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364B1 -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364B1
KR100205364B1 KR1019960001714A KR19960001714A KR100205364B1 KR 100205364 B1 KR100205364 B1 KR 100205364B1 KR 1019960001714 A KR1019960001714 A KR 1019960001714A KR 19960001714 A KR19960001714 A KR 19960001714A KR 100205364 B1 KR100205364 B1 KR 10020536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y tube
cathode ray
acceleration
electron gun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1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0335A (ko
Inventor
윤희원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01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364B1/ko
Publication of KR97006033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033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36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36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5Construction of the gun or of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Image-Pickup Tubes, Image-Amplification Tubes, And Storage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설치된 제3가속 및 집속전극에 형성되어 절연지지체에 함몰 고정되는 함몰부가 절연 지지체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위에 직선 형태의 급전선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므로써 절연 지지체 표면과의 밀착성을 높여 음극선관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 단가의 절감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음극선관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킨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1)에 함몰부(3)가 길게 형성되어 절연지지체(2)의 양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급전선(4)이 고정된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용 전자총
제1도는 종래의 음극선관을 나타낸 횡단면도.
제2도는 (a) 및 (b)는 종래 전자총의 음극 지지체를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3도는 종래의 포커스 전극인 제3가속 및 집속전극을 나타낸 정면도.
제4도는 (a) 및 (b)는 종래의 전자총을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5도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음극 지지체를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전극인 제3가속 및 집속전극을 나타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제7도의 (a) 및 (b)는 본 발명을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3가속 및 집속전극 2 : 절연지지체
3 : 함몰부 4 : 급전선
본 발명은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음극선관이 동작될 때 발생되는 불요전자에 의해 전자총의 절연지지체 표면에서 발생되는 방전현상을 흡수하는 급전선을 절연지지체의 표면에 용이하게 밀착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음극선관은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라인형 전자총의 각 전극들은 음극(10)에서 발생된 전자빔(11)이 일정한 세기와 형태로 제어되어 스크린(12)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빔(11)이 통과하는 경로에 대하여 수직이 되게 서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는데, 제1도와 같이 상호 독립된 복수개의 음극(10)과, 음극(10)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음극(10)의 공통 구조체인 제어 전극(5)과, 제어 전극(5)에서 일정 간격으로 배치된 가속 전극(6)과, 제1, 2, 3, 4 가속 및 접속전극(7) (8) (1a) (9)의 순서로 배치된다.
상기한 구조의 전자총은 음극(10)에 내장된 히터(13)가 스템핀(1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발열을 하면 이 열에 의해 음극(10)으로부터 열전자가 방출되고, 열전자는 제어 전극(5)에 의해 전자빔(11)이 제어되며, 가속 전극(6)에 의해 전자빔(11)이 가속되고, 프리 포커스렌즈 형성전극인 제1, 2, 3 가속 및 집속전극 (7) (8) (1a)에 의해 전자빔(11)의 발산각을 줄일 수 있게 되며, 주렌즈 형성전극인 제3, 4 가속 및 접속전극 (1a) (9)에 의해 집속 및 가속되어 스크린(12)앞에 설치된 새도우 마스크(15)를 통과하여 형광체에 충돌함에 따라 스크린이 재현된다.
또한, 제2도의 (a) (b)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전자총의 근본 골격이 되는 음극 지지체는 제어 및 가속 전극(5) (6), 제1, 2, 3, 4 가속 및 집속전극(7) (8) (1a) (9)들이 복수개의 절연지지체(2)에 의해 일정한 간격을 가지고 융착 고정되어 있는데, 상기의 음극 지지체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일정한 간격으로 배치된 전극들을 사전에 일정 온도만큼 가열하여 절연 지지체(2)를 반 용융 상태로 만든 후에 상기 제어 및 가속 전극(5) (6), 제1, 2, 3, 4 가속 및 집속전극(7) (8) (1a) (9)들의 외곽부분인 함몰부(5a) (6a) (7a) (8a)(3a) (9a)에 융착시켜 고정하게 된다.
상기의 음극 지지체에서 보면, 절연지지체(2)의 표면에는 상기의 전극들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어떠한 형태의 구조물도 설치하지 않고, 포커스 전극인 제3가속 및 집속전극(1a)에 전압 인가를 위한 급전선(4a)의 부착을 위해 절연지지체(2)의 양측으로 돌출되어 급전선 부착부(16)가 형성된다.
또한, 제4도의 (a) 및 (b)는 종래의 음극선관에 내장되기 직전의 완성된 전자총으로서 각각의 전극(가속 전극∼제4가속 및 집속전극)들에는 일정한 전압이 인가되고 있는데, 상기 주 렌즈를 형성하는 제4가속 및 집속전극(9)에는 약 22,000∼35,000 볼트(V)의 고전압이 인가되며, 제3가속 및 집속전극(1a)에는 상기 제4가속 및 집속전극(9)에 인가되는 전압의 약 26∼30%의 중전압이 인가되어 이 전압차에 의해 주집속 정전렌즈가 형성되어 전자빔의 특성을 결정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주렌즈를 형성하는 전극에 상당히 높은 전압이 인가되므로 인하여 각 전극으로부터 불요 전자가 방출되며, 불요 전자는 절연지지체(2)의 표면을 따라 제어 전극(5)측으로 내려 오면서 방전 현상을 일으키게 됨에 따라 음극(10)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하므로 인해 음극선관에 치명적인 결함이 발생하게 된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포커스 전극인 제3가속 및 집속전극(1a)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선(4a)을 다단 절곡시켜 절연지지체(2)를 감싸는 형태로 구성하고 있으나, 절곡한 형태의 급전선(4a)은 제3가속 및 집속전극(1a)에 용접하는 작업이 어려울 뿐만 아니라 절연지지체(2)의 표면에 분포하고 있는 불요전자의 제거를 위해 이를 다시 절연지지체(2)의 표면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하단부로 위치하도록 하는 작업이 상당히 어렵게 된다.
즉 상기와 같은 형상으로 전자총을 제작하게 되면 포커스 전극인 제3가속 및 집속전극(1a)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선(4a)을 다단 절곡시켜야 하므로 인해 급전선(4a)의 제작이 어려워지게 되어 급전선(4a)의 가격이 상승하게 됨에 따라 결과적으로는 음극선관의 제작 단가 상승을 초래하게 되고, 다단 절곡된 급전선(4a)이 절연지지체(2)의 표면을 따라 음극(10)측으로 위치하더라도 절곡시의 한계에 의해 정확하게 절연지지체(2)의 표면에 접촉이 완전하게 이루어지는 것이 곤란하므로 인해 원래의 목적인 내전압의 향상을 기대하기 어려워 음극선관의 특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음극선관이 동작될 때 발생되는 불요전자에 의해 전자총의 절연지지체 표면에서 발생되는 방전현상을 흡수하여 제거하기 위한 급전선을 절연지지체의 표면에 용이하게 밀착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므로써 음극선관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작 단가의 절감 및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에 함몰부가 길게 형성되어 절연지지체의 양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급전선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첨부도면 제5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5도의 (a) 및 (b)는 본 발명의 음극 지지체를 각각 나타낸 좌측면도 및 우측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포커스 전극인 제3가속 및 집속전극을 나타낸 정면도이며, 제7도의 (a) 및 (b)는 본 발명을 각각 나타낸 죄측면도 및 우측면도로서,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설치되어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에 형성되어 절연지지체(2)에 함몰 고정되는 함몰부(3)가 절연지지체(2)의 외부로 돌출 되도록 상기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이외의 전극보다 길게 형성되고, 상기 함몰부(3)의 길이는 음극선관에 전자총이 삽입되는 부분의 내경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 또는 급전선(4)이 용접될 수 있는 최적의 길이인 약 21∼24㎜가 되게 구성된다.
상기 함몰부의 길이를 21∼24㎜로 한정한 이유는, 펀넬의 네크부 직경이 28.9㎜로 한정되어 있어 24㎜이상으로 설정하면 전자총을 네크부에 조립시 절연지지체(2)의 외부로 노출된 함몰부(3)가 네크부의 내주면과 접속될 우려가 있고, 이와는 반대로 21㎜ 이하로 설정하면 절연지지체(2)의 외부로 노출되는 함몰부(3)의 길이가 짧아 급전선(4)의 고정작업이 번거롭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제5도 내지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을 설치하여 음극 지지체를 구성하게 되면 제5도에서와 같이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을 제외한 제어 및 가속 전극 (5) (6)과 제1, 2, 4 가속 및 집속전극(7) (8) (9)의 함몰부(5a) (6a) (7a) (8a) (9a)는 절연 지지체(2)의 내부에 함몰되어 내장된 형태로 고정되고, 상기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은 절연지지체(2)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여기서, 상기의 음극 지지체를 음극선관에 내장하기 위해서는 각각의 전극에 일정한 전압을 인가하기 위한 급전선(4)을 용접, 고정하게 되는데, 제7도에서와 같이 절연 지지체(2)의 표면으로 이미 돌출된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의 함몰부(3)에 직선 형태의 급전선(4)을 용접하여 고정시키게 되고, 용접된 급전선(4)은 자연스럽게 절연 지지체(2)의 표면에 밀착하게 된다.
따라서, 음극선관이 동작될 때 발생되는 불요전자에 의해 절연지지체(2)의 표면에 발생되는 방전현상을 급전선(4)이 흡수하여 제거하므로 인해 결과적으로 음극선관의 주요 부분인 음극(10)부분에는 불요전자에 의한 영향이 미치지 않게 됨에 따라 음극선관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절곡되지 않은 직선 형태의 급전선(4)을 사용하므로 인해 제작단가를 절감시킬 수 있고, 절연지지체(2) 표면의 돌출된 부위에 직접 용접하므로 인해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에 형성된 함몰부(3)의 길이는 일반적으로 타전극의 함몰부위 외경이 약 17㎜정도임에 따라 음극선관에 전자총이 삽입되는 부분의 내경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또는 급전선(4)이 용접될 수 있는 최적의 길이인 약 21∼24㎜ 사이에 형성시키므로 가장 높은 효과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설치된 제3가속 및 집속전극(1)에 형성되어 절연지지체(2)에 함몰 고정되는 함몰부(3)가 절연지지체(2)의 표면으로 돌출되도록 길게 형성되어 돌출된 부위에 직선형태의 급전선(4)을 용접하여 고정시키므로써 절연지지체(2) 표면과의 밀착성을 높여 음극선관의 내전압 특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제작 단가의 절감과 동시에 생산성을 증대시킬 수 있으므로 인해 음극선관의 효율성 및 신뢰성을 대폭 향상시키게 된다.

Claims (2)

  1. 포커스 전압이 인가되는 전극에 함몰부가 길게 형성되어 절연지지체의 양측으로 노출되고, 상기 함몰부에는 급전선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길이는 음극선관에 전자총이 삽입되는 부분의 내경에 영향을 주지않는 범위 또는 급전선이 용접될 수 있는 최적의 길이인 약 21∼2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60001714A 1996-01-26 1996-0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0536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714A KR100205364B1 (ko) 1996-01-26 1996-0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1714A KR100205364B1 (ko) 1996-01-26 1996-0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335A KR970060335A (ko) 1997-08-12
KR100205364B1 true KR100205364B1 (ko) 1999-07-01

Family

ID=194501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1714A KR100205364B1 (ko) 1996-01-26 1996-01-26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36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0335A (ko)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36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192348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291924B1 (ko) 전자총과 이 전자총을 이용한 음극선관
US3609400A (en) Plural electron gun assembly
KR10022384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62766B1 (ko) 음극선관과 그의 음극 구조체 및 전자총
KR10028104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84096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구체
US6603253B2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wire having folded portion
KR100337858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JPS6247165Y2 (ko)
KR200241112Y1 (ko) 음극선관 스템의 아우터 리드 구조
KR100224977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94000655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KR20030029377A (ko) 캐소오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018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71928Y1 (ko) 전자총용벌브스페이서
KR19990086205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1923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49425B1 (ko) 분압 저항기를 내장한 음극선관
KR10094447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51080B1 (ko) 내장형 분압 저항기를 구비한 음극선관
KR011433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비드글라스
KR01779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18655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