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4261B1 - 세류 관개 튜브 - Google Patents

세류 관개 튜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4261B1
KR100204261B1 KR1019910023225A KR910023225A KR100204261B1 KR 100204261 B1 KR100204261 B1 KR 100204261B1 KR 1019910023225 A KR1019910023225 A KR 1019910023225A KR 910023225 A KR910023225 A KR 910023225A KR 100204261 B1 KR100204261 B1 KR 1002042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wall
tube
trickle irrigation
por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232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2667A (ko
Inventor
옥타비안피이더미트라스쿠
차알즈에이맥밀런
Original Assignee
앤소니 더불유 라훼트라
레인 버드 스프링클러 매뉴홱츄어링 코오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앤소니 더불유 라훼트라, 레인 버드 스프링클러 매뉴홱츄어링 코오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앤소니 더불유 라훼트라
Publication of KR9200126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26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42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42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5/00Watering gardens, fiel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 A01G25/02Watering arrangements located above the soil which make use of perforated pipe-lines or pipe-lines with dispensing fittings, e.g. for drip irrig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11/00Drainage of soil, e.g. for agricultural purpo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2Improving land use; Improving water use or availability; Controlling erosion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il Sciences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Rigid Pipes And Flexible Pipes (AREA)
  • Nozzl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세류 관개 튜브는 두꺼운 측연부들을 갖는 기다란 웨브를 종방향으로 접고 두꺼운 측연부를 중첩하여 밀봉함으로써 튜브를 형성함에 의해 만들어진다. 튜브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흐름 경로를 형성하도록 두꺼운 측연부들중 하나에 요홈진 방출홈을 만듦으로써 불연속 방출 수단들이 형성되어 웨브를 따라 이격된 간격으로 배치된다. 방출 수단들은 방출 홈들의 부분에 의해 형성된 비교적 짧은 방출통로들의 크기에 제어된 변형 및 수축에 의해 넓은 사용압력 범위에 걸쳐 일정 유량을 제공하도록 작동한다.

Description

세류(細流) 관개 튜브
제1도는 본 발명의 새로운 특징에 따른 세류 관개 튜브의 지하설비 및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세류 관개 튜브를 형성하는데 사용된 웨브안에 방출홈들을 형성하는 것을 나타내는 부분 사시도.
제3a도는 제2도의 웨브를 관형태로 접는 것을 나타내는 확대 부분사시도.
제3b도는 제3a도에 원으로 나타낸 영역(3A)의 확대 부분 사시도.
제4도는 최종 튜브 형태를 형성하도록 접합이 끝난 후에 본 발명의 세류 관개 튜브의 하부 구조물을 나타내는 부분단면 확대 평면도.
제5도는 관개 튜브의 방출 수단을 통한 물의 흐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화살표가 부가된 제4도와 유사한 확대 부분 평면도.
제6도는 제2도의 6-6선을 따라 취한 웨브의 확대 단면도.
제7도는 제5도의 7-7선을 따라 취한 확대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원으로 나타난 영역(8)의 확대부분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튜브의 내측의 수압이 작동압력 범위에 초기에 도달할 때의 개략 단면도로서, 비작동시의 관개 튜브의 형태를 파선으로 함께 나타낸 도면.
제10도는 초기 수압이 사용압력 범위내일 때의 튜브 형태를 나타내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
제11도는 내부 수아비 사용 압력범위를 초과하였을 때의 튜브 형상을 나타내는 제10도와 유사한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4 : 공급관 16 : 제어 밸브
18 : 웨브 24, 26 : 두꺼운 벽
32 : 방출 홈 34 : 도관
36 : 유입부 38 : 유입 통로
42 : 조절부 44 : 방출통로
46 : 유출부 48 : 저장통로
50 : 출구통로 54 : 리브
78 : 플랩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관개 용수를 비교적 느린 세류(細流) 유량으로 농작물 따위에 공급하도록 구성된 유형의 관개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물 공급압력에 따라 관개 유량이 제어되고 조절되는 다수의 이격된 방출수단들을 튜브가 가지는 개선된 경제적인 연속튜브 방출수단들에 관한 것이다.
관개목적의 다양한 소위 연속 튜브 방출수단들이 당기술에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전형적으로 그러한 연속 튜브 방출수단들은 그 길이를 따라 형성된 다수의 유출구들을 갖는 단단하거나 유연한 구조의 기다란 튜브로 구성되는데, 그 유출구들을 통해 대략 시간당 1갤론 이하의 유량 정도의 비교적 느린 세류 유량으로 관개용수가 방출된다. 그러한 장치에 의해, 관개용수가 증발로 인한 현저한 물의 낭비 및 토양의 현저한 침식없이 인접 농작물에 공급되게끔 튜브를 따라 소정 지점들에서 방출되도록 되어 있다.
이전의 유용한 연속 튜브 방출수단들은 튜브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간격들에 있는 유출구들을 통해 물을 느리게 누출하도록 구성된 여러 구조적인 기술들을 이용하여 왔다. 예를 들어, 연속 튜브 방출수단들은 미합중국 특허 3,777,987 호 및 2,799,422 호에 개시된 장치들처럼 물의 느린 누출을 허용하도록 유출구들을 폐색하는 섬유성 또는 다른 다공성 물질들을 갖도록 제안되어 왔다. 다른 연속 튜브 방출장치들은 일련의 작은 압력 및 흐름감소 오리피스들을 통해 관개용수가 누설되는 동심 또는 다수 튜브 구조물들로 만들어졌다. 그러한 예들이 미합중국 특허 Re 28,075호; 3,361,571호; 3,903,929호; 4,534,515호; 및 4,626,130호에 개시되어 있다. 또 다른 튜브 방출장치들은 미합중국 특허 4,002,684호; 4,007,570호; 및 4,763,842호에 개시된 장치처럼 유출구들을 통해 방출되는 물의 압력 또는 유량을 감소시키기 위해 비교적 복잡하고 기다랗거나 뒤얽힌 흐름 경로 형상으로 만들어졌다. 그러나, 이러한 예시적인 연속 튜브 방출 장치들에서는, 대부분의 물 공급 시스템에서 흔히 존재하는 먼지 또는 다른 입자 물질들에 의해 막히기 쉬운 고정된 작은 단면적의 유출구 또는 누설 경로들이 적은 물유량을 위해 요구되었다. 더욱이, 지금까지 그러한 장치들은 사용시 통상 직면하는 전체 사용범위에 걸쳐 거의 일정한 유량을 확실하고 일관되게 발생시키지는 못하였다.
미합중국 특허 4,807,668호에는 연부들이 중첩되어 함께 가열 밀봉되는 상태도 플라스틱 웨브를 길이방향으로 접어서 형성되고 한 연부를 따라 홈이 미리 형성되어 밀봉부안에 작은 단연의 기다란 제2도관을 형성하는 연속 튜브 방출수단이 개시되었다. 작은 구멍들은 튜브로 부터의 유출구 작용을 하는 제2도관의 밀봉부를 따라 이격된 간격들에 형성된다. 이 구조물에 따르면, 중첩된 웨브의 내측 벽 부분은, 주 도관과 제2도관 사이에 분할 벽을 형성하고, 제2통로의 크기를 감소시키도록 주도관 안의 수압의 증가에 따라 홈안으로 편향됨으로써 드로틀링(throttling)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어서 유출흐름을 조절한다고 한다. 한편, 흐름제어장치를 만들기 위한 여러 시도에 이 방법을 이용하였지만 통상 직면하는 전체 사용압력 범위에 걸쳐 거의 균일한 유량을 정확하고 일관되게 발생시킬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이것은 주도관 안의 내부 수압에 의해 발생되어 벽이 제어된 방식으로 홈안으로 상당히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는 인장력을 벽이 받으므로 압력증가에 따라 제2통로의 크기를 내측 벽 부분이 효과적으로 축소시키지 못하기 때문이다. 즉, 주 도관 안의 내압은 튜브를 팽창시킴으로써 튜브 벽을 인장하중하에 있게 하는 작용을 한다. 내부 수압 증가에 따라 튜브상의 인장력도 또한 증가하며, 이 인장력은 벽이 홈안으로 제어적으로 변형할 수 있는 능력을 실제로 감소시킨다.
많은 상기 문제들을 극복하도록 고안된 다른 연속 튜브 방출수단이 본 출원인의 양수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4,726,52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연속 튜브 방출수단은 다수의 밸브면들을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비교적 두꺼운 밸브 부재들을 일축에 갖는 기다랗고 얇은 필름 웨브로 형성된 가요성 플라스틱 튜브를 제공하고, 각각의 밸브면은 넓은 단면의 밸브 저장소 안으로 안내하고 웨브를 통해 유출구들과 각각 소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얕은 세류 방출 홈을 포함한다. 웹의 한 종방향 연부는 절개되어 밸브면들과 대체로 대응하는 종방향 위치들에 횡방향 돌출 플랩들을 형성한다.
그 다음, 이 웹는 종축선을 중심으로 자체가 맡아지고 종방향으로 접합되어, 밸브 저장소의 내측에 각각 중첩된 플랩들고, 흐릅제어 유니트들 중 하나를 형성하는 각각의 밸브면의 세류 방출 홈의 부분을 갖는 연속 튜브 방출수단을 형성한다. 사용시, 튜브 안의 수압은 플랩들을 정렬된 밸브면들과 결합하도록 힘을 가하여 유출구들을 통한 물의 유량을 제한하고 제어한다.
상기 구조물들은 정상 사용 압력 범위에 걸쳐 개선되고 보다 균일한 유량을 제공하는 반면, 플랩형 구조물은 일관되게 제조하기가 곤란하고 흐름 레벨을 항상 예측 할 수도 없다.
전형적으로, 연속 튜브 세류 시스템들은 평상시 평방 인치당 약 6파운드와 10파운드 사이의 사용 압력범위에 걸쳐 작동하도록 구성된다.
기록이 많은 지형에 연속 튜브 세류 시스템이 이용되는 경우에, 유효 사용압력 범위는 골짜기에 놓인 튜브의 부분들에서는 전형적으로 평방인치당 2파운드 정도 낮다. 따라서 그러한 압력 변동을 보상함으로써, 비록 실제 압력변화가 존재하더라도 튜브의 길이를 따라 각각의 방출수단으로부터 거의 균일한 유량이 얻어지도록 보장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속 튜브 방출시스템에서의 임의의 소정 방출수단의 반응은 Q=CPx의 공식으로 특정되는데, 여기에서 Q=방출수단의 유출구에서의 방출유량, P=방출튜브 내측의 압력, C=각각의 유형의 방출수단에 대해 실험적으로 결정될 수 있는 상수, x=방출률 지수이다. 이 방정식에서 만일 방출률 지수가 1이면, 방출률은 방출튜브 내측의 압력에 직접 비례한다. 즉, 튜브 내의 압력이 2배이면 방출수단으로 부터의 유량도 2배이다. 반면에, 방출률 지수가 0이면, 방출률은 방출튜브내의 압력에 상관없이 일정하다. 따라서 0보다 크고 1보다 작은 방출률 지수들에 대해서, 방출수단은 압력 보상 특성을 갖는다. 방출 튜브 내의 수압에 상관없이 거의 일정한 흐름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므로, 가능한 한 0에 가까운 방출률 지수를 얻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더욱 명백해지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용시 전형적으로 직면하는 전체 사용 압력 범위에 걸쳐 거의 일정한 유량을 발생시킬 수 있고 그 방출률 지수가 0에 매우 근사한 불연속 방출수단들을 갖는 세류 관개 튜브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류 관개 튜브는 가압된 물을 수용하는 중앙 주 도관이 있는 관형 몸체를 형성하도록 특정 구조물의 가용성 플라스틱 웨브를 이용하여 그의 측연부들이 정확한 방식으로 중첩 밀봉되도록 종방향으로 접어서 만들어진다. 불연속 방출수단들은 튜브를 따라 이격된 간격들에서 중첩 연부들에 형성되고, 사용중 전형적으로 직면하는 전체사용 압력 범위에 걸쳐 거의 일정한 유량을 발생시키도록 매우 확실하고 예측가능한 방식으로 작용한다.
본 발명의 세류 관개 튜브는 통상의 플라스틱 제조 기술들을 이용하여 경제적이면서 용이하게 대량으로 만들어질 수 있고, 변하는 압력에 따라 정확한 흐름 조절을 할 수 있는 가변하는 크기의 오리피스로서 작용되면서도, 또한 각각의 관개 사이클마다 방출수단으로부터 잔모래 또는 입자물질을 청소하기 위해 매우 신뢰성 있는 세척 모드를 갖는 새로운 개개의 방출구조를 이용한다. 주 도관내의 압력 변동에 따라 흐롬조절을 이루기 위한 작동원리는 계속적으로 제어되고 각각의 방출수단에 형성된 비교적 짧은 길이의 방출통로의 예측가능한 수축이다. 방출통로의 수축은 튜브의 비교적 두꺼운 접합된 벽부분들의 변형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그 벽부분들은 주 도관내의 수압에 의해 발생된 압축력을 통로의 한 벽이 받고 대항하는 벽이 인장력을 받을 때 하중하의 단부지지 가요성 비임과 유사한 방식으로 변형하여 통로의 단면적을 감소시킨다.
웨브의 측연부들을 따라 형성된 횡방향으로 이격된 하나 또는 한쌍의 비교적 두꺼운 벽들의 표면 안에 요홈진 방출 홈에 의해 방출 통로가 형성되고, 그 방출통로는 요홈진 유입 및 유출통로들과 서로 연결된다. 그 두꺼운 벽들은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방출 통로와 그 방출 통로를 통해 주 도관으로부터 튜브의 외측까지 흐름 경로를 제공하는 유입 및 유출 통로들을 갖는 최종 튜브로 형성되도록 일체형 유니트로서 중첩되고 함께 접합된다.
주 도관내의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두꺼운 벽들은 두꺼운 내측 벽이 압축력을 받고 두꺼운 외측벽이 인장력을 받아서 궁형을 이루면서 변형된다. 두꺼운 벽들의 압축 및 인장력들은 방출통로의 영역내의 벽들이 서로를 향해 이동하게 함으로써, 튜브의 주 도관안의 내부 수압에 따라 방출통로의 크기를 축소시킨다.
본 발명의 세류 관개 튜브는 방출수단의 차단이나 막힘이 일어나지 않도록 보장하는 비교적 큰 유입 및 유출구들을 제공하고, 방출통로내에 갇힌 입자들을 각 작동 사이클마다 그 방출통로로부터 세척해 낼 수 있는 세척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비사용시, 유출구들은 시스템의 차단을 야기할 수 있는 모래 및 이물질의 잠입과 뿌리의 침입을 방지하도록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세류(細流) 관개 튜브(10)는 관개용수를 농작물 따위에 조절하여 공급하기 위해 튜브를 따라 소정 거리만큼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불연속 방출수단들(12)이 마련되어 있다. 세류 관개 튜브는 압력하에 물 흐름 공급을 조절하기 위한 적절한 조절 밸브(16)를 포함하는 물 공급관(14)에 잘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기다랗고 접을 수 있는 얇은 벽의 튜브로 형성된다. 세류 관개 튜브(10)는 필요에 따라서는 지상에 설치할 수도 있지만, 제1도에 예시된 바와 같이 지하 관개용으로 사용하기에 특히 적합하다.
세류 관개 튜브(10)는 비교적 넓은 범위의 물 공급압력에 걸쳐 조절된 거의 일정 유량의 물흐름을 전달하도록 신뢰성 있게 효과적으로 작동하는 간단하고 매우 경제적인 연속 튜브 관개 시스템을 제공하도록 비교적 저렴한 재료로 제조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세류 관개 튜브(10)는 기다랗고 접을 수 있는 튜브를 형성하도록 높은 제조율로 경제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저선밀도의 폴리에틸렌과 같은 가요성 플라스틱 재료로 된 비교적 저렴한 얇은 벽의 평편한 웨브(18)로 형성된다. 더욱이, 개개의 세류 방출수단들(12)(제4도 및 5도에 잘 도시됨)은 다른 부품 또는 재료를 부가함이 없이 세류 관개 튜브(10)의 제조 중 웨브(18)와 일체로 형성된다.
제2도, 3도 및 6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세류 관개 튜브(10)를 형성하기 위한 웨브(18)는 소량 직경의 튜브 크기에 따라 선택된 폭을 갖도록 형성되며, 후에 더 명백해지는 이유로 해서, 중앙의 비교적 얇은 벽부분(20)(이후로는 튜브 벽이라 함)과, 웨브의 측연부들(22)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횡방향 이격된 벽부분들을 갖도록 구성되는데, 이후로는 그 횡방향 이격된 벽들 중 하나의 두꺼운 내측벽(24)이라 하고 다른 하나를 두꺼운 외측벽(26)이라 한다.
바람직하게 연속 압출 공정에 의해 형성되어 차후의 사용을 위해 예컨대 리일(reel)(28)에 저정될 수 있는 웨브(18)의 형성에 이어서, 웨브는 장치(30)를 통해 공급되는데, 이 장치는 두꺼운 벽부분들 중 하나(여기서는 두꺼운 외측벽(26))의 표면에 웨브의 길이를 따라 이격된 소정 장소들에 오목한 방출홈들(제2도에 (32)로 지시됨)을 형성한다. 그 다음,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이 형성된 웨브(18)는 두꺼운 외측벽(26)이 두꺼운 내측벽(24)에 중첩되어 관형태로 접혀지고, 중첩된 벽들은 특정 적합 패턴으로 바람직하게 히트 시일링(heat sealing)에 의해 선택적으로 함께 접합되어, 튜브를 밀봉하여 그 튜브(10)를 따라 이격된 불연속 방출수단들(12)을 형성한다. 세류 관개 튜브(10)는 형성되었을 때 비교적 큰 직경의 주 물공급 도란(34)을 형성하는데, 이 주 물공급 도관은 가압된 물이 튜브 안으로 들어오도록 물 공급관(14)과 결합할 수 있고, 공급단부로부터 떨어진 튜브의 단부는 튜브안의 물이 불연속 방출수단들(12)을 통해서만 방출될 수 있도록 밀봉 조임과 같은 적절한 수단에 의해 폐쇄된다.
제5도를 참조하면, 방출수단(12)의 방출 홈들(32)은 세 개의 서로 연결된 기능적인 부분들을 형성하도록 만들어진다. 제1유입부(36)는 주 도관(34)으로부터 종방향 연장 유입 흐름 합류부 즉 매니폴드 통로(40)까지 대략 횡방향으로 안내되는 다수의 방출유입통로(38)을 형성하고, 제2조절부(42)는 두꺼운 외측벽(26)의 중앙 부분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주 방출통로(44)를 형성하고, 제3외측부분(46)은 횡방향 출구통로들(50)까지 안내되는 다수의 방출 저장통로들(48)을 형성한다. 웨브(18)가 관형태로 접혀질 때,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24,26) 방출 홈(32)을 갖는 두꺼운 외측벽이 두꺼운 내측벽 위에 중첩되어 그 두꺼운 내측벽이 방출홈을 튜브(10)의 주 도관(34)으로부터 분리된다.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을 중첩하는데 있어서, 각각의 유입통로들(38)의 입구단은 그 입구단이 튜브(10)의 주도관(34)에 노출되어 주 도관안의 물이 방출 홈(32) 안으로 흐르는 통로를 제공하도록 하부의 두꺼운 내측벽(24)의 측연부(22) 너머로 연장함은 중요하다.
일단 웨브(18)가 접혀져서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24,26)이 중첩되면, 웨브(18)는 바람직하게는 대략 통상 구조의 가열된 형상 압력 로울러 장치인 적절한 접합 장치(52)를 통과하는데, 이 장치는 중첩된 두꺼운 벽들(24,26)에 용접부를 선택적으로 가하여 이 벽들을 일체형 구조물과 함께 접합한다. 이 경우에, 제4도 및 5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비교적 넓은 용접 지역 라인들이 방출 홈(32)의 3개의 기능적인 부분들과 협력하는 소정 패턴으로 형성되어 방출 통로를 더 형성하고, 후에 더 명확해지는 이유로 튜브(10)의 두꺼운 벽 부분들(24,26)의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킨다. 이점에 있어서, 용접 지역 라인들은 용접 지역들에 구조적인 강도를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주는 융기된 가장자리 리브들(54)을 갖도록 형성된다.
제4도에 도시된 부분도에서 위로부터 아래로 보았을 때, 중첩된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은, 한쌍의 평행한 용접 라인들(56,58)이 웨브의 횡방향 측연부들(22)과 대략 일치하도록 이격되는 상태로 방출 수단들(12) 사이에서 함께 용접되어 각 방출 수단 사이를 폐쇄하여 밀봉한다. 유입부(36) 근처에는 횡방향 용접 라인(60)이 형성되어 두 개의 평행한 용접라인들(56,58)을 서로 연결하고, 방출 수단(12)의 유입부의 한 단부를 형성한다. 요홈진 두꺼운 외측벽(26)의 횡연부(22) 근처의 평행한 용접 라인(56)의 연장부(56')는 방출 통로(44)의 일측을 따라 연장하고 방출수단(12)의 유출부(46)의 입구에서 종결한다. 이 용접 라인 연장부(56')는 방출 수단(12)의 유입부(36)의 바닥을 형성하고, 그 말단 부에서는 유출부의 시작 부분을 형성한다.
용접 라인 연장부(56')의 맞은편의 중첩된 두꺼운 벽들(24,26)의 면에 배치된 두 개의 불연속 용접점들(62,64)은 여기에서 대략 정방향이고, 유입통로들(38) 사이에 그 통로들을 분리한다. 용접라인(56') 맞은편에서 방출통로(44)의 면을 따라 연장하며 그 방출통로와 평행한 다른 용접라인(58')은, 평행한 용접라인(58)의 개시부를 형성하고 대향하는 용접라인 연장부(56')와 협력하여 방출수단(12)의 유출부(46)의 면 및 조절부(42)의 면들을 형성한다. 최종 횡방향 용접라인(66)은 다음의 두 개의 평행한 용접라인들(56, 8)의 개시부를 유출통로(48) 근처에서 다른 용접라인(58')과 서로 연결하고 유출부(46)의 단부를 형성한다. 중요하게, 튜브(10)의 외측에는 유출부(46)의 출구 통로(50)를 밀폐하거나 주 도관으로부터 유입통로들(38) 안으로 물의 흐름을 제한하는 용접부가 형성되지 않는다.
제5도의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중첩된 두꺼운 벽돌(24,26)에 의해 경계를 이룬 방출 홈(32)과 여러 용접라인들은 서로 협력하여 튜브(10)의 주 도관(34)으로부터 유도되는 유입 통로들(38)을 거쳐 3개의 불연속 구멍들을 형성한다. 중요하게, 3개의 유입 통로들(38)은 방출통로(44)의 크기보다 상당히 큰 물 유입구를 제공함으로써, 만일 하나 또는 비록 두 개의 유입통로들이 막히거나 차단되어도 방출통로로 공급하는 충분한 물 흐름을 여전히 얻을 수 있다.
유입통로(38)로부터 물은 매니폴드 통로(40)안으로 흐르고, 주 흐름 조절이 일어나는 방출통로(44)를 통한 다음 유출부(46)로 흐른다. 유출부(46)에서, 중첩된 두꺼운 벽돌(24,26)에 의해 경계를 이룬 홈들과 용접라인들(58',66)은 협력하여 저장 통로들(48)을 통해 출구 통로들(50)까지 비꼬인 경로를 형성하는데, 출구 통로(50)에서 물은 튜브로부터 방출된다. 또한 출구통로들(50)은 방출통로(44) 영역보다 물이 통해 흐를 수 있는 더 큰 영역을 제공한다. 그러므로, 만일 출구 통로들(50) 중 하나가 막히거나 차단된다면, 물은 유출부(46)으로부터 방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튜브(10)의 주 도관(34)내의 압력 변동에 따라 흐름조절을 달성하기 위한 작동 원리는 계속 제어되고, 비교적 짧은 방출통로(44)의 예측가능한 수축이다. 방출통로(44)의 수축은 튜브(10)의 주 도관(34)내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른 중첩된 두꺼운 벽돌(24, 26)의 변형에 의해 제어된 방식으로 영향을 받음으로써, 방출통로는 크기가 가변하는 흐름제한 오리피스의 흐름 특성을 갖는다.
제7도 및 8도를 참조하면, 방출통로(44)는 사용범위 내의 모든 압력에서 거의 일정한 물의 흐름을 얻도록 통로의 일정한 수축을 보장하지만 각각의 작동 싸이클마다 통로로부터 입자물질을 세척해 내기 위해 비교적 큰 면적의 통로를 제공하는 특정한 형상으로 되어 있다. 방출통로(44)의 수축을 제어하기 위해 이용된 기본적인 메카니즘은 그 단부들이 지지된 가요성 비임에 형성된 압축 및 인장력들의 메카니즘이다. 그러한 비임이 일측을 따라 균일한 하중을 받으면 그 비임은 부하로부터 변형하고 지지체들 사이에 궁형을 취한다. 이 변형은 부하에 노출된 비임의 표면에 압축력을 발생시키고, 반대쪽 표면에 인장력을 발생시킴으로써, 부하 표면을 비부하 표면쪽으로 이동시키고 비부하 표면을 부하 표면 쪽으로 이동시킨다. 접합된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24,26) 사이의 중앙에 방출통로(44)를 형성하고 그 벽들을 함께 접합하여 일체형 구조물을 형성함으로써,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은 튜브벽(20)과의 접합부에 의해 그 단부들이 지지된 가요성 비임처럼 작용한다.
튜브(10)의 조절부(42)를 통한 횡단면도인 제7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방출통로(44)는 두꺼운 외측벽(26)의 요홈진 방출홈(32)에 의해 일측(여기에서는 하부측)이 경계를 이루고, 두꺼운 벽(24)의 내표면에 의해 반대측이 경계를 이룬다. 방출통로(44)의 양측을 따라 용접라인들이 연장하는데, 특히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돌(24, 26)을 함께 접합하는 용접라인 연장부(56')와 다른 용접라인(58)이 연장한다.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24, 26)은 함께 접합되어 방출통로(44)의 양측을 따라 일체형 구조물을 형성하므로, 방출통로를 따라 연장하는 접합된 부분들의 유효강성 및 그에 따른 변형에 대한 저항은 방출통로의 상부 및 하부 경계들을 형성하는 내측 및 외측 벽들의 비접합 부분들의 유효감성 및 변형저항보다 상당히 증가한다. 더욱이, 접합된 부분들의 감성은 방출통로의 측면들을 따라 사각형 파형 패턴을 갖는 횡방향 용접라인(66), 용접 연장부(56') 및 융기 리브들(54)을 제공함에 의해 더 증가되어 강성을 향상시킨다.
이 경우에서, 제8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요홈진 방출통로는 두꺼운 외측면(26)에 형성되어 거의 반원형의 중앙 벽부분(68)을 형성하고 이 중앙 벽부분(68)은 대향하는 경사 측벽부들(70)과 연결되고, 이 측벽부들은 여기에서 단부벽돌(74)에 의해 두꺼운 내측벽(24)의 인접부인 표면으로부터 평행 이격 연장하는 거의 수평 벽부분들(72)과 서로 연결된다.
이렇게 형성된 방출통로(44)는 접합된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24,25)의 접합부까지 연장하는 횡방향 돌출 쐐기형 측방 통로들을 갖는 비교적 큰 중앙 주방출 통로(69)로 구성된다.
작동시, 압력하의 물이 초기에 튜브(10)의 주도관(34) 안으로 들어옴에 따라 튜브는 제9도에 파선으로 나타낸 무압력의 편평한 상태로부터 실선 위치로 나타낸 보다 둥그란 단면형상까지 팽창을 개시한다. 중요하게 초기의 팽창은 비교적 얇은 튜브 벽(20)에 제한되는데, 상당히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은 압력이 그들의 높은 상대 강도를 극복하고 변형을 야기하기에 불충분하므로 거의 편평한 상태로 잔류한다. 따라서, 적어도 초기에 튜브벽(20)은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과의 접합부를 중심으로 피봇함에 의해 팽창한다.
작동 싸이클의 초기 단계 중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은 거의 편평하게 비변형 상태로 남아 있으므로, 방출통로(44)의 단면크기는 주방출통로(69) 및 쐐기형 측방통로들(71)의 모든 영역들을 다 포함한다. 이 상태에서, 방출통로(44)의 단면 크기는 튜브(10)의 도관(34) 안의 내압이 그의 사용범위에 도달했을 때보다 상당히 크고, 방출 통로에 갇힐 수 있는 입자물질은 그 방출 통로로부터 유출부(46) 안으로 밀려나고 결국 출구 통로들(50)을 통해 씻겨 나간다.
튜브(10)의 도관(34) 안의 내부 수압이 사용압력 범위의 낮은 레벨에 도달하기 시작함에 따라, 튜브벽(20)과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에 대한 팽창 압력은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이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궁형으로 팽창을 개시하게끔 한다. 입체형의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의 이 초기 팽창 중 두꺼운 내측벽은 압축을 받고 두꺼운 외측벽은 인장을 받는다.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의 비접합 부분들은 접합된 부분들보다 비교적 덜 단단하므로, 방출 통로(44) 위에 중첩된 두꺼운 내측벽은 두꺼운 외측벽을 향해 팽창하고 두꺼운 외측벽과 그의 요홈진 홈(32)은 두꺼운 내측벽을 향해 팽창함으로써, 수평 벽 부분들(72)과 두꺼운 내측벽의 인접 부분 사이에 형성된 공간들을 폐쇄한다.
도관(34) 안의 내압이 계속 증가함에 따라,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은 튜브(10)의 중심을 통하는 평면내에서 연장하는 반경까지 굽혀지지만 그 길이는 튜브 벽(20)의 곡률반경의 길이보다 상당히 크고 도관 안의 내압이 증가함에 따라 짧아진다.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의 추가 팽창은 두꺼운 내측벽이 받은 압축 부하의 두꺼운 외측벽의 인장력을 증가시킴으로써, 대향하는 두꺼운 내측벽에 대해 경사 벽부분들(70)의 주 방출통로(69)를 향한 점진적인 추과 폐쇄를 야기하고 방출통로(44)가 작은 전체 단면크기로 더 압축되게 한다.
그 다음 방출통로(44)의 압축은 유입부(36)와 유출부(46) 사이에 물이 흐름에 따라 압력강하가 증가되게 하여 그 사이를 통한 물흐름 속도를 제어하고 도관(34)내에 압력이 형성될 때 그 물흐름 속도를 거의 일정한 레벨로 유지한다. 결국, 제1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 도관(34)안의 내압이 사용 압력 범위를 초과할 때, 두꺼운 내측 및 외측벽들(24,26)의 곡률반경은 튜브 벽(20)의 곡률 반경 비슷하게 되고, 방출통로(44)는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에 발생한 높은 압축 및 인장력들로 인해 주 방출통로(71)의 크기보다 작은 면적으로 압축된다. 이 상태에서, 방출통로(44)는 더 이상 제어된 압축을 받지 않고, 유량은 도관(34) 안의 내압이 더 증가하면 거의 일정하게 유지되지 않는다.
이 접합부에서, 주 도관(34)안의 압력이 형성됨에 따라 유입 통로들(38) 아래 놓인 두꺼운 내측 벽(24)은 두꺼운 외측벽(26)의 하측에 대해 견고히 압압된다. 따라서, 유입 통로들(38)은 유입부(36) 안으로 물 흐름 통로의 크기를 각각이 요홈진 유입통로들의 단면적까지 제한한다. 이러한 제한은 주 도관으로부터 방출 통로(44) 안으로 흐르는 물의 압력 감소에 작은 부차적 효과를 가지며, 도관내의 물에 의해 운반되어 방출 통로를 잠재적으로 차단하기에 충분히 큰 입자들이 방출수단(12)의 작동 중 유입부(36)로 들어오지 못하도록 보장하는 여과기를 형성하는 기능을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유입 통로들(38)이 있으므로 하나 또는 두 개의 그러한 통로들이 막히거나 차단되어도, 방출 통로(44)로의 충분한 물 공급을 보장하는 다른 유입통로가 남는다.
튜브(10) 구조물의 다른 특징은 유출부(46) 및 그의 관련 저장통로들(48)과 출구통로(50)이다. 비사용시의 튜브(10)의 팽창안된 편평한 상태에서, 출구 통로들(50)은 수압이 없을 때 그 통로들을 본질상 폐쇄하는 두꺼운 외측벽(26)의 가장자리 아래로 종결한다. 따라서, 팽창안된 상태에서, 그 가장자리는 관개 싸이클이 완성되어 튜브(10)가 배수된 후에 일어날 수도 있는 방출수단(12) 안으로의 먼지 및 다른 이물질들의 침입을 제한하도록 작동할 수 있는 플랩(78)을 형성한다. 비팽창상태에서, 출구통로들(50)은 본래 튜브(10)의 외측까지 폐쇄되므로, 플랩(78)은 또한 방출수단(12)안으로의 뿌리의 침입에 대한 장력작용을 한다.
도관(34) 안의 가압된 물에 의해 튜브(10)가 일단 팽창하면, 두꺼운 외측벽(26)이 변형을 개시함에 따라, 인장력을 받는 플랩(78)은 상승하고, 따라서 출구통로들(50)의 전길이에 걸쳐 물이 방출될 수 있는 슬롯형 유출구를 만든다. 이것은 방출통로(44)로부터 미리 씻겨나간 잔모래 또는 입자들이 통과할 수 있는 큰 유출구를 허용하는 다른 이점을 제공하고, 임의의 출구 통로(50)가 막혀도 물이 튜브(10)로부터 방출되는 넓은 유출구 영역이 남아 있도록 보장한다.
본 발명에 따라 낮은 선밀도의 폴리에틸렌 물질로 구성된 연속 관계 튜브(10)의 시험에서, 약 0.5인치(1.27cm)의 횡방향 폭과 0.016인치(16mils)(0.04cm)의 두께fmf 각각 갖는 두꺼운 내측 및 외측 벽들이 있는 약 1.5인치(3.81cm)의 폭 및 0.006인치(6mils)(0.015cm) 두께의 튜브벽(20)을 사용하여, 평방인치당 4파운드 및 12파운드 사이의 사용압력의 전체 범위에 걸쳐 각 방출수단(12)으로부터 시간당 0.27 갤론에 거의 근사한 유량잉 확실하고 일관되게 발생함을 발견하였다. 그 경우에, 길이가 0.65 인치(1.651㎝)이고 반원형 벽(68)의 반경은 0.009인치(0.023㎝)이며 경사벽들(70)은 각각 0.026인치(0.066㎝)의 길이와 인접한 두꺼운 내측 벽(24)의 표면으로부터 0.006인치(0.015㎝)의 최대 이격거리를 각각 갖는 방출 통로(44)가 형성된다.
단부 벽들(74)을 포함하는 각각의 수평벽(72)의 길이는 0.035인치(0.089cm)로 형성되고 인접한 두꺼운 내측벽(24)의 표면으로부터 0.002인치(0.00051cm) 이격된다. 이 규격은 튜브(10)안에 물이 없을 때 약 0.00058 평방인치(0.00374㎠)의 단면적을 갖는 방출통로(44)를 발생시킨다.
상기 구조를 갖는 튜브(10)를 가압된 물이 도관(34) 안으로 들어오게 함에 의해 작동상태로 배치하였을 때, 도관안의 내압이 평방인치당 약 2파운드에 도달하였을 때, 수평벽돌(72)에 의해 형성된 통로(71)의 부분은 폐쇄되고 따라서 방출통로(44)의 크기를 약 0.0003 평방인치(0.0019cm)까지 압축한다. 그 후에 도관(34) 안의 내압이 평방 인치당 약 8파운드에 도달하면, 방출통로(44)의 영역은 0.00013평방인치(0.00084㎠)로 감소한다. 도관(34)내의 압력이 평방인치당 12파운드에서 방출통로의 면적은 0.00011평방인치(0.00071㎠)로 축소되었다. 평방인치당 4파운드 및 12파운드 사이의 도관(34)내의 전체 사용압력의 범위에 걸쳐서 각각의 방출수단(12)은 연속 튜브 관개 시스템에서 지금까지 얻을 수 있었던 값보다 충분히 낮은 약 0.119의 방출률 지수를 가짐이 판명되었다.
상기로부터, 본 발명의 관개 튜브(10)는 통상의 플라스틱 제조기술을 사용하여 경제적으로 쉽게 형성될 수 있는 매우 신뢰성 있고 효과적인 장치를 제공함으로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튜브(10)는 짧은 길이의 가변 오리피스 방출수단의 원리를 이용하는데, 여기에서는 필요 압력강하가 발생하는 비교적 짧은 길이의 압축된 통로를 이용하여 압력감소가 발생하고, 관개 싸이클의 개시시에 입자들을 씻어내기 위한 넓은 흐름 영역을 제공하는 한편, 전체 정상 사용압력범위에 걸쳐서 거의 일정한 유량이 얻어지도록 보장하는 매우 신뢰성있는 압력 보상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더욱이, 튜브(10)는 방출수단의 막힘이나 차단이 발생하지 않는 큰 유입구 및 유출구를 제공하며, 방출통로에 갇힌 임의의 입자들이 각 작동 싸이클마다 그 방출통로로부터 씻겨나갈 수 있는 세척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비사용시, 출구 통로들은 효과적으로 밀봉되어 시스템의 차단을 야기할 수 있는 모래알갱이와 이물질의 잠입 및 뿌리의 침입을 방지한다.

Claims (35)

  1. 소정의 최소 압력과 최대압력 사이의 용수원 압력 범위에 걸쳐 거의 일정한 유량으로 관개용수를 튜브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불연속 장소들에 공급하기 위해 가압용수원에 결합하도록 된 세류 관개 튜브로서; 비교적 짧은 두께의 중앙 벽부분과, 웨브의 측연부들을 따라 종방향으로 연장하는 비교적 큰 두께의 한쌍의 횡방향 이격된 벽 부분들을 가지며, 그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이 서로 거의 중첩된 대향하는 상태가 되도록 자체가 맡아져서, 내측 및 외측을 가지면 용수원으로부터 압력하에 물을 수용하기 위한 내부 도관을 형성하는 소정 폭의 기다란 웨브; 상기 튜브를 따라 이격된 종방향 장소들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 중 하나에 있는 오목한 홈에 의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중첩된 대향하는 두꺼운 벽부분들 사이에서 상기 내부 도관으로부터 상기 튜브의 외측으로 물을 소통시키기 위한 통로들을 형성하도록 각각 배치된 다수의 불연속 방출 수단들; 및 상기 홈을 포함하는 비접합 부분들이 유입통로부, 조절통로부 및 유출통로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홈 둘레에 상기 중첩된 두꺼운 벽부분들을 서로 결합하는 수단으로서, 상기 유입부 및 유출부의 통로들은 상기 조절부의 통로의 단면적보다 더 큰 단면적을 각각 가지며, 상기 조절부의 상기 통로는 상기 웨브를 따라 종방향으로 상기 내부 도관안의 수압의 증가에 따라 그 단면적을 감소시키도록 변형가능한 상기 접합수단으로 구성되는 세류 관개 튜브.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관 안의 수압에 따른 상기 접합된 대향하는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의 변형에 의해 상기 조절 통로의 상기 변형이 제어되는 세류 관개 튜브.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된 대향하는 비교적 두꺼운 벽부분들은 상기 중앙의 비교적 작은 두께의 벽부분보다 변형에 대해 더 큰 저항을 갖는 세류 관개 튜브.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비교적 두꺼운 벽부분들의 상기 비접합된 부분들이 상기 접합된 대향하는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보다 변형에 대해 더 작은 저항을 갖는 세류 관개 튜브.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통로는 비교적 큰 중앙 부분과, 횡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여 완만하게 모아지는 작은 측방 부분들을 포함하는 세류 관개 튜브.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 통로의 단면적을 수축시킴으로써 상기 조절통로의 상기 변형이 일어나는 세류 관개 튜브.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도관 안의 압력이 증가함에 따라 상기 수축으로 인해 상기 측방부분들이 상기 중앙 부분쪽으로 점진적으로 폐쇄되는 세류 관개 튜브.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는 상기 내부 도관에 압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대체로 편평한 단면형상을 가지며 가압된 물이 상기 용수원으로부터 상기 도관 안으로 들어올 때 대체로 원통형으로 팽창되고, 상기 중앙의 얇은 벽 부분의 단면형상은 소정 최대 압력 이하의 용수원 압력에 대해 상기 중첩된 비교적 두꺼운 벽부분들 곡률 반경보다 짧은 곡률 반경에 의해 형성되는 세류 관개 튜브.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도관안의 수압에 따른 상기 접합된 대향하는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의 궁형 변형에 의해 상기 조절통로의 상기 변형이 제어되는 세류 관개 튜브.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대향하는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의 상기 비접합된 부분들이 상기 접합된 대향은 비교적 두꺼운 벽 부분들보다 변형에 대해 작은 저항을 가지는 세류 관개 튜브.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통로는 비교적 큰 중앙부분과, 횡방향으로 반대로 연장하며 완만하게 수렴하는 작은 측방 부분들을 포함하는 세류 관개 튜브.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통로의 단면적을 수축시킴에 의해 상기 조절통로의 상기변형이 일어나는 세류 관개 튜브.
  13. 소정의 최소압력과 최대압력 사이의 용수원 압력범위에 걸쳐 거의 일정한 유량으로 관개용수를 공급하기 위해 가압 용수원에 결합하도록 된 세류 관개 장치로서; 압력하의 물을 수용하기 위해 용수원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내부압력실을 형성하는 하우징 구조물을 포함하며, 그 하우징 구조물은 상기 압력실 안의 수압에 따른 변형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다른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벽 부분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벽 부분은 내측 및 외측 중첩 벽구간들을 포함하고, 이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은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조절통로를 형성하고 그 조절통로의 양측을 따라 함께 연결되며, 상기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은 상기 조절통로를 상기 압력실 및 상기 하우징 구조물의 외측과 각각 소통시키기 위해 상기 조절통로 양측에 유입구 및 유출구를 더 형성하고; 상기 제2벽부분은 상기 압력실 안의 수압에 따라 변형하여 상기 내측 벽구간을 압축시키고, 상기 외측 벽 구간을 인장시킴으로써 상기 조절 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서 소정 최소 압력과 최대압력 사이의 수압변동에 따라 상기 유출구를 통해 방출하는 물의 유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기 세류 관개 튜브.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부분이 상기 제1벽부분보다 변형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큰 세류 관개 튜브.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벽부분이 상기 제1벽 부분보다 상당히 두꺼운 세류 관개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압력실 안의 수압에 따라 상기 내측 벽 구간이 상기 조절통로에 대해 대략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압축력을 받고 상기 외측 벽 구간이 사이 조절통로에 대해 대략 횡방향으로 작용하는 인장력을 받도록 상기 조절통로가 상기 하우징 구조물에 대해 배향되어 있는 세류 관개 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조물이 기다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통로가 상기 튜브에 대해 대략 종방향으로 연장하도록 배향되어 있는 세류 관개 장치.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이 중첩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고, 그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을 서로 접합하여, 상기 조절통로와 소통하는 비접합된 부분의 양측을 따라 연장하는 접합된 부분들을 형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세류 관개 장치.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 중 하나에는 요홈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은 상기 벽 구간들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접합수단과 협력하여 상기 조절통로를 형성하는 세류 관개 장치.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의 상기 접합된 부분들은 상기 비접합된 부분보다 변형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큰 세류 관개 장치.
  21.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통로는 비교적 큰 중앙부분 및 횡방향 반대로 연장하여 완만하게 축소되는 작은 부분들을 포함하는 세류 관개 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초기에 거의 소정 최소 압력까지의 압력 증가시 상기 조절통로의 상기 작은 부분들을 수축시키고, 따라서 상기 소정 최소압력으로부터 거의 상기 소정 최대압력까지의 추가압력 증가시 상기 조절통로의 상기 큰 중앙부분을 수축시키도록 상기 제2벽 부분이 상기 압력실 안의 수압 증가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세류 관개 장치.
  23.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조물이 상기 압력실 안의 수압의 증가에 따라 팽창할 수 있는 세류 관개 장치.
  2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부분의 상기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이 다수의 분리된 장소들에 상기 조절통로를 형성하는 세류 관개 장치.
  2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조물이 기다란 튜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벽부분의 상기 내측 및 외측 벽 구간들은 상기 튜브를 따라 종방향으로 이격된 다수의 분리된 장소들에 상기 조절통로를 형성하는 세류 관개 장치.
  2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 구조물은 상기 압력실 안의 수압의 증가에 따라 팽창가능하고, 상기 제2벽 부분은 상기 제1벽 부분보다 변형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크며, 상기 조절통로에서의 상기 제2벽 부분은 상기 조절통로의 양측을 따르는 상기 제2벽 부분보다 변형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작고, 상기 제2벽 부분은 상기 제1 벽부분에 양단부가 연결된 변형가능한 비임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및 제2벽 부분들 사이의 접합부는 상기 변형가능한 비임의 단부들에 대한 피봇 지점들을 형성하는 세류 관개 장치.
  27. 소정의 최소압력과 최대압력 사이의 용수원 압력 범위에 걸쳐 거의 일정한 유량으로 관개용수를 튜브를 따라 종방항으로 이격된 다수의 불연속 장소들에 공급하도록 가압 용수원에 결합하기 위한 세류 관개 튜브로서; 압력하의 물을 수용하기 위해 용수원에 연결하도록 되어 있는 내부압력 도관을 형성하는 기다란 가요성 튜블 구성되며, 그 튜브는 서로 연결된 비교적 강서이 작은 제1주변 벽부분과 비교적 강성이 큰 제2주변 벽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2벽부분은 내측 및 외측의 중첩 벽구간들을 포함하고, 이 내측 및 외측 벽구간들은 협력하여 그들 사이에 다수의 종방향으로 이격된 불연속 조절통로들을 형서하고 각각의 그 조절통로의 양측을 따라 함께 연결되며, 상기 내측 및 외측 벽구간들은 상기 조절통로들의 양측에 각각 상기 압력 도관 및 상기 튜브의 외측과 더불어 다수의 유입구 및 유출구를 또한 형성하며; 상기 제2벽 부분은 상기 압력 도관안의 수압에 따라 변형하여 상기 내측 벽구간을 압축시키고 상기 외측 벽구간을 인장시킴으로써 상기 조절통로의 단면적을 변화시켜서 상기 소정 최소압력 및 최대압력 사이의 수압변동에 따라 각각의 상기 유출구들을 통한 물의 방출 유량을 거의 일정하게 유지하는 상기 세류 관개 튜브.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부분이 상기 제1벽 부분 보다 비교적 두께가 두꺼운 세류 관개튜브.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벽구간들은 중첩 대향하는 관계로 배치되어 있고, 그 내측 및 외측 벽구간들을 서로 접합하여, 상기 조절통로와 소통하는 비접합된 부분들의 양측을 따라 연장하는 접합된 부분들을 형성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세류 관개 튜브.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벽구간들중 하나에는 다수의 요홈들이 형성되어 있고, 그 요홈들은 상기 벽구간들중 다른 하나 및 상기 접합수단과 협력하여 상기 다수의 불연속 조절통로들을 형성하는 세류 관개 튜브.
  31.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및 외측 벽구간들의 상기 접합된 부분들이 상기 비접합된 부분들 보다 변형에 대한 저항이 상당히 큰 세류 관개 튜브.
  32. 제31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조절통로들의 횡단면은 비교적 큰 중앙부분 및 횡방향 반대로 연장하는 완만하게 축소되는 작은 부분들을 포함하는 세류 관개 튜브.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부분은 초기에 거의 소정 최소압력 까지의 압력 증가시 상기 조절 통로들의 상기 작은 부분들을 수축시키고, 따라서 상기 소정 최소 압력으로부터 거의 상기 소정 최대압력 까지의 추가 압력 증가시 상기 조절통로들의 상기 큰 중앙 부분들을 수축시키도록 상기 압력 도관안의 수압 증가에 따라 변형할 수 있는 세류 관개 튜브.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벽 부분은 양단부가 상기 제1벽부분에 연결된 변형가능한 비임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벽 부분들 사이의 접합부는 상기 변형가능한 비임의 단부들에 대한 피붓 지점들을 형성하는 세류 관개 튜브.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가 열가소성 시이트 재료로 형성되는 세류 관개 튜브.
KR1019910023225A 1990-12-18 1991-12-17 세류 관개 튜브 KR1002042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630,309 1990-12-18
US7/630,309 1990-12-18
US07/630,309 US5111995A (en) 1990-12-18 1990-12-18 Drip irrigation tub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2667A KR920012667A (ko) 1992-07-27
KR100204261B1 true KR100204261B1 (ko) 1999-06-15

Family

ID=2452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23225A KR100204261B1 (ko) 1990-12-18 1991-12-17 세류 관개 튜브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111995A (ko)
EP (1) EP0491115B1 (ko)
JP (1) JPH04267824A (ko)
KR (1) KR100204261B1 (ko)
AU (1) AU641270B2 (ko)
ES (1) ES2071175T3 (ko)
IL (1) IL99158A (ko)
MX (1) MX9102286A (ko)
ZA (1) ZA916988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0727B2 (en) 2007-02-21 2012-07-17 Seowon Co., Ltd Pressure-compensation drip tape
KR101402017B1 (ko) 2012-05-03 2014-05-30 이해도 점적호스 제조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32887A (en) * 1988-02-16 1998-03-31 Roberts; James C. Drip irrigation tap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324379A (en) * 1993-01-27 1994-06-28 Drip Irrigation System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drip irrigation conduit
US5282578A (en) * 1993-02-08 1994-02-01 T-Systems International, Inc. Self-protecting irrigation hose and method
US5620143A (en) * 1994-10-24 1997-04-15 Drip Tape Manufacturers & Engineers, Inc. Constant-flow irrigation tape and method of making
AU4717999A (en) 1998-07-06 2000-01-24 Rain Bird Sprinkler Manufacturing Corporation Irrigation tube with flexible margin
US7994449B2 (en) * 2000-02-16 2011-08-09 Advanced Cardiovascular Systems, Inc. Square-wave laser bonding
US6736337B2 (en) 2002-02-08 2004-05-18 The Toro Company Pressure compensating drip irrigation hose
IL151446A0 (en) * 2002-08-22 2003-04-10 Netafim A C S Ltd Integral dripping emitter
US20050258279A1 (en) * 2004-05-24 2005-11-24 Nelson Irrigation Corporation Pressure compensating drip tape and related method
WO2006105364A2 (en) * 2005-03-31 2006-10-05 Rain Bird Corporation Drip emitter
US20070138323A1 (en) * 2005-12-16 2007-06-21 Seo Won Co., Ltd. Drip irrigation hose
US7648085B2 (en) * 2006-02-22 2010-01-19 Rain Bird Corporation Drip emitter
US7670521B2 (en) * 2006-03-31 2010-03-02 Flow-Rite Controls,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he manufacture of conduit with assembled components and conduit assembly made therefrom
JP5055012B2 (ja) * 2007-04-27 2012-10-24 大成建設株式会社 舗装構造
US8628032B2 (en) 2008-12-31 2014-01-14 Rain Bird Corporation Low flow irrigation emitter
US20100282873A1 (en) * 2009-05-06 2010-11-11 Mattlin Jeffrey L Drip Emitter and Methods of Assembly and Mounting
US8511596B2 (en) 2010-10-14 2013-08-20 Deere & Company Drip tape management
US9877440B2 (en) 2012-03-26 2018-01-30 Rain Bird Corporation Elastomeric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10440903B2 (en) 2012-03-26 2019-10-15 Rain Bird Corporation Drip line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9485923B2 (en) * 2012-03-26 2016-11-08 Rain Bird Corporation Elastomeric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20130248622A1 (en) 2012-03-26 2013-09-26 Jae Yung Kim Drip line and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9661807B2 (en) 2012-05-24 2017-05-30 Rain Bird Corporation Conduit with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US9668431B2 (en) 2013-11-22 2017-06-06 Rain Bird Corporation Conduit with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US10537073B2 (en) 2012-05-24 2020-01-21 Rain Bird Corporation Conduit with connector and assembly thereof
CN102909852B (zh) * 2012-09-19 2014-09-17 西北农林科技大学 一种滴灌带成型裹折器
US9872444B2 (en) 2013-03-15 2018-01-23 Rain Bird Corporation Drip emitter
US10285342B2 (en) 2013-08-12 2019-05-14 Rain Bird Corporation Elastomeric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10631473B2 (en) 2013-08-12 2020-04-28 Rain Bird Corporation Elastomeric emitter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D811179S1 (en) 2013-08-12 2018-02-27 Rain Bird Corporation Emitter part
US9883640B2 (en) 2013-10-22 2018-02-06 Rain Bird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transporting elastomeric emitters and/or manufacturing drip lines
ES2734213T3 (es) * 2013-11-27 2019-12-04 Enplas Corp Emisor y tubo para riego por goteo
US10330559B2 (en) 2014-09-11 2019-06-25 Rain Bird Corporation Methods and apparatus for checking emitter bonds in an irrigation drip line
GR20140100517A (el) 2014-10-13 2016-06-01 Εμμανουηλ Αριστειδη Δερμιτζακης Υβριδικος διανεμητης και μεθοδος ενσωματωσης σταλακτων και εξαρτηματων σε αρδευτικο αγωγο
EP3209115A4 (en) * 2014-10-23 2018-10-10 Rain Bird Corporation Drip emitter tubing expandable into grid
US10375904B2 (en) 2016-07-18 2019-08-13 Rain Bird Corporation Emitter locating system and related methods
WO2018140772A1 (en) 2017-01-27 2018-08-02 Rain Bird Corporation Pressure compensation members, emitters, drip line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US10626998B2 (en) 2017-05-15 2020-04-21 Rain Bird Corporation Drip emitter with check valve
USD883048S1 (en) 2017-12-12 2020-05-05 Rain Bird Corporation Emitter part
US11985924B2 (en) 2018-06-11 2024-05-21 Rain Bird Corporation Emitter outlet, emitter, drip line and methods relating to same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361359A (en) * 1966-01-10 1968-01-02 Richard D. Chapin Soil soaking system
IL35081A (en) * 1969-08-11 1973-03-30 A C I Operations Trickle irrigation system
US3903929A (en) * 1971-11-10 1975-09-09 Anjac Plastics Irrigation conduit
US3777987A (en) * 1972-08-04 1973-12-11 Allport Davies Irrigation device
US3870236A (en) * 1973-03-14 1975-03-11 Sahagun Barragan Jaime Dripping irrigation tubing
USRE28095E (en) * 1973-03-15 1974-07-30 Water distbibuting hose
US3799442A (en) * 1973-03-26 1974-03-26 W Delmer Fibrous self cleaning irrigation device
US3797754A (en) * 1973-06-21 1974-03-19 L Spencer Continuous tube trickle irrigation
US3896999A (en) * 1973-09-28 1975-07-29 Jaime Sahagun Barragan Anti-clogging drip irrigation valve
ZA754678B (en) * 1974-08-06 1976-06-30 U Tiedt Control system for the uniform distribution of fluid in a hose or tube
US4385727A (en) * 1975-04-22 1983-05-31 Lloyd Spencer Irrigation emitter tube
US3954223A (en) * 1975-06-20 1976-05-04 Rain Bird Sprinkler Mfg., Corporation Trickle irrigator
US3993248A (en) * 1975-08-13 1976-11-23 Harmony Emitter Company, Inc. Fluid flow regulator
US4022384A (en) * 1975-12-08 1977-05-10 Hancor, Inc. Irrigation tubing
IL48810A (en) * 1976-01-08 1977-11-30 Gilead Gideon Hose conduits for drip or trickle emission
US4047995A (en) * 1976-02-02 1977-09-13 Leal Diaz J Hoses for irrigation by dripping and the like and the process to manufacture the same
US4077570A (en) * 1976-05-26 1978-03-07 Harmony Emitter Company, Inc. Penetrably mounted emitter for conduits
IL51080A (en) * 1976-12-10 1984-10-31 Drori Mordeki Flow control device particularly useful for drip irrigation
DE2643710A1 (de) * 1976-09-28 1978-03-30 Gilead Gideon Folienrohr,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herstellung eines solchen folienrohres
MX143576A (es) * 1977-04-11 1981-06-03 Jaime Sahagun Barragan Mejoras en sistema integral de riego por goteo
US4126998A (en) * 1977-10-14 1978-11-28 Gideon Gilead Irrigation apparatus
DE2924708A1 (de) * 1979-06-19 1981-01-22 Gideon Gilea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bewaesserungsschlauches sowie nach diesem verfahren gefertigter bewaesserungsschlauch
US4346737A (en) * 1979-11-15 1982-08-31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Drip irrigation tubing
US4247051A (en) * 1979-12-20 1981-01-27 Davies Allport Irrigation hose and method for its construction
US4541569A (en) * 1981-06-22 1985-09-17 Ris Irrigation Systems Drip irrigation condu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474330A (en) * 1981-06-22 1984-10-02 Ris Irrigation Systems Drip irrigation condui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4548360A (en) * 1982-02-08 1985-10-22 William W. C. Delmer Multichamber drip irrigation hose
US4473191A (en) * 1982-04-01 1984-09-25 Chapin Richard D Drip irrigation system employing flow regulation
US4534515A (en) * 1982-04-01 1985-08-13 Chapin Richard D Drip irrigation system employing adjacently arranged flow-restricting passages
US4430020A (en) * 1982-09-29 1984-02-07 Robbins Jackie W D Drip irrigation hose
US4626130A (en) * 1983-12-12 1986-12-02 Chapin Richard D Drip irrigation system
US4726520A (en) * 1984-04-30 1988-02-23 Rain Bird Sprinkler Mfg. Corp. Continuous tube emitter
US4722759A (en) * 1985-03-01 1988-02-02 James C. Roberts Apparatus for fabricating drip irrigation tape
US4807668A (en) * 1985-03-01 1989-02-28 Roberts James C Drip irrigation tape
US4984739A (en) * 1986-08-04 1991-01-15 Davies Allport Drip irrigation hose
US4763842A (en) * 1987-02-04 1988-08-16 Bill D. McCarthy Water drip device for irrigation
DE3708177C1 (en) * 1987-03-13 1988-04-21 Jan Dipl-Ing Tjaden Irrigation hose
WO1990004464A1 (en) * 1988-10-20 1990-05-03 Davies Allport Drip irrigation ho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220727B2 (en) 2007-02-21 2012-07-17 Seowon Co., Ltd Pressure-compensation drip tape
KR101402017B1 (ko) 2012-05-03 2014-05-30 이해도 점적호스 제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071175T3 (es) 1995-06-16
JPH04267824A (ja) 1992-09-24
MX9102286A (es) 1992-06-01
AU8253991A (en) 1992-06-25
AU641270B2 (en) 1993-09-16
KR920012667A (ko) 1992-07-27
IL99158A (en) 1996-06-18
US5111995A (en) 1992-05-12
EP0491115A1 (en) 1992-06-24
ZA916988B (en) 1992-07-29
EP0491115B1 (en) 1995-03-01
IL99158A0 (en) 199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4261B1 (ko) 세류 관개 튜브
WO2000001219A1 (en) Irrigation tube with flexible margin
EP0709020B1 (en) Constant-flow irrigation tape and method of making
AU573695B2 (en) Method of and means for forming and sealing helically wound tubes
US5785785A (en) Method of making constant flow irrigation tape
US6371390B1 (en) Drip irrigation hose and method of making same
US4726520A (en) Continuous tube emitter
AU2003216222B2 (en) Pressure compensating drip irrigation hose
US7735758B2 (en) Drip irrigation hoses of the labyrinth type and flow-control elements for producing such hoses
US4639165A (en) Drainage tube
CN1468151A (zh) 滴灌带
GB2296274A (en) Inflatable packer with wide slat reinforcement
WO1990000649A1 (en) Crest gate
EP0865541A1 (en) Agricultural drip tape
US4548360A (en) Multichamber drip irrigation hose
US4173309A (en) Flow control devices particularly useful for drip irrigation
KR101469952B1 (ko) 전도 및 퇴적을 방지하는 변형방지장치
NL7906713A (nl) Inklapbare rubber dam.
CA2437379C (en) Flexible weir style pinch valve
US4346737A (en) Drip irrigation tubing
US20120263535A1 (en) Drainage element and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same
EP0928847B1 (en) Rubber dam
US4260111A (en) Drip irrigation conduit
US5217557A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thermoplastic levee gates
JP4411245B2 (ja) 河川取水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取水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