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0761B1 -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0761B1
KR100200761B1 KR1019960058503A KR19960058503A KR100200761B1 KR 100200761 B1 KR100200761 B1 KR 100200761B1 KR 1019960058503 A KR1019960058503 A KR 1019960058503A KR 19960058503 A KR19960058503 A KR 19960058503A KR 100200761 B1 KR100200761 B1 KR 100200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rectional
motion
image
motion component
predetermined valu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8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9479A (ko
Inventor
황정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60058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00761B1/ko
Priority to JP20492497A priority patent/JP4001979B2/ja
Priority to US08/976,454 priority patent/US5943450A/en
Publication of KR199800394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94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0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0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1Motion detection
    • H04N23/6811Motion detection based on the image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stable pick-up of the scene, e.g. compensating for camera body vibrations
    • H04N23/682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 H04N23/683Vibration or motion blur correction performed by a processor, e.g. controlling the readout of an image memory

Abstract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이 본 발명은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및 방법을 공개한다. 그 장치는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1방향성 정보를 추출하고,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1움직임 검출수단과, 영상의 일부분 영역에 대한 제2방향성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2움직임 검출수단과,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들을 입력하고,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계산하는 차값 계산 수단 및 방향성 차값과 제2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 값 또는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캠코더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보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캠코더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캠코더의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동영상(moving picture) 신호로부터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는 것은 화상압축, 화상 인식 및 화상 안정화등에 필요한 기본적인 기술이다. 현재 VCR 일체형 카메라(이하, 캠코더)를 이용하여 영상을 촬영할 때, 특히, 보행하면서 또는 차량의 이동중에 영상을 촬영할 때, 손떨림에 의한 카메라의 떨림으로 불안정한 영상이 입력되기 쉽다. 이러한 손떨림에 의한 불안정화는 줌(zoom)에 의한 영상의 배율증가에 따라 더욱 심화된다.
그러므로,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을 정확히 보정하기 위해서는 그 움직임을 픽셀(pixel) 뿐만 아니라 서브 픽셀단위로 검출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는 연산량을 증가시키고, 복잡한 보간 회로등이 필요한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자적 영상 확대시 확대 배율의 증가에 비례하여 확대 영역에 대한 손떨림과 무관한 움직임 정보가 검출될 확률이 높다.
이하, 종래의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을 보정하는 방법을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1는 종래의 움직임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에 도시된 움직임 벡터 검출 방식에서는 영상의 전체 혹은 일부분에 대한 영상 정보를 입력한다(제10단계). 제10단계후에, 1필드 혹은 1 프레임 이전의 영상 정보와 현재 입력한 영상 정보를 비교하여, 최적화된 수평 및 수직 움직임 벡터들을 검출한다(제12단계). 이 때, 전체 영상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움직임 벡터들을 검출할 경우에는 영상내의 많은 패턴정보를 이용하게 되므로,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지만, 움직임 성분의 분해능에는 한계가 있다. 제12단계후에, 검출된 수평 및 수직 움직임 벡터들을 이용하여 필드 메모리의 영상을 보정한다(제14단계). 제14단계에서 영상을 보정한 후에, 영상을 소정 배율로 확대한다(제16단게).
도 1에 도시된 움직임 보정 방법은 안정적으로 움직임을 보정할 수 있지만, 움직임 벡터를 정확히 검출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움직임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에 도시된 종래의 움직임 보정 방법은 먼저, 영상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입력한다(제20단계). 제20단계후에, 영상의 움직임을 보다 정확히 검출하기 위해서 입력한 영상을 전자적으로 확대한다(제22단계). 제22단계후에, 확대된 영상의 수평 움직임 벡터(Vx)및 수직 움직임 벡터(Vy)들을 다음 수학식 1 및 수학식 2와 같이 검출한다(제24단계).
수학식 1과 2에서, P는 영상의 휘도 성분을 1차원으로 누적(projection)한 값으로서, 영상의 1차원적 패턴 정보를 대표하며, Corr은 현재의 누적치 Pn과 과거의 누적치 Pn-1과의 상관치를 나타낸 값을 나타내고, W는 영상의 폭을 H는 영상의 높이를, x는 수평방향의 화소를 y는 수직 방향의 화소를 각각 나타낸다.
영상의 최적 움직임량은 상관치가 최소가 되는 값에서의 수평 및 수직 위치로 추정된다. 이 때, 출력되는 움직임 벡터의 단위는 정수값을 취하며 보다 정밀한 움직임 벡터를 갖기 위해서는, 상관치를 보간하여 그 극점을 찾거나, Pn 및 Pn-1의 값을 보간하여 서브 픽셀화한 후, 상관치를 계산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제24단계후에, 수평 및 수직 움직임 벡터들을 이용하여, 필드 메모리의 영상을 보정한다(제26단계).
그러나, 제22단계에서, 서브 픽셀의 정확한 움직임 벡터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추출되어 확대된 영상의 정보가 많은 움직임 정보를 포함해야 하는데, 영상의 움직임 정보는 전자적 영상 확대(zoom)의 확대비에 반비례하므로, 그 움직임 벡터의 안정성에는 한계가 있다. 특히, 영상의 확대 부분에서 독립적인 움직임이 많이 존재하게 되면,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이 아닌 피사체의 움직임을 보정한다. 그러므로, 안정화의 대상이 전체 영상과 피사체로 빈번하게 변화되며, 이로 인하여 영상의 안정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1기술적 과제는, 캠코더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방향성 정보 및 영상 확대를 위한 대상 영역에서의 방향성 정보에서 검출된 움직임 벡터들을 선택하여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2기술적 과제는, 캠코더 시스템에 있어서, 입력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방향성 정보 및 입력영상의 일부 영역에 대한 방향성정보에서 검출된 움직임 벡터들을 선택하여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3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1기술적 과제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에서 수행되는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제4기술적 과제는, 상기 제2기술적 과제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에서 수행되는 보정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는 종래의 움직임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는 종래의 다른 움직임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 움직임 보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이다.
상기 제1과제를 이루기 위해,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는,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1방향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1움직임 검출수단과, 상기 영상의 일부분 영역에 대한 제2방향성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2움직임 검출수단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들을 입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계산하는 차값 계산 수단 및 상기 방향성 차값과 제2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 값 또는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과제를 이루기 위해,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는,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1방향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1움직임 검출수단과, 상기 영상의 확대 영역에 대한 제2방향성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2움직임 검출수단과, 상기 제1 및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들을 입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계산하는 차값 계산 수단 및 상기 방향성 차값과 제2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 값 또는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과제를 이루기 위해,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방법은, 상기 영상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1방향성 정보 및 상기 영상의 일부분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2방향성 정보 각각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성 차값이 제2소정값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값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4과제를 이루기 위해,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방법은, 상기 영상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입력하는 단계와,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1방향성 정보 및 상기 영상의 확대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2방향성 정보 각각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와,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구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성 차값이 제2소정값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값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의 구성 및 동작과 그 보정 방법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다음과 같이 설명한다.
도 3는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 움직임 보정 장치의 블록도로서, 누산부(30), 확장부(32), 제1움직임 검출부(34), 제2움직임 검출부(36), 차값 계산부(38) 및 보정부(40)로 구성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장치에서 수행되는 본 발명에 의한 보정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차트로서, 입력한 영상으로부터 구한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벡터들을 이용하여 방향성 차값을 구하는 단계(제40∼제44단게), 방향성 차값에 상응하는 성분으로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제46 및 48단계)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장치의 누산부(3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캠코더를 통해 촬영된 영상의 전체, 일부 혹은 확대된 영상을 입력한다(제40단계).
제40단계후에, 입력한 영상으로부터 다음과 같이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들을 구한다(제42단계). 즉, 누산부(30)는 입력단자 IN을 통해 입력한 영상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누산하여, 전체 영역에 대한 제1방향성 정보(혹은 제1특징 정보) 즉, 제1수평 정보(Px)와 제1수직 정보(Py)들을 추출한다. 제1움직임 검출부(34)는 입력한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한다. 즉, 제1움직임 검출부(34)는 입력한 제1수평 및 제1수직 정보들의 상관치를 수학식 1 및 2에 대입하여 제1방향성 움직임 벡터 즉, 제1수평 움직임 벡터(Vx) 및 제1수직 움직임 벡터(Vy)를 검출한다.
누산부(30)는 또한, 입력단자 IN을 통해 영상을 입력하고, 입력한 영상을 수평 및 수직 방향으로 누산하여 제2방향성 정보(혹은 제2특징정보) 즉, 제2수평 정보(Rx)와 제2수직 정보(Ry)들을 추출한다. 확장부(32)는 입력한 제2방향성 정보를 공간적으로 특정 배율 만큼 확장하여 제2움직임 검출부(36)로 출력한다. 제2움직임 검출부(36)는 확장된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한다. 즉, 제2움직임 검출부(36)는 제2수평 정보 및 제2수직 정보들의 상관치를 다음 수학식 3 및 4에 대입하여 제2방향성 움직임 벡터 즉, 제2수평 움직임 벡터(Ux) 및 제2수직 움직임 벡터(Uy)를 검출한다.
즉, 영상의 일부에서 소정수(K)배 확대된 영상을 기준으로 한 영상의 움직임량이 정수값으로 출력된다. 이렇게 검출된 영상의 제2방향성 움직임 벡터를 다시 K로 나누면 서브 픽셀 단위의 정확한 움직임을 검출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움직임 성분은 확대 대상 영역을 대표로 하는 움직임이기 때문에 전체 영상에서 독립적인 움직임이 존재할 경우, 전체 영역에서 검출한 결과와 크게 차이가 생길 수 있다. 또한, 실제로 확대 배율(K)이 크면 클수록 누산한 영상 정보의 정보량이 감소하게 되므로 검출한 결과에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게 있다. 즉, 확대한 영역에서의 움직임 검출결과는 정확도(움직임 검출의 분해능)는 증가하지만, 움직임의 신뢰도가 저하되므로, 검출된 움직임을 적절히 평가하여 움직임을 보상할 필요가 있다.
이를 위해, 제42단계후에, 다음 수학식 5 및 6과 같이, 도 3에 도시된 차값 계산부(38)는 방향성 차값(E) 즉, 수평 차값(Ex)과 수직 차값(Ey)의 절대값을 구한다(제44단계).
이 때, 평가된 움직임의 차이가 크면 전체 영상의 제1방향성 움직임 벡터(Vx 및 Vy)에 대하여 확대 영역에서의 제2방향성 움직임 벡터(Ux 및 Uy)가 상기와 같은 이유로 신뢰성이 떨어지는 것이다.
제44단계후에, 보정부(40)는 차값 계산부(38)에서 계산된 수평 및 수직 차값들(Ex 및 Ey)을 입력하여, '1'보다 큰가를 판단한다(제46단계). 만일, '1'이하이면 제2수평 및 제2수직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움직임 벡터들을 이용하여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한다(제50단계). 그러나, '1'보다 크면 제1수평 및 수직 움직임 벡터를 선택하고, 선택된 움직임 벡터들을 이용하여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한다(제48단계). 이 때, 통상적으로 K의 값은 2∼4 사이에서 취해진다.
또한, 디지탈 영상 확대(Digital Zoom)에서도 영상을 K배로 확대시 확대된 영상에 대한 움직임 벡터들(Ux 및 Uy)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다. 만일, 차값(Ex 및 Ey)이 '1'이상이 되면 제1수평 및 제1수직 움직임 벡터들과 소정 배율(K)을 곱한 값으로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을 보정한다. 이것은 결국, 움직임의 분해능은 떨어지지만 출력에서 극단적인 에러를 줄일 수 있게 된다.
상관치를 동시에 계산하기 위해서는 현재와 이전, 수평과 수직, 전체 영역과 일부의 확대 영역에서의 누산치가 각각 필요하게 된다. 또한, 이렇게 추정된 움직임에 의하여 영상이 보정되어 출력되어야 하는데, 입력 영상의 주사가 끝난 후이므로, 이 입력영상을 필드 메모리에 일단 저장후, 검출된 움직임 벡터로 보정하여 출력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및 방법은 캠코더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움직임을 정확하고, 안정되게 보정해 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1방향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1움직임 검출수단;
    상기 영상의 일부분 영역에 대한 제2방향성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2움직임 검출수단;
    상기 제1 및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들을 입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계산하는 차값 계산 수단; 및
    상기 방향성 차값과 제2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 값 또는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움직임 검출 수단은
    상기 영상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누산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방향성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움직임 검출수단은
    입력한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상기 제1방향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1누산수단; 및
    상기 추출된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1움직임 성분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움직임 검출수단은
    입력한 상기 영상의 일부분에 대한 상기 제2방향성 정보를 추출하는 제2누산수단;
    추출된 상기 제2방향성 정보를 공간적으로 확장하여 출력하는 확장수단; 및
    상기 확장된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2움직임 성분 검출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5.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한 제1방향성 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제1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1움직임 검출수단;
    상기 영상의 확대 영역에 대한 제2방향성 정보를 추출하여 공간적으로 확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정보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검출하는 제2움직임 검출수단;
    상기 제1 및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들을 입력하고,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계산하는 차값 계산 수단; 및
    상기 방향성 차값과 제2소정값을 비교하고, 비교된 결과에 응답하여,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 값 또는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보정 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상기 제2움직임 검출수단은
    상기 영상을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누산하여 상기 제1 및 상기 제2방향성 정보를 각각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장치.
  7.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1방향성 정보 및 상기 영상의 일부분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2방향성 정보 각각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방향성 차값이 제2소정값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값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방법.
  8. 카메라 촬영시 손떨림에 의한 영상의 움직임을 보정하기 위한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방법에 있어서,
    상기 영상의 전체 혹은 일부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영상의 전체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1방향성 정보 및 상기 영상의 확대 영역에 대해 추출한 제2방향성 정보 각각의 시간적인 차이로부터 제1 및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을 각각 검출하는 단계;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에 제1소정값을 곱한 값과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간의 방향성 차값을 구하는 단계;
    상기 방향성 차값이 제2소정값보다 큰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보다 크면 상기 제1방향성 움직임 성분과 상기 제1소정값의 역수를 곱한값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 및
    상기 방향성 차값이 상기 제2소정값 이하이면 상기 제2방향성 움직임 성분으로 상기 손떨림을 보정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 방법.
KR1019960058503A 1996-11-27 1996-11-27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KR100200761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03A KR100200761B1 (ko) 1996-11-27 1996-11-27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JP20492497A JP4001979B2 (ja) 1996-11-27 1997-07-30 カムコーダの動き補正装置
US08/976,454 US5943450A (en) 1996-11-27 1997-11-25 Apparatus and method for compensating for camera vibration during video photograph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8503A KR100200761B1 (ko) 1996-11-27 1996-11-27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9479A KR19980039479A (ko) 1998-08-17
KR100200761B1 true KR100200761B1 (ko) 1999-06-15

Family

ID=1948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8503A KR100200761B1 (ko) 1996-11-27 1996-11-27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943450A (ko)
JP (1) JP4001979B2 (ko)
KR (1) KR10020076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3409B2 (en) 2007-04-23 2010-03-23 Dongbu Hitek Co., Ltd. Image sensor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48269A (ja) * 2000-11-08 2002-05-22 Sumitomo Rubber Ind Ltd ボール運動計測装置
WO2004062270A1 (ja) 2002-12-26 2004-07-22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画像処理装置
EP1700471B1 (en) * 2003-12-23 2008-09-24 Nxp B.V. Method and system for stabilizing video data
US7327952B2 (en) * 2004-07-26 2008-02-05 Pentax Corporation Stage apparatus and camera shake correction apparatus using the stage apparatus
US8019179B2 (en) * 2006-01-19 2011-09-13 Qualcomm Incorporated Hand jitter reduction for compensating for linear displacement
US8120658B2 (en) * 2006-01-19 2012-02-21 Qualcomm Incorporated Hand jitter reduction system for cameras
US7970239B2 (en) * 2006-01-19 2011-06-28 Qualcomm Incorporated Hand jitter reduction compensating for rotational motion
US20070171981A1 (en) * 2006-01-25 2007-07-26 Yingyong Qi Projection based techniques and apparatus that generate motion vectors used for video stabilization and encoding
US8379933B2 (en) * 2010-07-02 2013-02-19 Ability Enterprise Co., Ltd. Method of determining shift between two images
WO2017066778A1 (en) 2015-10-16 2017-04-20 Tribune Broadcasting Company, Llc Video-production system with dve featur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667A (ja) * 1992-06-22 1994-01-14 Canon Inc ぶれ検出装置及びぶれ補正装置
JP3582022B2 (ja) * 1994-09-29 2004-10-27 コニカミノルタ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ズームレンズ鏡胴
JPH08166614A (ja) * 1994-12-14 1996-06-25 Nikon Corp 防振機能付きカメラ
JP3790829B2 (ja) * 1995-04-21 2006-06-28 株式会社ニコン 超音波アクチュエータを用いる振れ防止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83409B2 (en) 2007-04-23 2010-03-23 Dongbu Hitek Co., Ltd. Image sens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4001979B2 (ja) 2007-10-31
US5943450A (en) 1999-08-24
KR19980039479A (ko) 1998-08-17
JPH10164428A (ja) 1998-06-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30002613B1 (ko) 화상의 움직임벡터검출장치
US5563652A (en) Video camera with electronic picture stabilizer
US8289402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ickup apparatus and image processing method including image stabilization
US8054881B2 (en) Video stabilization in real-time using computationally efficient corner detection and correspondence
US9055217B2 (en) Image compositing apparatus, image compositing method and program recording device
KR0163922B1 (ko) 카메라 영상의 움직임 벡터 검출장치 및 그 검출방법
KR19990031401A (ko) 비트 플레인 정합을 이용한 입력영상의 움직임 보정을 통한 영상안정화 장치 및 그에 따른 영상 안정화방법
KR100200761B1 (ko) 캠코더의 움직임 보정장치 및 방법
JP4639555B2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方法、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JPWO2007074605A1 (ja) 画像処理方法、画像処理プログラム、画像処理装置、及び撮像装置
US20090052788A1 (en) Image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Program, Image Processing Device, and Imaging Device
JP2002539683A (ja) 画像シーケンスにおける画像の変位を求める方法および装置
JP2006215655A (ja) 動きベクトル検出方法、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動きベクトル検出プログラム及び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20070014913A (ko) 촬상장치의 손떨림 보정방법
JP2003078808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および方法、手振れ補正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撮像装置
EP2038844A1 (en) Global motion estimation
JP3252418B2 (ja) 画像の手振れ判定装置
JP3257035B2 (ja) 画像の振動補正装置及び方法
JP3395186B2 (ja) ビデオカメラおよびビデオカメラの画像の振動表示方法
JP3271273B2 (ja) 画像の振動判定装置、画像の振動補正装置、画像の振動判定方法及び画像の振動補正方法
JP3218613B2 (ja) ビデオデータの手振れ検出装置およびその方法
KR100228682B1 (ko) 손떨림 보정시 전체적인 움직임 검출장치 및방법
JP2008118340A (ja) 動きベクトル検出装置及びビデオ信号処理装置
JP3200890B2 (ja) 画像の振動補正装置
JP2007259104A (ja) 2画面間の移動ベクトル算出方法及びその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216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