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343B1 -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 Google Patents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343B1
KR100192343B1 KR1019960016132A KR19960016132A KR100192343B1 KR 100192343 B1 KR100192343 B1 KR 100192343B1 KR 1019960016132 A KR1019960016132 A KR 1019960016132A KR 19960016132 A KR19960016132 A KR 19960016132A KR 100192343 B1 KR100192343 B1 KR 1001923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de
electron gun
lens
electrodes
volt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61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3412A (ko
Inventor
조성호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600161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343B1/ko
Priority to JP9068759A priority patent/JP2919807B2/ja
Priority to BR9700437A priority patent/BR9700437A/pt
Priority to CN97110706A priority patent/CN1097840C/zh
Priority to IDP970945A priority patent/ID16303A/id
Priority to US08/826,757 priority patent/US5990637A/en
Publication of KR9700734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34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3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3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8Schematic arrangements of the electrodes for beam forming; Place and form of the elec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50Plurality of guns or beams
    • H01J2229/502Three beam guns, e.g. for colour C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58Arrangements for focusing or reflecting ray or beam
    • H01J29/62Electrostatic lense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칼라 음근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이 화면 주변부로 편향될 때 전자빔은 촛점거리의 변화에 따른 물점거리 및 최적 전자빔 발산각의 조절을 할 수 있는 프리-렌즈부 조절이 불가능하여 화면 주변부에서 수평스폿의 축소로 인해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포커스의 열화를,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모아레현상으로 인한 저전류영역에서의 해상도열화 현상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던 점을 감안하여 제4전극을 두개의 분리된 전극으로 구성하고 그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공형상을 회전비대칭으로 구성하면서 제4전극의 하나의 전극에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편향에 따라 전자빔의 물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다이나믹렌즈가 추가구성되도록 하여 스크린 주변부에서의 스폿의 열화와 저전류영역에서의 모아레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을 나타낸 종단면도.
제2a도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다이나믹 전자총의 개략도.
제2b도는 제2a도의 A부 상세도.
제3a도는 종래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다이나믹 전자총의 다른예도.
제3b도는 제3a도의 A부 상세도.
제4도는 종래 전자총에 인가되는 다이나믹 전압 파형도.
제5a도는 종래 일반 전자총의 화면상의 스폿 형상도.
제5b도는 종래 다이나믹 전자총의 화면상의 스폿 형상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1실시예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2실시예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3실시예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제4실시예도.
제10a-g도는 본 발명의 B부 상세도.
제11a도는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의 화면상의 스폿 형상도.
제11b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자총의 화면상의 스폿 형상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판넬 2 : 음극
3-5 : 제1-제3전극 6a :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
6b :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 7a :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
7b :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 8 : 제6전극
14 : 섀도우마스크 16 : 편향요크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제4전극의 분리된 두 개의 전극에 편향에 의해 변화하는 렌즈를 형성시켜 다이나믹 전자총의 수평방향 스폿 확대현상과 수직방향 스폿 축소 현상을 보상할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에 적용되는 인라인형 전자총의 각 전극들은 음극에서 발생된 전자빔이 일정한 세기의 형태로 제어되어 스크린에 도달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전자빔이 통과하는 경로에 대해 수직이 되게 일정한 간격을 두고 차례로 위치되어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칼라 음극선관을 나타낸 종단면도로써, 판넬(1)의 네크부(1a)에 봉입되는 전자총은 상호 독립된 3개의 음극(2)과, 상기 음극(2)에서 일정거리 떨어져 배치되어 있는 각 음극의 공통격자인 제1전극(3)과, 상기 제1전극(3)에서 일정간격으로 배치된 제2전극(4), 제3전극(5), 제4전극(6),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 제6전극(8)과, 상기 제6전극(8)의 상부에 배치되며, 판넬(1)의 내면에 도포된 흑연(도시하지 않음)과 접속되는 쉴드 스프링(10)이 고정된 쉴드컵(9)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때, 각 부품은 비드 그라스(도시하지 않았음)에 의해 일정간격이 유지된 채 일체화되어 있다.
그리고 각 음극(2)에는 전자총의 컷 오프(Cut-off)전압이 반드시 같도록 일정의 전류치를 얻기 위해 각각 다른 전압을 공급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전자총의 외부로 노출된 스템핀(11)을 통해 음극(2)에 전류가 인가되어 음극(2)에 내장된 히터(12)에서 전자를 방출하면 방출된 전자는 제어전극인 제1전극(3)에 의해 전자빔이 제어되고, 가속전극인 제2전극(4)에 의해 가속된다.
그 후, 주렌즈 형성전극인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과 제6전극(8)을 차례로 통과한 다음 형광면(13)과 일정간격이 유지되게 섀도우마스크(14)의 구멍을 통과하여 형광면(13)에 충돌하여 상기 형광면을 발광시킨다.
그리고 네크부(1a)의 외주면에는 전자총에서 방출된 전자빔(15)을 스크린 전체로 편향시켜주는 편향요크(16)가 설치되어 있다.
제2a도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다이나믹 전자총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5전극은 첫번째 전극(7a)과 두 번째 전극(7b)으로 분리되어 있고,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의 음극방향 전극면에는 수평의 격벽을 가지고,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의 제6전극(8) 방향면(17)의 공모양이 세전자빔에 공통인 림을 가지고 그 내부에 세개의 공을 가진 판을 가지며, 제5전극의 두변째 전극(7b)의 수평격벽(18a)이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 림 내부로 삽입되어 구성되어 있다.
제2b도는 제2a도의 (A)부 상세도이다.
제3a도는 일본국 공개평 3-179646호에 기재되어 있는 종래의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다이나믹 전자총의 개략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는 제2도와 비슷하게 구성되어 있으나, 림 내부로 삽입되는 수평격벽(18a), (18b)의 형상이 제2도에서는 공주위는 둥글게 형성되고, 그 외의 부위는 직선적으로 형성되며 큰 직선 격벽이 구성된다는 차이점과 제3도에서는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의 림 내부에 위치된 세개의 공을 가진 판에 부착된 수직격벽(19)이 추가된다는 점에 약간 차이가 있다.
그리고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에 인가되는 전압(f1)은 약 7000V이고,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에 인가되는 전압(f2)은 제4도와 같이 편향요크(16)에 인가되는 편향전류에 의해 동기되는 다이나믹전압이 인가된다.
그리고 제6전극(8)에 인가되는 전압은 약 27000V이다.
제3b도는 제3a도의 (A)부 상세도이다.
한편, 상기 나타낸 바와 같이 제5전극의 두개의 분리된 전극 사이에는 비대칭의 렌즈가 형성된다.
이 렌즈는 제4도와 같은 편향전류에 의해 동기되는 다이나믹전압에 의해 그 강도가 변하게 된다.
이러한 렌즈작용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5전극의 두개의 전극(7a), (7b) 사이에 형성되는 다이나믹 렌즈는 편향요크(16)의 편향력이 가장 크게 작용하는 편향전류가 가장 높은(b)-화면의 코너부 편향시 가장 큰 비대칭렌즈 작용을 하고, 편향력이 없는 - 편향전류가 거의 없는(a) - 화면의 중앙부에서 가장 작은 비대칭작용을 한다.
종래의 다이니믹렌즈가 구비되지 않은 인라인형 전자총은 제5도 (a)와 같이 셀프 컨버젼스(Self - Convergence) 편향요크의 비균일 자계로 인한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 스폿경 확대(a1)와 수직 스폿경 과집속으로 인한 할로우(Hal0 : a2)현상을 유발하여 화면 주변부에서의 포커스 열화를 가져온다.
이 현상은 편향 비균일 자계에 의한 수평방향(인라인방향) 전자빔 집속력 약화현상과 수직방향(인라인방향에 수직인 방향) 전자빔 집속력 강화현상을 말한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형성된 다이나믹렌즈는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직집속력 약화를 이루어 제5도 (b)와 같이 전화면에서 우수한 포커스를 구현한다.(a3)
또한, 다이나믹 전압이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에 인가됨으로써 전자빔이 집속에 가장 큰 역할을 하는 주렌즈의 강도를 편향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어 화면 주변부로 편향됨에 따라 더 길어지는 촛점거리를 주렌즈의 강도를 약화시킴으로써 보상할 수 있다.
그리고 제2도 및 제3도의 구성상의 차이에 의한 특성영향은 다음과 같다.
제2도에서와 같은 수평격벽(18a)의 모양은 제3도에서의 수평격벽(18b)보다 격벽의 윗단과 아랫단간의 거리가 작기 때문에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과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간에 형성되는 비대칭렌즈의 강도를 더 크게 할 수 있어 다이나믹 전압의 감소가 가능해 가격 절감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제3도에서는 수직격벽(19)을 추가 설치함으로써 제2도와 같은 비슷한 렌즈강도를 얻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은 화면 주변부로 편향될 때 전자빔은 촛점거리의 변화에 따른 물점거리 및 최적 전자빔 발산각의 조절을 할 수 있는 프리-렌즈부 조절이 불가능하여 화면 주변부에서 수평스폿의 확대와 수직스폿의 축소로 인해 수평방향에 대해서는 포커스의 열화를, 수직방향에 대해서는 모아레(Moire)현상으로 인한 저전류 영역에서의 해상도열화 현상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제4전극을 두 개의 분리된 전극으로 구성하고 그 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공형상을 회전비대칭으로 구성하면서 제4전극의 하나의 전극에 다이나믹전압을 인가함으로써 편향에 따라 전자빔의 물점거리를 변화시키는 다이나믹렌즈가 추가구성되도록 하여 스크린 주변부에서의 스폿의 열화와 저전류영역에서의 모아레현상을 개선할 수 있도록 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은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두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극 및 복수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의해 동기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포커스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극과 다이나믹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 사극자 렌즈 형성수단을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부를 두 개의 전극으로 분리하고, 상기 두 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공 부분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이 다른 비대칭렌즈 발생부분이 있으며,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 중 하나의 전극에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두 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극 및 복수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의해 동기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포커스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극과 다이나믹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 사극자 렌즈 형성수단을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다이나믹 전압을 일가하는 전극과 대향하는 면이 세개의 전자빔에 공통인 하나의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공통 개구부에서 상기 포커스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극 대향면에는 세개의 공경을 구비한 폐쇄단부와 수평방향의 격벽이 세 개의 공의 아래위에 부착되고, 상기 수평격벽은 세 개의 공경보다 둥글게 형성되고 그외의 부위는 직선적으로 형성되며, 아래 위의 격벽 사이의 세 개의 공경보다 작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용 다이나믹 전자총의 제1실시예도를 나타낸 것으로, 종래와 같이 제5전극을 두 개의 전극 (7a), (7b)으로 분리하고,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에는 일정한 포커스전압이,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에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됨에 따라 수평방향의 렌즈작용이 수직방향의 렌즈작용보다 강하게 작용하도록 즉, 비대칭의 렌즈가 형성되도록 구성한다.
그리고 제6도의 (B)부와 같이 제4전극(6)을 두 개의 전극으로 분리하고, 제4전극의 첫번째전극(6a)을 컵과 캡의 두 개의 부품이 용접된 형태로 구성하고,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의 공형상은 제10도의 (a)와 같이 수평이 수직보다 작은 종장형공(23)으로 형성하고,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의 공형상은 제10도의 (b)와 같이 수평이 수직보다 큰 횡장형공(24)을 형성한다.
여기서,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을 제10도의 (g)와 같이 원형공(29)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10도의 (c)와 같이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을 구성하거나, 제10도의 (d)와 같이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을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을 제10도의 (g)와 같이 원형공(29)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한편, 제10도의 (c)의 경우 제4전극의 첫 두번째 전극(6a)에서는 도면과 같이 함몰된 부분의 형상이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 대향면(21)으로 형성되어 있고, (d)의 경우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서는 도면과 같이 함몰된 부분의 형상이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 대향면(22)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0도의 (e)와 같이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을 구성하거나, 제10도의 (f)와 같이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을 구성할 수도 있다.
여기서,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을 제10도의 (g)와 같이 원형공(29)으로 구성할 수도 있다.
이렇나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전극에 인가되는 전압은 다음과 같다.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과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에는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고,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이,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는 제2전극(4)의 전압(Ec2)이 인가된다.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그 전극 구성은 상기 제1실시예에서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을 판상의 전극으로 구성한 것이다.
제8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그 전극 구성은 상기 실시예에서의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에 일정한 포커스전압(f1)을, 그리고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 다이나믹전압(f2)을 인가한 것이다.
그리고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도를 도시한 것으로, 그 전극 구성은 상기 제2실시예에서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에 일정한 포커스전압(f1)을, 그리고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 다이나믹 전압(f2)을 인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각 실시예들은 2개로 분리된 제5전극 (7a), (7b)의 상호 대향면을 다음과 같이 구성하여 비대칭렌즈의 강도를 증가시켜 다이나믹 전압의 감소를 통한 회로가격의 감소를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의 음극방향 전극면에는 공 주위는 둥글고 그 외의 부위는 직선적으로 형성된 수평의 격벽(18a)을 가지고,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7a)의 제6전극(8)방향면(17)의 공모양이 세전자빔에 공통린 림을 가지고 그 내부에 세 개의 공을 가진 판을 가지며, 제5전극의 두번째 전극(7b)의 수평격벽(18a)이 제5전극의 첫번째 전극 림 내부로 삽입되어 구성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의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평스폿 확대현상과 수직스폿 축소현상으로 인한 수평방향 포커스 특성 열하와 저전류영역에서의 수직방향 모아레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두 개의 전극으로 분리된 제4전극들 사이에 편향에 의해 변화하는 렌즈를 형성시킴으로써, 편향시 수평, 수직방향 전자빔의 물점이 변화되어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의 수평방향 스폿 확대현상과 수직방향 스폿 축소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렌즈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4전극의 2개의 분리된 전극(6a), (6b) 사이에 형성되는 렌즈는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 (6a)의 종장형공(23)에 의해 수평렌즈가 수직렌즈에 비해 집속력이 떨어지게 되고, 마찬가지로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의 횡장형공(24)에 의해서도 수평렌즈가 수직렌즈보다 집속력이 떨어지게 하는 작용을 한다.
여기서,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의 종장형과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의 횡장형공이 함께 구성된 경우, 수평과 수직의 렌즈집속력 차이는 훨씬 커지게 된다.
그리고 제10도의 (c), (d)의 경우와 (e), (f)의 경우도 마찬가지 원리이다.
그리고 제4전극 부분에서의 수평과 수직간의 집속력의 차이를 줄이고자 할 경우에는 제10도의 (g)와 같은 원형공(29)제 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 부여하고, 제 4전극의 첫번째 전극(6b)을 컵과 캡의 두부분으로 구성함으로써, 제4전극 부분의 렌즈강도를 판상전극으로 구성할 경우보다 증가시킬 수 있고, 제3전극(5)과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 (6a)간에 발생하는 렌즈의 영향을 적게 받아 타 렌즈에 의한 제4전극 부분의 렌즈의 변화 요인이 적게 된다.
상기에서 설명한 제4전극에 의한 렌즈의 수평집속력이 수직집속력에 비해 작은 렌즈의 작용에 의해 수평방향의 물점거리가 수직방향보다 더 짧게 되어 편향시 수평방향의 스폿 크기를 줄이면서 수직방향의 스폿크기를 확대할 수 있다.
또한,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의 특징인 수직방향 스폿의 할로우 현상의 개선 또한 본 발명에서는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경우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을 판상전극으로 구성함으로써 상기에서 언급한 컵, 캡 형태에 비해 특성상 문제점은 있으나, 전극의 제작성이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는 상기의 제1실시예와 전압 결선방식을 변경함으로써, 앞에서 언급된 제1실시예와 같이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 약 300-1000V의 전압을,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에 약 6000-10000V의 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발생되는 전극간의 전압차의 상승으로 너무 강한 비대칭렌즈가 발생하여 최적의 물점위치의 보상이 어려울 경우에 대비하여, 제3실시예에서는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에 일정한 포커스 전압(f1)을,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6b)에 다이나믹전압(f2)을 인가함으로써, 최대 두 전극간 전위차가 약 1000V정도가 발생함으로써 제1실시예에 비해 약한 비대칭렌즈를 형성하여 물점위치의 차이발생이 적을 경우 최적화에 용이하다.
그리고 제4실시예의 경우에는 상기 제2실시예와 동일하게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6a)제작성을 고려한 것이다.
한편, 제11도는 본 발명과 종래의 다이나믹 전자총에 의한 화면상의 스폿 형상을 나타낸 것으로, 본 발명(a2)이 종래(a1)보다 편향에 의한 스폿의 열화현상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제4전극의 분리된 두개의 전극에 편향에 의해 변화하는 렌즈를 형성시킴으로써 편향시 수평, 수직방향 전자빔의 물점이 변화되어 다이나믹 전자총의 수평방향 스폿 확대현상과 수직방향 스폿 축소현상을 보상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면 주변부에서의 수직 스폿 할로우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Claims (5)

  1. 전자빔을 방사하는 복수개의 음극과, 상기 전자빔의 방사량 조절을 위한 제어전극과 가속 전극으로 구성된 삼극부와, 상기 전자빔을 일정량 집속시키는 역할을 하는 두 개 이상의 전극으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리 포커스 렌즈부와, 상기 전자빔을 화면에 집속하기 위한 주렌즈를 형성하는 집속전극과 양극전극으로 구성되며, 상기 음극 및 복수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고 나머지 전극들 중 적어도 하나에는 편향요크의 편향전류량에 의해 동기하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여 상기 포커스 일정전압을 인가하는 전극과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는 전극의 상호 대향면에 사극자 렌즈 형성수단을 구비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에 있어서, 상기 프리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부를 두개의 전극으로 분리하고, 상기 두 개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의 전극의 공 부분에 수평방향과 수직방향이 다른 비대칭렌즈 발생부분이 있으며,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 중 하나의 전극에 다이나믹 전압이 인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의 공 부분에 수평방향이 수직방향보다 작은 비대칭렌즈 발행부분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에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하고,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에는 가속전극의 전압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리 포커스 렌즈부가 형성되는 제4전극의 첫번째 전극에는 일정한 포커스 전압을 인가하고, 제4전극의 두번째 전극에는 다이나믹 전압을 인가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4전극의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컵과 캡의 상호 용접된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19960016132A 1996-03-22 1996-05-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1923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132A KR100192343B1 (ko) 1996-05-15 1996-05-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9068759A JP2919807B2 (ja) 1996-03-22 1997-03-21 カラー陰極線管電子銃のプレフォーカス電極のダイナミック4極子電極部の構造
BR9700437A BR9700437A (pt) 1996-03-22 1997-03-21 Sistema de eletrodo dinámico de 4 pólos em eletrodo de pré-foco em canhão de elétrons para tubo colorido de raios catódicos
CN97110706A CN1097840C (zh) 1996-03-22 1997-03-22 彩色阴极射线管电子枪预聚焦电极中的动态四级电极系统
IDP970945A ID16303A (id) 1996-03-22 1997-03-24 Sistem elektroda 4 katub dinamis dalam pra pemfokusan elektroda di dalam senapan elektron untuk tabung sinar katoda berwarna
US08/826,757 US5990637A (en) 1996-03-22 1997-03-24 Dynamic 4 polar electrode system in pre-focusing electrode in electron gun for color cathode ray tub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6132A KR100192343B1 (ko) 1996-05-15 1996-05-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412A KR970073412A (ko) 1997-12-10
KR100192343B1 true KR100192343B1 (ko) 1999-06-15

Family

ID=19458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6132A KR100192343B1 (ko) 1996-03-22 1996-05-15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34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3412A (ko) 1997-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060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1027555A (ja) カラー陰極線管電子銃のプレフォーカス電極のダイナミック4極子電極部の構造
KR10019234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16431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34072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US6555975B2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KR100223842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81046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967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20010660B1 (ko) 칼라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792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19533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28161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23215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269395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16107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35544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16878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구조
KR960012415B1 (ko) 칼라 수상관용 전자총
KR100205429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9990038061A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759545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60000917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라인형 전자총
KR100447150B1 (ko) 칼라음극선관용전자총
KR0179254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