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134B1 -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 Google Patents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134B1
KR100201134B1 KR1019950029763A KR19950029763A KR100201134B1 KR 100201134 B1 KR100201134 B1 KR 100201134B1 KR 1019950029763 A KR1019950029763 A KR 1019950029763A KR 19950029763 A KR19950029763 A KR 19950029763A KR 100201134 B1 KR100201134 B1 KR 1002011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thode
cathode assembly
assembly
inner sleeve
outer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97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877A (ko
Inventor
이성률
Original Assignee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남, 오리온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남
Priority to KR10199500297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134B1/ko
Publication of KR9700178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8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1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13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4Cath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48Electron guns
    • H01J29/484Eliminating deleterious effects due to thermal effects, electrical or magnetic fields; Preventing unwanted emiss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48Electron guns
    • H01J2229/4824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electrodes
    • H01J2229/4831Electrode supports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전자총에 사용될 신규한 구성의 캐소드 조립체를 개시한다.
종래에는 얇은 리본을 통해 캐소드를 조립하였으므로 열 및 강도상의 문제로 변형과 손상이 심하여 전자총 특성을 열화시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에서는 인너슬리이브와 아우터슬리이브에 서로 대응하는 플레이를 형성하여 직선형의 금속선으로 양 플레이를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열변형과 외부충격에 강한 캐소드 조립체를 용이하게 구성할 수 있도록 하였다.

Description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제1도는 캐소드의 지지상태를 보이는 전자총의 횡단면도.
제2도는 종래의 캐소드 조립체의 구조를 보이는 종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캐소드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 캐소드 조립체의 구조를 보이는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 캐소드 조립체의 조립과정을 보이는 분해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K : 캐소드(cathode) S1 : 인너 슬리이브(inner sleeve)
S2 : 아우터 슬리이브(outer sleeve) F1, F2 : 플레어(flare)
P : 서포트(support) D : 디스크(disc)
본 발명은 브라운관에 관한 것으로, 특히 그 전자총의 전자방출원(源)인 캐소드 조립체(cathode assembly)에 관한 것이다.
브라운관은 캐소드에서 발생된 전자를 복수의 전극으로 집속(集束)하여 전자빔(electron beam)을 형성하고, 이 전자빔을 가속시켜 형광면을 선별적으로 발광시킴으로써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캐소드는 전자총별로 하나씩 구비되는데, 일반적인 인라인(in-line)형 칼라브라운관의 전자총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 캐소드(K)가 각각 W자형의 스트랩(strap; T)에 접합되고 이 스트랩(T)이 비이드 글래스(bead glass; B)에 매립(embedding)됨으로써 전자총에 지지된다.
그런데 캐소드(K)는 전자방출물질이 수납된 디스크(disc)를 히이터(heater)로 가열하여 열전자를 방출하게 되는 바, 스트랩(T)에의 지지구조를 포함하여 캐소드(K)는 복수의 부품으로 이루어진 조립체로 구성된다.
제2도에는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구조의 캐소드 조립체가 도시되어 있다. 디스크(D)가 장착된 인너슬리이브(inner sleeve; SI)의 내부에는 히이터(H)가 수납되는데, 히이터(H)의 방열차단과 외부충격의 전달을 방지하기 위해 인너슬리이브(S1)는 아우터슬리이브(outer sleeve; S2)에 지지된다.
인너슬리이브(S1)로부터 아우터 슬리이브(S2)로의 직접적인 열전도를 차단하기 위해 인너슬리이브(S1)는 Ni이나 Ta등으로 된 얇은 리본(ribon; R)에 의해 아우터 슬리이브(S2)에 지지된다.
이 조립은 제3도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먼저 인너슬리이브(S1)의 외주에 방사상으로 세 리본(R)을 접합한 뒤, 이를 아우터슬리이브(S2)의 전방으로부터 삽입하여 각 리본(R)의 단부를 아우터슬리이브(S2)의 전단에 접합함으로써 이루어진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캐소드 조립체의 구성은 여러가지 문제를 야기하는데, 특히 전열을 차단하기 위해 리본(R)이 얇게 구성되므로 복잡한 형상의 리본(R)이 조립과정에서의 취급이 매우 어렵고 캐소드의 동작시 복사열이나 전도열에 의해 리본(R)이 고온으로 가열되어 소손(燒損)되거나 열변형을 야기하여 캐소드(K)를 전자총 중심으로부터 이탈시키는 문제등이 야기된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캐소드(K)는 그 구조상 인너슬리이브(S1)가 아우터슬리이브(S2)의 전방으로부터 조립되어야 하므로 전자총의 조립과정의 약간의 충격만으로도 자체강도가 거의 없는 리본(R)이 쉽게 변형되어 캐소드(K)를 뒤틀리게 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종래의 캐소드 조립체는 브라운관 자체의 특성과 신뢰성을 저하시키고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여러가지 문제점을 감안하여, 취급과 조립이 용이하고 소손이나 열변형이 적으며, 전자총 조립후에 사후조립이 가능한 구조의 캐소드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의 달성을 위해 본 발명에 의한 조립체는 인너슬리이브와 아우터슬리이브가 각각 경사후방으로 확개(攫開)된 깔때기형태의 플레어(flare)을 구비하며, 양 플레어 사이를 서포트(support)로 용접하여 양 슬리이브가 조립된다.
서포트는 리본도 사용될 수 있으나, 복잡하고 얇은 종래의 리본대신 직선상의 금속선이 사용될 수 있으며, 특히 W선이 바람직하게 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캐소드 조립체의 조립이 극히 용이해지고, 특히 인너슬리이브가 아우터슬리이브의 후방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어서, 전자총의 조립완료후 인너슬리이브를 삽입함으로써 취급중의 손상이나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한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서, 인너슬리이브(S1)와 아우터 슬리이브(S2)는 각각 본 발명 특징에 따라 경사후방으로 확개된 깔때기 형태의 플레어(F1, F2)를 구비한다. 양 슬리이브(S1, S2)의 플레어(F1, F2)는 각각 동일한 경사각을 가져 인너슬리이브(S1)의 플레어(F1)외면으로부터 아우터 슬리이브(S2)의 플레어(F2) 내면에 걸쳐 직선으로 연장되는 서포트(P)가 양자를 접합지지하게 된다.
여기서 서포트(P)는 종래와 같이 Ni 나 Na등의 리본으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바람직하기로는 금속선으로 구성되며, 특히 내열성과 강도가 높은 텅스텐(W)선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서포트(P)는 적절한 형태로 절곡 성형될 수도 있으나 양 플레어(F1, F2)의 경사각을 일치시켜 직선으로 형성하는 것이 취급과 조립의 편의상 바람직하다. 서포트(P)가 W등 금속선으로 구성되면 서포트(P)자체가 상당한 강도를 가지므로 열변형이나 외부충격등에 대해 저항할 수 있어 캐소드의 특성을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같은 본 발명 캐소드 조립체는 바람직하기로 제5도와 같이 조립된다. 즉 인너슬리이브(S1)의 플레어(F1) 외면에 방사상으로 복수의, 바람직하기로는 세 서포트(P)를 접합한 뒤, 이를 이우터슬리이브(S2)의 후방으로부터 밀어넣어 서포트(P)를 아우터슬리이브(S2)의 플레어(F2)내면에 접합하는 것이다.
이러한 구성은 세 서포트(P)가 인너슬리이브(S1)를 아우터 슬리이브(S2)에 자동적으로 정렬시키게 되므로 조립이 매우 간편하고, 서포트(P)의 접합도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인너슬리이브(S1)가 아우터슬리이브(S2)의 후방으로부터 조립될 수 있으므로, 아우터 슬리이브(S2)만을 스트랩(T)에 접합하여 전자총의 조립을 행하고, 전자총의 비이딩(beading)등 모든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인너슬리이브(S1)를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캐소드 조립체의 완성후 전자총 조립과정에서 발생되는 캐소드의 손상이나 뒤틀림등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제작과 조립이 용이하고, 열변형이나 외부 충격에 강하며 취급중의 손상이나 변형등을 방지할 수 있는 캐소드 조립체가 제공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브라운관의 성능과 신뢰성, 그리고 생산성 향상에 큰 효과가 있다.

Claims (5)

  1. 히이터가 수납된 인너슬리이브를 아우터슬리이브에 삽입지지하는 구성의 캐소드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인너슬리이브와 아우터 슬리이브의 후단에 각각 경사후방으로 확개되는 깔때기 형상의 플레어를 형성하여, 상기 양 슬리이브의 플레어 간을 복수의 서포트로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가 금속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가 텅스텐선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4. 제1항 내지 제3항중에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가 직선으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너슬리이브의 플레어 외면에 복수의 서포트를 접합한 상태로 상기 인너슬리이브를 상기 아우터 슬리이브의 후방으로 진입시켜 상기 서포트를 아울터 슬리이브의 플레어 내면에 접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KR1019950029763A 1995-09-13 1995-09-13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KR1002011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63A KR100201134B1 (ko) 1995-09-13 1995-09-13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9763A KR100201134B1 (ko) 1995-09-13 1995-09-13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77A KR970017877A (ko) 1997-04-30
KR100201134B1 true KR100201134B1 (ko) 1999-06-15

Family

ID=1942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9763A KR100201134B1 (ko) 1995-09-13 1995-09-13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13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877A (ko) 1997-04-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1134B1 (ko)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US5032756A (en) Color cathode ray tube and envelope for use with the color cathode ray tube
KR100201135B1 (ko) 브라운관의 캐소드 조립체
JP2798644B2 (ja) 陰極線管用電子銃
KR0131937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KR200147983Y1 (ko) 브라운관의 캐소드 스트랩
US5396147A (en) Cathode heater structure of an electric gun for a cathode-ray tub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heaters
KR930004101Y1 (ko) 전자총 구조체의 히이터 지지체
KR200145254Y1 (ko) 전자총 어셈블리의 히이터 스트랩
KR940006969Y1 (ko) 음극선관 전자총의 히이터 탭
JPH1012122A (ja) 直接加熱形の陰極構造体
KR200164387Y1 (ko) 음극선관의 전자총
KR200158741Y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오드 조립체
KR012456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KR0131932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20030029377A (ko) 캐소오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H0217901B2 (ko)
US7042146B2 (en) Electron gun structure for a cathode-ray tube
KR016601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950002711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캐소우드 지지 구조
KR100683651B1 (ko) 캐소오드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0131605Y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의 전극 지지체
KR100209632B1 (ko) 브라운관의 산화 방지용 프리터블 게터구조
KR0124124Y1 (ko) 전자총
JPH11265663A (ja) 電子銃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