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915B1 - 슬러리디칸타장치 - Google Patents

슬러리디칸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915B1
KR100199915B1 KR1019960052581A KR19960052581A KR100199915B1 KR 100199915 B1 KR100199915 B1 KR 100199915B1 KR 1019960052581 A KR1019960052581 A KR 1019960052581A KR 19960052581 A KR19960052581 A KR 19960052581A KR 100199915 B1 KR100199915 B1 KR 100199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rry
rotor
screw conveyor
bentonite
high spe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25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4518A (ko
Inventor
권영제
Original Assignee
권영제; 최태주
신원그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영제; 최태주, 신원그린주식회사 filed Critical 권영제; 최태주
Priority to KR10199600525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991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45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45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9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 E02D3/126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and mixing by rotating blad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3Injection of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ntrifugal Sepa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층빌딩을 건축하기 위한 지하기초 토목공사의 일환으로 지하연속벽을 조성하는 슬러리월(Slurry Wall)공법에서 사용되는 원심분리기의 일종인 슬러리디칸타(Slurry Decanter)장치이고, 펌프 또는 중력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로터로 원액이 송급되어 원심력에 의해 로터의 내벽에 고체가 퇴적되고 상기 로터와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내부의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되어 배토되며 분리액을 반대방향으로 배출하게 되는 슬러리디칸타장치에 관한 것으로, 컷터인 하이드로미를 이용하여 땅을 굴삭하면서 안정액인 벤토나이트 슬러리속에서 트렌치를 구축하고, 발생된 굴삭파쇄물을 상기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께 지상으로 올려서 그 불순물들을 굴삭파쇄물을 상기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께 지상으로 올려서 그 불수물들을 체형식의 디샌더로 걸러내는 슬러리월공법에 있어서, 상기 디샌더가 제거하지 못하는 200 미크론이하의 사토류의 미세한 입자를 본체(1)에서는 공급관(6)를 통해 송급되고 고속회전하는 덮개(2)내의 로터(8)가 설치되고, 이 로터(8)내에는 감속기(4)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스크류 컨베이어(9)가 설치되어,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수율 30-50%의 고체(흙)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재사용 및 처리하기 위해 유출부(7)와 고체배출부(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디칸타장치.

Description

슬러리디칸타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디칸타장치를 도시해 놓은 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도시된 슬러리디칸타장치의 주요부분을 도시해 놓은 내부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내 로터를 설명하기 위한 상세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본체 2 : 덮개
3 : 구동모터 4 : 감속기
5 : 벨트커버 6 : 공급관
7 : 유출부 8 : 로터
9 : 컨베이어 10 : 보울
11 : 고체배출부 12 : 구동풀리
13,14 : 베어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고층빌딩을 건축하기 위한 지하기초 토목공사의 일환으로 지하연속벽을 조성하는 슬러리월(Slurry Wall)공법에서 사용되는 원심분리기의 일종인 슬러리칸타(Slurry Decanter)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펌프 또는 중력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로터로 원액이 송급되어 원심력에 의해 로터의 내벽에 고체가 퇴적되고 상기 로터와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내부의 스크류 컨베이어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되어 배토되며 분리액을 반대방향으로 배출하게 되는 슬러리칸타장치에 관한 것이다.
따라서, 슬러리월공법에서 본 발명의 스러리디칸타장치를 설치하여 5미크론이상의 모든 슬러리월공법에서 본 발명의 슬러리칸타장치를 설치하여 5미크론이상의 모든 입자를 걸러내어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는 안정액으로 벤토나이트 슬러리(Bentonite Slurry)를 계속적으로 다량 사용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벤토나이트이 절약과 품질향상된 양질의 지하 연속벽시공을 도모할 수 있는 슬러리디칸타장치를 설치한 것이다.
[그 분야의 종래기술]
최근에는 과학기술과 건설 및 경제의 비약적인 성장과 발전됨에 따라 건축 및 토목분야에도 그 실정에 맞게 대형화, 고층화 및 다양화가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현상 등을 감안하여 건축자, 제작자 및 시공자들은 다각적으로 새로운 이론이나 공법 등을 도입한다든지 새로운 장치나 자재 등의 등장 및 기법의 도입, 계획, 설계, 그리고 필요한 선택 등을 활용하게 된다.
그런데, 해당 고층빌딩의 건축이나 이미 건축된 빌딩사이에서 재건축하기 위해서는 토목공사로서 해당 필지를 일정깊이로 파내어 기초공사를 착수하게 되는바, 재래 토목공사는 건축면적만큼을 중장비로 파내고 해당 영역을 따라 나무의 받침복이나 철재빔 등을 이용하여 벽체공사를 시공하는 공법 등을 채용하는 것이 일반적이였다. 그러나, 최근 슬러리월공법을 이용하여 작업의 기계화와 환경개선등으로 보다 안전한 토목공사에 임할 수 있다.
즉, 상기 슬러리월공법은 종래의 토목공법과 달리 하이드로밀을 작동시킴에 따라 벤토나이트 슬러리를 충만시킨 상태에서 트렌치(Trench)를 파내려가게 되고, 상기 벤토나이트 슬러리가 굴삭파쇄물을 부유한 채로 지상으로 펌핑되어 올라오면 디샌더(Desander)로 굴삭파쇄물을 걸러내고 다시 트렌치로 순환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슬러리월공법으로 성공적인 공사수행을 위해 가장 중요한 요소로서는 안정액인 벤토나이트 슬러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해야 하는데, 이 디샌더로써는 200 미크론이상밖에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남아있는 굴삭파쇄물에 의해 안정액의 열화가 불가피하여 벤토나이트 슬러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할 수가 없었다.
이를테면, 상기 디샌더로는 걸러낼 수 있는 입자의 크기가 물리적으로 제한이 뒷따르게 되므로, 이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곧 열화하여 안정액으로서 품위를 잃고 폐액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것들은 산업폐기물로서 별도로 다시 처리하기 때문에 처리비용이 많이 소요되고 있는 실정이고, 또 경우에 따라서는 하수구로 이를 방류하여 심각한 공해를 초래하는 사례들이 발견되곤 하였다.
이러한 슬러리월공법을 착용함에 있어 경제적이고, 성공적인 굴삭공정을 이룩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중의 하나로서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시키는 것이 관건인 바, 이는 안정액으로서의 품위를 잃지 않는 폐액방지로서의 환경보호뿐만 아니라 지하 연속벽의 품질향상과도 직결되는 것이다.
[발명의 목적]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슬러리월공법을 보완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벤토나이트슬러리를 계속적으로 재활용하게 하므로 경제적이고 품질좋은 벽체시공을 기할 수 있는 공법에서의 원심분리기일종인 슬러리디칸타장치를 발명한 것으로, 슬러리월공법에서의 최종 디샌더를 통해 배출되는 200 미크론이하 사토류의 미세입자를 다시 5 미크론이상의 불순물을 모두 걸리내어 재사용가능하고 200 미크론이하에서 5 미크론이상의 사토류의 미세입자만을 제거하여 항상 양호한 상태의 슬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주므로써 벤토나이트의 절약과 더불어 품질향상된 벽체시공을 도모할 수 있는 슬러리월공법의 슬러리디칸타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는, 컷터인 하이드로밀을 이용하여 땅을 굴삭하면서 안정액인 벤토나이트 슬러리속에서 트렌치를 구축하고, 발생된 굴삭파쇄물을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께 지상으로 올려서 그 불순물등를 체형식의 디샌더로 걸러내는 슬러리월공법에 있어서, 상기 디샌더가 제거하지 못하는 200 미크론이하의 사토류의 미세한 입자를 본체(1)에서는 공급관(6)를 통해 송급되고 고속회전하는 덮개(2)내의 로터(8)가 설치되고, 이 로터(8)내에는 감속기(4)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스크류 컨베이어(9)가 설치되어,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수율 30-50%의 고체(흙)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재사용 및 어리하기 위해 유출부(7)와 고체배출부(11)가 설치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를 설치한 슬러리월공법을 채용하게 되므로 벤토나이트의 상태를 저하시키는 굴삭파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벤토나이트 슬러리원액의 손실을 최소화하여 계속적으로 재활용하여 벤토나이트를 절약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예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관한 슬러리디칸타장치를 도시해 놓은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슬러리칸타장치(원심분리기의 일종)를 설치한 슬러리월공법으로 고층빌딩을 건축하기 전에 해당 면적의 땅을 굴삭하는 지하기초 토목공사에서 새로운 벽체방법으로 양질의 지하연속벽을 시공할 수 있다.
즉, 디샌더의 뒷단에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를 설치하여 미세한 굴삭파쇄물로 오염된 벤토나이트슬러리를 양호한 상태로 유지되도록 다시 처리하는 개량된 슬러리월(Slurry Wall)공법인 것이다.
이는 일반 슬러리월공법에서 체형식의 디샌더를 통해 배출되는 200 미크론이하의 사토류의 미세입자를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를 통해 제거하게 되므로 양질의 슬러리를 계속적으로 만들어서 해당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하이드로밀에서 재사용하고 나머지 200 미크론이하의 불순물을 함수율 약 30-50%정도의 흙으로 처리할 수 있어 벤토나이트의 절약과 품질향상된 양질의 지하연속벽시공을 도모할 수 있다.
먼저, 슬러리월공법에 있어 컷터인 하이드로밀이 벤토나이트 슬러리속에서 트렌치를 굴삭하면서 펌프로 펌핑하여 굴삭파쇄물과 함께 벤토나이트 슬러리를 디샌더로 보낸다. 이때 탱크에서 펌프로 굴삭된 트렌치로 벤토나이트 슬러리가 보충된다. 이렇게 배출되는 벤토나이트슬러리 속의 각종 굴삭파쇄물은 체형식의 디샌더로서 걸러내어 해당 매립지로 운반처리하는 한편, 이 디샌더에서 1차적으로 걸러진 슬러리를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펌프로 펌핑되어 공급관(6)을 통해서 본 발명의 슬러리칸타장치인 본체(1)의 로터(8)내로 송급된다.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는 별도의 기초공사없이 콘테이너유니트에 적재하여 무진동 및 무소음으로 편리하게 연속 운용할 수 있고, 또한 기기간의 배관 및 배선이 완성되어 있어 운송 및 설치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시스템전체 운반이 용이하다. 즉, 본체(1)의 덮걔(2)를 열면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로터(8)가 설치되어 있어 펌프 또는 중력에 의해 고속회전하는 상기 로터(8)로 원액이 공급관(6)을 통해 송급된다.
이때 구동모터(3)와 연결된 벨트커버(5)내의 구동풀리(12'), 유체커플링(16) 및 다른 구동풀리(12)를 통해 고속으로 회전하는 로터(8)로 송급된 상기 원액중에서 사분류의 미세불순물입자를 높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상기 로터(8)의 내벽에 퇴적시킨다. 제2도에 도시된 상기 구동모터(3)의 구동풀리(12')와 로터(8)의 구동풀리(12)가 벨트로 연결되어 있어 고속으로 회전시킬 수 있고, 상기 구동풀리(12,12')에 의해 로터(8)의 RPM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유체커플링(16)은 로터(8)을 작동시킨 다음 정지시킬 때에 내부의 찌거지가 끼워 과부하에 따른 구동모터(16)의 보호용으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송급된 상기 원액중에서 사분류의 미세불순물입자를 본체(1)의 덮개(2)내에서 양쪽 베어링(13,14)사이의 로터(8)가 고속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베어링(13)측의 감속기(4)에 의해 상기 로터(8)와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로터(8)내의 스크류 컨베이어(9)에 의해 연속적으로 분리되고 있으므로 내벽에 퇴적된 함수율 30-50%의 고체(흙)를 고체배출부(11)를 통해 처리장(도시되지 않음)으로 배토되는 한편, 분리된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유출부(7)를 통해 반대방향으로 배출되어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재활용하여 컷터인 하이드로밀에서 다시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에 있어 본체(1)의 덮개(2)내 로터(8)는 한 베어링(14)측의 구동모터(3)에 의해 고속으로 회전하고 다른 베어링(13)측의 감속기(4)에 의해 로터(8)내의 스크류 컨베이어(9)가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지고 회전하게 되므로,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수율 약 30-50의 고체(흙)으로 분리하게 된다. 즉, 상기 로터(8)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벨트커버(5)내의 구동풀리(12'12) 및 유체커플링(16)이 구동모터(3)에 의해 작동됨에 따라 양쪽의 베어링(13)(14)을 통해 원활한 고속회전하게 도고, 한 베어링(13)측으로 과부하보호장치(15)가 설치된 감속기(4)가, 다른 베어링(14)측으로 구동풀리(12)가 각각 설치된다. 상기 과부하보호장치(15)는 로터(8)가 고속회전하고 이 로터(8)와 같은 방향으로 감속기(4)에 의해 차속으로 스크류 컨베이어(9)가 회전하는 동안에 상기 감속기(4)가 어떤 원인에 의해 과부하가 걸릴 때 감속기(4)를 보호해주기 위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8)내에는 여러개의 보울(10)로 된 스크류 컨베어이(9)가 설치되어 있는 바, 이는 공급관(6)를 통해 내부로 송급된 원액중에서 사분류의 미세불순물입자를 높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로터(8)의 내벽에 퇴적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8)내에서 분리되어진 함수율 약 30-50 의 고체(흙)는 차속을 갖고 고속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9)의 다수 보울(10)로 경사진 부분으로 점차적으로 밀어내어 고체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토시키는 한편, 상기 로터(8)의 벽에 퇴적된 고체위로 채워지는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일정 높이를 넘쳐서 반대방향의 유출부(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를 설치한 슬러리월공법을 기하기초 토목공사 현장에서 적절히 적용하게 되므로 벤토나이트 슬러리의 상태를 저하시키는 굴삭파쇄물을 효과적으로 제거하면서 상기 벤토나이트 슬러리원액의 손실을 최소활하여 계속적으로 재활용하여 벤토나이트를 절약할 수 있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슬러리디칸타장치내 로터를 설명하기 위해 상세히 도시해 놓은 단면도로서, 제1도에 도시된 본체(1)의 덮개(2)내에서 고속회전하는 로터(8)는형 하우징으로 양측의 외부샤프트(17,18)와 일체화되어 설치되는 바, 먼저 우측의 외부샤프트(17)는 베어링(14)을 매개로 구동풀리(12)가 설치되고 좌측의 외부사프트(18)는 베어링(14)을 통해 도시되지 않는 기어박스인 감속기가 설치된다. 또한 우측의 외부샤프트(17)는 부싱(19')을 통해 내부가 빈 내부사프트(17')가, 좌측의 외부사프트(18)는 부싱(19)을 통해 내부사프트(18')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양측의 내부사프트(17',18')사이에는 로터(8)의 내부로써 다수 보울(10)로 된 스크류 컨베이어(9)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9)의 다수 보울(10)끝이 회전하면서 로터(8)내벽을 통과하게 된다.
이 스크류 컨베이어(9)내에는 내부사프트(17')측으로 3개의 급수구획(20-22)이 형성되어 있으면서 각 급수구획(20-22)의 유출부(23,23')가 다수 보울(10)사이로 설치되어 있어 제2도에 도시된 공급관(6)을 통해 송급된 원액이 각각 배출되어진다.
즉, 우측의 구동풀리(12)를 통해 고속회전하는 로터(8)는 일체화된 외부샤프트(17,18)가 양쪽 베어링(13,14)을 통해 정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제2도에 도시된 좌측의 감속기(4)에 의해 차속으로 상기 로터(8)와 같은 방향으로 내부샤프트(17'18')의 스크류 컨베이어(9)도 정방향으로 동시에 회전하게 된다. 이때 내부사프트(17')를 통해 송급된 원액은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9)내에 있는 3개의 급수구획(20-22)을 통과하면서 보울(10)사이의 유출부(23,23')로 배출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8)가 고속으로 회전하면서 여러개의 보울(10)로 된 스크류 컨베이어(9)도 같은 방향으로 차속으로 회전하게 되는 바, 이는 제2도에 도시된 공급관(6)를 통해 내부로 송급된 원액중에서 사분류의 미세불순물입자를 높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각 급수구획(20-22)의 유출부(23,23')를 나오면서 고속회전하는형 로터(8)의 내벽을 따라 퇴적시키게 된다.
이때, 상기 로터(8)내벽에서 분리되어진 함수율 약 30-50 의 고체(흙)는 차속을 갖고 고속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9)의 다수 보울(10)로 경사진 좌측부분으로 점차적으로 밀어내어 좌측의 고체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토시키는 한편, 상기 로터(8)의 내벽에 퇴적된 고체위로 충만되어지는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일정 높이를 넘쳐서 반대방향의 우측 유축부(7)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고 있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슬러리칸타장치를 통해 처리하게 되므로 양질의 슬러리를 계속적으로 만들어서 해당 탱크에 저장하였다가 하이드로밀에서 재사용하고 나머지 200 미크론이하의 불순물을 함수율 약 30-50% 정도의 흙으로 처리할 수 있어 벤토나이트의 절약과 품질향상된 양질의 지하연속벽시공을 도모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상기와 같은 슬러리월공법을 보완하여 자연환경을 보호하고 벤토나이트슬러리를 계속적으로 재활용하므로 경제적이고 품질좋은 양질의 지하 연속벽시공을 기할 수 있는 슬러리디칸타장치로써, 슬러리월공법에서의 최종 디샌더를 통해 배출되는 200 미크론이하의 사토류의 미세입자를 다시 5 미크론이상의 불순물을 모두 걸러내어 항상 양호한 슬러리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환경파괴의 폐액발생이 없으며 벤토나이트 절약과 더불어 품질향상된 벽체시공을 도모할 수 있는 슬러리월공법의 슬러리디칸타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내용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사상과 원리에 벗어남이 없이 특허청구범위의 기재된 내용에 포함하고 모든 수정, 변형 및 개량을 이에 포함하고자 한다.

Claims (7)

  1. 컷터인 하이드로밀을 이용하여 땅을 굴삭하면서 안정액인 벤토나이트 슬러리속에서 트렌치를 구축하고, 발생된 굴삭파쇄물을 상기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께 지상으로 올려서 그 불순물들을 체형식의 디샌더로 걸러내는 슬러리월공법에 있어서,상기 디샌더가 제거하지 못하는 200 미크론이하의 사토류의 미세한 입자를 본체(1)에서는 공급관(6)를 통해 송급되고 고속회전하는 덮개(2)내의 로터(8)가 설치되고, 이 로터(8)내에는 감속기(4)에 의해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스크류 컨베이어(9)가 설치되어,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와 함수율 30-50% 의 고체(흙)으로 분리하여 각각을 재사용 및 처리하기 위해 유출부(7)와 고체배출부(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칸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8)는 고속으로 회전하고 감속기(4)에 의해 로터(8)내의 스크류 컨베이어(9)가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지고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칸타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8)와 같은 방향으로 차속을 가진 다수 보울(10)의 스크류 컨베이어(9)에 의해 고체는 연속적으로 분리되어 고체배출부(11)로 배토되고, 양질의 벤토나이트슬러리는 반대방향의 유출부(7)으로 배출되어 해당 탱크에 저장되었다가 다시 재활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디칸타장치.
  4. 본체(1)의 덮개(2)내에서 고속회전하는 로터(8)는형 하우징으로 양측의 외부샤프트(17,18)와 일체화되어 설치되고, 우측의 외부샤프트(17)는 베어링(14)을 매개로 구동풀리(12)가 설치되고 좌측의 외부샤프트(18)는 베어링(14)을 통해 기어박스인 감속기(4)가 설치되며, 우측의 외부샤프트(17)는 부싱(19')을 통해 내부가 빈 내부샤프트(17')가, 좌측의 외부샤프트(18)는 부싱(19)을 통해 내부샤프트(18')가 각각 설치되어, 양측의 내부샤프트(17'18')사이에는 로터(8)의 내부로써 다수 보울(10)로 된 스크류 컨베이어(9)가 설치되고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9)의 다수보울(10)끝이 회전하면서 로터(8)내벽을 통과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디칸타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풀리(12)에 베트로 구동모터(3)의 구동풀리(12')와 유체커플링(16)이 연결되어 고속으로 회전시키고, 상기 구동풀리(12,12')에 의해 상기 로터(8)의 RPM을 조절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디칸타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크류 컨베이어(9)는 공급관(6)를 통해 내부로 송급된 원액중에서 사분류의 미세불순물입자를 높은 원심력을 이용하여 각 급수구획(20-22)의 유출부(23,23')를 나오면서 고속회전하는형 로터(8)의 내벽을 따라 퇴적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디칸타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8)내벽에서 분리되어진 함수율 약 30-50의 고체(흙)는 차속을 갖고 고속회전하는 스크류 컨베이어(9)의 다수 보울(10)로 경사진 좌측부분으로 점차적으로 밀어내어 좌측의 고체배출구(11)를 통해 외부로 배토되고, 상기 로터(3)의 내벽에 퇴적된 고체위로 충만되어지는 양질의 벤토나이트 슬러리는 일정 높이를 넘쳐서 반대방향의 우측 유출부(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러리디칸타장치.
KR1019960052581A 1996-11-07 1996-11-07 슬러리디칸타장치 KR1001999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581A KR100199915B1 (ko) 1996-11-07 1996-11-07 슬러리디칸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2581A KR100199915B1 (ko) 1996-11-07 1996-11-07 슬러리디칸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518A KR19980034518A (ko) 1998-08-05
KR100199915B1 true KR100199915B1 (ko) 1999-06-15

Family

ID=19481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2581A KR100199915B1 (ko) 1996-11-07 1996-11-07 슬러리디칸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9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98917B1 (ko) * 2000-07-12 2003-09-29 김용현 지반개량장치
KR100460847B1 (ko) * 2001-07-20 2004-12-09 대지종합건설 주식회사 고화토 분쇄 및 교반혼합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4518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64529B1 (ko) 자주식토질개량기
KR100199915B1 (ko) 슬러리디칸타장치
KR102115148B1 (ko) 관로 굴진용 이수 연속 처리시스템
CN112390485A (zh) 一种集成化盾构机泥水分离系统
JP2565482B2 (ja) 泥水掘削工法における泥水及び産業用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KR100190226B1 (ko) 슬러리디칸타장치의 스크류컨베이어
JP2807657B2 (ja) 泥水掘削工法における泥水及び産業用廃水の処理方法及び装置
JP3717906B2 (ja) 泥水処理装置
CN214270628U (zh) 一种集成化盾构机泥水分离系统
KR102208394B1 (ko) 굴삭기 버킷 및 이를 이용한 복합 오염 토양의 정화 시스템
JPH0474041B2 (ko)
KR100199916B1 (ko) 슬러리디칸타를 설치한 슬러리월공법
JP4463590B2 (ja) 掘削泥水処理方法及び掘削泥水処理システム
KR101320302B1 (ko) 장대터널에서의 배니수 처리방법
JP2001096186A (ja) 簡便な浮沈分離機
JPS5933008B2 (ja) れき及びずり混入泥水の分離装置
KR20050034668A (ko) 토사슬라임과 슬러지의 연속 진공흡입 이수이토 탈수재처리공법 및 그 장치
JP2684524B2 (ja) 浮沈分離機
JP4190375B2 (ja) 建設汚泥の処理方法および処理システム
KR101320303B1 (ko) 장대터널에서의 배니수 처리장치
JP2654625B2 (ja) 泥水処理装置
JP2717146B2 (ja) 泥水掘削工法等における安定液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JP2717145B2 (ja) 泥水掘削工法等における安定液の回収方法および回収装置
JP3720914B2 (ja) 泥水処理方法及びその処理装置
JP2005118758A (ja) 汚染土壌処理システム及び汚染土壌処理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61107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61107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N2301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date: 19980912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Patent event code: PN23011R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19981229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1999030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19990308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605

Year of fee payment: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2060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040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