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716B1 -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 Google Patents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716B1
KR100204716B1 KR1019970012695A KR19970012695A KR100204716B1 KR 100204716 B1 KR100204716 B1 KR 100204716B1 KR 1019970012695 A KR1019970012695 A KR 1019970012695A KR 19970012695 A KR19970012695 A KR 19970012695A KR 100204716 B1 KR100204716 B1 KR 1002047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tyrene
raw material
sheet
recycled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2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2710A (ko
Inventor
오원석
Original Assignee
오원석
동성화학공업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원석, 동성화학공업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원석
Priority to KR1019970012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4716B1/ko
Publication of KR970042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27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7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7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2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J23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J23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20Recycled plast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ackging For Living Organisms, Food Or Medicinal Products That Are Sensitive To Environmental Conditiond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는 도시락, 과자, 과일, 축산물 등의 모든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불투명성 내지 반투명성을 갖는 용기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시이트의 절반에 폴리스티렌 재생원료를 사용하고, 투명성을 갖는 용기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시이트의 나머지 절반에 폴리스티렌 신원료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며, 상기 하단부를 구성하는 폴리스티렌 시이트는 재생된(recycled)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30~60중량%이고 폴리스티렌 신원료는 70~40중량%이고, 상기 상단부를 구성하는 시이트는 100% 폴리스티렌 신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용기는 그 용기의 밑부분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재생폴리스티렌으로 하고 그 용기의 뚜껑부분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폴리스티렌 신원료로 하여 제조한 것으로, 재생원료와 신원료를 함께 공압출하여 폴리스티렌 시이트를 제조하고 그 시이트를 압축성형하여 제조한 것이다.

Description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재생원료 부분과 신원료 부분을 갖는 폴리스티렌의 공압출(co-extrusion) 시이트(sheet)의 개략적인 형상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구체예로서 공압출 시이트를 압축성형하여 제조한 도시락 용기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재생원료부분 2 : 신원료부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sheet)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식품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식품 포장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를 폴리스트렌지의 재생원료와 신원료(新原料)를 사용하여 공압출한 시이트를 제조하고, 재생원료 부분을 식품 포장 용기의 밑부분으로 신원료 부분을 식품 포장 용기의 뚜껑 부분으로 압축성형하여 제조한 식품 포장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폴리스티렌을 압출하여 제조된 시이트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조하는 용도로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시락, 과자, 과일, 계란이나 정육과 같은 축산물 등을 포장하기 위한 용기를 제조하고자 하는 경우에 폴리스티렌 압출 시이트를 사용하여 왔다.
폴리스티렌 압출 시이트로 제조된 이제까지의 식품 포장용 용기는 새로운 폴리스티렌 원료(이하 '신원료'라 함)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있다. 이렇게 제조된 식품 포장용 용기는 그 전체가 투명하기 때문에 소비자는 포장된 내용물이 무엇인지를 쉽게 알 수 있다. 그러나 식품 포장용 용기는 그 전체가 반드시 투명하여야 할 필요는 없다. 즉 용기에 포장된 내용물을 소비자가 알 수 있는 상태로 포장되면 충분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는 하단부와 상단부로 이루어지는 식품 포장용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 투명성을 유지하여야 하는 상단부만을 신원료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하고, 투명성을 유지하지 않아도 되는 하단부는 재생원료인 폴리스티렌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스티렌의 재생원료를 활용할 수 있고 나아가 환경 문제의 개선이 개선되며 제조원가가 저렴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본 발명자는 폴리스티렌 재생원료와 신원료를 사용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를 제조하고, 그 시이트를 이용하여 제조된 계란 포장 용기를 개방하여, 대한민국 특허 제102634호(공고번호 제96-5163호)로서 특허를 받은 바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는 계란 포장 용기만을 제조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를 개시하고 있으며, 다른 용도의 식품 포장용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나 다른 용도의 포장용기에 대해서는 개시하지 않고 있다.
본 발명자는 도시락, 과일, 정육 등의 모든 식품을 포장하기 위한 포장용기에 적합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를 개발하기에 이른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의 목적은 폴리스티렌의 재생원료와 신원료를 사용하여 공압출한 시이트를 제조하고, 재생원료부분을 밑부분(용기의 하단부)으로 하고 신원료부분을 뚜껑부분(용기의 상단부)으로 하여 압축성형한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재생폴리스티렌을 사용함으로써 폴리스티렌의 페기물로부터 발생되는 환경공해상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재생폴리스티렌을 사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하단부와 상단부로 이루어지는 식품 포장 용기의 하단부가 반투명성 내지는 불투명성을 갖는 폴리스티렌 재생원료 시이트로 제조되고, 그 상단부가 투명성을 갖는 폴리스티렌 신원료 시이트로 제조되도록 시이트의 절반에 폴리스티렌 재생원료를 사용하고 시이트의 나머지 절반에 폴리스티렌 신원료를 동시에 공압출하여 제조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는 도시락, 과자, 과일, 축산물 등의 모든 식품을 포장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것으로, 불투명성 내지 반투명성을 갖는 용기의 하단부를 구성하는 시이트의 절반에 폴리스티렌 재생원료를 사용하고, 투명성을 갖는 용기의 상단부를 구성하는 시이트의 나머지 절반에 폴리스티렌 신원료를 사용하여 공압출하며, 상기 하단부를 구성하는 폴리스티렌 시이트는 재생된(recyled)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30~60중량%이고 폴리스티렌 신원료는 70~40중량%이고, 상기 상단부를 구성하는 시이트는 100% 폴리스티렌 신원료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용기는 그 용기의 밑부분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재생폴리스티렌으로 하고 그 용기의 뚜껑부분으로 사용되는 부분을 폴리스티렌 신원료로 하여 제조한 것으로, 재생원료와 신원료를 함께 공압출하여 폴리스티렌 시이트를 제조하고 그 시이트를 압축성형하여 제조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용기는 그 용기의 뚜껑부분이 폴리스티렌 신원료를 이용하여 제조되지 때문에 소비자가 그 용기 내부에 포장된 내용물을 용이하게 식별할 수 있으며, 그 용기의 밑부분이 재생폴리스티렌으로 제조되기 때문에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폴리스티렌의 폐기물에 의한 환경공해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본 발명이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는 제1도와 같이 재생폴리스티렌을 사용한 재생원료부분(1)과 폴리스티렌 신원료를 사용한 신원료부분(2)을 형성하도록 제조된다.
둘 이상의 합성수지원료를 이용하여 공압출(co-extrusion)하는 방법은 합성수지 압출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이미 잘 알려진 기술내용으로 본 발명에서는 시이트의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을 폴리스티렌 재생원료를 사용하고 나머지 절반에 해당하는 부분을 폴리스티렌 재생원료를 사용한다. 압출한 재생원료부분(1)은 제2도와 같이 식품 포장 용기의 밑부분을 형성하고, 폴리스티렌 신원료를 사용하여 압출한 신원료부분(2)은 식품 포장 용기의 뚜껑부분을 형성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한 구체예에서 공압출 시이트를 압축성형하여 제조한 도시락 용기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를 이용하여 식품 포장 용기를 성형한다. 시이트 중에서 재생원료부분(1)은 용기의 밑부분(하단부)이 되도록 성형하고, 시이트 중에서 신원료부분(2)은 용기의 뚜껑부분(상단부)이 되도록 성형한다. 밑부분(하단부)를 구성하는 재생원료부분(1)은 재생된(recyled)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30~60중량%이고 폴리스티렌 신원료는 70~40중량%로 이루어지고, 뚜껑부분(상단부)를 구성하는 신원료부분(2)은 100% 폴리스티렌 신원료로 이루어진다. 재생원료부분(1)에 사용되는 재생된 폴리스티렌은 많이 사용되면 할수록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지만, 60중량%를 초과하면 성형성이 양호하지 못하다.
재생원료부분(1)으로 이루어진 식품 포장 용기를 밑부분에 불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이부분을 통하여 소비자는 그 내부에 포장된 내용물을 식별할 수는 없다. 그러나 신원료부분(2)으로 이루어진 식품 포장 용기의 뚜껑부분은 투명성 또는 반투명성을 갖기 때문에 이부분을 통하여 소비자는 그 내부에 포장된 내용물을 식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는 1회용 도시락, 각종 과자류, 빵류, 과일류, 계란이나 정육과 같은 축산물 등을 포장하기 위한 모든 식품의 포장 용기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식품 포장 용기를 제조함에 있어서는 재생폴리스티렌을 활용함으로써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고 폴리스티렌의 폐자원으로부터 발생되는 환경 공해상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는 발명의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Claims (2)

  1. 불투명성 내지 반투명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기의 하단부(밑부분)를 구성하는 재생원료부분(1)은 재생된(recycled)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30~60중량%이고 폴리스티렌 신원료는 70~40중량%로 이루어지고, 투명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기의 상단부(뚜껑부분)를 구성하는 신원료부분(2)은 100% 폴리스티렌 신원료로 이루어져, 상기 재생원료부분(1)과 신원료부분(2)이 동시에 공압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를 제조하기 위한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2. 불투명성 내지 반투명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기의 하단부(밑부분)를 구성하는 재생원료부분(1)은 재생된(recycled) 폴리스티렌의 함량이 30~60중량%이고 폴리스티렌 신원료는 70~40중량%로 이루어지고, 투명성을 갖는 식품 포장 용기의 상단부(뚜껑부분)를 구성하는 신원료부분(2)은 100% 폴리스티렌 신원료로 공압출된 폴리스티렌 시이트로 제조되어, 시이트의 재생원료부분(1)은 용기의 하단부(밑부분)을 구성하고 시이트의 신원료부분(2)은 용기의 상단부(뚜껑부분)을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품 포장 용기.
KR1019970012695A 1997-04-07 1997-04-07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KR1002047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695A KR100204716B1 (ko) 1997-04-07 1997-04-07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2695A KR100204716B1 (ko) 1997-04-07 1997-04-07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10A KR970042710A (ko) 1997-07-24
KR100204716B1 true KR100204716B1 (ko) 1999-06-15

Family

ID=19502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2695A KR100204716B1 (ko) 1997-04-07 1997-04-07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47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2710A (ko) 1997-07-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9913702A (pt) Bandeja acondicionadora e processo para sua produção e uso
US3580413A (en) Clear thermoplastic multi-ply meat tray and absorbent strips
FI20185726A1 (en) Beverage packaging with straw and process for making it
KR20060133494A (ko) 망 구조를 갖는 더블리드 캡을 구비한 스퀴즈 용기 조립체및 그 제조방법
KR100204716B1 (ko) 폴리스티렌 공압출 시이트 및 이를 이용한 식품 포장용 용기
CZ2002627A3 (cs) Dávkovací balení pro gelovou potravu
JPH03133760A (ja) 食料品製品用パッケージ
Fasake et al.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plastic materials, properties and their role in food packaging
US20200239221A1 (en) Container for tactile interaction with food
RU2680502C2 (ru) Лоток
US20030215555A1 (en) Food containers with improved release characteristics
CN210654425U (zh) 一种多层复合共挤抗压封口膜及其生产系统
KR950003137A (ko) 계란 포장 용기 및 그 제조 방법
JPS5940694B2 (ja) 合成樹脂容器
Jan et al. Containers for food packaging application
JPH0343132Y2 (ko)
EP3243763A1 (en) Container with a bottom having triangular cells
JP2001355199A (ja) 抄造容器
CN215905086U (zh) 一种多功能包装盒
CN211686336U (zh) 一种火锅底料包装袋
JP2713945B2 (ja) 食品容器の包装方法
Blumer Innovations in Sustainable Food Packaging
KR200323638Y1 (ko) 이쑤시개가 포함된 껌의 포장
CN2230279Y (zh) 一种竹制容器
KR200477893Y1 (ko) 생분해성과 함께 방습성을 갖는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315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3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2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