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049B1 -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 Google Patents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049B1
KR100205049B1 KR1019950053611A KR19950053611A KR100205049B1 KR 100205049 B1 KR100205049 B1 KR 100205049B1 KR 1019950053611 A KR1019950053611 A KR 1019950053611A KR 19950053611 A KR19950053611 A KR 19950053611A KR 100205049 B1 KR100205049 B1 KR 10020504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cm
test
output device
subscriber board
subscri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36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6090A (ko
Inventor
류득수
박남진
Original Assignee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선종,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정선종
Priority to KR10199500536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5049B1/ko
Publication of KR97005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0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0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0082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 H04B17/0085Monitoring; Testing using service channels; using auxiliary channels using test signal genera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Exchan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PCM 입출력 장치내에,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여, 별도의 장비없이 일반 전화기 등에 의해 상기 PCM 입출력 장치의 정상동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PCM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펄스 코드 변조(PCM) 정합수단 및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PCM 입출력 장치와, 다수의 일반 전화기와, 상기 PCM 입출력 장치와 다수의 일반 전화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일반전화기에 의해 상기 PCM 입출력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가입자 보드 블록과, 상기 가입자 보드 블록을 제어하는 가입자 보드 제어부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PCM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Test Jig for Accessing PCM Date)
제1도는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시험장치 구성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시험장치의 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코딩장치에 대한 시험장치의 구성도.
제5도는 CLK, CLK_TEST, FS, FS_TEST 의 파형도.
제6도는 사용 클럭 발생부의 블럭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1 : 시험받는 장치 302 : PCM 정합부
303 : 상위프로세서부 304 : 시험용 PCM 클럭발생부
305 : 시험보조장치 306 : 차상위프로세서부
307 : 스위칭 트렁크 정합부 308 : 양단 PCM 정합부
309 : 가입자 보드 블록 310 : 가입자 보드 제어부
311 : 가입자 보드 제어용 단말기 312 : 전화기
본 발명은 PCM(Pule Code Modulation)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PCM입출력 장치내에,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여, 별도의 장비없이 일반 전화기 등에 의해 상기 PCM 입출력장치의 정상동작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PCM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PCM 입출력 장치란 트랜스 코딩 수행후, 최종적으로 PCM 방식에 의해 변조된 신호를 입출력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이며, 이때, 상기 트랜스코딩어란 서로 다른 부호화 방식으로 데이터를 변환시키는 것, 예를 들어 이동단말기에 사용되는 8Kbps QCELP(Qualcomm Code-Excited Linear Prediction) 데이터를 64Kbps PCM 데이터로 상호 변환하는 것으로서, 상기 트랜스 코딩을 많은 계산량을 필요로 하며, 구현하는 방법에 따라 처리 시간이 달라진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주어진 시간 안에 신호 처리를 완료하지 못할 경우에 불완전한 트랜즈 코딩에 의하여 소리가 왜곡되기도 하고, 트랜스 코딩하는 프로세스 주위에 온도가 높을 경우에는 많은 잡음이 인가되기도 한다. 그리고, 상기 PCM 입출력 장치의 중앙처리 장치에 과부하가 걸릴 경우에 트랜스코딩하는 프로세서를 정상적으로 제어하지 못하여 결국 소리가 왜곡되기도 한다.
따라서, 트랜스 코딩 알고리즘을 개발하거나, 상기 PCM 입출력 장치의 중앙 처리 장치 제어 알고리즘을 개발할때, 그리고, 구현된 회로팩의 온도에 대한 민감성 등을 규명하거나, 상기 PCM 입출력장치내 특정 전용 프로세서의 불량 등을 찾을 때, PCM 입출력 장치의 정상 동작을 확인하는 시험장치가 필요하다.
제1도는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의 구조를 도시하는 블록도이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PLMN : Public Land Mobile Network)은 이동국(Mobile Station)(101), 기지국(Base Transceiver Station)(102), 기지국 제어국(Bas Station Controller)(103), 운용 보전 센터(Operation and Maintenance Center)(104), 방문자 위치 등록기(Visitor Location Register)(105), 홈위치 등록기(Home Location Register)(106), 이동교환센터(Mobile Service Swictching Center)(107)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이동국(101)은 사용자에게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단말기로서 무선경로의 종단장치이고, 상기 기지국(102)과 그 기지국을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국(103)으로 구성된 베이스 스테이션(Base Station)(108)은 자신이 관찰하는 셀(cell) 내에 있는 이동국에서 발신한 신호 및 정보를 무선채널로 수신한 후에 이동교환센서(107)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교환센서(107)로부터 수신한 신호를 자신의 관찰하는 셀 내의 이동국으로 전송하기도 한다.
한편, 상기 베이스 스테이션(108)을 구성하는 기지국(102)은 상기 이동국(101)과 무선접속되면서 이동통신망중 유선망의 종단장치이며, 기지국제어국(103)은 기지국(102)과 이동교환센터(107)를 양단에 접속시키면서 다수개의 기지국(102)들을 제어하고 호 접속시킨다.
상기 이동교환센서(107)는 무선시스템인 베이스 스테이션(108)과 공중 전화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 또는 종합정보 통신망(ISDN : Integrated Swervice Digital Network)) 또는 다른 이동교환 센터를 정합시키며 호 접속을 위한 모든 신호 메시지 처리 및 스위칭 기능을 한다.
또한, 이동교환센터(107)는 방문자 위치 등록기(VIR)(105) 및 홈 위치등록기(HLR)(106) 등 위치 등록기들과도 연동하면서 이동국의 이동 특성에 따른 핸드오프(Hand Off), 로밍(roaming), 페이징(paging)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홈 위치 등록기(106)는 이동통신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필요한 이동국(101)에 대한 모든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로서, 이동국의, 위치정보, 가입자 인증, 가업자 식별, 부가서비스 처리, 과금정보 등을 저장하며, 상기 방문자 위치 등록기(105)는 이동국(101)이 관지역에 들어왔을 때, 그 이동국에 대한 가입자 정보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데이터베이로서 대부분의 정보를 위치 등록시에 홈 위치 등록기(106)로부터 받아서 저장한다.
방문자 위치 등록기(105)의 정보는 이동국의 이동에 따라 계속 수정되어야 하며 홈 위치 등록기(106)와 관련된 데이터는 항상 동일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운용보전센터(104)는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내의 이동국(101)을 제외한 각 요소에 접속되어 유지 보수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중 육상 이동통신망을 구성하여 전체 구성요소간의 종합적인 연동 관계를 시험하고자 할 경우, 임의의 어느 구성요소가 PCM 정합부를 갖추고 있다면, 그 시험전에, 기존의 가입자보드 블럭과 연동될 수 있도록 결합하여 구성요소의 동작을 디버깅할 필요가 있다.
제2도는 종래의 시험장치의 구성도이다.
제2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에서 PCM 정합부를 가지고 있는 시험받는 장치를 시험하기 위하여 상기 시험받는 장치중 PCM 정합부를 포함하는 장치와 일반 전화기를 동시에 정합할 수 있는 임의의 가입자 정합장치를 만들어 상기 시험받는 장치와 일반 전화기 사이에 설치하였다.
그런데 시험받는 일반전화기 및 임의의 가입자 정합장치와 그 기능면에서 유사하지도 않기 때문에, 정작 PCM 정합기능을 가지고 있는 시험받는 장치를 만들어 놓고도 전화기와 같는 단말기를 접속하여 시험하고자 할 때 새로이 가입자 정합장치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시험받는 장치내의 PCM 정합부가 기존의 상용 가입자 보드 블록가 정합되도록 하는 시험용 PCM클럭 발생부를 상기 시험받는 장치내에 포함하도록 함으로써, 기존의 상용화된 가입자 보드들을 결합하여 전화기를 통하여 소리를 들어봄으로써 시험 받는 장치의 동작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PCM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펄스 코드 변조(PCB) 정합수단 및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PCM 입출력 장치와, 다수의 일반전화기와, 상기 PCM 입출력장치와 다수의 일반전화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일반 전화기에 의해 상기 PCM 입출력 장치의 동작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가입자 보드 블록과, 상기 가입자 보드 블록을 제어하는 가입자 보드 제어부로 구성되며, 상기 일반 전화기 대신에 전화용 모뎀을 연결하여 상기 PCM 입출력 장치가 음성 데이터 이외에 데이터에 대하여 정상동작하는 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시험장치의 필수 구성도이다.
제3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PCM 데이터 경로 접속용 시험장치는 펄스 코드 변조(PCM) 정합부(302) 및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304)를 포함하며 시험을 받고자 하는 PCM 입출력 장치(301)와, 다수의 일반 전화기(312)와, 상기 PCM 입출력 장치(301)와 다수의 일반 전화기(312)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일반 전화기(312)에 의해 상기 PCM 입출력 장치(301)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도록 하는 가입자 보드 블록(309)과, 상기 가입자 보드 블록(309)을 제어하는 가입자 보드 제어부(310)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 일반 전화기(312)는 전화용 모뎀으로 대체되어 PCM 입출력 장치(301)가 음성 데이터 이외의 데이터에 대하여 정상동작하는지를 확인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장치는 상기 PCM 정합부(302)가 가입자 보드블럭(309) 내 PCM 정합부와 동일하게 PCM 관련 클럭들이 수신되도록 되어 있으므로, 시험받는 장치(301)에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304)를 두어 시험받는 장치(301)와 가입자 보드블럭(309)에 PCM클럭(전송클럭,동기신호)을 공급한다.
그리고, 상용화된 제품들인 가입자 보드블럭(309)과 가입자 보드 제어부(310), 가입자 보드 제어용 단말기(311)를 구성하고, 전화기(312)수는 가입자보드 블럭(309)을 구성에 따라서 수백대까지 늘릴 수 있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랜스코딩장치의 시험장치 구성도이다.
제4도는 도시된 바와 같이, 제3도에서의 시험받는 장치는 트랜스코딩 장치와 상위프로세서 단말기로 구성되고, 제2도에서의 임의의 가입자 정합장치는 상용 제품들인 가입자 보드 블럭, 가입자 보드 제어부 및 가입자 보드 제어용 단말기로 대체하였다.
트랜스코딩장치는 제1도의 기지국제어국(103)의 한 기능으로서, PCM 경로의 다중채널 데이터 병행처리장치(출원번호; 1994-36357, 출원일 : 1994년12월23일)에 트랜스코딩 알고리즘이 로딩되어 동작되는 장치를 가리킨다(이하, 트랜스코딩장치라고 부른다).
상위프로세서 단말기는 트랜스코딩장치내의 상위 프로세서부와 RS-232 정합되는 단말기9보통 개인용 컴퓨터를 사용함)을 가리키고, 가입자 보드 제어용 단말기도 가입자 보드 제어부와 RS-232 정합되는 단말기를 가리킨다.
가입자 보드 제어부는 상용화된 TDX-10 전화 교환기에 적용된, 하위 기능부를 제어하는 하위 프로세서 하드웨어 1회로팩(Peripheral Processor Hardware Board Assembly : PPHA), 여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PBU-J(Power Board Unit-J : DC/DC(Direct Current to Direct Current) 컨버어터 J형), 이들을 실장하는 백보드인 하위 프로세서 백보드(Peripheral processor Back Board : PPBB)로 구성된다.
가입자 보드 블럭은 애널로그 정합보드인 일반 가입자 정합 회로팩(Ceneral Subscriber Line Interface Board Assembly : GSLA), 상기 GSLA와 상기 PPHA간 통신을 담당하는 확장 공통 제어 회로팩(Extended Common Control Board Assembly : ECCA), 여기에 전원을 공급하는 PBU-A(Power Board Unit-A : DC/DC 컨버어터 A형), 이들을 실장하는 백보드인 애널로그 가입자 백보드(Analog Subscriber Line Back Board : ALBB)로 구성된다.
상기 가임자 보드블럭과 상기 가입자 보드 제어부간 연결은 상용화된 TD-bus(Telephony Device-bus)케이블로 접속되고, 상기 가입자보드 블럭과 전화기간 연결선은 일반 전화선이다.
전화기는 최소한 두 사람간 통화가 가능하도록 2대 이상 구성하였는데, 가입자 보드 블럭의 구성에 따라 적정하게 늘릴 수 있다.
한편, 제5도는 CLK, CLK_TEST, FS, FS_TEST의 파형도이고, 제6도는 상기 시험받는 장치에 추가된 사용클럭 발생부의 블록도이다.
먼저, 제6도를 참조하면, 사용클럭 발생부는 EPLD(Electrically Programmable Logic Device)와 국부클럭 사용 스위치, 국부 클럭 발생기, 차분신호 송신부 등으로 구성되며, 상기 국부클럭 사용 스위치에 의하여 국부클럭 발생기로부터 발생된 국부클럭을 사용할 것인지, 아니면 PCM 정합부로부터 수신된 클럭들(CLK, FS)을 종래 프로세서와 전용 프로세서들에게 PCM 데이터 통신 클럭들(HCLK, HFS 0, CLK_TEST,FS_TEST)을 공급할 것인지가 결정된다.
제4도에서의 경우와 같은 시험장치에 적용될 때는 국부클럭이 이용된다.
상기 차분신호 송신부는 75174, 96174 등이 사용된다.
상기 제5도는 CLK, CLK_TEST, FS, FS_TEST의 파형도로서, 상기 전송클럭(CLK)과 동기신호(FS) 는 사용클럭 발생회로(EPLD)로 입력되는 신호이므로 이를 위해, 상기 트랜스 코딩 장치의 변형이 필요하는 신호이므로 이를 위해, 상기 트랜스 코딩 장치의 변형이 필요한데, 트랜스 코딩 장치와 가입자 보드 블록에 포함된 PCM 정합부의 PCM 데이터선을 상호간 송수신되도록 연결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소규모 시스템의 기능을 개별적으로 시험하기 위하여 PCM 정합부가 기존의 가입자 정합 보드의 PCM 정합부와 전기적 특성이 동일할 때, 상용화된 제품들을 쉽게 결합하고, 상기 소규모 시스템의 기능에 약간의 기능만을 추가하여 상기 제품들과 접속함으로써 상기 소규모 시스템의 기능을 용이하게 디버깅할 수 있는 시험장치를 쉽게 제작하고, 운용방법도 간편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펄스 코드 변조(PCM) 정합수단 및 시험용 PCM 클럭 발생부를 포함하는 PCM 입출력 장치와, 다수의 일반 전화기와, 상기 PCM 입출력 장치와 다수의 일반 전화기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일반전화기에 의해 상기 PCM 입출력 장치의 동작 상태를 확인하도록 보드 블록과, 상기 가입자 보드 블록을 제어하는 가입자 보드 제어부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데이터 경로 접속용 시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PCM 데이터 경로 접속용 시험장치는 상기 가입자 보드 블록에 연결되는 전화용 모뎀을 더 포함하여 상기 PCM 입출력 장치가 음성 데이터 이외에 데이터에 대하여 정상동작하는 지를 확인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PCM 데이터 경로 접속 및 프로세서 버스 정합의 시험장치.
KR1019950053611A 1995-12-21 1995-12-21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KR1002050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611A KR100205049B1 (ko) 1995-12-21 1995-12-21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3611A KR100205049B1 (ko) 1995-12-21 1995-12-21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090A KR970056090A (ko) 1997-07-31
KR100205049B1 true KR100205049B1 (ko) 1999-06-15

Family

ID=19442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3611A KR100205049B1 (ko) 1995-12-21 1995-12-21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504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6090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39557A (en) Remote testing system for electrical circuits
US5297193A (en) Wireless telephone network centralized maintenance method
FI952814A (fi) Menetelmä tiedonsiirtoyhteyden muodostamiseksi tietojenkäsittelylaitteelta matkaviestinverkkoon analogisten ja/tai digitaalisten signaalien siirtämistä varten
US5875397A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HUP0002211A2 (hu) Eljárás cellás mobil rádióhálózat elérésének engedélyezésére, mobil rádióberendezés, valamint egyszerűsített mobil telefonkészülék
US6185419B1 (en) Communications system and method for testing of a communications apparatus
US4910760A (en) Network verification evaluation testing system
JPH10500552A (ja) 無線カバーエリアを測定するための組み込み測定装置を有する移動無線通信装置
KR100205049B1 (ko) 피씨엠 데이터 접속용 시험장치
CN102202335B (zh) 终端呼叫业务自动测试装置及方法
JPS58114661A (ja) 英数字伝送方法
KR0164091B1 (ko) 피.씨.엠 데이터 직렬 접속용 가변경로 시험장치
KR100205048B1 (ko) 피씨엠 데이터 경로 접속 및 프로세서 버스 정합의 시험장치
CN102082880B (zh) 一种语音中继电路的拨测系统和测试方法
KR920002955B1 (ko) 애널로그 가입자 설비 시험 방법
KR920002203B1 (ko) 전자 교환기 호 시뮬레이션 장치
KR910005334B1 (ko) 교환 시스템의 가입자 시험장치
KR0143046B1 (ko) 교환기에서의 톤 송수신카드 시뮬레이션 방법
KR100250431B1 (ko) 디지털 셀룰러 이동통신망에서 비동기 데이터 및 팩시밀리 서비스를 위한 무선 데이터 연동 장치와 이동통신 교환기의 접속 방법 및 신호 방법
RU31892U1 (ru) Система коммутации
KR0123105B1 (ko) 단말기를 고정국에 접속하는 방법
JPH1013877A (ja) ボタン電話装置
KR930015555A (ko) 전전자 교환기의 중계선 시험 수행 방법
JPH0416982B2 (ko)
JPS5927660A (ja) 情報転送方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