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1106B1 -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1106B1
KR100201106B1 KR1019960040164A KR19960040164A KR100201106B1 KR 100201106 B1 KR100201106 B1 KR 100201106B1 KR 1019960040164 A KR1019960040164 A KR 1019960040164A KR 19960040164 A KR19960040164 A KR 19960040164A KR 100201106 B1 KR100201106 B1 KR 1002011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gnition
fuel tank
engine
fuel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347A (ko
Inventor
권영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01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1106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3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3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11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1106B1/ko

Links

Landscapes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배출 공기식 엔진 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연료탱크 캡을 개방하고 주유기건을 연료주입 파이프에 삽입하면 연료탱크내의 배출공기압에 의해 이그니션 릴레이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로 연결되는 전원 회로를 차단시켜 엔진 시동을 오프토록 함으로써 주유중 엔진 가동으로 인한 대형 화재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밧데리, 퓨즈, 이그니션키 2단, 이그니션 릴레이, 이그니션 코일, 배전기, 스파크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엔진 점화장치와,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상단 연결단관과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의 일단사이에 설치하여 연료 탱크 내부의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와 상기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의 고정접점을 이그니션 릴레이와 엔진콘트롤 유니트로 연결되는 전원회로상에 접속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본 발명은 차량용 배출 공기식 엔진 오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연료탱크 캡을 개방하고 주유기건을 연료주입 파이프에 삽입하면 연료탱크내의 배출공기압에 의해 이그니션 릴레이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로 연결되는 전원 회로를 차단시켜 엔진 시동을 오프토록 함으로써 주유중 엔진 가동으로 인한 대형 화재 및 인명피해를 방지하도록 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든 주유소에는 연료를 주입할때 엔진의 시동을 오프하라는 경고 주의문이 부착되어 있는바, 대부분의 운전자 등은 연료주유시 엔진을 오프시키고 있지만, 때때로 시동을 끄는 작업을 잊어버리거나, 또는 잘모르거나, 또는 시동을 끄고 다시 켜는 것이 번거로운 이유 등으로 인하여 시동을 걸어둔 채로 주유하는 경우가 흔히 있다.
이와 같이 시동을 켠상태로 주유를 하게 되면, 엔진의 점화 불꽃이나 기타 전기 회로의 누전으로 인한 불꽃이 증발된 주유소의 연료가스에 점화될 염려가 있어 대형 화재를 초래할 가능성이 매우 크다. 이와 같은 상황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종래 자동차 엔진의 점화장치는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밧데리(B)의 전원이 퓨즈(F), 이그니션키 2단(C), 이그니션 릴레이(D)를 거쳐 이그니션 코일(E)에서 고압으로 변환된후, 디스트리 뷰터(G)를 거쳐, 스파크 플러그에서 고압이 방전되어 엔진의 연소실 내부의 압축된 연료와 공기 혼합기에 점화되게 되고, 이러한 조건하에서 엔진의 시동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상기 도 1에서, H는 알터네이터, I는 릴레이, J는 스타터 모터, K는 필터, L은 트랜지스터, M은 충전 경고등이다.
또한 근래들어 소개되고 있는 전자식 점화장치의 엔진에 있어서는 밧데리(B)의 전원이 엔진콘트롤 유니트(ECU), 파워 트랜지스터를 거쳐 스파크 플러그에서 방전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고, 이들 전,후자 방식 모두는 2만 볼트 내외의 고압이 방전되어서 혼합기에 점화시키는 원리는 동일하다. 또한, 차량이 노후되거나,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점화장치의 결함으로 인하여 2만 볼트 내외의 고압전류가 누전되는 경우도 흔히 발생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차량 연료 주입을 위한 주유소는 통상 용량이 몇만l 되는 고압용 연료탱크를 지하에 매설하고, 상기 연료탱크에 연료를 저장한 다음, 지상의 가스 스탠드로 연료를 압송시켜서 주유건(GUN)을 통하여 차량의 연료 탱크로 주유하게 되는데, 이들 연료중에서 특히, 가솔린은 그 물성 특성상, 비중이 낮아서 증발성이 매우 강하며, 이 증발은 주변의 온도에 비례하고, 여름철 외기 온도가 높을때에는 육안으로 보일 정도의 강한 휘발성이 있다. 또한, 차량의 연료탱크에 가솔린이 가득차 있을 때보다 소량의 연료가 잔존해 상태에서 차량을 주행하면 내부연료는 보다 쉽게 유동되게 되므로 증발가스가 매우 쉽게 발생하게 되어 연료탱크 내부를 꽉 채우게 되고, 이 증발가스는 엔진으로 흡입되어 연소되기도 하지만 연료탱크 내부에도 항상 가스가 잔존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의 연료탱크에 연료를 주입시키기 위해서 연료 주입구의 캡을 개방한 후 주유기 건으로 연료를 상기 연료 탱크측으로 압송하면, 연료탱크 내부의 증발가스와 주유기에서 압송되는 연료의 증발가스는 대부분 대기중으로 방출되게 되고, 이 증발가스는 여름철 외기가 높을 때에는 더욱 많은 양의 가스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탱크의 주입구 속으로 주유기건을 삽입하여 연료를 주입하면, 연료탱크 내부의 상단에 차있던 증발가스와 공기는 주입되는 연료의 량만큼 대기중으로 밀려나 방출하게 되고, 통상의 주유기의 속도는 1분에 50∼70l 정동이어서 증발가스와 공기는 세찬 압력으로 펌핑 되어지면서 방출된다.
즉, 주유기건에서 쏟아져 나오는 연료의 압력은 아주 세차고, 높고 빠르므로 연료탱크 내부에서 상대적으로 대기중에 밀려나오는 공기의 속도나 압력도 비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이 힘차게 방출된다. 따라서, 외부로 밀려나오는 공기는 주유건을 삽입한 파이프의 입구 틈새로 일부가 빠져나오거나 또는 연료탱크 브리더(BREATHER) 파이프를 통하여 대기중으로 빠져 나오게 된다.
이와 같이 2만 볼트 내외의 고압전류가 누전되고 있는 차량과, 다량의 연료 증발 가스가 접촉하게 되면, 증발가스에는 누전된 전기가 점화될 수 있고, 이 점화는 즉시 연료나 다른 부위에 전파되어 대형 화재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인명과 재산상의 큰 피해를 가져다 주는 심각한 문제점이 지적된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점화장치에 있어서,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주유소에서 연료 주입시 엔진 시동 오프 조작을 별도로 하지 않아도 주유건을 연료 주입 파이프에 삽입하기만 하면 자동적으로 엔진시동이 오프되도록 함으로써, 연료 탱크 내부로 부터 방출되는 증발가스와 누전된 전기의 접촉을 방지하여 대형 화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며, 운전자의 엔진 시동 오프 조작에 따른 번거러움을 해소시키는 편리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밧데리, 퓨즈, 이그니션키 2단, 이그니션 릴레이, 이그니션 코일, 배전기, 스파크 플러그로 이루어지는 엔진 점화장치와, 연료탱크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의 상단 연결단관과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의 일단사이에 설치하여 연료 탱크 내부의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와 상기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의 고정접점을 이그니션 릴레이와 엔진콘트롤 유니트로 연결되는 전원회로상에 접속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점화장치의 회로도.
도 2는 본 발명에 있어, 연료 탱크내의 공기 배출압에 의해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가 작동되도록 하여 엔진시동을 오프토록 하는 점화장치 회로도.
※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4 : 이그니션 릴레이 8C : 작동로드
7 : 스파크 플러그 8F : 고정접점
8 :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 9 : 연료 탱크
8A : 하우징 10 : 연결 단관
8B : 다이아 프램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의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차량의 엔진 점화장치와 주유시의 배출공기압 제어방식에 의한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의 설치 및 그 연결 상태를 보인 것이다.
즉, 점화장치는 밧데리(1), 퓨즈(2), 이그니션키 2단(3), 이그니션 릴레이(4), 이그니션 코일(5), 배전기(6), 스파크 플러그(7)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에 있어서 배전기(6)에는 엔진 콘트롤 유니트를 포함한다.
그리고,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는 연료탱크(9)의 상단에 설치한 연결단관(10)에 설치하는데, 이때,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의 내부공간은 상기 연료탱크(9)의 내부 및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9A)의 일단과 연통되도록 하고, 상기 연결단관(10) 상, 측방의 플랜지부에는 가스켓을 장착하여 연료탱크(8)의 연료나 가스가 대기중에 누설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에 있어서,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는 상광 하협한 하우징(8A)과,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아 프램(8B)과, 상기 다이아프램(8B) 상단에 설치한 작동로드(8C)와, 상기 작동로드(8C) 외주면에 탄설시킨 리턴 스프링(8D)과, 상기 작동로드(8C) 끝단부에 설치한 가동접점(8E)과, 상기 가동접점(8E)과 접리되는 고정접점(8F)과, 상기 고정접점(8F)을 이그니션 릴레이(4) 및 엔진 콘트롤 유니트에 각각 연결시켜서 구성한다.
그리고, 연료탱크(9)에는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9A) 이외에 연료 주입 파이프(9B)가 형성되며, 상기 연료 주입 파이프(9B)에는 주유기건(11)이 삽입되어 연료를 주입하도록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는 다음과 같다.
주행중인 차량이 연료를 주입하기 위하여 주유소에 들어온 다음 차량이 완전히 정지된 상태에서 운전자가 연료탱크 캡을 개방하고, 연료탱크(9)의 연료 주입 파이프(9B) 속으로 주유기건(11)을 삽입하여 연료를 주입하면, 연료탱크(9)로 유입되는 연료의 압력과 량에 의해서 연료탱크(9) 내부에 일정치 이상의 공기압이 형성되어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9A)를 통하여 외부로 배출되게 되는데, 이때, 본 발명은 연료탱크(9)와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9A)와 연통되게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가 설치되어 있으므로, 배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내의 다이아프램(8B)이 상승 작동되고, 이와 연동된 작동로드(8C)가 리턴 스프링(8D)을 탄축하면서 상승되어 작동로드(8C)에 설치한 가동접점(8E)이 고정접점(8F)으로 부터 떨어지게 된다.
따라서, 엔진 점화장치에 있어서의 이그니션 릴레이(4)와 엔진콘트롤 유니트로 연결되는 전원이 차단되게 되어 차량의 엔진은 자동적으로 오프되게 된다.
이때, 운전자가 임의로 엔진의 시동을 걸려고 이그니션 키를 3단으로 돌려서 엔진을 크랭킹 시켜도 이미 점화회로가 차단된 상태이므로 엔진의 시동은 걸리지 않게 되어 주유중에 있어서 대형 화재발생을 방지하게 되는 안전장치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연료주입이 완료된 후 주유기건(11)을 연료 주입파이프(9B)로 부터 빼내면, 연료탱크(9)의 배출공기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상승되어졌던 다이아프램(8B)이 자체 자중 및 리턴 스프링(8D)의 탄발에 의해 하강하게 되어 상기 접점(8E)(8F)이 서로 접촉되게 된다. 따라서, 차단되었던 이그니션 릴레이(4)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 사이의 전원회로가 연결되어 차량의 엔진 시동이 가능하게 되어 진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연료탱크의 연료 주입 파이프에 주유기건을 삽입하기만 하면 연료탱크 내부로 부터 방출되는 공기압에 의해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의 접점을 개방토록 함으로써 엔진 점화장치의 공급전원을 차단케하여 주유시 별도의 엔진 시동 오프 조작을 취하지 않더라도 자동적으로 엔진시동이 오프되도록 하는 것으로, 주유소에서 연료주입시 엔진시동을 끄지 않아 발생될 수 있는 대형 화재 및 인명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

Claims (2)

  1. 밧데리(1), 퓨즈(2), 이그니션키 2단(3), 이그니션 릴레이(4), 이그니션 코일(5), 배전기(6), 스파크 플러그(7)로 이루어지는 엔진 점화장치와, 연료탱크(9)에 있어서, 상기 연료탱크(9)의 상단 연결단관(10)과 연료탱크 브리더 파이프(9A)와 연통되도록 설치한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와, 상기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의 고정접점(8E)을 이그니션 릴레이(4)와 엔진 콘트롤 유니트로 연결되는 전원 회로상에 접속시켜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출 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이그니션 오프 스위치(8)는 상광 하협한 하우징(8A)과, 공기압에 의해 작동되는 다이아프램(8B)과, 상기 다이아프램(8B) 상단에 설치한 작동로드(8C)와, 상기 작동로드(8C) 외주면에 탄설시킨 리턴 스프링(8D)과, 상기 작동로드(8C) 끝단부에 설치한 가동접점(8E)과, 상기 가동접점(8E)과 접리되는 고정접점(8F)과, 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배출 공기식 엔진 오프 장치.
KR1019960040164A 1996-09-16 1996-09-16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KR1002011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64A KR100201106B1 (ko) 1996-09-16 1996-09-16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64A KR100201106B1 (ko) 1996-09-16 1996-09-16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47A KR19980021347A (ko) 1998-06-25
KR100201106B1 true KR100201106B1 (ko) 1999-06-15

Family

ID=19473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164A KR100201106B1 (ko) 1996-09-16 1996-09-16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0110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347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896789B2 (en) Electrolysis cell and internal combustion engine kit comprising the same
KR100201106B1 (ko) 차량용 배출공기식 엔진 오프장치
KR0179322B1 (ko) 차량용 연료 주입식 강제 엔진 오프 장치
KR100201105B1 (ko) 차량용 연료탱크 잔압식 엔진 오프 장치
CN108590852B (zh) 发动机淹缸后多余燃油的清除方法及系统
US20090229578A1 (en) Control device enabling integrated operation of vehicle electric system and engine electric solenoid fuel injection and ignition systems
JP4051174B2 (ja) 始動系故障検出装置を備えたエンジン制御装置
KR19980020260A (ko) 차량용 연료 주입시 엔진 오프 장치
KR100428327B1 (ko) 엘피지 가스 누출 방지장치가 설치된 연료장치
US6601568B1 (en) Diesel fuel re-priming device for fuel burning apparatus
US3033274A (en) Fuel reserve system
KR19990064742A (ko) 듀얼 디아이에스 점화 방식의 엘피지(씨엔지)/휘발유 겸용 엔진 제어 방법 및 그 장치
KR20020051427A (ko) 엘피지 차량의 충전시 엔진 자동 오프장치
KR100692130B1 (ko) 엘피아이 엔진의 인젝터 연료라인압 제거시스템
KR19990038261U (ko) 버튼에의한 시동제어장치
CN208718820U (zh) 一种汽车发动机熄火控制装置
KR20020020570A (ko) 엘피지봄베 압력제어시스템
KR200174117Y1 (ko) Lp가스 차량용 가스 검출 및 안전장치
CN2272491Y (zh) 柴油机机油失压自动熄火装置
CN2290699Y (zh) 机油压力保护器
KR0130614Y1 (ko) 비상시 재시동 방지장치
KR930013424A (ko) 자동차의 엔진 오일 자동 교환장치
KR19990025348U (ko) 차량의 주유시 주행 방지장치
KR19990018606A (ko) 차량 사고 대비 연료 차단 스위치
KR19980060484A (ko) 직접 분사식 엔진의 연료압 강하 경고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0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