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988B1 - 취입성형 압출헤드 - Google Patents

취입성형 압출헤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988B1
KR100201988B1 KR1019920007959A KR920007959A KR100201988B1 KR 100201988 B1 KR100201988 B1 KR 100201988B1 KR 1019920007959 A KR1019920007959 A KR 1019920007959A KR 920007959 A KR920007959 A KR 920007959A KR 100201988 B1 KR100201988 B1 KR 1002019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nnel
head
plunger
inlet
me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07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16223A (ko
Inventor
루이스 쏜 제임스
이그나티우스 빌 크리스토퍼
매토 밸라스코 마이클
Original Assignee
조 에이. 포웰
더 게온 컴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 에이. 포웰, 더 게온 컴파니 filed Critical 조 에이. 포웰
Publication of KR9300162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162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9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98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0Extrusion nozzles or dies
    • B29C48/32Extrusion nozzles or dies with annular openings, e.g. for forming tubular articles
    • B29C48/34Cross-head annular extrusion nozzles, i.e. for simultaneously receiving moulding material and the preform to be coa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25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8/36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 B29C48/475Means for plasticising or homogenising the moulding material or forcing it through the nozzle or die using pistons, accumulators or press r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8/00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 B29C48/03Extrusion moulding, i.e. expressing the moulding material through a die or nozzle which imparts the desired form;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extruded material at extrusion
    • B29C48/09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 B29C48/10Articles with cross-sections having partially or fully enclosed cavities, e.g. pipes or channels flexible, e.g. blown 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9/00Blow-moulding, i.e. blowing a preform or parison to a desired shape within a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9/02Combined blow-moulding and manufacture of the preform or the parison
    • B29C49/04Extrusion blow-moulding
    • B29C49/041Extrusion blow-moulding using an accumulator hea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K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B29B, B29C OR B29D, RELATING TO MOULDING MATERIALS OR TO MATERIALS FOR MOULDS, REINFORCEMENTS, FILLERS OR PREFORMED PARTS, e.g. INSERTS
    • B29K2027/00Use of polyvinylhalogenides or derivatives thereof as moulding material
    • B29K2027/06PVC, i.e. polyvinylchloride

Abstract

취입성형 기계를 위한 압출헤드에서 가동플런저는 분배기 헤드내에 활주가능하게 장착되어 있고 이는 채널의 유입구 단부에서 용탕을 수용하고 채널의 종단단부까지 상기와 같은 채널을 따라 향하고 플런저는 축압기 챔버의 충전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퇴각하고 축압기 챔버를 충전하기 위하여 분배기 헤드의 하부외주에지의 방사상 나선진로를 따라 동시에 향한다. 인접한 외주벽과 분배기 헤드의 곡선형상에 의해 형성된 채널은 단면이 곡선인 매끄러운 일체형 유동채널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취입성형 압출헤드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취입성형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압출장치를 부분적으로 단면을 도시한 정면도.
제2도는 축압기 헤드내의 용탕의 저장소를 도시한 플런저헤드가 수축된 상태의 제1도에 도시된 압출장치의 정면도.
제3도는 제1도에 도시된 분배기 헤드의 정면도.
제4도는 제3도의 4-4 선을 취한 분배기 헤드의 단면도.
제5도는 제4도의 5-5 선을 취한 분배기 헤드의 횡단면도.
제6도는 제4도의 6-6 선을 취한 분배기 헤드의 횡단면도.
제7도는 제4도의 7-7 선을 취한 분배기 헤드의 횡단면도.
제8도는 유입구 단부로부터 종단 단부까지의 분배기 헤드에 의해 나타난 유동채널의 변하는 형상을 도시하기 위하여 제4도 내의 A 내지 E 선을 취한 분배기 헤드의 하부부분의 일련의 형상을 도시한 횡단면도.
제9도는 분배헤드의 유입구로부터 복수의 분리 유동진로를 따라 분배기 헤드의 하부 단부부분까지의 용탕의 유동을 도시한 도표.
제10도는 용탕의 나선 유동진로를 도시한 분배기 헤드의 사시도.
제11도는 제1도와 유사한 취입성형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수정된 압출장치의 부분 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도시된 분배기 헤드의 정면도.
제13도는 제12도의 13-13 선을 취한 방법에 헤드의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축압기 몸체 12 : 중심 상부구멍
13 : 하부구멍 15 : 쇼올더
16 : 유입구 17 : 분배기 헤드
25 : 원형다이 26 : 원형갭
29 : 패리슨 37 : 유압식 실린더
본 발명은 취입성형 기계에 사용되는 압출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플라스틱 유동성 물질을 취입성형하기 위하여 축압기에 주입하기 위한 분배기 헤드 및 플런저를 포함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압출헤드에 관한 것이다.
압출취입성형은 연속 압출방법 혹은 단속 압출방법으로서 행해진다. 연속 압출방법은 PVC 및 열에 민감한 다른 수지가 가장 적합한데 그 이유는 완만하고 연속적인 유동이 수지의 열저하 현상을 감소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연속 성형방법에 있어서, 성형방법은 연속유동을 수용하기 위해서 왕복 또는 회전된다. 단속 압출방법은 폴리올레핀(polyolefin) 및 열에 민감하지 않은 다른 수지에 사용되기에 바람직하고 간단한 성형기계가 사용된다. 단속 압출기계는 3가지 범주로 나눈다 : 즉 왕복나사, 램압출기, 그리고 압출축압기 헤드 시스템이다. 왕복나사는 전면에 용탕을 축적해서, 앞으로 빠르게 가압하고, 따라서 용탕은 다이헤드를 통해서 패리슨(parison)을 형성하도록 힘을 받는다. 이 경우에, 나사전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나사내에 잔류하는 용탕은 PVC 혹은 열에 민감한 열가소성 물질과 함께 시험된다면 열을 받아서 열저하 문제를 유발할 수 있다. 램축압기 보조실린더내에 용탕이 축적되어서 특수한 램에 의해서 압출된다. 이 경우에, 먼저 축압기에 유입된 용탕이 나중에 압출된다는 단점이 있다. 이런 시스템에서 용탕의 전후는 균일하지 못하다. 축압기 헤드는 가동될 수 있는 관형 플러저를 가지는 압출 다이헤드로 작동되고 상기 열관형 플런저는 축압기 챔버가 먼저 유입된 용탕을 먼저 압출되는 유동경로를 가지는 압출기에서 직접 충전될 때 구동된다. 전형적인 축압기 헤드에서, 용탕은 한쪽면에서 유입되어서 용탕이 플런저 헤드주위를 유동할 때 분리되며, 용탕이 축압기 챔버를 채울 때 반대편을 재충전한다. 이 방법 및 유용한 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하나의 문제점은 용접 및 접합선이다. 용탕 분배의 유동학적으로 바람직한 구조로부터, 분리된 용탕유동이 발생하는 유동선(접합선)의 방향이 같이가고 다른곳보다 더 연신지고 취입물품내에서 얇은점으로 인도되기 때문에 일정한 두께의 분배를 나타낸다. 이러한 연신은 물품의 크기가 커져 각도가 증가할 때 더 명백히진다.
미합중국 특허 제4,422,838 호에는 안에 위치되어 있는 가동분기 플런저를 지지하는 몸체부분을 가진 압출헤드가 설명되어 있는데, 유입구 구멍을 통하여 몸체부분안으로 용탕이 유동할 때, 용탕은 드로틀 하부에지 주위로 이동하도록 공동 또는 너울진 부분으로 요홈을 경유하여 유동한다. 공동과 둘러싸인 벽사이의 갭은 제4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질적으로 균일하다. 본원에서 용탕은 플런저가 상승하는 곳까지 요홈으로 유동할 것이고 용탕은 축적되기까지 압출되지 않을 것이다. 더욱이, 종방향의 유동채널의 갭의 크기는 유입구 단부로부터 종단 단부까지 본질적으로 일정하고 이는 경사진 쇼올더 또는 드로틀 하부에지에서 떨어져 비균일한 유동을 하게 하는 결과가 된다. 이러한 제한적인 드로틀 하부에지는 용탕의 과도한 시어링을 낳게하고 과도한 국부가열을 열저하를 야기할 수도 있다.
하나의 해결책으로 이중 또는 동축으로 이격된 용탕을 사용하는 것이 시도되었으나 또한 동심적이었다. 그러나, 이경우에 있어서도, 저하가 개시되는 곳의 종방향 요홈내에 잔류하는 열간 용탕이 부가적인 문제점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축압기내의 잔류시간을 최소화하는 것이며 이에 의해 열에 민감한 재료를 처리할 수 있는 능력을 향상시킨다. 더욱이, 패리슨내의 균일한 벽두께는 얇은곳을 생성하지 않고 패리슨의 전체 외주에 걸쳐 균일한 용탕 분배를 보장하는 신규하고 개선된 용탕공급 시스템으로서 획득된다.
본 발명은 용탕 공급원과 종단부와 같이 180도 대향된 종단부와 정렬된 유입구 부분을 가진 원통형상의 고정분배기 헤드의 내부에 정착된 왕복 가능한 가동 플런저를 포함한 압출축압기 헤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분배기 헤드는 유입구부분으로부터 종단부분까지와 분배기 헤드의 하부 외주에지까지 나선방사상 진로를 따라 분배기 헤드와 중앙 코어 또는 튜브, 둘러싸는 벽, 플런저의 하부부분에 의해 형성된 축압기 챔버안으로 향하도록 둘러싸는 벽과 협동한다. 이러한 플런저는 패리슨을 형성하도록 플런저에 의해 연속적인 압출을 허용하도록 충분한 용탕이 공급될때까지 축압기 챔버를 확장하도록 퇴각한다.
이제 도면을 참조하면, 도면에서 같은 참조번호는 여러장의 도면 전체를 통해서 같거나 상응하는 부분을 나타내며, 압출축압기 헤드시스템의 내부플런저를 도시한 제1도에는 원통형지지체 혹은 축압기 몸체(10)가 도시되어 있다.이러한 압출기 헤드축압기 몸체(10)는 같은측의 중심상부구멍(12) 및 하부구멍(13)을 구비하고 하부구멍(13)의 직경은 상부구멍(12)의 직경보다 작다.원형의 경사진 쇼올더(15)는 상부구멍(12)과 하부구멍(13) 사이의 접합부에 형성되어 있다.축압기 몸체(10)는 상부구멍(12)과 도관(11)을 연결하는 유입구(16)를 가진다.상부구멍(12)에 설치되어 있는 수직방향으로 뻗어있는 분배기 헤드(17)는 축압기 몸체(10)에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다. 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분배기 헤드(17)는 수직방향으로 설치되고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중심구멍(18) 및 갭 혹은 이격된 간격(21)(제2도 참조)을 형성하기 위해 경사진 쇼올더(15)와 결합되고 하부단부에 있는 원형의 경사진 쇼올더(20)를 가진다.길이방향으로 뻗어 있는 곳 및 분배기 헤드(17)의 중심구멍(18)에 동축상으로 혹은 같은 중심으로 설치된 것은 코어튜브(23)이다.코어튜브(23)의 하단부는 원통형굴대(24)가 부착되어 있고 원통형 지지체 혹은 축압기(2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는 원형다이(25)와 결합해서 코어튜브(23)의 하단부와 원형다이(25) 사이에 원형 갭(26)을 형성하며,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패리슨의 형성을 용이하게 한다.코어튜브(23)의 상부는 횡단 브래킷에 고정되어 있는 유압식 실린더(22)의 피스톤봉(19)에 고정되어 있고 횡단 브래킷(27)은 고정된 원통형 지지체(10)에 적절하게 부착되어 있다.유압식 실린더(22)는 코어튜브(23)를 제1도에 도시된 위치에서 제2도에 도시된 위치까지 약간만 상부로 이동시키면 원형다이(25)와 굴대의 하부사이에 갭(26)을 형성하여서 완충실에서 용탕의 흐름이 용이하게 한다.제1도에 도시된 것처럼 코어튜브(23) 및 굴대(24)의 하부에서, 굴대(24)는 원형다이(25)의 경사진 내부외형면에 대해서 확고하게 착좌된다.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것처럼, 통로(28)는 코어튜브(23)를 통해서 길이방향으로 뻗어있어서 패리슨(29)(제2도 참조)의 형성에 도움이 되고, 압축된 공기의 제어된 통행을 허용한다.
분배기 헤드(17)의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중심구멍(18)내의 이동 가능하게 저어널 되어있는 것은 하부의 경사진 원형 피스톤표면(31) 및 플런저를 가진 상부 단부(32)를 가지고 길이방향으로 뻗어있는 환형 플런저(30)이며, 플랜저를 상기 단부(32)는 분배기 헤드(17)에서 돌출되고 유압식 실린더(37)내 피스톤 헤드(36)의 봉(35)과 적절하게 연결되어 있다.유압식 실린더(37)는 볼트(39)에 의해서 원통형 지지체(10)에 적절하게 고정된 횡단 브래킷(38)에 적절하게 고정되어 있다. 알맞게 가압되는 유체원은 하기한 방법으로 유압식 실린더(37)에 연결되어서 피스톤봉(35) 및 플런저(30)의 왕복운동 혹은 이동을 제어한다.
구멍(12){원통형 지지체(10)}의 내부벽면과 결합되어 있는 분배기 헤드(17)는 유동통로(40)를 형성하고 유동통로(40)의 유입부 혹은 유입단부(41)는, 제1도 및 제3도에 도시된 것처럼, 축압기 몸체(10)내의 유입구멍(16)으로부터 직접 가로질러 있다. 유입부 혹은 유입단부(41)내에 180정반대편에 위치되어 있는 것은 제4도의 횡단선 E를 취한 바와같이 제3도에 도시되어 있는 종단단부(42)이다. 이와 관련해서, 도면부호(41, 42)는 분배기 헤드(17)의 벽에 위치하고 분배기 헤드 및 통로(40)의 부재 및 형상을 설치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한다. 분배기 헤드의 부가적인 측면단면이 제4도에 도시되어 있는 선 5-5, 6-6 및 7-7을 취한 바와같은 제5도, 제6도 및 제7도에 도시되어 있다. 분배기 헤드의 형상 및 구조를 한정하기 위하여, 제4도의 A, B, C, D 및 E 선을 취한 몇 개의 부가적인 횡단면도가 제8도에 도시되어 있고, 통로(40)의 변화하는 형상을 도시하기 위하여 대응하는 문자로 도시되어 있다. 유입구부분(41)에서의 유동채널(40)의 최대깊이는 a로 도시되어 있고 이러한 채널의 가장깊은 부분이다. B 선에서 취한 부분에서 유동채널(40)의 최대깊이는 b로 도시되어 있고, C 선에서 취한 부분에서 유동채널(40)의 최대깊이는 c이고, D 선에서 취한 부분에서 유동채널의 깊이는 d이고, 부분(42)에서는 e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abcde이고 이는 유입구부분(41)으로부터 종단부(42)까지의 유동의 최대깊이가 점차적으로 증가 즉,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종단부부분까지 깊이가 감소한다는 의미이다. 상기한 분배기 헤드에 있어서, 유동채널(40)이 제4도에 두 개의 화살표(L.M)으로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구부분(41)으로부터 시작하여 종단부(42)까지의 유동진로로 분배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유입구부분(41)으로부터 종단단부부분(42)까지의 깊이의 감소에 부가하여, 유동채널(40)도 또한 높이가 ha로 지시된 유입구부분(41)으로부터 높이가 he로 지시된 종단단부부분(42)까지의 높이가 감소한다. 종래 기술의 분배기 헤드에 있어서, 상부 분기채널 또는 효홈과 제한영역 또는 하부요홈을 참조하라. 이러한 형식의 구조에 있어서, 상부요홈은 큰 치수의 매니폴드의 역할을 하고 하부분리 요홈은 랜드라고 불리는 제한영역이었다. 이러한 랜드부분은 용량유동에 대한 주요 저항으로 작용하고 매니폴드는 랜드에 유동을 분배하도록 작용하나, 요홈내의 유동은 층상 절첩 및 유동 잔류시간을 증가시키고 열저하의 증가된 기회로 인도하는 혼합의 결과로 요홈내에서 제2차 유동순환을 하게 한다. 또한, 랜드의 갭은 열저하에 대한 폴리머의 시어가열을 가능하게 하는 저항을 가진 용탕유동의 분배기능을 달성하기 위하여 절첩될 수 있도록 충분히 제한되어야만 한다. 분배기 헤드(17)내에서 유동채널(40)의 중요성은 이러한 통로의 횡단면형상이 하부선 주위의 모든점에서 동일한 분배기 헤드(17)의 외주하부(51)(제3도)에서의 유량을 제공하도록 공동의 단일채널에 분기 또는 제한영역을 통합하는 연속유동을 가진 곡선채널인 것이다. 이를 도시하기 위하여, 유입구단부(41)로부터 종단단부(42)까지의 유동채널이 납작하다고 가정하고, 유동채널이 시계방향과 반시계방향이 대칭이라고 가정하면 유동채널의 반시계방향의 부분만이 제9도에 도시되었다고 생각된다. 분배기 헤드(17)의 바로 그 하부와 원통형 지지체(10)의 하부구멍(13)의 인접내측벽 사이의 갭 또는 틈새공간은 하부구멍(13)의 내측벽과 채널(40)사이의 갭의 나머지 부분이 유입구(41)에서 모두 개시되는 제10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각각 나선의 방사성선 R2, R3, R4및 R5의 단부에서 균일한 유량을 제공하도록 변경될때만 불균일하다. 선 R1은 가장 짧은 거리를 이동하고 유입구(41)로부터 수직평면을 직접 하방으로 이동하고 나머지 R2내지 R5로부터의 유동선은 방사상 나선이고 유입구(41)로부터 제9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분배기 헤드(17)의 바로 하부까지 연장되어 있다. R2내지 R5의 중요성은 R2로부터 R5까지의 방사상 나선의 속도가 증가하고 이에의해 동시에 분배기 헤드의 외주하부선에 모든 용탕의 부분이 도착한다. R1내지 R5에 의해 도시된 바와같이 방사상 나선유동선의 다른 가정방법은 이들 선을 각각 따라 다른 나선 유동진로의 깊이를 변경하여 분배헤드의 가장 낮은 하부에지에서 유동을 균형시키는 것이고, 편차 용량유동은 다른 시간간격으로 나선 유동진로를 따라 동일하다. 상부구멍(12)의 내측벽과 분배기 헤드(분배기 헤드의 외측벽과 교차하는 선을 취한, 이선은 중앙축을 통하여 통과하는 평면내에 놓여있고 이 평면은 외주평면에 수직이다)의 외측벽사이를 취한(분배기 헤드의 증앙축에 수직인 외주평면을 따라 갭을 흐르는 유동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입구부분으로부터 종단단부부분까지의 치수가 증가한다. 갭의 치수가 증가된 이들형식으로서, 유입구부분(41)에서 채널(40)로 들어가는 용탕의 유동진로는 선 R1내지 Rn을 따라 상기한 바와같이 복수의 유동진로에서 일어나고, 분배기 헤드의 외주 하부부분에 도착하고 하부구멍(13)과 코어튜브(23) 플런저(30)에 의해 형성된 축압기 챔버(52)(제2도)내에 축적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플런저(30)를 상방으로 가압하고, 그때까지 적당한 양이 축적되고 그런 다음에 플런저(30)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하방으로 신속하게 이동되고, 이 작동과 동시에 채널(40)안으로의 유동은 계속되고 패리슨(29)은 굴대(24)에 의해 수정된 바와같이 다이(25)를 통하여 통과할 때 압출되어 형성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작동에 있어서, 용탕이 챔버(52)내에 축적될 때 유압식 실린더(37)는 원하는 패리슨이 형성되도록 축압기 챔버가 용탕을 충분히 가질때까지 플런저(30)쌍의 용탕에 작용하는 힘의 협력으로 제1도에 도시된 위치로부터 제2도 도시된 위치까지 플런저를 천천히 상승시키도록 작용할 것이고, 그때에 유압식 실린더(37)의 헤드단부는 유압식 실린더(22)가 패리슨의 형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굴대(24)와 다이(25)사이의 갭 또는 틈새공간을 형성하도록 코어튜브(23)를 약간 들어올리도록 작동되도록 플런저(30)를 하방으로 가압하도록 작동된다.
본 발명의 수정예가 제11도, 제12도 및 제13도에 도시되어 있는데, 플런저(30')는 분배기 헤드(17')의 외부외주에 위치되어 있고, 분배기 헤드(17')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중심구멍이 가동 플런저를 수용하지 않기 때문에 직경이 작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1 실시예의 것과 동일하다. 이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프라임(')이 붙은 도면부호를 사용하였는데 구조와 구조의 작동이 제1 실시예와 실제적으로 동일하기 때문이다.
플런저(30)')는 형상이 원형이고 외부원통형 지지체(90)의 중앙구멍내에 장착되어 있다. 내부원통형 지지체(91)는 원형플런저(30')가 왕복할 수 있는 챔버 또는 요홈(92)을 형성하기 위하여 원통형 지지체(90)의 중간구멍부분(80)과 협동하기 위하여 하부외부 외주상에서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요홈을 가지고 있다. 외부 및 내부원통형 지지체(90, 91)의 상부부분들은 일체형 지지체 또는 축압기 몸체(10')를 형성하기 위하여 볼트(93)에 의해 그들의 상호연결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플랜지 부분을 각각 가지고 있다. 내부 원통형 지지체(91)는 유압식 실린더(96)에 장착되어 있는 한 단부가 플런저(30')에 고정되어 있어 다른 한 단부가 피스톤(95)에 고정된 봉(94)을 수용하기 위한 수직으로 연장된 구멍을 가지고 있다. 실린더(96)의 봉단부의 가압은 플런저(30')를 수직으로 상승시킬 것이며 실린더(96)의 헤드단부의 가압은 제11도에 도시된 것과 같이 플런저(30')를 하강시킬 것이다. 내부 원통형 지지체(91)의 내부구멍은 설명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분배기 헤드(17')에 관하여 위치되어 있는 상부구멍부분(12')과 하부구멍부분(13')을 가지고 있고, 분배기 헤드(17')는 제3도, 제5도 내지 제8도 및 제10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분배기 헤드(17)에 관하여 설명된 바와 같이 같은 방법으로 성형되어 있다. 이들 헤등서의 다른점은 분배기 헤드(17')가 원통형상이고 상기한 바와같이 축압기 챔버(52)와 유사한 기능의 축압기 챔버(52')를 형성하도록 외부원통형 지지체(90)와 협동하는 것이 다르다.
내부원통형 지지체(91)와 외부원통형 지지체(90)내의 한쌍의 정렬된 구멍(98, 99)은 제1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유입구단부(41')로 각각 지정되어 있다. 적절한 도관(100)은 제1 실시예에서 설명된 바와같이 분배기 헤드(17')와 플런저(30')의 협동작용에 의해 처리되기 위하여 그곳에 열간 용탕을 공급하기 위하여 구멍(99)에 연결되어 있다. 분배기 헤드(17')내의 하부구멍(81)내에 가동굴대(24')가 위치되어 있고 이는 굴대(24')를 선택적으로 상승 및 하강시키는 유압식 실린더내의 피스톤(82)에 봉(82)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원형다이(25')는 공지의 기술에서 공지된 바와같이 굴대(24')가 패리슨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승될 때 허용하거나 챔버(52')로부터 용탕의 유동을 차단하기 위하여 외부원통형 지지체(90)의 하부부분에 고정되어 있다.
특정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어 있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증을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변경 및 수정을 행하여도 본 기술분야에 숙달된 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Claims (10)

  1. 취입성형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압출헤드에 있어서, 중합체 용탕을 상기 압출헤드로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압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기 헤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중심구멍을 가진 원통형 지지체를 가지고, 다이부재가 상기 배출구 구멍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지지체는 처리를 위하여 용탕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 구멍을 가지고, 상기 원통형 지지체에 고정되어 있고 중심구멍의 상부부분내에 위치된 분배기 헤드와, 상기 분배기 헤드는 상기 중심구멍과 동축인 중심구멍을 가지고, 상기 중심구멍내에 저어널 되어 있는 플런저와, 상기 분배기 헤드는 하부 외주바닥 부분을 가지고, 동력수단은 상기 다이부재를통하여 용탕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부재 및 다이부재로부터 상기 플런저가왕복작동되도록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그것의 외주주위로 연장된 용탕 유동채널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상기 원통형 지지체의 유입구구멍과 연통하는 유입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상기 유입구 구멍과 대각선으로 대향된 종단단부 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횡단면이 만곡된 상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하부직선 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횡단면이 만곡된 곡선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상부부분과 하부부분을 연결하는 중간직선 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의 상기 하부직선 부분은 상기 분배기 헤드의 외주하부 부분에서 종단되고, 상기 채널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서 상기 중심구멍의 부분이 그사이에서 용탕이 축적되도록 상기 다이부재로부터 멀리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상기 채널로부터 용탕을 향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종단단부부분까지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는 원형부재이고, 상기 동력수단은 패리슨을 압출하도록 상기 다이부재쪽으로 상기 플런저를 이동시키도록 작용하고 상기 유입구 구멍으로부터 상기 다이부재쪽으로 용탕의 유동을 허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3. 제1항에 있어서, 갭이 상기 곡선채널과 상기 중앙구멍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되는 대향된 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갭은 상기 분배기 헤드를 따라 유동하는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 들어가는 용탕의 균일한 나선의 유동진로를 제공하기 위하여 치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유동진로는 상기 분배기 헤드의 전체외주의 가장 낮은 극단부를 따라 용탕의 균일한 유동분배를 제공하도록 상기분배가 헤드의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방사상 유동진로가 이동하는 거리가 증가할 때 용탕의 속도가 증가하도록 치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5. 제3항에 있어서, 유동하는 용탕은 상기 분배기 헤드의 상기 전체 외주의 하부부분을 따라 균일한 유동분배를 제공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기 헤드의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이동하는 거리가 방사상 유동진로의 길이보다 증가할 때 일정한 속도 또는 증가된 속도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동채널에 의해 형성된 상기 갭의 가장 상부부분은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종단단부부분까지 폭이 증가하고, 상기 폭은 상기 중심구멍의 축에 직각인 선을 따라 측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7. 제1항에 있어서, 갭이 곡선채널과 상기 중심구멍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대향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곡선채널은 상기 중심축을 평면에 포함될 때 상기 채널의 상기 유입구부분으로부터 상기 종단단부까지 점진적으로 감소하는 용량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갭은 상기 분배기 헤드의 가장 낮은 극단부인 상기 분배기 헤드의 상기 외주방향의 하부부분을 따라 각각의 점에서 균일한 유동분배를 제공하도록 비례적인 상기 중심축을 포함하는 평면에서 치수결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9. 취입성형 기계에 사용하기 위한 압출헤드에 있어서, 중합체 용탕이 상기 압출헤드에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압출기를 구비하고, 상기 압출헤드는 중심 구멍을 가진 지지수단을 가지고, 상기 중심구멍은 배출구 구멍부분을 가지고, 다이부재는 상기 배출구 구멍부분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지지수단은 처리를 위하여 용탕을 수용하기 위한 유입구 구멍을 가지고, 분배기 헤드는 상기 중심구멍의 상부부분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체 수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상기 중심구멍과 동축인 중심구멍을 가지고, 굴대는 상기 중심구멍에 저어널 되어 있고, 동력작동 수단은 패리슨을 형성하기 위하여 갭을 형성하도록 상기 다이부재로부터 굴대를 멀리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상기 굴대에 연결되어 있고, 원형 플런저는 상기 중심구멍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하부외주 하부부분을 가지고, 동력수단은 상기 갭을 통하여 용탕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부재 및 다이부재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왕복가능하게 작동가능한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그것의 외주주위로 연장된 용탕 유동채널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상기 지지체 수단의 상기 유입구 구멍과 연통하는 유입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상기 유입구 구멍과 정반대로 대향된 종단단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단면이 곡선인 채널을 형성하도록 하부직선 부분과 병합된 만곡된 상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의 상기 하부직선 부분은 상기 분배기 헤드의 상기 외주 하부부분에서 종단되고, 상기 채널은 용탕을 축적하도록 상기 다이부재로부터 상기 플런저가 이동하도록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서 상기 중심구멍의 부분까지 상기 채널로부터의 용탕을 향하게 하도록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상기 종단단부부분까지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강하고, 상기 곡선 채널은 상기 하부의 외주하부부분과 상기 종단단부부분쪽으로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부터 유동하는 상기 유입구 부분으로 들어가는 용탕을 위한 나선진로를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분배기 헤드와 상기 중심구멍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벽표면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10. 취입성형 기계에서 사용하기 위한 배출헤드에 있어서, 중합체 용탕을 상기 압출헤드에 균일하게 전달하기 위한 압출기를 가지고, 상기 압출헤드는 종방향으로 연장된 중심구멍과 축과 일치하는 환형 요홈을 가진 원통형의 지지수단을 가지고, 상기 중심구멍은 배출구 구멍부분을 가지고, 다이부재는 상기 배출구 구멍수단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원통형 지지수단이 처리를 위한 용탕을 수용하기 위하여 유입구 구멍을 가지고, 분배기 헤드는 상기 원통형 지지수단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중심구멍의 상부부분내에 위치되어 있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상기 중심구멍과 동축인 중심구멍을 가지고, 플런저는 상기 환형 요홈내에 저어널되어 있고, 동력수단은 상기 다이부재를 통하여 용탕을 전달하기 위하여 상기 다이부재 및 부재로부터 상기 플런저를 왕복시키기 위하여 작동가능한 상기 플런저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하부의 하부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분배기 헤드는 그것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용탕 유동통로를 가지고, 상기 채널은 상기 원통형 지지체 수단의 상기 유입구 구멍과 연통하는 유입구 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상기 유입구 구멍과 대각선 대향된 종단단부부분을 가지고, 상기 채널은 단면이 만곡된 상부부분을 가지고 단면이 곡선인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하부직선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채널의 상기 하부직선부분은 상기 분배기 헤드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부분에서 종단되고, 상기 채널은 용탕이 상기 채널로부터 용탕이 축적되도록 상기 다이부재로부터 멀리 상기 플런저를 이동하도록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서 상기 중심구멍부분까지 향하도록 상기 종단단부부분까지 외주방향으로 연장되어 있고 하강하고, 갭이 상기 곡선채널과 상기 중심구멍의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대향벽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갭은 용탕이 상기 유입구부분으로 들어가 외주방향으로 연장된 하부바닥부분으로 상기 분배기 헤드를 따라 유동하기 위한 방사상의 균일한 나선 유동진로를 제공하도록 치수결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압출헤드.
KR1019920007959A 1992-01-21 1992-05-12 취입성형 압출헤드 KR10020198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7/822,8130 1992-01-21
US07/822,813 US5356282A (en) 1992-01-21 1992-01-21 Blow molding extrustion head
US7/822,813 1992-01-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16223A KR930016223A (ko) 1993-08-26
KR100201988B1 true KR100201988B1 (ko) 1999-06-15

Family

ID=25237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07959A KR100201988B1 (ko) 1992-01-21 1992-05-12 취입성형 압출헤드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356282A (ko)
EP (1) EP0552398A1 (ko)
JP (1) JPH05245834A (ko)
KR (1) KR100201988B1 (ko)
CA (1) CA2065826C (ko)
MX (1) MX9201840A (ko)
TW (1) TW23827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82563B1 (it) * 1996-05-07 1998-03-27 Nupi Spa Metodo e testa di estrusione per realizzare tubi in materie plastiche aventi scarsa tolleranza alle pressioni di estrusione
JP2002103428A (ja) * 2000-09-29 2002-04-09 Toyo Seikan Kaisha Ltd 多層プリフォームおよびこれを用いて製造した多層ボトル
EP1385689B1 (de) * 2001-05-07 2004-07-28 Soplar Sa Extrusionskopf zur herstellung eines schlauch- oder rohrförmigen kunststoffstranges
US7618571B2 (en) * 2006-04-25 2009-11-17 Uniloy Milacron S.R.L. Apparatus and method for blow moulding
JP7317565B2 (ja) * 2019-04-26 2023-07-31 株式会社Fts ブロー成形装置
CN110171119A (zh) * 2019-05-30 2019-08-27 王小兵 一种螺旋波纹管连续成型工艺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302513A (ko) * 1963-02-14 1900-01-01
US3386132A (en) * 1965-10-22 1968-06-04 Hoover Ball & Bearing Co Extrusion apparatus
DE2100192C3 (de) * 1971-01-04 1983-02-24 Kautex Werke Reinold Hagen Gmbh, 5300 Bonn Strangpreßkopf zum Herstellen eines Hohlstranges
US3909183A (en) * 1974-03-18 1975-09-30 Hoover Ball & Bearing Co Parison extrusion head
US3985490A (en) * 1974-06-04 1976-10-12 Mauser Kommanditgesellschaft Apparatus for extruding a homogeneous tubular length of soft thermoplastic material
DE2510127C2 (de) * 1975-03-06 1983-09-22 Battenfeld Maschinenfabriken Gmbh, 5882 Meinerzhagen Strangpreßkopf zum Herstellen eines aus zwei konzentrischen, mit ihren Fließnähten versetzt zueinander angeordneten Schichten bestehenden Verbundschlauch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DE2537419C2 (de) * 1975-08-22 1983-08-11 Bekum Maschinenfabriken Gmbh, 1000 Berlin Schmelzeverteiler in Rohr- oder Blasköpfen mit einer Pinole als Kern und diese umgebenden Gehäuse
US4149839A (en) * 1975-12-30 1979-04-17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Blow molding apparatus
US4120633A (en) * 1976-06-09 1978-10-17 Harald Feuerherm Extrusion press head for the extrusion of tubular strands of plastic material
US4422838A (en) * 1979-12-27 1983-12-27 Ishikawajima-Harima Jukogyo Kabushiki Kaisha Extrusion head for use in blow molding machine
JPS5838091B2 (ja) * 1980-04-15 1983-08-20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ブロ−成形機用ヘツド
JPS56166028A (en) * 1980-05-27 1981-12-19 Ishikawajima Harima Heavy Ind Co Ltd Exchanging method for resin of blow molding machine
DE3031333C2 (de) * 1980-08-20 1983-07-14 Battenfeld Maschinenfabriken Gmbh, 5882 Meinerzhagen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instellen der Wanddicke eines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extrudierten Schlauches
DE3305242A1 (de) * 1983-02-16 1984-08-16 Battenfeld-Fischer Blasformtechnik GmbH, 5204 Lohmar Pinole fuer den dorn eines schlauchkopfes zur herstellung von schlauchabschnitten oder schlaeuchen aus thermoplastischem kunststoff
US4798526A (en) * 1986-07-17 1989-01-17 General Electric Company Modular extrusion head
US4895744A (en) * 1986-06-26 1990-01-23 General Electric Company Method of making a multi-layer parison
US4802833A (en) * 1988-03-21 1989-02-07 Hoover Universal, Inc. Accumulator head for producing a storage drum with view stripe
US4890994A (en) * 1988-09-30 1990-01-02 Hoover University, Inc. Apparatus for forming a parison with a view stripe
US5106562A (en) * 1989-12-28 1992-04-21 American National Can Company Extrusion methods and apparatus
US5116215A (en) * 1991-07-05 1992-05-26 Cincinnati Milacron Inc. Accumulator head for extrusion blow mold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65826C (en) 2002-02-12
CA2065826A1 (en) 1993-07-22
EP0552398A1 (en) 1993-07-28
MX9201840A (es) 1993-08-01
TW238273B (ko) 1995-01-11
US5356282A (en) 1994-10-18
JPH05245834A (ja) 1993-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22838A (en) Extrusion head for use in blow molding machine
US4548569A (en) Accumulator head
US4297092A (en) Accumulator head used in the formation of a multi-layer parison
KR100187708B1 (ko) 취입성형기용 저장헤드
FI93185C (fi) Menetelmä sisältä sileän, ulkoa rivoitetun putken valmistamiseksi suulakepuristeisesta muovista sekä laite menetelmän toteuttamiseksi
CS273323B2 (en) Equipment for ribbed tubes production
KR100201988B1 (ko) 취입성형 압출헤드
US3909183A (en) Parison extrusion head
US4890994A (en) Apparatus for forming a parison with a view stripe
US3611494A (en) Extrusion head for extruding annular articles of thermoplastic material
US502302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pipe with annular ribs
US4208178A (en) Head for extruding thermoplastic tubes
US4609340A (en) Accumulator head with diverter sleeve
JP3217361B2 (ja) 押出吹込成形機用アキュムレータヘッド
US3212134A (en) Extrusion die assembly
US3106746A (en) Extrusion head
JP2002542070A (ja) 押し出しヘッド
US4097214A (en) Parison extrusion head
US5284434A (en) Blow molding extrusion head
US3358329A (en) Extrusion apparatus and products therefrom
US5840232A (en) Multi-layer parison extrusion system
KR930016223A (ko) 취입성형 압출헤드
EP2931492B1 (de) Extrusionsblasformverfahren und vorrichtung zu dessen durchführung
US1934647A (en) Extruding machine for plastic material
US3375552A (en) Apparatus for forming plastic uni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1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