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9455B1 - 음극선관장치 - Google Patents

음극선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9455B1
KR100199455B1 KR1019960005515A KR19960005515A KR100199455B1 KR 100199455 B1 KR100199455 B1 KR 100199455B1 KR 1019960005515 A KR1019960005515 A KR 1019960005515A KR 19960005515 A KR19960005515 A KR 19960005515A KR 100199455 B1 KR100199455 B1 KR 1001994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coil
deflection
inductance element
main defl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5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565A (ko
Inventor
마사히로 요코다
타다히로 고지마
유이치 사노
Original Assignee
사토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사토 후미오,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filed Critical 사토 후미오
Publication of KR9600325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5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94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9455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 H01J29/701Systems for correcting deviation or convergence of a plurality of beams by means of magnetic fields at least
    • H01J29/702Convergence correction arrangement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46Arrangements of electrodes and associated parts for generating or controlling the ray or beam, e.g. electron-optical arrangement
    • H01J29/70Arrangements for deflecting ray or beam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Details Of Television Scann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극선관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편향장치에 의해 편향되는 전자빔에 의해서 주사되는 형광체 스크린위에 그리는 화상에 대한 비뚤어짐을 보정하는 보정 코일을 구비하고, 상기 보정 코일(33, 34)이 편향장치의 편향 중심 부근에 배치되며, 전기적으로 편향장치와는 독립의 1mH 이하의 저 인덕턴스에 형성되어 있으며, 보정 코일(33, 34)에는 편향장치의 주 편향 코일(30, 31)에 편향 전류를 공급하는 주 편향 전류 공급원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된 비뚤어짐 보정전류공급원에 접속되며, 이 비뚤어짐 보정전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거의 같은 자계를 발생하며, 도 편향 코일에 접속된 제 1 인덕턴스소자와 보정 코일에 접속된 제 2 인덕턴스소자의 자기 결합에 의해 편향 자계의 쇄교에 위한 유도 기동력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음극선관장치
제1도는 종래의 칼라음극선관에 끼워지는 보정코일유닛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
제2a도 내지 제2f도는 제1도에 나타난 종래의 보정코일유닛의 자극에 의해 발생하는 여러 자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3a도 내지 제3b도는 제1도에 나타난 보정코일유닛에 의한 화상왜곡의 보정작용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4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의한 칼라수상관장치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일부단면도,
제5도는 제4도에 나타낸 칼라수상관장치에 장착되는 편향장치와 보정코일을 나타내는, 관축에 직교하는 면내에 있어서의 단면도,
제6a도는 편향장치의 수평주코일과 제5도에 나타난 보정코일 가운데 수평방향의 왜곡을 보정하는 보정코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6b도는 편향장치의 수직주코일과 제5도에 나타난 보정코일 가운데 수직방향의 왜곡을 보정하는 보정코일과의 관계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7도는 제5도에 나타난 보정코일의 제작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8a도 및 제8b도는 각각 수직주편향 코일이 발생하는 자계와 수직방향의 왜곡을 보정하는 보정코일이 발생하는 보정자계와의 관계 및 전자빔의 랜딩위치의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9도는 보정코일에 전류를 공급하는 보정전류공급회로의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
제10a도는 제 1 및 제 2 인덕턴스소자를 접속하지 않은 경우에 수직방향왜곡보정코일 및 수직주편향코일의 단자간에 발생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10b도는 제 1 및 제 2 인덕턴스소자를 접속한 경우에 수직방향 비뚤어짐 보정코일 및 수직주편향코일의 단자간에 발생하는 전압파형을 나타내는 도면,
제11도는 수직주편향코일에 접속되는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이 제 1 인덕턴스소자에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수직방향왜곡보정 코일에 접속되는 제 2 인덕턴스소자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제12도는 수직주편향코일에 접속되는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이 제 1 인덕턴스소자에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수직방향왜곡보정 코일에 접속되는 제 2 인덕턴스소자가 다른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환상체 4,7 : 자계
5 : 전자빔 9 : 편향장치
10 : 수직편향자계 12 : 보정코일유닛
20 : 패널 21 : 퍼넬
22 : 형광체 스크린 23 : 섀도우 마스크
24 : 네크 25 : 전자총 조립체
26 : 대직경부 27 : 편향장치
29 : 몰드 30 : 수평주편향코일
31 : 수직주편향코일 32 : 코어
33 : 수평보정코일 34 : 수직방향왜곡보정코일
35 : 인덕턴스소자 41 : 권선
44 : 수직편향자계 45 : 보정자계
46 : 3전자빔 47 : 증폭부
51 : 유도기전력 54 : 드럼형 코어
55 : 고리형상 자성체 62 : 보정전류공급원
60 : 주편향전류공급원
본 발명은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임의의 화상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칼라수상관장치 등의 음극선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수상관장치에서는 전자총에서 방출되는 3전자빔은 편향장치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수평, 수직방향으로 편향되고, 섀도우마스크의 어퍼쳐(aperture)를 통하여 형광체 스크린에 발사된다. 이와 같이 편향된 전자빔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이 수평 및 수직방향으로 주사됨으로써 칼라화상이 표시된다. 이와 같은 칼라수상관장치는 현재 전자총에서는 방출되는 3전자빔이 동일평면상을 통과하는 일렬배치의 3전자빔으로 한 인라인 (in-line)형 칼라수상관장치가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와 같은 칼라수상관장치에 있어서, 화면상에 표시되는 화상의 품위를 양호하게 하기 위해서는, 화상왜곡, 예를 들면 래스터형상의 왜곡을 작게 하는 것이 중요하고, 종래는 그 화상왜곡을 편향장치가 발생하는 자계의 분포에 의해 조정해 왔다. 그러나 최근 칼라수상관은 그 편향각이 커지는 광편향각화되고, 또한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커지고 있다. 이와 같은 광편향각화 및 고성능화 등을 달성하기 위해 편향장치가 발생하는 자계의 분포를 만드는 것만으로는 화상왜곡을 작게하는 것이 곤란하고, 또 화상왜곡에 대한 요구도 한층 엄격해진다.
이와 같은 칼라수상관장치에 있어서의 화상왜곡이나 퓨리티특성 및 콘버전스 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서, 예를 들면 일본국 실개소 60- 32871 호 공보에는 제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은 보정코일유닛을 채용하는 방식이 개시되어 있다. 이 보정코일유닛은 환상체(1)의 내측에 설치된 12개의 돌기부에 6조의 코일(2)을 감은 구조를 갖고, 이 보정코일유닛을 구비한 장치에는 그 각각의 코일(2)을 활성화시키는 것에 의해 화상왜곡이나 퓨리티 및 컨버전스가 보정된다. 즉 6조의 코일(2) 가운데 2조의 코일은 전기를 통하게 하므로써 제2a도 및 제2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2조의 NS자극을 형성하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자계(4)를 형성하여 전자빔(5)을 화살표(6)방향으로 변위시키고, 화상왜곡이나 퓨리티의 보정작용을 전자빔에 전달하고 있다. 다른 4조의 코일(2)은 전기를 통하게 하므로써 제2c도에서 제2f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46조의 NS자극을 형성하고, 파선으로 나타내는 자계(7)를 형성하여 3전자빔(5)을 화살표(8)방향으로 변위시키고, 컨버전스의 보정작용을 전자빔에 전달하고 있다.
이 보정코일의 이점은 코일에 적절하게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화상왜곡이나 퓨리티의 보정량을 임의로 조정할 수 있고, 그것에 의해 화상왜곡이나 퓨리티 특성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는 데에 있다. 그러나 이 보정코일을 이용하여 화상왜곡을 보정하면 화상왜곡뿐만 아니라 동시에 퓨리티(색순도)까지 변화하는 문제가 있다. 이 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칼라음극선관장치의 화상왜곡특성 및 퓨리티특성은 형광체 스크린을 주사하는 전자빔을 편향각도에 의존한다. 여기서 예를 들면 편향장치가 발생하는 자계에 의해 편향되는 전자빔에 의해 형광체스크린상에 생기는 화상에 발생하는 수직방향의 왜곡보정에 대해서 고찰한다. 제3a도 및 제3b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편향장치(9)의 후방에 배치된 보정코일(12)이 발생하는 보정자계(13)가 편향장치(9)가 발생하는 수직편향자계(10)와 동일방향의 같은 자계라고 하면 수직편향에 기여하는 자계의 총량이 증가하고, 점(P)에 도달할 전자빔(5)은 점(P)보다도 외측에 점(P₁)에 도달하게 되고, 화상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동시에 편향장치(9)의 후방에 보정코일유닛(12)이 배치되기 때문에 편향중심이 0에서 01으로 후방으로 이동되고, 형광체 스크린(11)에 전자빔이 도달하면 전자빔(5)의 편향 각도는 작아지고, 섀도우 마스크로의 입사각도가 변화하여 퓨리티특성에 영향을 주게 된다. 즉, 상술한 보정코일유닛(12)은 기본적으로 화면상의 각 점에서 임의로 화상왜곡을 보정할 수 있지만, 동시에 퓨리티특성이 변화하여 화면의 일관성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또한 상기 보정코일유닛(12)에 의한 화상왜곡의 보정은 가격상승을 초래하게 된다.
수직방향의 화상왜곡을 보정하는 다른 방식으로서 상술한 바와 같은 특별한 보정코일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편향장치의 주편향코일자체에서 편향량을 미세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수직편향코일의 인덕턴스(통상 TV용 음극선관장치의 수직편향코일은 1mH이상의 인덕턴스를 가짐)가 너무 크기 때문에 고주파의 왜곡보정, 예를 들면 수평주사에 의해 발생하는 일부영역의 화상왜곡을 보정하는 경우 등과 같이 수평편향주파수의 10배 정도의 고주파변조신호가 보정코일유닛에 공급되는 것이 요구되고, 보정코일유닛의 부하가 증대하여 필요한 고주파보정전압이 실용곤란한 만큼 커져 버리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칼라수상관장치의 화상왜곡특성을 향상시키는 방식으로서, 환상체의 내측에 설치된 12개의 돌기부에 6조의 코일을 감고, 그 코일을 통전함으로써 화상왜곡이나 퓨리티 및 컨버전스를 보정하는 보정코일유닛이 이미 알려져 있다. 이 보정코일유닛은 6조의 코일 가운데 2조의 코일에 전기를 통하게 함으로써 2개의 자극을 형성하고, 화상왜곡 또는 퓨리티를 보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보정코일유닛을 이용하여 화상왜곡을 보정하면 그것에 부수적으로 퓨리티가 변화하고, 화면의 일관성이 현저하게 손상된다.
이 퓨리티특성의 변화는 각 색 형광체층이 도트형상으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형광체 스크린을 갖는 칼라수상관에 있어서 심각한 문제이다. 또한 상기 보정코일유닛은 가격상승을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다른 화상왜곡을 보정하는 방식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특별한 보정코일유닛을 사용하지 않고, 편향장치의 편향코일자체에서 편향량을 미조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이 방법은 편향코일의 임피던스가 너무 크기 때문에 고주파의 왜곡보정의 경우 부하가 증대하고, 실제로 필요한 고주파보정을 위한 전압이 실용적이 아닐 정도로 커지는 문제가 있어서, 이 방식을 채용하는 것은 곤란해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정코일유닛을 이용하여 퓨리티 특성에 영향을 주는 일이 없이 화상왜곡을 보정할 수 있는 음극선관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전자빔을 발생하는 발생수단, 편향중심을 갖고, 전자빔을 편향하는 자계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주편향코일을 포함하는 편향수단, 편향된 전자빔에 의해 주사되어 방사광(light rays)을 방사하는 스크린으로, 그 스크린상에 화상이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발생수단이 수납되고 또한 스크린이 형성되는 내면을 갖는 진공덮개, 상기 편향수단의 주편향코일에 주편향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 이 스크린상에 그려지는 화상의 왜곡을 보정하는 보정수단으로, 전기적으로 주편향 코일과는 독립적인 보정코일을 포함하고, 이 보정코일은 상기 편향중심 둘레에 배치되고, 1mH이하의 낮은 인덕턴스를 갖는 보정수단 및, 상기 제 1 전류공급원과는 독립적으로 설치되고, 상기 보정수단의 보정코일에 보정전류를 공급하는 제 2 공급수단으로, 이 보정전류에 의해 상기 보정코일이 거의 같은 왜곡보정자계를 상기 편향중심 둘레에 발생하는 제 2 공급수단으로 구성되는 칼라음극선관장치가 제공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전기적 편향장치와는 독립적으로 거의 같은 보정자계를 발생하는 구조의 보정코일을 편향장치의 편향중심부근에 배치하고, 상기 보정코일에 주편향전류공급원과는 독립적인 왜곡보정전류공급원에서 전류를 공급하므로써 편향장치의 편향중심을 변위시키는 일이 없이 소요되는 보정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화상왜곡을 보정해도 퓨리티특성의 변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보정코일을 1mH이하, 바람직스럽기로는 100H정도의 낮은 인덕턴스로 하는 것으로 고주파에서의 전류공급시의 부하를 경감하고, 1MHz정도의 고주파보정에 있어서의 양호한 응답성을 얻었다. 또한 거의 같은 왜곡보정자계를 발생시키는 것으로,왜곡보정시의 컨버전스특성의 악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컴퓨터 디스플레이에 사용되는 것과 같은 음극선관의 경우 1MHz정도의 고주파에 있어서는 코일부하의 대부분은 인덕턴스 성분으로 이루어지고, 일반적인 전류공급회로에서 고주파보정을 실시하면, 과도현상에 의해 응답성이 악화한다. 따라서 고주파보정에서의 추종성을 고려하면 보정코일의 인덕턴스는 100H이하가 바람직하다. 또한, 보정감도를 고려하면 보정코일의 인덕턴스는 20H이상이 바람직하다.
또한, 편향장치에 주편향코일에 직렬로 제 1 인덕턴스소자를 접속하고, 보정코일에 그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자기적으로 결합하는 제 2 인덕턴스소자를 직렬로 접속하므로써 주편향코일과 보정코일 사이의 쇄교자속에 의해 발생하는 전자빔의 편향에 바람직하지 않은 유도기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제 2 인덕턴스소자를 동일자성체에 감고, 또는 폐회로를 구성하는 환상자성체에 1회이상 감는 것에 의해 형성하면, 인덕턴스소자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1 또는 제 2 인덕턴스소자에 이 제 1 또는 제 2 인덕턴스소자에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의 파형을 변형시키는 저항 또는 콘덴서를 접속하는 것에 의해 인덕턴스소자에 생기는 유도기전력을 주편향코일에 발생하는 유도기전력에 일치시키고, 기전력의 보상효과를 높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칼라수상관장치의 한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도에 그 한 실시예에 관한 칼라수상관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다. 이 칼라수상관장치는 패널(20) 및 이 패널(20)에 일체로 접합된 깔대기 형상의 퍼넬(21)로 이루어지는 외관용기를 갖고, 그 패널(20)의 내면에 청, 녹, 적으로 발광하는 스트라이프형상 또는 도트형상의 3색 형광체층으로 이루어지는 형광체 스크린(22)이 설치되며, 이 형광체 스크린(22)에 대향하여 그 내측에 섀도우 마스크(23)가 배치되어 있다. 한편, 퍼넬(21)의 네크(24)내에 동일수평면상을 통과하는 일렬배치의 3전자빔을 방출하는 전자총 조립체(25)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퍼넬(21)의 대직경부(26)와 네크(24)의 경계부 부근의 외측에 편향장치(27)가 장착되며, 또한 이 편향장치(27)에 후술하는 화상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보정코일유닛이 부착되어 있다.
편향장치(27)와 보정코일유닛은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구조를 갖고, 제 5도는 편향장치(27)를 관축방향에서 본 단면의 구조를 나타내고, 제6a도 및 제6b도는 편향장치(27)의 주편향코일과 보정코일유닛과의 회로도이다. 편향장치(27)는 제5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타원형상의 몰드(29)의 내측에 배치된 상하 한쌍의 수평주편향코일(30)과, 몰드(29)의 외측에 배치된 좌우한쌍의 수직주편향코일(31)과, 이 수평, 수직주편향코일(30, 31)의 외측에 배치된 코어(32)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수평, 수직주편향코일(30, 31)은 제5도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각각 핀쿠션형상, 새들형상의 자계를 발생하는 것과 같이 새들감기가 형성되고, 또한 수평주편향코일(30)에 대해서는 X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할코일(30HT, 30HB)로 분할되며, 수직주편향코일(31)에 대해서는 Y축에 대해서 대칭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할코일(31VL, 31VR)에 분할된 구조로 형성되어 있다.
보정코일유닛은 수평주편향코일(30)에 대응한 수평방향에 발생하는 화상왜곡을 보정하는 수평보정코일(33)과, 수직주편향코일(31)에 대응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화상왜곡을 보정하는 수직보정코일(34)을 갖고 있다.
수평방향왜곡보정코일(33)은 수평주편향코일(30)의 한쌍의 분할코일(30HT, 30HB)과 거의 동일위치에서 X축에 관하여 대칭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할보정코일(33HT, 33HB)로 이루어지고, 수직방향왜곡보정코일(34)은 수직주편향코일(31)의 한쌍의 분할코일(31VL, 31VR)과 거의 동일 위치에서 Y축에 관하여 대칭적으로 배치된 한쌍의 분할보정코일(34VL, 34VR)로 이루어진다. 그 각 왜곡보정코일(33HT, 33HB, 34VL, 34VR)은 각각 편향장치(27)의 편향중심부근, 즉 수평방향왜곡보정코일(33)의 분할보정코일(33HT, 33HB)에 대해서는 그 편향중심이 수평주편향코일(30)의 편향중심부근에, 또한 수직방향왜곡보정코일(34)의 분할보정코일(34VL, 34VR)에 대해서는 그 편향중심이 수직주편향코일(31)의 편향중심부근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편향중심은 관축방향 자계분포가 피크를 나타내는 관축좌표위치를 말하는 것으로 한다.
그리고, 수평방향왜곡보정코일(33)의 분할보정코일(33HT, 33HB)은 제6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또한 수직방향왜곡보정코일(34)의 분할보정코일(34VL, 34VR)은 제6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각 접속되고, 이 수평, 수직방향왜곡보정코일(33, 34)은 각각 1mH 이하의 저인덕턴스에 형성되고, 3전자빔에 대해서 거의 같은 자계를 발생하고 있다.
즉, 제6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향장치(27)의 수평주편향코일(30)은 한쌍의 분할코일(30HT, 30HB)이 병렬접속되고, 또 이 분할코일(30HT, 30HB)에 인덕턴스소자(35)가 직렬로 접속되고, 주편향전류공급원(60)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평방향왜곡 보정 코일(33)의 분할 보정 코일(33HT, 33HB)은 직렬 접속되며, 또한 이 분할 보정 코일(33HT, 33HB)에 인덕턴스소자(36)가 직렬로 접속되며, 상기 주편향전류공급원은 독립된 왜곡 보정 전류를 공급하는 보정전류공급원(6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편향장치(27)의 분할 코일(30HT, 30HB)에 직렬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5)와 수평방향왜곡 보정 코일(33)의 분할 보정 코일(33HT, 33HB)에 직렬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6)는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수평편향 코일과 수평방향왜곡 보정 코일사이의 유도기전력을 보상하고 있다.
또한, 제6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장치(27)의 수직 주편향 코일(31)은 한쌍의 분할 코일(31VL, 31VR)이 직렬 접속되며, 또한 이 분할코일 31VL, 31VR에 인턱턴스소자(37)이 직렬접속되며, 이 인덕턴스소자(37)를 통하여 주편향전류공급원(60)에 접속되어 있다. 인덕턴스소자(37)에는 저항(38) 또는 콘덴서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한, 수직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의 분할 보정 코일(34VL, 34VR)는 직렬 접속되며, 또한, 이 분할 보정 코일(34VL, 34VR)에 인덕턴스소자(39)가 직렬로 접속되며, 이 인덕턴스소자(39)를 통하여 상기 주편향전류공급원은 독립의 왜곡 보정전류공급원(62)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편향장치(27)의 분할코일(31VL, 31VR)에 직렬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7)와 수직방향 보정 코일(34)의 분할 보정 코일(34VL, 34VR)에 직렬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9)는 자기적으로 결합되며, 수직 주편향 코일과 수직방향 왜곡 보정 코일 사이의 유도기전력을 보상하고 있다. 또한, 인덕턴스소자(37)에 병렬로 접속된 저항(38) 또는 콘덴서는 후술하는 인덕턴스소자(37)에 생기는 유도기전력 파형을 수직 주편향 코일(31)에 생기는 유도기전력 파형에 일치시켜 그 보상 효과를 높이기 위한 것이다.
이와같은 보정 코일의 수평,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3, 34)의 제작은 편향장치(27)의 수평 주편향 코일(30)의 한쌍의 분할 코일(30HT, 30HB) 및 수직 주 편향 코일(31)의 한쌍의 분할 코일(31VL, 31VR)을 제작 지그에 감아 넣는 홈에 감아 넣었을 때, 예를 들면 제7도에 수직 주 편향 코일(31)에 대해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최초 권선(41)을 단자(42A)에 매서 수직 주 편향 코일(31)을 감은 후, 권선(41)을 차례로 단자(42B, 42C)에 매고, 이어서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을 감는다. 그리고, 최후로 권선(41)을 단자(42D)에 맨 후, 단자(42B, 42C)사이에서 권선(41)을 절단함으로써 제작된다. 그리고, 단자가 된 부분에 소정의 인덕턴스소자 등을 접속하면 좋다.
이와같은 제작방법은 역으로 수직 보정 코일부터 감기 시작해 이어서 수직 주편향 코일을 감는 방법으로도 제작할 수 있다.
특히, 이와같은 제작방법은 편향장치의 주 편향 코일을 권선 위치를 임의로 선택할 수 있는 슬롯 권형으로 제작하는 경우에 유효하다. 또한, 이와같이 보정 코일을 편향장치의 주 편향 코일과 동시에 감아넣어 보정 코일의 제작에 필요한 비용을 대폭으로 삭감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칼라수상관 장치를 구성하면, 퓨리티(Purity)를 변화시키지 않고, 화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이 편향장치의 뒤쪽(네크측)에 보정 코일이 배치되는 경우는 편향장치의 편향 중심 보다도 뒷쪽으로 보정자계가 형성된다. 그 때문에, 그 보정자계에 의해 화상 왜곡을 보정하면 그것에 부수하여 편향중심이 뒷쪽으로 변위하고, 퓨리티의 변화를 피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실시예의 칼라수상관 장치는 편향장치(27)의 편향 중심 부근에 보정 코일이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보정자계를 발생시켜도 편향 중심의 변위는 없기 때문에 섀도우마스크에 대한 입사각도를 변화시키지 않는다. 따라서, 퓨리티를 변화시키지 않고 화상 왜곡을 보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직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의 좌우 한상의 분할 코일(34VL, 34VR)에 보정 전류를 공급하여 제8a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편향장치(27)의 발생하는 수직편향자계(44)와 동일 방향의 거의 같은 보정 자계(45)를 발생시키면, 보정자계(45)를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 형광체 스크린(22)위의 점(P)에 편향되는 3전자빔(46)은 편향장치(27)의 편향중심(0)을 변위시키지 않고, 수직방향 외부측의 점(P₁)에 편향되며, 퓨리티를 변화시키지 않고, 수직방향의 화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수평방향의 화상 왜곡도, 수평방향왜곡 보정코일(33)의 한쌍의 분할 코일(33HT, 33HB)에 보정 전류를 공급함으로써 퓨리티를 변위시키지 않고 보정할 수 있다.
이 경우, 보정 코일의 수평 방향 왜곡 보정 코일(33)의 분할 코일(33HT, 33HB) 및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의 분할 코일(34VL, 34VR)은 편향장치(27)의 수평, 수직 주 편향 코일(30, 31)에 전류를 공급하는 주 편향 전류 공급원과 독립의 왜곡 보정전류공급원에 접속되며, 임의 전류를 공급할 수 있기 때문에 원하는 화상 왜곡을 보정할 수 있다. 또한, 보정 코일의 수평,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3, 34)은 1mH이하의 인덕턴스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고주파에 대해 양호한 응답이 얻어지며,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정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47)에 저항(48a, 48b)를 접속한 간단한 전류 공급 회로에 의해 보정 코일의 수평,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3, 34)(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에 대해서 도시)에 전류를 공급하여 저주파에서 고주파로 이르는 폭이 넓은 화상 왜곡 보정을 실시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편향장치(27)의 수평 주 편향 코일(30)의 분할 코일(30HT, 30HB)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5)와 보정 코일의 수평방향왜곡 보정 코일(33)의 분할 코일(33HT, 33HB)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6) 및 편향장치(27)의 수직 주 편향 코일(31)의 분할 코일(31VL, 31VR)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7)와 보정 코일의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의 분할 코일(34VL, 34VR)에 직렬로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9)를 각각 자기적으로 결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편향장치의 수평, 수직 주 편향 코일(30, 31)에 발생하는 유도 기전력의 편향에 끼치는 영향을 제거할 수 있다.
즉, 인덕턴스소자(35, 36, 37, 39)를 설치하지 않는 경우는 예를 들면, 수직 주편향 코일(31)에 대해서 생각하면, 제10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직 주 편향 코일과 수직 보정 코일 사이에 생기는 쇄교자계에 의해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의 분할 코일(34VL, 34VR)에 흐르는 고주파 펄스 형상의 보정 전류(50)에 대응하여 수직 주 편향 코일(31)의 단자 사이에 펄스 형상의 유도 기전력(51)에 발생하고, 바람직하지 않는 영향을 받을 수 있지만 상기와 같이 인덕턴스소자(35, 36, 37, 39)를 설치하면, 제10a도에 대응하는 제10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유도 기전력(51)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화상 왜곡의 보정에 대하여 수직방향의 화상 왜곡의 보정을 예로 들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보정 코일의 수직 보정 코일(34)의 한쌍의 분할 코일(34VL, 34VR)은 편향장치(27)의 수직 주 편향 코일(31)의 분할 코일(31VL, 31VR)과 마찬가지로 감는 홈에 감아 넣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수직 주 편향 코일(31)의 분할코일(31VL, 31VR)에 직렬접속된 인덕턴스소자(37) 및 보정코일인 수직 방향 보정 코일(34)의 분할 코일(34VL, 34VR)에 직렬 접속된 인덕턴스소자(39)는 중심 직경 5mm, 길이 13mm의 후술하는 드럼형 페리트 코어에 각각 150, 25번 감아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인덕턴스소자(37, 39)가 감아 부착된 드럼형 페리트 코어는 도시하지 않지만 전자빔의 편향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편향장치의 외부측에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보정 코일의 인덕턴스는 분할 코일(34VL, 34VR)이 총합 30H, 인덕턴스소자(37)가 1.6H, 인덕턴스소자(39)가 37H, 수직 보정 코일계의 전체(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34)의 분할 코일(34VL, 34VR)과 인덕턴스소자(39))로 70H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에 의해 보정 전류 100mA에 대해 1mm강의 수직 방향의 화상 왜곡을 보정하는 감도가 얻어지며, 그것에 의해 형광체 스크린에 대한 전자빔 랜딩의 변화량을 1이하로 할 수 있었다. 또한, 1MHz 정도의 고주파 까지 임의의 화상 왜곡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정 장치의 수평 주 편향 코일에 접속된 인덕턴스소자와 이 인덕턴스소자에 자기적으로 결합하며, 수평 보정 코일에 접속된 인덕턴스소자 및 수직 주 편향 코일에 접속된 인덕턴스소자와 이 인덕턴스소자에 자기적으로 결합하고,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에 접속된 인덕턴스소자는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 주 편향 코일, 수평 보정 코일, 수직 주 편향 코일, 수직 보정 코일의 각각에 접속된 절연 전선을 페리트 등의 강자성체로 이루어진 드럼형 코어(54)에 감아 부착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또한, 제11도에서는 인덕턴스소자(35, 36)에 대해서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폐회로를 구성하는 고리형상 자성체(55)의 중심부분에 주 편향 코일(또는 보정 코일)에 접속된 절연 전선(57)을 통하여 고리형상 자성체(55)에 보정 코일(또는 주 편향코일)에 접속된 절연 전선(56)을 1회 이상 감아 부착함으로써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이 고리 형상 자성체(55)를 이용하여 형성하는 경우는 그 구조를 대폭적으로간략화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정 코일을 편향장치의 주 편향 코일과 일체로 제작하는 경우에 대해서 설명했지만, 이 보정 코일은 편향장치의 주 편향 코일은 별도로 제작한 후, 주 편향 코일의 편향 중심 부근에 장치해도 좋다. 또한, 편향장치의 내측에 감는 홈을 특별히 설치하여 그 감는 홈에 감아넣어도 좋다. 또한, 보정 코일은 수평방향왜곡 보정 코일,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중 한쪽이라도, 양쪽이라도 좋다.
이와같이, 편향장치의 편향 중심 부근에 보정 코일을 배치하고, 그 보정 코일을 전기적으로 편향장치와는 독립으로 1mH이하의 낮은 인덕턴스에 형성하고, 주 편향코일에 편향 전류를 공급하는 주 편향 전류 공급원과는 독립의 왜곡 보정 전류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전류에 의해 거의 같은 자계를 발생하는 구조로 형성하면, 편향장치의 편향 중심을 이동시키지 않고 원하는 보정자계를 발생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화상 왜곡을 보정해도, 퓨리티 특성의 변화를 피할 수 있다. 또한, 보정 코일을 1mH 이하의 저인덕턴스로 한 것에 의해 고주파에 대해 양호한 응답이 얻어진다.
또한, 편향장치에 주 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인덕턴스소자를 설치하고, 보정 코일에 그 제 1 인덕턴소소자와 전기적으로 결합하는 제 2 인덕턴스소자를 직렬로 접속함으로써 주 편향 코일과 보정 코일 사이의 쇄교 자속에 의해 생기는 전자빔의 편향에 바람직하지 않은 유도기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제 2 인덕턴스소자를 동일 자성체로 감거나 또는 폐회로를 구성하는 고리형상 자성체에 1회 이상 감아 부착함으로써 인덕턴스소자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 1 또는 제 2 인덕턴스소자를 이들 제 1 또는 제 2 인덕턴스소자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의 파형을 변형시키는 저항 또는 콘덴서를 접속함으로써 인덕턴스소자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을 주 편향 코일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에 일치시켜 기전력의 보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등의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형광체스크린이 스트라이프 형상 및 도트 형상 등 어떤 경우라도 적용할 수 있지만 도트 형상 형광체 스크린의 경우는 전자빔의 랜딩 어긋남에 대한 여유도가 작기 때문에 특히 유효하다.

Claims (6)

  1. 전자빔을 발생하는 발생수단; 편향 중심을 가지며, 전자빔을 편향하는 자계를 발생하는 수단으로 주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수단; 편향된 전자빔에 의해서 주사되어 방사광을 스크린에 있어서, 그 스크린위에 화상이 형성되는 스크린; 상기 발생 수단이 수납되며, 또한 스크린이 형성되는 내면을 가지는 진공 덮개; 상기 편향수단의 주 편향 코일에 주 편향 전류를 공급하는 제 1 공급수단; 상기 스크린 위에 그리는 화상의 왜곡을 보상하는 보정 수단으로 전기적 주 편향 코일과는 독립된 보정 코일을 포함하며, 이 보정 코일은 상기 편향 중심의 주위에 배치되며, 1mH 이하의 낮은 인덕턴스를 가지는 보정 수단 및; 상기 제 1 정류 공급수단은 독립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정 수단의 보정 코일에 보정 전류를 공급하는 제 2 공급수단으로 구성되고, 이 보정 전류에 의해서 상기 보정 코일이 거의 같은 왜곡 보정자계를 상기 편향중심의 주위에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편향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제 1 인덕턴스소자 및 상기 보정 코일에 직렬로 접속된 제 2 인덕턴스소자가 있고 제 1 및 제 2 인덕턴스소자가 상기 주 편향 코일과 상기 보정 코일사이의 쇄교 자속에 의해 생기는 유도 기전력을 보상하는 방향으로 자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제 2 인덕턴스소자가 동일 자성체에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제 1 인덕턴스소자와 제 2 인덕턴스소자가 폐회로를 구성하는 고리 형상 자성체에 1회 이상 감겨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 인덕턴스소자중 적어도 한쪽에 접속되며, 그 한쪽 인덕턴스소자에 생기는 유도 기전력의 파형을 변형시키는 전기 소자로서, 저항 및 캐퍼시터(capacitor)의 적어도 한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주 편향 코일은 수평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하는 자계를 발생하는 수평 주 편향 코일과 수직 방향으로 전자빔을 편향하는 자계를 발생하는 수직 주 편향 코일을 가지며, 보정 코일은 상기 수평 주 편향 코일에 대응한 수평 방향 왜곡 보정 코일과 상기 수직 주 편향 코일에 대응한 수직 방향 왜곡 보정 코일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장치.
KR1019960005515A 1995-02-28 1996-02-28 음극선관장치 KR1001994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972795 1995-02-28
JP95-039727 1995-02-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565A KR960032565A (ko) 1996-09-17
KR100199455B1 true KR100199455B1 (ko) 1999-06-15

Family

ID=125610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5515A KR100199455B1 (ko) 1995-02-28 1996-02-28 음극선관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0730290B1 (ko)
KR (1) KR100199455B1 (ko)
CN (1) CN1066850C (ko)
DE (1) DE69600297T2 (ko)
MY (1) MY120102A (ko)
TW (1) TW30788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305701B (zh) * 2018-01-10 2023-09-19 桂林狮达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多相绕组的偏转扫描装置及偏转扫描系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55440C3 (de) * 1971-11-08 1975-01-09 Albertas Wazlowowitsch Bauschis Farbbildröhre mit einem den Röhrenhals umgebenden Ferritkern
NL8006628A (nl) * 1980-12-05 1982-07-01 Philips Nv Kathodestraalbuis - afbuigeenheid combinatie met hoog oplossend vermogen.
JP3045735B2 (ja) * 1989-07-31 2000-05-29 松下電子工業株式会社 カラー受像管用偏向ヨーク構体
KR930004108B1 (ko) * 1989-08-04 1993-05-20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편향수차를 개선한 칼라 음극선관
US5070280A (en) * 1989-08-25 1991-12-03 Hitachi, Ltd. Deflection yoke
NL9000047A (nl) * 1990-01-09 1991-08-01 Philips Nv Werkwijze voor het vervaardigen van een zadelvormige afbuigspoel voor een beeldweergeefbui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600297T2 (de) 1998-12-17
TW307884B (ko) 1997-06-11
CN1139817A (zh) 1997-01-08
CN1066850C (zh) 2001-06-06
KR960032565A (ko) 1996-09-17
EP0730290B1 (en) 1998-05-20
DE69600297D1 (de) 1998-06-25
MY120102A (en) 2005-09-30
EP0730290A1 (en) 1996-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874A (en) Deflection yoke comprising magnetically permeable members forming a pincushion shape field within the neck of a crt
KR100260802B1 (ko) 편향 장치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진공관
GB2029090A (en) Selfconverging t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assembly
US5077533A (en) Cathode ray tube deflection yoke arrangement
US4882521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JPH0433197B2 (ko)
US4429293A (en) Pincushion raster corrector distortion with improved performance
KR940011568B1 (ko) 텔레비젼 영상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편향 유니트
GB2139415A (en) Field deflection coil system for a device for displaying television pictures
EP0589064B1 (en) Deflection device for use in a color cathode-ray tube
KR100199455B1 (ko) 음극선관장치
US4451807A (en) Television raster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US6304044B1 (en) Color display tube device
US4654615A (en) Raster distortion corrector for cathode ray tubes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KR100825144B1 (ko) 새들형 수직 편향 코일을 포함하는 자기 수렴 음극선관용편향 유닛
US4737692A (en) Pincushion distortion correction device
US3588566A (en) Electromagnetic deflection yoke having bypassed winding turns
EP1367626A2 (en) Cathode ray tube
JPH09265921A (ja) 陰極線管装置
KR100334670B1 (ko) 편향요크의그린빔드롭현상방지장치
JPH06119884A (ja) 偏向ヨークの補正コイル
JP3039944B2 (ja) コンバーゼンス装置
JPH06103934A (ja) 表示装置
JP3215132B2 (ja) インライン型カラー受像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228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