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8744B1 -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 Google Patents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8744B1
KR100198744B1 KR1019960071956A KR19960071956A KR100198744B1 KR 100198744 B1 KR100198744 B1 KR 100198744B1 KR 1019960071956 A KR1019960071956 A KR 1019960071956A KR 19960071956 A KR19960071956 A KR 19960071956A KR 100198744 B1 KR100198744 B1 KR 1001987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ack
terminals
output
terminal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719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52924A (ko
Inventor
박기홍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719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8744B1/ko
Publication of KR19980052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52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87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87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58Contacts spaced along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1Input selection or mixing for amplifiers or loudspeaker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오디오,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채용된 오디오 및 비디오(Audio, Video, 이하 AV단자라 함) 입출력단자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레프트와 라이트 입·출력단자중 어느 입·출력단자에 레프트 및 라이트 잭(20)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더라도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LS, RS)로 동시에 같은 음(모노)이 출력되도록 하고, 레프트와 라이트 입·출력단자에 잭(20)이 모두 결합되었을 때에는 스피커(LS, RS)로 스테레오 음이 출력되도록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나의 입·출력단자에 외부 음성신호 잭을 결합하더라도 레프트 및 라이트 스피커로 출력을 할 수 있고, 양 입·출력단자에 외부 음성신호 잭들을 결합하면 레프트 및 라이트 스피커로 스테레오 음을 출력 할 수 있다.

Description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본 발명은 오디오,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 채용된 오디오 및 비디오(Audio, Video, 이하 AV단자라 함) 입출력단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레프트와 라이트 입·출력단자중 어느 입·출력단자에 레프트 및 라이트 잭중 어느 하나가 결합되더라도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로 동시에 같은 음(모노)이 출력되도록 하고, 레프트와 라이트 입·출력단자에 잭이 모두 결합되었을 때에는 스피커로 스테레오 음이 출력될 수 있도록 설계된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디오,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은 가전제품에는 외부기기 예를 들어 오디오, LD플레이어, 노래방기기, 게임기, 텔레비전 수상기 등과 같은 제품에서 출력되는 스피커 음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전문 오디오와 연결할 수 있도록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입출력 단자(AV단자(10)라고도 함)가 설치되어 있다.
참고로, 이하에서 정의하는 회로장치는 잭에 의해 입력된 전기적인 신호를 처리하기 위한 스위칭부, 이퀼라이저, 음성처리모듈 혹은 앰프, 스피커를 포함하는 회로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 같은 외부기기로부터 출력되는 스피커신호는 AV단자를 통해 입력되어져 내부의 앰프 혹은 이퀼라이저를 통해 스피커로 출력된다. 이때, 스피커는 좌우로 분리되어 스테레오 음을 출력하거나 혹은 서라운드음을 출력하게 됨으로 현장감 있는 음을 즐길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AV단자(10)는 외부에 레프트 및 라이트 스피커(LS, RS)에서 스테레오 음을 출력하도록 각각의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AV단자(10)가 분리되어 설치되어 있다.
그러나, 도 2a와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단자중 어느 한쪽에만 외부기기의 출력단 즉, 잭(Jack)을 접속시키면 접속된 잭(20)에 의해 입력된 신호를 전술한 회로장치를 통해 해당하는 스피커에서만 음이 발생되게 되고, 다른쪽 스피커에서는 음이 발생되지 않는다. 따라서, 각각의 스피커(LS, RS)에서 모두 음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각각의 잭이 각각의 양 AV단자(10)에 접속되어야만 가능하다. 이러한 현상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20)과 접속되는 메인 터미널(11)이 직접 접속되게 됨으로 주로 사용자가 레프트 및 라이트 AV단자(10)중 어느 한곳에만 잭(20)을 연결한 경우에 발생된다. 그리고, AV단자(10)는 음성신호 입력용 AV단자외에도 영상입력용 AV단자, 데크에서 앰프로 연결하는 AV단자 등 다수의 AV단자와 함께 배치되어 있는 관계로 사용자가 음성신호 입력용 AV단자(10)가 어느 것인지 정확히 숙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기인하는 현상이기도 하다. 미설명 부호 30은 전술한 회로장치가 배치된 인쇄회로기판이다.
결국, 각각의 AV단자중 어느 한곳에만 외부기기의 잭를 접속시킨 경우에는 스피커음이 어느 한쪽에서만 발생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을 창안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기기에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전달하는 잭이 각각의 AV단자중 어느 한 AV단자에만 접속되더라도 양 스피커로 모노(Mono) 음이 출력되도록 하고, 만일 상기 잭이 각각의 AV단자에 모두 접속되는 경우에는 양 스피커로 스테레오(Stereo)음이 출력되도록 하는 입·출력단자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따른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는 레프트 및 라이트로 구분되는 음성신호를 유도하는 각각의 잭들이 양 AV단자에 모두 삽입되었을 때, 잭의 핀이 내장된 회로장치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음을 출력하고, 상기 잭들이 양 AV단자중 어느 하나에만 결합되었을 때에는 상기 잭의 핀과 내장된 회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및 이웃한 보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신호가 동시에 상기 회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여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를 통해 모노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의 AV단자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a와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AV단자 조립체의 내부에 배치된 터미널을 도시하는 요부 발췌 사시도들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AV단자 조립체에 외부 잭이 접속되었을 때의 회로라인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요부 회로도이다.
도 4는 도 1과 유사한 도면으로, 본 발명에 따른 AV단자 조립체를 예시적으로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배면도이다.
도 6a와 도 6b는 도 4에 도시된 AV단자 조립체의 내부에 내장된 메인 및 보조 터미널을 도시하는 요부 발췌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레프트 및 라이트 AV단자의 회로 구성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8a 내지 8d는 본 발명에 따른 AV단자에 잭의 핀이 결합되거나 결합되지 않았을 때 터미널들의 전기적인 접속상태를 보여주는 개략적인 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V단자 10a:홀
10b:격판 11, 11a:메인 터미널
13, 13a:보조 터미널 15, 15a:그라운드 터미널
20:잭 21:핀
30:인쇄회로기판
LS:레프트 스피커 RS:라이트 스피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에는 본 발명에 따른 입·출력단자 조립체가 예시적으로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도 4의 배면에서 바라 본 배면도로서, 참조번호 10은 AV단자 조립체이고, 20은 AV단자에 접속되는 잭이다.
전술한 AV단자 조립체(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및 보조 터미널(11, 11a, 13, 13a)이 내설되어 있다. 상기 메인 및 보조 터미널(11, 11a, 13, 13a)들은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용 잭(20)이 AV 단자에 삽입되면 잭(20)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 경우 일측의 메인 및 보조 터미널(11, 13)들은 이웃한 AV단자의 메인 및 보조 터미널(11a, 13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전술한 터미널(11, 11a, 13, 13a) 등의 전기적인 접속관계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AV단자에 내설된 메인 및 보조 터미널(11, 11a, 13, 13a)들중 메인 터미널(11, 11a)은 이웃한 보조 터미널(13, 13a)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되도록 인쇄회로기판(30)상에 회로패턴으로 연결되어 있다. 아울러, AV단자에 한 쌍으로 구성된 터미널(11, 11a, 13, 13a)들은 잭(20)이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서로 접속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즉, 전술한 터미널중 일측의 메인 터미널(11, 11a)은 도 5에 및 도 6a 도 6b 및 도 8a 내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20)이 AV단자의 홀(10a)속으로 삽입되지 않았을 때에는 홀(10a)의 직경을 가로질러 반대쪽 보조 터미널(13, 13a)과 접속되도록 탄성력이 내재되어 있다. 탄성력이 내재된 메인 터미널(11, 11a)과 반대쪽에 위치한 보조 터미널(13, 13a)은 홀(10a)의 내경의 말단에 그 길이방향으로 돌출형성된 격판(10b)에 의해 홀(10a)의 직경범위내로 위치되어지지 않도록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메인 터미널(11, 11a)은 AV단자의 홀(10a)속으로 잭(20)의 핀(21)이 삽입되었을 때 핀(21)에 의해 후퇴되면서 전기적으로 접속된 보조 터미널(13, 13a)들이 분리되어지게 되지만 핀(21)과는 직접적으로 접속되지 않는다. 미설명 부호 15, 15a는 그라운드(Ground) 터미널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에 대한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잭(20)이 좌우 각각의 AV단자 중 어느 곳에도 결합되어 있지 않을 경우에는 도 8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AV단자에 내장된 메인 및 보조 터미널(11, 11a, 13, 13a)들은 메인 터미널(11, 11a)에 내재된 탄성력에 의해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가 됨으로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된 상태로 놓여지게 된다.
둘째로, 잭(20)이 좌우 각각의 AV단자에 모두 결합되어 있는 경우에는 즉, AV단자의 홀(10a)속으로 잭(20)이 삽입된 경우에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잭의 핀(21)에 의해 메인 터미널(11, 11a)과 보조 터미널(13,13a)이 전기적으로 차단되어 내부의 회로장치와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됨으로 잭(20)들에 의해 입력되는 음성신호가 구분되어 입력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회로장치로 분리되어 입력된 음성신호는 스피커로 출력되어질 때, 스테레오 음을 발생시키게 된다.
셋째로, 좌우 AV단자중 어느 하나에 외부 잭(20)이 결합된 경우, 다시 말해서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프트용 AV단자에 잭(20)이 결합되었을 때 전술한 바와 같이 잭(20)이 AV단자속으로 삽입되면서 핀(21)과 서로 접속되어지는 메인 터미널(11)이 보조 터미널(13)과 전기적인 접속상태가 분리되어 전기적으로 차단되지만 잭의 핀(21)과 접속된 메인 터미널(11)은 인쇄회로기판(30)상의 회로 패턴에 의해 이웃한 AV단자의 메인 터미널(11a)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게 된다. 물론 이와 같은 접속관계는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프트 AV단자에 잭(20)이 결합되어도 전술한 바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따라서, 어느 하나의 AV단자에 잭(20)이 결합되더라도 레프트 및 라이트 신호가 회로장치로 전달되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잭(20)을 통해 입력되는 하나의 신호는 레프트와 라이트 신호라인을 통해 동시에 회로장치로 보내지게 된다. 그러므로 잭이 두 AV단자중 어느 하나의 AV단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더라도 레프트와 인쇄회로기판상에 회로 패턴으로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신호가 회로장치로 전달되게 됨으로 회로장치에서는 이를 레프트 및 라이트 스피커(LS, RS)로 동시에 음성신호를 모노로 출력하게 된다.
이상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의 AV단자에 외부 음성신호 입력용 잭이 각각 삽입되면 레프트와 레프트 스피커에서 스테레오 음을 출력하게 되고, 어느 한쪽의 AV단자에만 잭이 결합되더라도 좌우 스피커에서 동시에 스피커음이 모노로 발생되게 됨으로 외부 입력잭을 반드시 각각의 AV단자에 접속하지 않아도 무방함으로 사용자가 이를 선택적으로 적절히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laims (1)

  1. 레프트 및 라이트로 구분되는 음성신호를 유도하는 각각의 잭들이 양 AV단자에 모두 삽입되었을 때, 잭의 핀이 내장된 회로장치와 독립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들과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스피커를 통해 스테레오 음을 출력하고, 상기 잭들이 양 AV단자의 어느 하나에만 삽입되었을 때에는 상기 잭의 핀과 내장된 회로장치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메인 터미널 및 이웃한 보조 터미널이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하나의 신호가 동시에 상기 회로장치로 전달되도록 하여 레프트와 라이트 스피커를 통해 모노음을 출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 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KR1019960071956A 1996-12-26 1996-12-26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KR1001987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956A KR100198744B1 (ko) 1996-12-26 1996-12-26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71956A KR100198744B1 (ko) 1996-12-26 1996-12-26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924A KR19980052924A (ko) 1998-09-25
KR100198744B1 true KR100198744B1 (ko) 1999-06-15

Family

ID=194908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71956A KR100198744B1 (ko) 1996-12-26 1996-12-26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8744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52924A (ko) 1998-09-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6514412A (ja) 汎用型オーディオ用ジャックおよびプラグ
CN105898655A (zh) 一种信号输出电路及移动终端
KR100198744B1 (ko) 잭의 접속상태에 따라 모노와 스테레오를 겸할 수있는 입.출력단자 조립체
US20080013759A1 (en) Impedance selection circuit
US20020071576A1 (en) Multiple configuration loudspeaker terminals
US5809137A (en) Telephone liner connector
KR200226404Y1 (ko) 텔레비전용 잭의 터미널 구조
WO2018228111A1 (zh) 耳机、终端以及系统
CN221081390U (zh) 外设接口模块、机芯板卡和显示设备
CN212519402U (zh) 一种用于耳机和喇叭工作状态切换的电视板
CN218734880U (zh) 一种兼容单端和平衡输出的耳机切换电路
KR200212502Y1 (ko) 컴퓨터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신호선제어장치
KR200208113Y1 (ko) 컴퓨터본체 하단부에 설치된 신호선제어장치
KR200284742Y1 (ko) 헤드셋/스피커 겸용 사운드신호 절환시스템
KR100392124B1 (ko) 컴퓨터본체의 전면에 설치된 신호선제어장치
US5291072A (en) Crosstalk-reduced transmission device
KR200208090Y1 (ko) 이동가능한 신호장치
KR100557155B1 (ko) 휴대용 무선 단말기에서 내장형 이어폰-마이크로폰 접속을제어하기 위한 회로
JPH03765Y2 (ko)
CN100446523C (zh) 移动通信终端的外置型低音强化扬声器电路
KR19990018908U (ko) 스피커 케이블의 접속구조
JPH0349483Y2 (ko)
KR200191836Y1 (ko) 전선이 분리되는 헤드폰
KR200178248Y1 (ko) 멀티형 이어폰
KR19990024780U (ko) 두 개의 잭을 일체화시킨 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