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323B1 -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323B1
KR100201323B1 KR1019940039578A KR19940039578A KR100201323B1 KR 100201323 B1 KR100201323 B1 KR 100201323B1 KR 1019940039578 A KR1019940039578 A KR 1019940039578A KR 19940039578 A KR19940039578 A KR 19940039578A KR 100201323 B1 KR100201323 B1 KR 1002013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asurement
ewt
cathode
measuring
mi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39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5972A (ko
Inventor
이용권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400395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323B1/ko
Publication of KR9600259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59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42Measurement or testing during manufa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Of Electron Tubes, Discharge Lamp Vessels, Lead-In Wire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기적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음극 선관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음극선관의 불량을 검사하는 음극선관의 전기적 특성 측정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측정조건에 따라 히터 및 각 그리드에 전압을 인가하고 10초 후에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측정하는 10" EWT 측정단계와, 상기 10" EWT 측정단계 후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300V로 조정한 뒤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전류를 측정하게 된 MIK측정단계 및,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200V로 다시 조정하여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측정하게 하는 40" EWT측정단계로 구성된 것으로, EWT 측정과 MIK측정을 동일한 위치에서 수행하게 될 뿐아니라 MIK측정을 10" EWT측정과 40"EWT측정 중간에 하게 되어 별도의 MIK측정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전기적특성의 측정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제1도는 EWT측정조건하에서 시간에 따른 캐소우드 전류의 특성곡선.
제2도는 종래의 EWT측정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제3도는 종래의 MIK측정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적 특성의 측정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검사하는 EWT(Emitission Warm up Time)와 케소우드의 전위가 OV일 때 흐르는 최대전류특성을 검사하는 MIK(Maximum Current of Cathode)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음극선관은 각 제조공정이 끝난 후 올바른 전기적 특성을 가지고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위해 여러가지 전기적특성을 검사하게 되는데, 이중에서도 EWT는 캐소우드에서 전류특성을 측정하는 것으로, 히터는 6.3V, 제 1 그리드는 접지, 제 2, 4그리드는 200V, 제 3, 5 그리드는 1.4 KV, 제 6 그리드는 1.5KV의 조건으로 전압을 각각 인가하고 캐소우드의 전류를 측정하게 되는 데, 이러한 케소우드의 전류특성은 시간에 따라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선을 그리게 되는 바, STIM(start time, A)은 화상이 나오기 시작하는 시간을 가리키는 것이고, 10"EWT(C)는 캐소우드 전류의 포화상태를 가리키는 것이고, 40"EWT(D)는 캐소우드전류의 슬럼프 상태를 검사할 수 있다.
이와같이 각 히터 및 그리드에 소정의 전압을 걸어주고, 단위시간에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측정하므로서 마운트의 전극구조나 제조공정상에서의 활성화정도를 알 수 있게 되고, 소정의 결과치에 미달되는 경우에는 불량처리를 하게 되는바, 제 2도에 도시된 종래의 EWT측정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에서와 같이 소정 전압이 인가되고 (S11), 8초 후부터 10초까지 10"EWT를 측정하며(S12), 상기 10"EWT측정후 30초 동안 계속 전압이 인가되어(S13) 마지막 5초동안 40" EWT를 측정하므로써 (S14) 음극선관의 전기적특성을 검사하게 되는 것이나, 10" EWT측정 후 40" EWT 측정까지 약 30"정도를 대기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MIK 제3도에 도시된 종래의 MIK 측정방법의 공정을 도시한 순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그리드의 전압(EC1)과 캐소우드의 전압(EK)에 같은 전위가 된 때 (S21), 즉 제1 그리드의 전압을 접지시키고, 캐소우드에 OV를 인가할 때 캐소우드(K)에 흐르게 되는 최대전류를 측정하는 것으로 (S22), MIK 측정조건은 상기 EWT 와 동일한 회로를 사용하고 단지 제 2그리드(G2)에 인가되는 전압만이 EWT는 200V인데 비해 MIK는 300V 인 차이점이 있을 뿐이고 또한 측정시간도 역시 많은 시간이 요하지 않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EWT측정과 MIK측정을 동일한 작업공정내에서 할 뿐아니라 공정시간도 줄여주게 된 음극선관의 전기적특성의 측정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는 방법은 음극선관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음극선관의 불량을 검사하는 음극선관의 전기적특성 측정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측정조건에 따라 히터 및 각 그리드에 전압을 인가하고 10초 후에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측정하는 10"EWT측정 단계와, 상기 10" EWT 측정단계 후 제2그리드의 전압을 300V로 조정한 뒤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전류를 측정하게된 MIK측정 단계 및,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200V 로 다시 조정하여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측정하게 하는 40"EWT측정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측정방법은 EWT측정과 MIK측정을 동일한 위치에서 수행하게 될 뿐아니라 MIK 측정을 10"EWT측정과 40"EWT측정중간에 하게 되어 별도의 MIK 측정시간이 소요되지 않아 전기적특성의 측정시간을 줄여줄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EWT측정 및 MIK 측정를 동시에 하는 측정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EWT의 측정조건은 다음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히터의 전압이 6.3V 로서, 이 조건이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것으로, EWT측정이나 MIK 측정시에 모두 6.3V 로 동일하다.
따라서 측정하고자 하는 음극선관이 도착하면, 우선 측정조건을 상기 표1.에 따라 설정해주게 된다.(S31)
이어서 10초를 경과한 뒤 단위시간동안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므로써 10 EWT의 측정값을 얻게 된다.(S32)
상기 10EWT측정 후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MIK 측정조건이 300V로 조정하여 주어 MIK 측정준비를 하게 된다.(S33)
이때 10 EWT측정후 40EWT측정시까지는 30의 시간이 소요되고, 이 기간중에 히터의 전압만 변경하지 않고 다른 측정조건을 변경하였다가 다시 원 상태로 하여도 40EWT의 측정값은 변하기 않게 되므로, 제 2그리드의 전압을 300V로 하고, 캐소우드와 제1그리드의 전압을 OV로 하여 측정하게 되는 MIK 측정을 10 EWT측정단계와 40EWT측정단계사이에 하더라도 40EWT의 측정 결과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게 된다.
상기 제 2그리드의 전압을 300V로 조정하여 MIK측정조건을 설정한 뒤, 40EWT측정전에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치를 측정하므로써 MIK 측정값을 얻게 된다.(S34)
이때 MIK의 측정조건 설정과 MIK의 측정은 10EWT 측정 후 가능한 한 빨리 하므로써, 제 2그리드의 전압을 200V로 조정하고서 (S35) 측정조건이 안정화 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는 것이 만일의 측정오차를 최대한 줄여줄 수 있는 바람직한 방법이다.
상기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200V로 조정한 뒤 최초 EWT측정조건 설정 후 40 후에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를 측정하여 40 EWT의 측정값을 얻게 되는 것이다.(S36)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전기적 특성측정방법은 종래의 별도의 공정으로 각각 측정되는 EWT측정과 MIK측정을 동일한 위치에서 동시에 측정되어지게 되어 작업공정을 효율적으로 해줄 뿐아니라 상기 MIK측정을 10 EWT와 40 EWT의 단계 사이의 측정하게 되므로써 작업시간을 절감시켜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음극선관의 전기적 특성을 측정하여 음극선관의 불량을 검사하는 음극선관의 전기적특성 측정방법에 있어서, 소정의 측정조건에 따라 히터 및 각 그리드에 전압을 인가하고 10초 후에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측정하는 10" EWT 측정 단계와, 상기 10" EWT 측정단계 후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300V로 조정한 뒤 캐소우드에 흐르는 전류의 최대전류를 측정하게 된 MIK 측정단계 및, 제 2 그리드의 전압을 200V 로 다시 조정하여 캐소우드의 전류특성을 특정하게 하는 40" EWT측정단계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KR1019940039578A 1994-12-30 1994-12-30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KR1002013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78A KR100201323B1 (ko) 1994-12-30 1994-12-30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39578A KR100201323B1 (ko) 1994-12-30 1994-12-30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72A KR960025972A (ko) 1996-07-20
KR100201323B1 true KR100201323B1 (ko) 1999-07-01

Family

ID=19405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39578A KR100201323B1 (ko) 1994-12-30 1994-12-30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3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5972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102007003850B4 (de) Spalterfassungsvorrichtung für Laserstrahlmaschine, Laserstrahlbearbeitungssystem und Spalterfassungsverfahren für Laserstrahlmaschine
DE102018111555B3 (de) Motorisolationserfassungsverfahren
KR100201323B1 (ko) 음극선관의 전기특성 측정방법
DE19744651A1 (de) Halbleitertestvorrichtung zum Messen des Versorgungsstromes einer Halbleitereinrichtung
KR100349084B1 (ko) 커패시터의 검사 방법
JP3461937B2 (ja) 絶縁抵抗の測定方法
JP3137060B2 (ja) コンデンサの良否判別方法
US20090237088A1 (en) Method for inspecting insulation property of capacitor
CN112599393B (zh) 一种像增强器自动门控电源的选配及参数自动设置方法
JPH10115651A (ja) コンデンサ漏れ電流特性の検査方法
DE102021111858B3 (de) Verfahren und Messvorrichtung zum Ermitteln eines Ableitstroms in einem ungeerdeten, einphasigen Wechselstrom-Stromversorgungssystem
SU1660068A1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электродов дуговых газоразрядных ламп
JP2000113818A (ja) 超高速ブラウン管静特性検査方法
US8903687B1 (en) Dielectric absorption compensation for a measurement instrument
RU2089963C1 (ru) Способ повышения качества катодов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ых приборов
Pfeiffer et al. About the dimensioning of a needle plane electrode arrangement for comparative investigations of partial discharges in air
Asokan et al. Optimization of test procedure to improve insulator performance under high electric stress
Ming et al. Humidity effects on dielectric strength of air-gaps for indoor HV installations
JPH01221899A (ja) X線管電流調整装置
Moreno et al. Frequency Dependence Determination of Resistors at the BIPM
SU1456915A1 (ru)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 удельного объемного сопротивлени электрета
KR100646429B1 (ko) Crt 의 고압 조정 및 f/s 테스트 장치 및 그 방법
JPS6195258A (ja) 集積回路の試験装置
Hsieh et al. Experimental limitations in impedance spectroscopy of materials systems
RU2065635C1 (ru) Способ неразрушающего контроля качества катодов электронно-лучевых трубо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2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