 방식 대신, 메시지 신호를 양자화(quantization)하여 반도체 메모리에 저장하는 방법을 사용하게 되었다.
이 때, 사용되는 반도체 메모리 장치로서는, 비교적 가격이 비싼 DRAM과 SRAM 대신에 결함을 가진 RAM을 사용하였다. 여기서 결함을 가진 RAM은 타이밍 특성이 좋지 않거나 비정상적인 메모리 셀들이 일정 비율로 들어 있는 RAM을 가리킨다. 이러한 RAM은 상기 DRAM과 SRAM에 비해 가격이 저렴하다.
상기 결함이 있는 RAM을 오디오 정보의 저장을 위한 메모리로 사용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방식을 사용한다. 오디오 신호(audio signal)를 양자화하여 그대로 저장하거나 파형 모양대로 압축, 저장하여 인간의 귀가 느끼지 못하는 정도의 정보 손실을 인정하는 방식과, 오디오 신호에서 특정 변수만을 추출하여 그 변수 값만을 저장하기 위해 결함이 있는 장소를 피해 저장하는 매핑(mapping) 방식이 그것이다.
RAM을 사용하는 경우는 RAM이 갖는 휘발성 특성으로 인해, 전원공급이 끊어졌을 때를 대비한 보조 전원(backup battery)을 필요로 하므로 이것에 대한 가격 비용이 소요된다. 그러나, 반도체 기술의 발달로 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가 개발되었으며, 보조 전원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원가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불휘발성 메모리 자체에 대한 가격도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있다.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사용하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로 정보를 기록하던 중에, 전원공급이 중단된 후 다시 공급되면, 이미 기록된 정보를 삭제한 후 기록동작을 처음부터 다시 시작해야 한다. 그런데, 전원전압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면,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어디까지 기록 또는 삭제했는가에 대한 정보가 사라지게 된다. 따라서 전원전압의 공급 재개시 이미 기록되어 있는 곳에 기록을 한다거나 기존의 데이터를 삭제하는 등 나아가 전체 시스템 동작에 오류를 일으키게 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동작 중에 전원전압의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었을 때, 데이터의 기입 또는 소거에 대한 정보를 찾아내어 기록정보를 완벽하게 복구해 낼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블록도.
도 2는 정상적인 전원전압 공급 상태에서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독출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3은 정상적인 전원전압 공급 상태에서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기입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4는 정상적인 전원전압 공급 상태에서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소거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 5는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맵.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제 1 인덱스와 제 2 인덱스 영역에 대한 메모리 맵.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전원전압 공급이 끊어졌다가 다시 공급되었을 때 기록정보를 복구하는 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디지털 신호 처리기 200: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300: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310: 제 1 영구정보테이블
320: 제 1 인덱스 330: 제 2 인덱스
340: 복사 블록 350: 데이터 영역
360: 제 2 영구정보테이블 321: 인덱스 데이터
322: 데이터 끝 323: 기입 시작 플래그
324: 기입 끝 플래그 325: 데이터 넘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데이터 저장 매체로 사용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는 인덱스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는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에 독출 및 기입, 그리고 소거에 대한 소정의 신호와 데이터를 주며, 전원전압 공급 재개시 상기 인덱스 영역을 독출하여 기록정보를 복구한다.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 받은 모든 명령을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고, 소정의 신호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전달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의하면, 인덱스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고 각각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와, 이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독출 및 기입, 그리고 소거에 대한 소정의 신호와 데이터를 주며, 상기 인덱스 영역을 독출하여 기록정보를 복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와, 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로부터 받은 모든 명령을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전달하고, 소정의 신호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에 전달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기록정보 복구 방법은 : 데이터 영역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완료됨과 아울러 제 1 인덱스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에 기록된 후, 제 1 인덱스의 기록이 삭제되는 중이었는가를 판단하는 1) 단계와; 이 1) 단계에서 예로 결정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와 제 2 인덱스의 설정을 서로 바꾸는 2) 단계와; 이 2) 단계 후 제 2 인덱스의 기록을 삭제하는 3) 단계와; 상기 1)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데이터 영역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됨과 아울러 제 2 인덱스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1 인덱스에 기록된 후 제 2 인덱스의 기록이 삭제되는 중이었는가를 판단하는 4) 단계와; 이 4)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와 제 2 인덱스의 설정이 틀린 상태이므로 제 2 인덱스의 기록을 삭제하고 종료하는 5) 단계와; 상기 4)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단지 데이터 영역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이고, 제 1 인덱스와 제 2 인덱스의 설정이 틀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6) 단계와; 이 6)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와 제 2 인덱스의 설정을 서로 바꾸는 7) 단계와; 상기 7) 단계 후 데이터 넘버에 숫자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8) 단계와; 이 8)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에 근거하여 데이터 넘버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에서 삭제하는 9) 단계와; 이 8)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에 근거하여 기록된 마지막 데이터 이후로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에서 삭제하는 10) 단계와; 상기 9) 단계와 10) 단계 후 제 2 인덱스의 기록을 삭제하고 종료하는 11) 단계와; 상기 6)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단지 데이터 영역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12) 단계와; 이 12)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상기 8) 11) 단계와 같이 데이터 넘버가 있는가 없는가의 판단에 따라 기록정보를 복구하는 13) 단계와; 이 12)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데이터 영역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되었고, 제 1 인덱스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에 기록되었으며, 제 1 인덱스의 기록이 삭제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14) 단계와; 이 14)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와 제 2 인덱스의 설정을 서로 바꾸고 종료하는 15) 단계와; 상기 14)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없던 상태이므로 아무런 복구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기록정보 복구장치는 압축된 오디오 신호를 저장 및 재생할 수 있는 장치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Digital Signal Processor;DSP)(100)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Memory Interface Unit;MIU)(200), 그리고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는 플래시 EEPROM(flash EEPROM)이다.
이하, 플래시 메모리(F.M)(300)라 칭한다.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정보교환은 외부 데이터 버스(External Data Bus;EXT)[15:0]를 통해 이루어지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는 외부 데이터 버스를 통해 플래시 메모리(300)의 어드레스와 데이터를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보낸다.
플래시 메모리(300)의 어드레스와 데이터의 구분은 EA[2:0]을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 디코우드(decode)하여 이루어진다. 도 1에 나타난 4 개의 플래시 메모리(300)는 4 메가비트(Mbit)의 기억장치이며, 각각 4,193,304 개의 기억장소가 있으므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에서는 2 회에 걸쳐 하위 어드레스와 상위 어드레스를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보내게 된다. 이러한 두 어드레스의 구분도 EA[2:0]을 통해 이루어진다. 이 외에도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 사이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기 위한 신호로 독출/기입(R/WB), 소거(ESB), 준비(READY), 그리고 인터럽트(INT) 등이 있다.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플래시 메모리(300)의 정보교환은 8 비트의 데이터 라인 I/O[7:0]을 통해 이루어지며,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데이터의 기입 및 독출, 그리고 소거를 수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로 커맨드(command), 어드레스(address), 그리고 데이터(data)를 이 데이터 라인(data line)을 통해 플래시 메모리(300)로 보낸다. 이 외에도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와 플래시 메모리(300) 사이의 신호 흐름의 제어를 위한 신호로 칩 인에이블(Chip Enable;CEB), 커맨드 래치 인에이블(Command Latch Enable;CLE), 어드레스 래치 인에이블(Address Latch Enable;ALE), 기입 인에이블(Write Enable;WEB), 독출 인에이블(Read Enable ;REB), 준비/대기(Ready/Busy;RBB) 등이 있다.
도 2는 정보복구 장치가 정상적인 전원전압 공급 상태에서 독출 동작을 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플래시 메모리(300)의 독출 모드를 설정하고 하위 어드레스와 상위 어드레스를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주는 것으로 독출 동작이 시작(S400)된다. 이 때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준비(READY)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켜서(S404)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플래시 메모리(30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는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억세스하지 못하도록 한다(S402).
상기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설정한 독출 모드에 의하여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에 독출 명령어를 주고(S406),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어드레스로부터 실제 플래시 메모리(300)의 어드레스를 플래시 메모리(300)에 준다(S408). 그러면 플래시 메모리(300)의 준비/대기 신호가 로우(low) 상태로 되며, 플래시 메모리(300)는 독출 동작을 수행한다(S410).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독출 동작이 완료되면(S412) 플래시 메모리(300)의 준비/대기 신호는 하이(high) 상태가 되며, 이 신호를 감지하고 있던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16 비트의 데이터를 독출하기 위해 2 회에 걸쳐 플래시 메모리(300)로부터 8 비트 데이터를 독출한다(S414).
상기 동작이 완료되면(S416)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준비 신호를 인에이블 상태로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억세스 가능하도록 하며(S418), 이 준비 신호를 감지하고 있던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16비트 데이터를 독출한다(S420).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독출하면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어드레스를 1 만큼 증가시킨 뒤 플래시 메모리로(300)부터 다음 16비트 데이터를 독출한다(S422).
도 3은 정보복구 장치가 정상적인 전원전압 공급 상태에서 기입 동작을 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기입 모드를 설정하고, 하위 어드레스와 상위 어드레스를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주는 것으로 기입 동작이 시작(S500)된다. 이 때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준비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켜서(S504)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플래시 메모리(300)에 데이터를 기입을 위한 준비 작업이 완료될 때까지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억세스하지 못하게 한다(S502).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기입 모드를 주며(S506),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설정한 기입 모드에 의해 플래시 메모리(300)에 기입 명령어를 주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어드레스로부터 실제 플래시 메모리(300)의 어드레스를 플래시 메모리(300)에 준다(S508). 상기 동작이 완료되면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준비 신호를 인에이블 상태로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억세스 가능하도록 하며, 이 준비 신호를 감지하던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는 기입을 원하는 16 비트 데이터를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보낸다(S510). 그러면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준비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킨 후 이 16 비트 데이터를 플래시 메모리(300)로 보낸 뒤 준비 신호를 인에이블 상태로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억세스 가능하도록 한다(S512).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데이터를 더 기입하기 원하는 경우에는 앞의 동작을 반복하며(S514), 그렇지 않은 경우에는 플래시 메모리(300)의 기입 종료 모드를 설정한다(S516).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기입 종료 모드가 설정되면 준비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킨 후 플래시 메모리(300)에 프로그램 명령어를 주고(S518), 플래시 메모리(300)는 준비/대기 신호를 로우 상태로 한 뒤 이제까지 받은 16 비트 데이터들을 실제 기억장소로 프로그램 한다(S520).
상기 프로그램이 완료되면 플래시 메모리(300)는 준비/대기 신호를 하이 상태로 만들며 이를 감지하던 메모리 인테페이스 장치(200)는 준비 신호를 인에이블 상태로하여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다음 동작을 할 수 있도록 한다(S522).
도 4는 정보복구 장치가 정상적인 전원전압 공급 상태에서 소거 동작을 하는 과정을 나타내고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소거 모드를 설정하고 상위 어드레스를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주는 것으로 소거 동작이 시작(S600)된다. 이 때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준비 신호를 디스에이블 시켜서(S604)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가 플래시 메모리(300)의 데이터를 소거하는 동작이 완료될 때까지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억세스하지 못하도록 한다(S602).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가 설정한 소거 모드에 의해(S606) 플래시 메모리(300)에 소거 명령어를 주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어드레스로부터 실제 플래시 메모리(300)의 어드레스를 플래시 메모리(300)에 준다(S608). 그러면 플래시 메모리(300)는 준비/대기 신호를 로우 상태로 하고 해당되는 어드레스를 블록단위로 플래시 메모리(300)의 정보를 지운다(S610).
소거 동작이 완료되면 플래시 메모리(300)는 준비/대기 신호를 하이 상태로 하며(S614) 이를 감지하던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소거 동작이 완료되었음을 알고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에 이를 알리기 위해 준비 신호를 인에이블 시킨다(S616).
이하, 도 5와 도 6을 참조하여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를 인덱스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기록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5는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에 대한 메모리 맵이다.
도 6은 도 5에 있어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제 1 및 제 2 인덱스 영역에 대한 메모리 맵이다.
먼저 상기 장치의 동작의 하나로 인덱스 영역의 내용을 변경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우선 이전 인덱스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는 제 1 인덱스(제 1 index)(320)를 찾는다. 그리고 어떤 데이터도 기입되어 있지 않은 제 2 인덱스(제 2 index)(330)의 특정 어드레스에 기입 시작 플래그(Writing Start Flag;WSF)(323)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인덱스(320)의 수정하려는 어드레스 전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로 이동시킨다. 모든 블록 내에서의 어드레스는 동일하므로 제 1 인덱스(320)의 수정하려는 어드레스의 데이터와 관련한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modifying index data)를 제 2 인덱스(330)의 그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제 2 인덱스(330)의 체크썸(checksum) 데이터가 기록될 어드레스 앞의 모든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에 옮긴 후 제 2 인덱스(330)에 체크썸과 데이터 끝(End Of Data;EOD)(322)을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인덱스(320)의 모든 데이터를 소거하고 제 1 인덱스(320)의 특정 어드레스에 기입 끝 플래그(Writing End Flag;WEF)(324)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장치의 다른 동작으로서, 지워진 데이터 영역(Data Area;DA)(350)에 데이터를 기록하기 위해서는 다음의 순서를 따른다. 먼저 제 1 인덱스(320)를 찾는다. 제 1 인덱스(320)는 이전의 인덱스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 2 인덱스(330)에는 어떤 데이터도 기입되어 있지 않다. 제 1 인덱스(320)를 찾은 후 제 2 인덱스(330)의 특정 어드레스에 기입 시작 플래그(323) 정보를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데이터 영역(350)에 실제 데이터를 기록한다. 기록이 끝나면, 제 1 인덱스(320)의 수정하려는 어드레스 전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로 이동시킨다. 모든 블록 내에서의 어드레스는 동일하므로 제 1 인덱스(320)의 수정하려는 어드레스의 데이터와 관련한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의 그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제 2 인덱스(330)의 체크썸 데이터가 기록될 어드레스 앞의 모든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에 옮긴 후 제 2 인덱스(330)에 체크썸과 데이터 끝(322)을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인덱스(320)의 모든 데이터를 소거하고 제 2 인덱스(330)의 특정 어드레스에 기입 끝 플래그(324) 정보를 기록한다.
상기 장치의 또 다른 동작으로서, 데이터 영역(350)에서의 데이터 이동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다음 순서를 따른다. 먼저 제 1 인덱스(320)를 찾는다. 제 1 인덱스(320)는 이전의 인덱스에 대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제 2 인덱스(330)에는 어떤 데이터도 기입되어 있지 않다. 제 1 인덱스(320)를 찾은 후 제 2 인덱스(330)의 특정 어드레스에 기입 시작 플래그(323) 정보와 옮기려는 데이터의 데이터 넘버(Data Number;DNB)(325)를 기록한다. 복사 블록(Copy Block;CBL)(340)을 이용하여 데이터 영역(350)에서 데이터를 이동한다. 이동이 완료되면, 제 1 인덱스(320)의 수정하려는 어드레스의 전까지의 모든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로 이동시킨다. 모든 블록 내에서의 어드레스는 동일하므로 제 1 인덱스(320)의 수정하려는 어드레스의 데이터와 관련한 수정된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의 그 어드레스에 기록하고 제 2 인덱스(330)의 체크썸 데이터가 기록될 어드레스 앞의 모든 데이터를 제 2 인덱스(330)에 옮긴 후, 제 2 인덱스(330)에 체크썸과 데이터 끝(322)을 기록한다. 그리고 나서 제 1 인덱스(320)의 모든 데이터를 소거하고 제 2 인덱스(330)의 특정 어드레스에 기입 끝 플래그(324) 정보를 기록한다.
본 발명은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디지털 신호 처리기 및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 포함하여 전원전압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된 경우, 플래시 메모리의 어느 곳까지 기록했는가에 대한 정보를 플래시 메모리 내의 인덱스로부터 얻어, 이 정보에 따라 처리함으로써 시스템이 정상 동작을 하도록 기록 정보를 복구해 낼 수 있다.
실시예
이하, 표 1 및 2, 그리고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는 제 1 및 제 2 영구정보테이블(Permanent Infor- mation Table;PIT)(310, 360)과, 제 1 및 제 2 인덱스(index)(320, 330)와, 복사 블록(Copy BLock;CBL)(340)과, 데이터 영역(Data Area;DA)(350)을 포함한다.
상기 제 1 영구정보테이블(310)은 시스템 초기화시에 정의되는 정보를 갖는다. 상기 제 1 인덱스(320)는 이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다. 상기 제 2 인덱스(330)는 상기 플래시 메모리(300)의 불필요한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여 기입 또는 소거 횟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제 1 인덱스(320)와 교대로 사용되고, 모든 블록내에서 상기 제 1 인덱스(320)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다. 상기 복사 블록(340)은 데이터 수정시 임시적인 데이터 기억장소로 사용된다. 상기 데이터 영역(350)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데이터가 저장된다. 상기 제 2 영구정보테이블(360)은 상기 제 1 영구정보테이블(310)의 복사본으로 불량블록이나 제 1 영구정보테이블(310)과 구별되는 특징 데이터를 갖는다.
상기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 영역은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기입되는 인덱스 데이터(321)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350)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 시작정보가 기입되는 기입 시작 플래그(WSF)(323) 영역과, 상기 인덱스 데이터(321) 영역에 인덱스 데이터의 기입이 모두 끝난 후 기입되는 데이터 끝(EOD)(322)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350)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끝낸 정보가 들어가는 기입 끝 플래그(WEF)(324) 영역과, 옮기려는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넘버(DNB)(325)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를 인덱스 영역과 데이터 영역으로 나누어 사용하는 기록장치의 상기 세 가지 동작 중 전원전압 공급이 중단되게 되면, 플래시 메모리(300)의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데이터 끝(322), 기입 시작 플래그(323), 기입 끝 플래그(324), 그리고 데이터 넘버(325)는 표 1과 같은 상태가 된다.
가능한 상태 제 1 인덱스 제 2 인덱스 A B
EOD WSF WEF DNB EOD WSF WEF DNB
1 1 0 0 0 X 1 1 1 X 0 7
2 1 0 0 0 X 1 0 1 N/F 0 5
3 1 0 0 0 X 0 0 1 X 0 1
2 1 0 0 X 0 0 1 X 4 1
3 1 1 0 X 0 0 1 X 6 1
4 1 1 1 X 0 0 1 X 7 1
5 1 1 1 X 0 0 1 X 7 1
4 1 1 1 1 X 0 0 0 X 7 0
이 때,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로 나올 수 있는 가능한 상태는 크게 네 가지로 구분되며,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 내의 영역 중 데이터 끝(322), 기입 시작 플래그(323), 그리고 기입 끝 플래그(324)에 대해 각각 한 비트씩을 할당하여 얻은 값이 표 1의 우측에 A와 B로 각각 표기되어 있다. A는 제 1 인덱스(320)에 대한 상기 세 비트의 값이며, B는 제 2 인덱스(330)에 대한 상기 세 비트의 값이다. 데이터 넘버(325)가 0 또는 양수인 경우는 기호 N으로 표기하였고, 독출한 값이 모두 하이(high)인 경우 즉, 2의 보수 표현법의 수에서 -1로 나타난 경우는 F로, 돈 케어(don't care)는 X로 표기하였다.
첫 번째의 상태(1-1)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없던 상태이며, 두 번째 상태(2-1)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이다. 세 번째 상태(3-1,3-2,3-3,3-4,3-5)는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된 상태이며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 데이터(330)에 기록되던 상태를 나타낸다. 네 번째 상태(4-1)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완료되고,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되었으며, 제 1 인덱스(320)의 기록이 삭제된 상태를 포함하여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모두 완료된 상태를 나타낸다.
장치에 다시 전원전압이 공급되면 표 1의 상태를 바탕으로 정보복구를 해야 한다. 정보복구 방법은 표 1에 나타나 있는 상태를 다시 여섯 가지로 가정하여 분류할 수 있고 각각에 대해 기록정보 복구처리를 행할 수 있다.
표 2에 표 1의 상태를 바탕으로 가능한 여섯 가지의 가정을 나타내었다.
도 7은 표 2를 바탕으로 복구 작업을 수행하기 위한 플로우챠트를 나타낸다.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를 결정하여 각각에 대해 단계별로 기록정보 복구처리를 행하는 과정이 나타나 있다.
우선 경우 1에서처럼 제 2 인덱스(330)에 대한 데이터 끝(322), 기입 시작 플래그(323), 기입 끝 플래그(324)에 각각 한 비트씩을 할당하여 얻은 값이 1인 경우 즉, B=1로 판별(S10)된 경우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된 상태이며,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되던 상태이므로,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를 서로 바꾸고(S12) 제 2 인덱스(330)를 삭제한다(S14).
경우 A B DNB
1 X 1 X
2 1 X X
3 5 0 N/F
4 0 5 N/F
5 7 0 X
6 0 7 X
상기 S10 단계의 판별 결과가 B=1이 아니라면, 경우 2에서처럼 A=1인가를 판별(S20)한다.
상기 S20 단계의 판별 결과가 A=1이면,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가정이 틀린 것으로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된 상태이고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되던 상태이며,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를 서로 바꾸는 단계가 이루어졌다고 보고 제 2 인덱스(330)의 기록을 삭제한다(S14).
상기 S20 단계의 판별 결과가 A=1이 아니라면, 경우 3에서처럼 A=5인가를 판별(S30)한다.
상기 S30 단계의 판별 결과가 A=5이면,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가정이 틀린 것으로,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이며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를 서로 바꾸고(S32), 이 때는 데이터 넘버(325)의 유무를 판별(S34)하여 숫자가 있는 경우(기호 N)는 제 1 인덱스(320)에 근거하여 다시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해 기존의 불완전한 해당 데이터를 삭제(S36)하고 제 2 인덱스(330)를 삭제하며(S38), 데이터 넘버(325)에 숫자가 없는 경우(기호 F)는 제 1 인덱스(320)에 근거하여 기록된 마지막 데이터 이후로 데이터 영역(350)을 삭제(S35)하고 제 2 인덱스(330) 영역을 삭제한다(S38).
상기 S30 단계의 판별 결과가 A=5가 아니라면, 경우 4에서처럼 B=5인지를 판별(S40)한다.
상기 S40 단계의 판별 결과가 B=5라면, 이 경우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이며, A=5인 경우에서처럼 데이터 넘버(S325)를 판별(S34)하여 같은 복구처리 단계(S35, S36, S38)를 수행한다.
상기 S40 단계의 판별 결과가 B=5가 아니라면, 경우 5에서처럼 A=7인지를 판별(S50)한다.
상기 S50 단계의 판별 결과가 A=7이라면, 이 경우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완료되고,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되었으며, 제 1 인덱스(320)의 기록이 삭제된 경우로 제 2 인덱스(330)의 설정을 서로 바꾼다(S52).
상기 S50 단계의 판별 결과가 A=7이 아니라면, 경우 6에서처럼 B=7인 경우로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없던 상태이므로 아무런 복구 작업도 필요하지 않으므로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전원전압 공급이 중단되었다가 다시 공급되었을 때,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를 찾아내어 복구처리 함으로써, 이미 기록되어 있는 곳에 기록을 한다거나 기록된 데이터를 삭제 한다든가하여 전체 시스템 동작에 오류를 일으키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7)

  1.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를 데이터 저장매체로 사용하는 기록장치에 있어서,
    인덱스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와;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에 독출 및 기입, 그리고 소거에 대한 소정의 신호와 데이터를 주며, 전원전압 공급 재개시 상기 인덱스 영역을 독출하여 기록정보를 복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와;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모든 명령을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에 전달하고, 소정의 신호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에 전달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는 플래시 EEPROM임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
  3. 제 1 항 그리고 제 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는, 불량블록 정보 등의 초기정보가 저장되는 제 1 영구정보테이블(310)과;
    이전 데이터의 시작과 끝을 나타내는 정보를 갖는 제 1 인덱스(320)와;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300)의 불필요한 데이터 이동을 최소화하여 기입 또는 소거 횟수를 줄이기 위해 상기 제 1 인덱스(320)와 교대로 사용되고, 모든 블록 내에서 상기 제 1 인덱스(320)와 동일한 어드레스를 갖는 제 2 인덱스(330)와;
    데이터 수정시 임시적인 데이터 기억장소로 사용되는 복사 블록(340)과;
    상기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350)과;
    상기 제 1 영구정보테이블(310)의 복사본으로 불량블록이나 제 1 영구정보테이블(310)과 구별되는 특징 데이터를 갖는 제 2 영구정보테이블(3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 영역은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기입되는 인덱스 데이터(321)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350)에 데이터를 기입할 때 시작정보가 기입되는 기입 시작 플래그(323) 영역과;
    상기 인덱스 데이터(321) 영역에 인덱스 데이터의 기입이 모두 끝난 후 기입되는 데이터 끝(322) 영역과;
    상기 데이터 영역에 데이터를 기입하는 것을 끝낸 정보가 들어가는 기입 끝 플래그(324) 영역과;
    옮기려는 데이터의 수를 나타내는 데이터 넘버(325) 영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
  5. 인덱스 영역과 데이터 영역을 포함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와, 이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에 독출 및 기입, 그리고 소거에 대한 소정의 신호와 데이터를 주며, 상기 인덱스 영역을 독출하여 기록정보를 복구하는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와, 이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로부터 받은 모든 명령을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에 전달하고, 소정의 신호로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의 동작 상태를 감지하여 이를 디지털 신호 처리기(100)에 전달하는 메모리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포함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기록정보 복구 방법에 있어서,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완료됨과 아울러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된 후, 제 1 인덱스(320)의 기록이 삭제되는 중이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10)와;
    상기 S10 단계에서 예로 결정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설정을 서로 바꾸는 단계(S12)와;
    상기 S12 단계 후 제 2 인덱스(330)의 기록을 삭제하는 단계(S14)와;
    상기 S10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됨과 아울러 제 2 인덱스(33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1 인덱스(320)에 기록된 후 제 2 인덱스(330)의 기록이 삭제되는 중이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20)와;
    상기 S20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설정이 틀린 상태이므로 제 2 인덱스(330)의 기록을 삭제하고 종료하는 단계(S14)와;
    상기 S20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단지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이고,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설정이 틀린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30)와;
    상기 S30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설정을 서로 바꾸는 단계(S32)와;
    상기 S32 단계 후 데이터 넘버(325)에 숫자가 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34)와;
    상기 S34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320)에 근거하여 데이터 넘버(325)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350)에서 삭제하는 단계(S35)와;
    상기 S34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320)에 근거하여 기록된 마지막 데이터 이후로 데이터를 데이터 영역(350)에서 삭제하는 단계(S36)와;
    상기 S35와 S36 단계 후 제 2 인덱스(330)의 기록을 삭제하고 종료하는 단계(S38)와;
    상기 S30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단지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행해지던 상태인가를 판단하는 단계(S40)와;
    상기 S40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상기 8) 11) 단계와 같이 데이터 넘버가 있는가 없는가의 판단에 따라 기록정보를 복구하는 단계(S34, S35, S36, S38)와;
    상기 S40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은 완료되었고,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되었으며, 제 1 인덱스(320)의 기록이 삭제 되었는가를 판단하는 단계(S50)와;
    상기 S50 단계에서 예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의 설정을 서로 바꾸고 종료하는 단계(S52)와;
    상기 S50 단계에서 아니오로 판단된 경우에 대해서는 기입 또는 소거 동작이 없던 상태이므로 아무런 복구 작업이 필요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방법.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장치의 기록정보 복구방법은 상기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300)의 데이터 영역(350)에 기입, 소거 동작이 모두 완료되면 제 1 인덱스(320)의 인덱스 데이터와 수정된 인덱스 데이터가 제 2 인덱스(330)에 기록되고, 제 1 인덱스(320)의 기록은 삭제되며, 제 2 인덱스(330)가 다시 제 1 인덱스(320)로 설정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방법.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불휘발성 메모리(300)의 제 1 인덱스(320)와 제 2 인덱스(330)내의 영역 중 데이터 끝 영역(322), 기입 시작 플래그 영역(323), 그리고 기입 끝 플래그 영역(324)에 대해 각각 한 비트씩을 할당했을 때,
    상기 S10 단계는, 제 2 인덱스(330)에 대해 데이터 끝(322)과 기입 시작 플래그(323)는 논리 0이고, 기입 끝 플래그(324)는 논리 1이며, 제 1 인덱스(320)에 대해서는 이 세 값이 모두 논리 0인 것에서부터 시작하여 데이터 끝(322), 기입 시작 플래그(323), 기입 끝 플래그(324) 순으로 모두 논리 1로 되어가는 경우로, 제 2 인덱스(330) 값이 1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S20 단계는, 제 1 인덱스(320)의 값이 1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단계 S30은, 제 2 인덱스(330)에 대해 비교되는 세 값이 모두 논리 0이고, 제 1 인덱스(320)에 대해서는 기입 시작 플래그(323)의 논리는 0, 데이터 끝(322)과 기입 끝 플래그(324)의 논리는 1인 경우로, 제 1 인덱스의 값이 5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S40 단계는, 제 2 인덱스(330)의 값이 5인가를 판단하는 단계이며;
    상기 S50 단계는, 비교되는 세 값이 제 2 인덱스(330)에 대해서는 모두 논리 0으로 검출되고, 제 1 인덱스(320)에 대해서는 모두 논리 1인 경우로, 제 1 인덱스의 값이 7인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 기록정보 복구방법.
KR1019960044937A 1996-10-09 1996-10-09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KR10020618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937A KR100206186B1 (ko) 1996-10-09 1996-10-09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4937A KR100206186B1 (ko) 1996-10-09 1996-10-09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498A KR19980026498A (ko) 1998-07-15
KR100206186B1 true KR100206186B1 (ko) 1999-07-01

Family

ID=194768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4937A KR100206186B1 (ko) 1996-10-09 1996-10-09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618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1624B2 (en) 2004-01-19 2008-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ed for flash memory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77380B1 (ko) * 1999-09-29 2006-05-09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래시 메모리와 그 제어 방법
KR100365725B1 (ko) * 2000-12-27 2002-12-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플래시 메모리를 이용한 파일 시스템에서 등급별 지움정책 및 오류 복구 방법
KR100451179B1 (ko) * 2001-11-24 2004-10-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폰의 메모리 관리방법
KR100692982B1 (ko) * 2005-08-26 2007-03-12 삼성전자주식회사 배드 블럭 정보가 기록된 난드 타입의 플래시 메모리
KR100816120B1 (ko) * 2006-12-27 2008-03-21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불휘발성 메모리 장치의 블록간 데이터 교환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421624B2 (en) 2004-01-19 2008-09-0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recovery apparatus and method used for flash memor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6498A (ko) 1998-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242805C2 (ru) Способ записи,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записи
KR100906519B1 (ko)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에서 사용불가능한 블록을관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US5590306A (en) Memory card management system for writing data with usage and recording codes made significant
US7065608B2 (en) Apparatus for recording data and method for writing data to flash memory
US6789158B2 (en) Method of rewriting program in a flash microcomputer
US7558904B2 (en) Controller, data memory system, data rewrit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US8327068B2 (en) Memory module, memory controller, nonvolatile storage, nonvolatile storage system, and memory read/write method
US6571312B1 (en) Data storage method and data processing device using an erasure block buffer and write buffer for writing and erasing data in memory
US8738974B2 (en) Nonvolatile memory device and memory controller
US5841699A (en) Storage device and method to detect its degradation
US20050278480A1 (en) Method of writing data into flash memory
KR100564672B1 (ko) 기억장치, 데이터 기록방법 및 데이터 판독방법
US20070033364A1 (en)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information recording medium accessing apparatus and accessing method
JP5592293B2 (ja) 不揮発性記憶装置、アクセス装置及び不揮発性記憶システム
KR100206186B1 (ko) 재기록 가능한 불휘발성 메모리의 기록정보 복구장치 및 방법
KR19980079783A (ko) 어드레스 백업기능을 갖는 디지털 음성기록재생장치 및 어드레스정보의 관리방법
JPH09128165A (ja) 固体記録再生装置
US20060153025A1 (en) Recording medium recording control method and recording control device
JP2005078378A (ja) データ記憶装置及び不揮発性メモリに対するデータ書き込み方法
US20050204115A1 (en) Semiconductor memory device, memory controller and data recording method
JP2001101087A (ja) メモリ及びメモリ制御方法
JPH04307647A (ja) メモリカードの記憶管理方式
JP3921751B2 (ja) 記録装置及び記録方法並びに記録再生装置
JP4173138B2 (ja) 初期状態への復旧機能を有する記憶制御装置、記憶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H10240633A (ja) メモリシステム及びメモリカード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315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