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726B1 -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 - Google Patents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726B1
KR100205726B1 KR1019900019251A KR900019251A KR100205726B1 KR 100205726 B1 KR100205726 B1 KR 100205726B1 KR 1019900019251 A KR1019900019251 A KR 1019900019251A KR 900019251 A KR900019251 A KR 900019251A KR 100205726 B1 KR100205726 B1 KR 10020572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uctures
dictionary
test
recognition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0358A (ko
Inventor
아끼오 사까노
기미요시 요시다
마사유끼 자다니
히로후미 다모리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100103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3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7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7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8/00Pattern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 G06V30/373Matching; Classification using a special pattern or subpattern alphabe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00Arrangements for 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10/40Extraction of image or video fea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19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 G06V30/196Recognition using electronic means using sequential comparisons of the image signals with a plurality of refere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VIMAGE OR VIDEO RECOGNITION OR UNDERSTANDING
    • G06V30/00Character recognition; Recognising digital ink; Document-oriented image-based pattern recognition
    • G06V30/10Character recognition
    • G06V30/32Digital ink
    • G06V30/36Matching; Classif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Multimedia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aracter Discrimin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에 있어서, 2개의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을 검증하므로서, 인식 속도의 향상등을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는, 필기자의 다종 다양한 필순의 서로 대응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래서, 이를 위해서는, 부분 구조 사전에 몇 개의 필순을 기술하여 필순의 차이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가 문자의 인식 장치는 부분 구조 사전에 복수의 필순을 기술하려 하여도, 2개의 부분 구조의 사이의 방향 검정을 기술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어, 입력된 문자의 인식 속도가 저하하거나, 문자간의 간섭이 커져서 인식율이 저하하거나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려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문자를 변이나 방등의 부분 구조로 나누어서 사전을 기술하여, 이 부분 구조의 사전을 사용해서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함과 동시에, 검정된 부분 구조의 외형과, 미검정의 부분 구조의 외형을 구해서, 이들 외형상의 감사이의 방향을 검정하므로서, 상기 검정된 부분 구조와 상기 미검정의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의 검정을 행하고, 이 방향의 검정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한예의 기능 구성도.
제2도 내지 제4도는 그 설명을 위한 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한예를 도시하는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터브 렛트 12 : 앞처리 회로
13 : 입력 버퍼 14 : 스토로크 특징 추출 회로
15 : 스토로크 특징 버퍼 16 : 외형 데이타 버퍼
17 : 인식회로 18 : 인식사전
19 : 출력 버퍼
본 발명은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에 있어서, 2개의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을 검정하므로서, 인식 속도의 향상등을 실현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온 라인 방식의 수기 문자의 인식은, 다음의 2단계에 의해 처리된다. 즉,
제1단계 : 더브 렛트등에 의해 입력된 수기 문자의 필적에서 각종의 특징(필적데이타)를 출한다.
제2단계 : 추출한 필적 데이타와, 인식 사전에 기술되어 있는 각 문자의 특징(검정 코드)를 비교 검정하여, 충분한 일치도가 높은 문자를 검출한다.
그래서, 이 제2단계째의 처리를 하는 경우, 문자를 변이나 방등의 부분 구조로 나누어서 사전을 기술하여(다음, 이 사전을 부분 구조 사전이라 칭함), 비교 검정이 공통으로 되는 부분은, 부분 구조 사전을 인용하도록, 인식 사전을 기술하면, 인식 사전의 용량을 적게 할 수 있다.
그런데, 문자의 필순은, 확실히 지켜지는 성격의 것은 아니고, 필기자에 의해 다른 일이 많다.
따라서,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는, 필기자의 다종 다양한 필순의 서로 대응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래서, 이를 위해서는 부분 구조 사전에 몇 개의 필순을 기술하여 필순의 차이에 대한 제한을 완화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러나, 부분 구조 사전에 복수의 필순을 기술하려 하여도, 2개의 부분 구조의 사이의 방향 검정을 기술할 수가 없는 경우가 있어, 입력된 문자의 인식 속도가 저하하거나, 문자간의 간섭이 커져서 인식율이 저하하거나 하고 있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할려는 것이다.
이로 인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문자를 변이나 방등의 부분 구조로 나누어서 사전을 기술하여, 이 부분 구조의 사전을 사용해서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함과 동시에 검정된 부분 구조의 외형과, 미검정의 부분 구조의 외형을 구해서, 이들 외형상의 감사이의 방향을 검정하므로서, 상기 검정된 부분 구조와 상기 미검정의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의 검정을 행하고, 이 방향의 검정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 것이다.
부분 구조내의 필순에 영향되지 않고 인식이 행해진다.
제1도에 있어서, 더브 렛트(1)에 문자를 쓰면, 이 더브 렛트(11)의 출력 데이타가, 앞처리 회로(12)에 공급되어서 잡음이 제거, 절선 근사등의 앞처리가 행해지고, 이 앞처리의 행해진 데이타가 입력 버퍼(13)에 공급되어서 기억된다.
그래서, 스토로크 특징 추출 회로(14)에 있어서, 버퍼(13)의 데이타에서 입력 문자의 1 스토로크(1획)마다, 그 스토로크의 특징이 필적 데이타로서 추출되어, 이 필적 데이타가 스토로크 특징 특징 버퍼(15)에 기억이됨과 함께, 외형 데이타 GK, NK가 외형 데이타 버퍼(16)에 기억이 된다.
이 경우, 외형 데이타 GK, NK는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부부 구조, 이 도면에 있어서는, 부분 구조 무에 외접하는 방형 QR을 상정함과 동시에, 이방형 QR의 각 꼭지점, 각 변의 중앙의 점 및 중심점을 점#1 내지 #9라 할 때, 터브 렛트(11)위에 있어서 점 #1내지 #9의 좌표를 도시하는 데이타이다.
그래서, 예를들면 제3도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같은 (가늘은 실선은 부분 구조에 외접하는 외형 QR, 파선은 문자에 외접하는 방형), 버퍼(16)에는 그 제1영역에, 필적 데이타의 제1스트로크의 외형데이타 GK가 기억되어, 제2영역에, 제1 및 제2 스토로크의 외형데이타 GK가 기억되어, 제3영역에, 제1내지 제3 스토로크의 외형 데이타 GK가 기억되어..... .....와 같이, 제n 에리어에, 제1내지 제 n스토로크의 외형 데이타 GK가 기억된다.
또다시, 제3도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버퍼(16)에는, 그 제1 에리어에, 필적 데이타의 제1 스토로크를 제외했을 때의 나머지의 외형 데이타 NK가 기억되어, 제2영역에, 제1 및 제2 스토로크를 제외하였을때의 나머지의 외형 데이타 NK가 기억되어, 제3영역에, 제1내지 제3 스토로크를 제외하였을때의 나머지의 외형 데이타 NK가 기억되어, .... .... .....와 같이, 제 n영역에, 제1내지 제 n스토로크를 제외하였을 때의 나머지의 외형 데이타 NK도 기억된다.
이렇게 하여, 터브 렛트(11)에서 입력된 1개의 문자에 대해서, 그 스토로크마다 필적 데이타가 생성되어, 이것이 차례로 버퍼(15)에 기억됨과 동시에, 그 외형 데이타 GK, NK가 버퍼(16)에 기억된다.
그래서, 버퍼(15, 16)에 대해서 1문자 몫의 기억이 행해지면, 인식회로(17)에 있어서, 버퍼(15)의 필적 데이타가 인식사전(18)의 비교 검정 코드를 사용해서 비교 검정된다.
이 경우, 사전(18)에는 각종의 검정 코드 및 검정 방법을 기술하여 두고, 이에 따라서 그 비교 검정을 할 수가 있으나, 외형 데이타에 관한 사전(18)의 기술은, 한자의 「友」「支」를 예로 들면,
「友」는 「」의 부분 구조 사전 +「又」의 부분 구조 사전.
「友」는 「十」의 부분 구조 사전 +「又」의 부분 구조 사전.
로 되어 있다. 또한, 부분 구조 「」「十」 , 의 필순은 자유로 되어 있다.
그래서, 부분 구조「」 와, 부분 구조「十」 식별이 곤란하나,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문자 「友」는 부분 구조「」의 우측아래에 부분 구조「又」가 있으며, 문자「支」 는 부분 구조「十」의 아래에 부분 구조「又」 가 있다. 따라서, 부분구조「」혹은「十」의 우측 아래의 점에서 부분 구조「又」 의 좌측 위의 방향을 검정하면, 문자「友」와「支」와의 식별이 된다.
거기에서, 사전(18)에는 또다시, 어떤 부분 구조에 있어서, 점 #1 내지 #9중의 1점 #n과, 다음의 부분 구조에 있어서 점 #1 내지 #9중의 1점 #n 사이의 방향을 지정하는 코드가 기술되어 있다.
그래서 사전(18)을 주사하고 있을 때, 외형데이타를 사용한 방향의 검정이 있는 경우 버퍼(16)로부터 데이타 DK, NK가 인출되는 사전(18)에 지정되어 있는 점 #m 과 점 #n 사이의 방향이 검정된다. 이 경우, 버퍼(16)로부터의 데이타 GK에 있어서 점 #m은 이미 검정된 외형(부분 구조)위의 점이며, 점 #n은 또한 검정되지 아니한 외형상의 점이며, 이들 점 #m, #n의 방향이 검정되게 된다.
이같이 하여, 검정이 차례로 행해져서 그 인식 결과가 얻어지면, 이것은 인식 회로(17)에서 출력되어서 출력 버퍼(19)에 보존된다.
제5도는 소프트웨어 처리에 의해, 상술한 외형 데이타를 사용하여 문자 인식을 하는 경우의 처리 루친의 한예를 도시한다.
즉, 터브 렛트(11)로의 문자의 입력이 시작되면, 처리는 스텝(21)에서 스타트하여, 스텝(22)에 있어서, 입력된 1스토로크에 앞처리가 행해짐과 동시에 그 1스토로크의 특징이 필적 데이타로서 추출되어, 스로토크 특징 버퍼(15)에 기억된다.
이어서 스텝(23)에 있어서, 추출된 필적 데이타에서 외형 데이타 GK가 구해져, 이 데이타 GK가 외형 데이타 버퍼(16)의 대응하는 영역에 기억되어, 다음에 스텝(24)에 있어서, 터브 렛트(11)로의 문자의 입력이 종료되었는가 어떤가가 체크되어 종료하지 아니한 때에는 처리는 스텝(22)으로 되돌아간다.
이와 같이 하여, 터브 렛트(11)에 문자를 쓰면, 그 1 스토로크마다에, 그 필적 데이타가 버퍼(15)에 기억됨과 동시에, 예를 들면 제3도의 좌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1스토로크마다에, 버퍼(16)의 각 영역에 외형 데이타 GK가 기억되어 간다.
그래서, 1문자 몫의 문자의 입력을 끝내면, 처리는 스텝(24)에서 스텝(25)으로 진행 이 스텝(25)에 있어서, 버퍼(15)에 기억되어 있는 필적 데이타를 사용하므로서, 예를 들면 제3도의 우측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스토로크마다, 버퍼(16)의 각 영역에 나머지의 외형 데이타 NK가 기억되어 간다.
다음에 처리는 스텝(31)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31)에 있어서, 인식사전(18)이 부분 구조의 검정을 지정하고 있는가 어떤가가 판단된다. 그래서, 부분 구조의 검정을 지정하고 있을 때에는, 처리는 스텝(31)에서 스텝(32)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32)에 있어서, 부분 구조 사전에 의한 검정이 행해져, 다음에 스텝(33)에 있어서, 그 스텝(32)의 검정이 합격되었는가 아닌가 체크된다.
그래서, 합격되었을 때에는, 처리는 스텝(33)에서 스텝(34)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34)에 있어서, 합격한 부분 구조의 외형 데이타 GK가 기억된다.
이어서, 처리는 스텝(35)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35)에 있어서, 다음의 검정이 있는가 어떤가가 체크되어, 있을때에는, 처리는 스텝(35)에서 스텝(31)로 복귀하여, 스텝(31) 이후가 반복된다.
그러나, 스텝(35)에 있어서, 다음의 검정이 없을때에는, 처리는 스텝(35)에서 스텝(36)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36)에 있어서 주사 결과, 즉 인식결과의 문자 코드가 출력 버퍼(19)에 보존된다. 다음에 스텝(37)에 있어서 사전(18) 주사의 종료가 체크되어, 주사가 종료되어 있지 아니한 때에는, 처리는 스텝(37)에서 스텝(31)으로 복귀, 스텝(31) 이후가 반복된다. 또한 스텝(37)에 있어서, 사전(18)의 주사가 종료되어 있을 때에는, 스텝(38)에 있어서, 이 루친을 종료한다.
따라서, 표시 장치(도시않음)에는 , 인식 결과의 문자가 표시된다.
그러나, 스텝(33)에 있어서, 검정이 불합격인때에는, 처리는 스텝(33)에 있어서 스텝(37)으로 진행한다.
또한, 스텝(31)에 있어서, 검정이 부분 구조의 검정이 아닌 때에는 처리는 스텝(31)에서 스텝(41)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41)에 있어서, 검정의 2개의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의 검정인가 어떤가 체크된다. 그래서, 검정이 2개의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의 검정인 때에는 처리는 스텝(41)에서 (스텝42)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42)에 있어서, 버퍼(16)의 외형 데이타 GK, NK 중 스텝(34)에서 기억된 외형 데이타 GK와, 이것과 마주하는 외형 데이타 NK 와의 방향이 검정되어, 다음에 스텝(43)에 있어서, 스텝(42)의 검정에 합격하였는가 어떤가가 체크되어, 합격하였을 때에는 처리는 스텝(43)에서 스텝(35)으로 진행한다.
그러나, 스텝(42)에 있어서, 검정이 불합격으로 되었을때에는, 처리는 스텝(43)에서 스텝(37)으로 진행한다.
또다시, 스텝(41)에 있어서, 검정이 2개 부분 구조 사이의 방향 검정이 아닐때에는 처리는 스텝(41)에서 스텝(51)으로 진행하여, 이 스텝(51)에 있어서, 그밖의 방법에 의한 검정이 행해지고, 다음에 스텝(52)에 있어서, 그 검정의 결과가 체크되어, 합격인 때에는, 처리는 스텝(52)에서 스텝(35)으로 진행하여, 불합격인 때에는, 처리는 스텝(52)에서 스텝(37)으로 진행한다.
이와 같이 하여, 이 발명에 의하면, 수기 문자의 인식을 할 수가 있으나, 이 경우 특히 본 발견에 의하면 검정된 부분 구조와 미검정의 부분 구조를 구해서, 이들 2개의 부분 구조간의 방향을 검정하므로서,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하도록 하고 있으므로, 부분 구조내에 있어서 필순에 차이가 있더라고 안정된 검정을 할 수가 있고, 인속속도를 고속화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간섭이 적어져서 인식율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Claims (1)

  1. 문자를 변이나 방 등의 부분 구조로 나누어서 사전을 기술하고, 이 부분 구조의 사전을 사용해서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함과 동시에, 검정된 부분 구조의 외형과, 미검정의 부분 구조의 외형을 구해, 이들 외형상의 점 사이의 방향을 검정하므로서, 상기 검정된 부분 구조와 상기 미검정의 부분 구조와의 사이의 방향의 검정을 행하고, 이 방향의 검정의 결과에 의거해서 상기 입력된 수기 문자를 인식하도록 한 수기 문자의 인식장치.
KR1019900019251A 1989-11-30 1990-11-27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 KR1002057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11321A JP2881866B2 (ja) 1989-11-30 1989-11-30 手書き文字の認識方法及び装置
JP311321 1989-11-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0358A KR910010358A (ko) 1991-06-29
KR100205726B1 true KR100205726B1 (ko) 1999-07-01

Family

ID=18015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251A KR100205726B1 (ko) 1989-11-30 1990-11-27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526440A (ko)
EP (1) EP0432937B1 (ko)
JP (1) JP2881866B2 (ko)
KR (1) KR100205726B1 (ko)
DE (1) DE69030614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48808A (en) * 1994-07-13 1998-05-05 Yashima Electric Co., Ltd. Image reproducing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and reproducing handwriting
EP0693739A3 (en) * 1994-07-13 1997-06-11 Yashima Denki Kk Method and apparatus capable of storing and reproducing handwriting
US6266444B1 (en) * 1996-10-11 2001-07-24 Canon Kabushiki Kaisha Character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for
US6057845A (en) * 1997-11-14 2000-05-02 Sensiva,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on and recognizing universal commands
US7024042B2 (en) * 2000-10-04 2006-04-04 Fujitsu Limited Word recognition device, word recognition method, and storage medium
WO2003023696A1 (en) 2001-09-12 2003-03-20 Auburn University System and method of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JP5375577B2 (ja) * 2009-12-15 2013-12-25 富士通株式会社 字形要素判定装置及び字形要素判定方法
CN103389879B (zh) * 2012-05-10 2016-08-17 慧荣科技股份有限公司 电子装置以及由电子装置传送数据至显示设备的方法
US9898187B2 (en) 2013-06-09 2018-02-20 Apple Inc. Managing real-time handwriting recognition
US9495620B2 (en) 2013-06-09 2016-11-15 Apple Inc. Multi-script handwriting recognition using a universal recognizer
US20140361983A1 (en) * 2013-06-09 2014-12-11 Apple Inc. Real-time stroke-order and stroke-direction independent handwriting recognition
DK179374B1 (en) 2016-06-12 2018-05-28 Apple Inc Handwriting keyboard for monitors
US11194467B2 (en) 2019-06-01 2021-12-07 Apple Inc. Keyboard management user interface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29292A (en) * 1979-08-17 1981-03-24 Nippon Electric Co Continuous voice identifier
US4764972A (en) * 1985-05-23 1988-08-16 Nec Corporation Continuous characters recognition system
JP2619429B2 (ja) * 1987-11-05 1997-06-11 グローリー工業株式会社 接触文字の分離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881866B2 (ja) 1999-04-12
EP0432937A3 (en) 1993-02-03
JPH03171382A (ja) 1991-07-24
EP0432937B1 (en) 1997-05-02
EP0432937A2 (en) 1991-06-19
US5526440A (en) 1996-06-11
DE69030614D1 (de) 1997-06-05
KR910010358A (ko) 1991-06-29
DE69030614T2 (de) 1997-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79597B2 (en) Method and mechanism to reduce handwriting recognizer errors using multiple decision trees
KR100297482B1 (ko) 수기입력의문자인식방법및장치
KR100205726B1 (ko) 수기 문자의 인식 장치
US531352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cursive writing from sequential input information
US5751851A (en) Method of splitting handwritten input
US5515455A (en) System for recognizing handwritten words of cursive script
Tanaka et al. Hybrid pen-input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based on integration of online-offline recognition
JPH05108883A (ja) 文字認識方法及び装置
US5659633A (en) Character recognition method utilizing compass directions and torsion points as features
EP0166271B1 (en) Recognition system for run-on handwriting
US5119441A (en) Optical character recognition apparatus and method using masks operation
US6208756B1 (en) Hand-written character recognition device with noise removal
Airphaiboon et al. Recognition of handprinted Thai characters using loop structures
KR100290606B1 (ko) 온라인 한글 필기체 문자 인식방법
Noor isolated multifont Arabic character recognition using Fourier descriptors
KR100332752B1 (ko) 문자인식방법
JP2844789B2 (ja) 文字認識方法及び文字認識装置
KR960001102B1 (ko) 수서인식 시스템에서의 케이스 혼동을 해결하는 방법
KR940001048B1 (ko) 온라인 필기체문자인식방법
Patel et al. Recognition of offline handwritten Gujarati numerals
Lee et al. Intelligent radical-based on-line Chinese character recognition system
JPH0324682A (ja) 文字特徴抽出方法
JPH02254581A (ja) 情報認識装置
JPH03166678A (ja) 手書き文字の認識装置
Nakagawa et al. A coarse classification of on-line handwritten Japanese charact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