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935B1 -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 Google Patents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935B1
KR100197935B1 KR1019940000155A KR19940000155A KR100197935B1 KR 100197935 B1 KR100197935 B1 KR 100197935B1 KR 1019940000155 A KR1019940000155 A KR 1019940000155A KR 19940000155 A KR19940000155 A KR 19940000155A KR 100197935 B1 KR100197935 B1 KR 10019793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ean room
wall
ventilator
filtration
heat exchan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00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23924A (ko
Inventor
시몬 루돌프
크로포드 드라이든 죤
슬리쯔 프란즈
Original Assignee
죤 와이 민
마이쓰너 우스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죤 와이 민, 마이쓰너 우스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죤 와이 민
Priority to KR1019940000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935B1/ko
Publication of KR9500239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239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93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03Ventilation in combination with air clean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3/00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 F24F2003/003Air-conditioning systems in which conditioned primary air is supplied from one or more central stations to distributing units in the rooms or spaces where it may receive secondary treatment; Apparatus specially designed for such systems with primary air treatment in the central station and subsequent secondary air treatment in air treatment units located in or near the room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221/00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4F2221/14Details or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ounted on the ceil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Ventilation (AREA)

Abstract

적어도 하나의 벤티레터를 가지며 그 압력측이 두 경계벽 또는 외벽측의 적어도 하나는 소음차단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통풍로에 의하여 형성되는 유동실을 포함하는 경계벽에 의하여 제한되는 공기유동실을 향하여 위치하며 높이가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감소하는 경계벽으로 된 몇개의 환상통풍로를 가지는 모듈러 단위로 되는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이다.
각 유니트는 유동실 아래 지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필터를 가진다. 가장 안쪽 경계벽은 그 내측이 소음차단재로 이뤄진 판과 접한다. 경계벽들은 천정커버부재에 매달려 장착 현수되어 있다.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는 순환공기가 경유하여 흐르는 벤티레터의 흡입측에 놓인다.

Description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여과 환기 장치를 설치한 청정실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의 III-III선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여과 환기 장치를 가지는 청정실의 사시도.
제5도는 제4도의 여과 환기 유니트 배치의 확대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VI-VI선 단면도.
본 발명은 청정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적어도 하나의 환기수단을 가지며 그 압력측이 벽에 의하여 경계 또는 제한되어 있는 공기 유동실로 직접 향하여 있는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한 유니트로서 청정실 또는 공간을 함께 가지는 여과 환기장치가 설치된다. 이 유니트의 한측벽 가까이 환기장치로부터 찬 공기가 흡입 또는 인입되어 멀리 수평으로 환기장치로부터 연장되어 반대 위치벽으로 하부 경계벽 아래로 간격을 가지고 놓여 있는 여과수단에 의하여 180도 회전하여 또는 경계 또는 아래 쪽으로 제한되는 공기 유동실 또는 공간으로 송풍이송되는 것이다. 이러한 장치 또는 설치 방식으로는 공기 유동 경로가 커서 높은 유동 손실이 생기며 따라서 높은 동력에너지를 요구하게 된다. 또한 이러한 공기 안내 방식에 따라 여과면 상으로 균일한 유동 분포를 얻기가 어려우며 또한 이 배치로는 비교적 높은 압력 용량 또는 소음이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방식의 여과 환기 장치의 설치에 있어서 높은 소음 차단 또는 차페 또는 검사 및 감소효과를 가지며 균일한 유동 분포와 적은 또는 무시할만한 유동 손실 및 적은 또는 명목상으로 만 에너지가 필요한 컴팩트한 설비 또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리 또는 환상의 구조와 작은 또는 명목상으로만 높이를 가지는 환상의 덕트 또는 통로로서 유동 공간 또는 유동실이 설치되는 여과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매우 컴팩트한 방식으로 장치되고 구체화될 수 있는 여과 환기 장치를 제공한다.
여과면상의 균일한 분포와 균일한 유속은 환상의 덕트 또는 통로로서 가능하게 되며 따라서 공기는 필터를 통하여 그 아래에 위치하는 청정실 또는 공간으로 균일하게 도입될 수 있다.
또한 환상덕트 또는 경로의 방식으로서 매우 짧은 또는 경로가 제공됨으로써 이에 따라 매우 작은 미미한 에너지만을 필요로 하게 된다.
더우기 본 발명의 여과 환기 장치는 환기 장치에 도달하기 전 열교환기를 거쳐 온열 또는 열의 방출 또는 가열을 하여 환기 장치에 의하여 회수 공기를 흡입함으로써 여과 환기 장치 하의 지역에 위치하는 청정공간 또는 실로 들어가는 회수공기는 적당한 범위 또는 양으로 냉각된다.
본 발명의 장치의 회전 공기 안내를 위한 입구 개구의 범위 또는 지역에 열교환기를 유리하게 배치함으로써 압력 손실이 작고 무시할만한 정도로서 도착 유속의 저하가 작거나 무시될 정도이므로 장치의 에너지 동력의 수요가 매우 작다.
본 발명의 목적과 이점을 다음 두 실시예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6도에서 본 발명의 여과 환기 유니트는 높은 소음 차단 효과와 소음 감소효과 및 구조 및 설계배치의 컴팩트형을 가지는 균일한 통풍 흐름 분포를 나타낸다.
이 유니트는 예를 들면 병원, 제약분야, 미생물학, 전자분야 및 반도체 기술분야 등의 청정실 또는 공간에 채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여과 유니트는 소형 청정실 또는 공간 지역에 특히 적당하며 이미 존재하는 청정실 및 공간 지역의 전후 수리 설치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청정실은 모듈러 구조로 설치될 수 있으며 언제나 청정실의 지역을 변경하고 기술적 진보에 따라 언제라도 보완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매우 신속 저렴하게 확장, 재배치 또는 변경할 수 있고 개선할 수 있다.
제1도에서 공기 투과성 바닥부재(2)를 가지는 청정실(1)은 공기 비투과성의 바닥부(3)위에 간격을 두고 놓여 있으며 투과성 바닥부재(2)와 함께 회전 공기 안내 수단(4)을 경계 제한한다. 작업장비(5)가 청정실(1)내에 있다. 청정실(1)은 여과 환기 유니트(8)의 필터(7)에 의하여 래스터(raster)망형 또는 방식으로 형성된 천정 또는 커버(6)에 의하여 위쪽으로 경계 제한된다. 여과 환기 유니트(8)는 래스터 천정커버(6)의 형성으로 연속으로 결합되거나 다음으로 각각으로 배치되는 모듈구조로서 실시할 수 있다. 각 여과 환기유니트(8)는 각각 신속하게 중간 변경이 가능하며 수시의 수리 및 보수작업이 간단하고 직접적 방법으로 신속한 시간에 수행될 수 있다.
각 유니트(8)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벤티레터(9)를 가지며 찬공기(10)와 회전공기(25)가 흡입 순환하여 필터(7)를 통하여 청정실(1)로 송풍된다. 여과된 공기흐름은 적어도 직선적 방식으로 수직으로 또는 직각하향으로 투과성 바닥부재(2)로 흐르고 그를 통하여 배출 및 방향을 바꿔서 하부 밀폐바닥부(3)로 향하고 다음 공기는 회전공기 안내 수단(4)을 통하여 외부(제1도의 화살표참조)로 흐른다. 찬공기(10)공급을 위하여 각 여과 환기 유니트(8)는 찬공기 연결부(11)를 가진다. 제1도에서와 같이 몇개의 찬공기 연결부(11)는 각각 통상적인 공급라인 또는 도관(12)으로 연결된다.
여과 환기 유니트(8)는 각기 동일한 방식으로 모듈구조로서 구축실시된다. 이들 유니트(8)는 제2도와 3도의 실시예에서 각기 더 자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유니트(8)는 대략 정사각형 2차방형의 외관을 가지나 직육면체 또는 다른 적당한 외관을 가질 수 있다.
2차방형의 외관형상은 청정실(1)의 커버 또는 천정을 래스터 형으로 또는 몇개의 유니트(8)의 형상으로 유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유니트(8)은 각각 기대어 배치되고 놓여진 4개의 측벽부재(13a),(13b),(13c) 및 (13d)로 설치된다. 이 부재들은 지지부재(14)로부터 상향으로 연장된다. 지지부재(14)는 레일, 봉형상 등으로 되어 있다. 측벽부재(13a),(13b),(13c) 및 (13d) 위로는 유니트(8)의 외관과 동일한 외관을 가지는 천정 커버 부재((15)가 놓여 설치된다.
천정부재(15)의 중앙으로 개구(16)이 있어 벤티레터(9)가 삽입되어 설치된다. 벤티레터(9)는 천정부재(15)의 하향으로 돌출된다. 천정부재(15)의 위로는 간격을 두고 천정부재(15)에 평행으로 추가의 천정부재(17)가 있어 함께 회전공기 안내수단(18)을 경계 제한 정의한다. 이 천정부재(17)는 천정부재(15)와 동일한 외형을 가지며 천정부재(15)에 대하여 어떤 거리 간격을 가지는 스페이서(19)에 의하여 형상이 지지된다. 바람직하기로는 천정부재(17)는 천정부재(15)보다 약간 또는 명목상 적다. 또한 천정부재(17)는 천정부재(15) 와 다른 형상 또는 외곽선을 가질 수 있다. 스페이서(19)에는 순환공기를 위한 입구 개구(도면에 안보임)를 가지고 있다.
커버부재(17)는 연결 지지봉, 버팀대 또는 지지수단으로 공급 선 또는 도관수단(12)이 연결될 수 있는 찬공기 연결부(11)과 함께 중앙으로 설치된다(제1도). 찬공기 연결부(11)는 벤티레터(9)위에 간격을 두고 설치된다(제2도). 순환 공기 안내 수단(18)에 대하여 흐름 조건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찬공기 연결부(11)는 회전 공기 안내수단(11)안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천정커버부재(17)의 하부측과 정밀하게 같은 높이로 부착된다. 마찬가지로 벤티레터(9)는 회전공기 안내 도관 수단(18)안으로 돌출되지 않도록 하며 커버 천정부재(17)을 향하여 천정부재(15)의 상부측과 같은 높이로 부착연결된다.
외벽부재(13a),(13b),(13c) 및 (13d)와 간격을 두고 이들 외벽들과 평행으로 연장되는 중간벽부재(20a),(20b),(20c) 및 (20d)가 지지부재(14)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그러나 천정부재(15)와는 간격을 두고 단말을 둔다(제2도). 중간벽부재(20a),(20b),(20c) 및 (20d)는 동일한 높이를 가지며 같은 실시예에서 외벽부재(13a),(13b),(13c) 및 (13d)보다 두껍다. 중간벽부재(20a),(20b),(20c) 및 (20d)와 외벽부재(13a),(13b),(13c) 및 (13d) 사이에는 사각링형 또는 환상의 덕트(21) 또는 통풍로가 형성되어 벤티레터(9)로부터 흡입된 공기를 필터(7)로 향하여 하부로 흐르도록 한다.
외벽부재(13a),(13b),(13c) 및 (13d)로부터 측방으로 중간벽부재(20a),(20b),(20c) 및 (20d)에 대하여 간격을 두고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가 마찬가지로 중간벽부재와 평행으로 지지부재(14)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설치된다.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는 중간벽부재(20a),(20b),(20c) 및 (20d)보다 높이가 작거나 같다(제2도).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는 중간벽부재(20a),(20b),(20c) 및 (20d)와 함께 서로 제한 또는 경계를 두어 추가의 환상 덕트 또는 사각링형 통풍로(23)을 정한다(제3도). 제2도에서 분명히 알수 있는 것과 같이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는 조그만 또는 무시할만한 간격으로 벤티레터(9)를 둘러싸고 있다.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로 둘러싸인 또는 폐쇄된 공간 또는 방은 필터(7) 위 방향의 판(24)에 의하여 막혀 있다. 제3도에서 판(24)은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로 둘러싸인 폐쇄된 내부공간 또는 방을 충진한다. 제2도에서와 같이 판(24)는 벽부재(22a),(22b)(22c) 및 (22d)의 내측 높이의 거의 반의 높이에서 부착 장착되어 있다.
모든 벽부재(13a),(13b),(13c) 및 (13d); (20a),(20b),(20c) 및 (20d)와 (22a),(22b)(22c) 및 (22d)는 레일 등의 형상으로 형성된 지지체상에 부착 설치되어 있다. 또한 벽부재(13a),(13b),(13c) 및 (13d);(20a),(20b),(20c) 및 (20d)와 (22a),(22b)(22c) 및 (22d)는 천정부재 또는 커버부재(15)에 예를 들면 나사봉으로 매달려 현수될 수 있다. 필터(7)를 벽부재(13a),(13b),(13c) 및 (13d);(20a),(20b),(20c) 및 (20d)와 (22a),(22b)(22c) 및 (22d)의 아래에 간격을 두고 유니트의 한 부품으로 분리된 구조적 부재로서 그 조립 중에 유니트와 연결한다. 모든 벽부재(13a),(13b),(13c) 및 (13d);(20a),(20b),(20c) 및 (20d)와 (22a),(22b)(22c) 및 (22d)는 광물성울, 석면, 포옴재와 같은 소음 차페재로 형성된다. 또한 커버 천정재(15) 및 (17)도 소음 차단재로 구성된다. 따라서 여과 환기 유니트(8)는 매우 고도의 소음차단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판(24)도 흡음재로 되어 있다. 각 벽들은 벽부재로 조립되므로 벽재를 예비제조 부재로 제조 운반하여 함께 조립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벽부재를 교환할 수 있으며 조립된 전체벽을 교환 재배치하지 않고 손상된 벽부재 하나만을 교환할 수 있다. 따라서 벽부재(13a),(13b),(13c) 및 (13d);(20a),(20b),(20c) 및 (20d)와 (22a),(22b)(22c) 및 (22d)는 각각 단일체로서 만들 수도 있고 서로 일체로 결합하여 제조 구축할 수도 있다.
필터(7)는 종래의 재료로 구성되며 1급 청정실로 장치하기에 적합한 재료로 설치할 수 있다. 제2도에서와 같이 찬공기는 벤티레터(9)에 의하여 냉공기연결부(11)을 거쳐 중앙으로 도입된다. 동시에 회전공기(화살표25)가 회전공기 안내수단(18)을 거쳐 벤티레터(9)에 의하여 흡입된다. 찬공기 연결부(11)는 벤티레터(9)의 중앙에 위치하며 회전공기(25)는 그에 직각으로 또는 가로질러 흡입되므로 찬공기는 순환공기(25)와 잘 혼합되어서 신속히 온도 동일화가 이뤄진다. 흡입공기는 벤티레터(9)에 의하여 제2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안내되어 링도는 환상 통로 덕트(21)과 (23)안으로 흡입되어 직각 수직으로 전환되고 아래로 향하여 필터(7)로 안내된다. 필터(7)을 통과후 청결화된 공기가 청정실(1)로 들어간다(제1도). 내측으로 선택되어 수치 단계화 또는 모듈화된 벽부재(13a),(13b),(13c) 및 (13d);(20a),(20b),(20c) 및 (20d)와 (22a),(22b)(22c) 및 (22d)는 여과기 표면상에 균일한 유속이 얻어진다. 이에 따라 여과 환기 장치(8)는 소형화 구조방식과 고도의 흡음 소음차단이 되면서 균일한 흐름분포가 된다는 특징을 가진다.
벤티레터(9)으로부터 필터(7)로까지의 흐름 경로는 극히 짧은 환상경로의 덕트방식으로서 유속의 손실이 매우 작으므로 극히 적은 동력만으로도 가동이 된다. 링형 또는 환상의 경로 덕트(21),(23) 방식으로 각각의 벽부가 비교적 낮게 될 수 있으므로 유동 손실이 작아지는 이점이 있고 유니트(8)가 극히 소형화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벤티레터(9)가 중앙으로 배치되므로 주변 및 링형 또는 환상의 경로 덕트(21)및 (23)의 범위에 균일한 흐름이 유지된다. 여과 환기 유니트(8)은 천정에 매달거나 현수할 수 있고 래스터형의 커버 또는 천정에 장치 또는 삽입할 수 있다. 유니트(8)는 적당하고 요구되는 크기에 따라 청정실 또는 청정공간 안으로 모듈식으로 조합 또는 결합하거나 삽입 또는 각기 따로 장치할 수 있다. 청정실 작업에 영향을 주는 유니트(8)의 유지 서비스 작업은 아주 간편하다.
각각의 여과 환기 유니트(8)은 상하부로부터 각기 신속하게 교체될 수 있다. 필터(7)의 교환은 하부로부터 할 수 있으며 벤티레터(9)는 하부 또는 상부에서도 수행할 수 있다. 따라서 유지 보수 작업을 유니트의 횡으로 수행할 수 있으며 전체 청정실(1)의 운용을 정체시켜 수행할 필요가 없다. 청정실의 대소에 관계없이 각개의 유니트(8)를 경제적으로 건축할 수 있다. 특히 모듈구조로서 여과 환기 유니트(8)을 사후에 저가로 유리하게 설치할 수 있다. 그 소형 구조 실시예의 방식으로 여과 환기 유니트(8)는 가볍고 무시할 수 있는 무게를 가지므로 간단하게 직선방향으로 조립이 가능하다.
또 커버 천정의 하중도 비교적 작거나 무시할 정도이다. 가장 간단하고 직선 방향의 실시예는 외벽부재(13a),(13b),(13c) 및 (13d)와 내벽부재(22a),(22b)(22c) 및 (22d)에 의하여 경계 제한되는 단지 하나의 링형 또는 환상의 경로 덕트를 가지는 여과 환기 유니트(8)이다. 이러한 유니트는 더욱이 더 소형으로 설치되고 고도의 소음 차단과 균일한 흐름 분포 및 무시할만한 유동 손실이 제공되는 모든 이점이 수반된다. 이리하여 이것은 단 하나의 경계 벽만일 때 가장 적당하고 충분하며 따라서 벽부재(13a),(13b),(13c) 및 (13d) 또는 소음 차단재로 구성되는 벽부재(13a),(13b),(13c) 및 (13d)만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나 유리하게는 모든 벽부재를 흡음재로 구성하여 극히 고도의 소음 차단, 소음 감소 및 억제가 될 수 있다. 다른 도시하지 않은 실시예로서 두개 이상의 링형 또는 환상의 통풍로 덕트를 구비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벽부재가 더 구비되고 그 높이가 동일하게 되거나 외측에서 내측으로 갈수록 벽의 높이가 감소한다. 이 경사는 다시 선택 조절되고 균일한 공기유속과 분포가 필터 면상에 얻어진다. 따라서 유니트(8)는 각 채택상황에 따라 간단하고 직각적인 방식으로 매우 양호하게 조정되고 장치되며 다만 벽부재의 수만 달라진다. 모든 변경은 고도의 소음 차단, 균일한 유동 분포, 구조의 컴팩트 방식, 무시할만한 또는 작은 유속 손실과 중량으로 특징지울 수 있다. 유니트(8)과 벽부재의 외관 모양은 사각 단면 형상의 구조 대신 다른 적당한 예를 들면 원형 외각 형상을 할 수도 있다.
제4도는 공기 투과성의 바닥부재(2a)로 된 청정실(1a)을 나타낸다. 이 바닥부재(2a)는 공기 비투과성 바닥부(3a)상에 간격을 두고 있으며 공기 투과성 바닥부재(2a)와 함께 순환공기 안내수단(4a)을 경계한정한다. 청정실(1a)의 내부에는 작업가공장비(5a)가 위치한다. 청정실(1a)의 상부는 여과 환기 유니트(8a)의 필터(7a)에 의하여 구축되는 래스터 형의 커버 또는 천정(6a)에 의하여 경계 한정된다. 유니트는 모듈형으로 서로 인접하여 부착배치되며 래스터 커버 천정(6a)에 의하여 형성된다. 각각의 여과 환기 유니트(8a)는 유리한 방식으로 신속하게 각각 교체할 수 있으므로 경우에 다른 보수유지를 신속 간단하게 직각적으로 할 수 있다.
제4-5도에서 매 유니트(8a)는 적어도 하나의 벤티레터(9a)를 구비하며 순환공기(25a)는 흡입되어 필터(7a)를 거쳐 청정실(1a)로 이동한다. 여과된 공기흐름은 적어도 거의 층류를 이루며 수직으로 또는 직각으로 바닥상(2a)으로 향하여 하향하고 통과하여 하부 밀폐된 바닥(3a)에서 역전 또는 확산하고 회전공기안내 수단(4a)에서 외부로(제4도의 화살표 비교) 향해 흐른다. 또한 여과된 공기는 제1,2 및 3도에서의 실시예에서 청정실(1a)을 통하여 난류로 흐른다.
여과 환기 유니트(8a)는 모듈형으로 구축되고 각각 동일하게 구체화되고 제조된다. 이들 유니트(8a)는 제5-6도에서 더 상세하게 각각 설명한다. 같은 실시예에서 유니트(8a)는 대략 정사각형 외각선을 가지나 직사각형 또는 예를 들면 원형 외각선과 같은 다른 적당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각각 정사각 또는 직사각형 외각형을 가지는 것은 청정실(1a)의 천정을 단지 몇개의 유니트(8a)로 구성되는 래스터 형으로 조립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유니트(8a)는 서로 대향하는 4직각벽부재로 형성되는 외벽(13a)를 구비한다. 이들 벽부재는 지지부재(14a)(제5도)에서 상향으로 연장되어 있다. 지지부재(14a)는 측면 래일, 봉, 로드 등으로 만들어진다. 외벽(13')의 벽부재 상에는 유니트(8a)와 동일한 윤곽을 가지는 수평의 커버 천정부재(15a)가 위치하여 장치된다. 커버 천정부재(15a)중앙으로는 개구(16a)가 구비되고 벤티레터(9a)가 삽입 또는 설치된다(제5-6)도).
벤티레터는 커버 천정부재(15a)상에 하향으로 돌출되어 있다. 커버부재(15a)상에 간격을 두고 커버 천정부재(15a)와 평행으로 추가의 천정부재(17a)가 설치되어 함께 순환공기안내 수단(18a)의 경계한계가 된다. 천정부재(17a)는 천정부재(15a)와 동일한 외곽선으로서 스페이서(19a)에 의하여 주위 변경이 정해지며 커버부재(15a)에 대하여 간격을 가지게 된다(제6도). 유니트(8a)의 직사각의 외곽선에 따라 천정부재(17a)의 모서리에 스페이서(19a)가 구비되고 바람직하기로는 끝 단부에 각편에 의하여 세워져 형성되는 것이 좋다.
또한 스페이서(19a)는 다른 적당한 구조와 실시예로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천정부재(17a)는 천정부재(15a)보다 약간 작은 것이 바람직하며 따라서 순환공기 흡입이 되게 된다. 또한 천정부재(17a)는 천정부재(15a)와 다른 외곽선을 가져도 된다.
벤티레터(9a)는 회전공기안내 수단(18a)안으로 돌출되지 않는 것이 좋으며 천정부재(17a)로 향하여 천정부재(15a)의 상부측과 평평하게 또는 정밀하게 부착되는 방식으로 장착하는 것이 좋다. 외벽(13a')와 간격을 두고 외벽과 평행하게 위로 뻗는 중간벽(20a')이 구비되며 마찬가지로 지지체(14a)로부터 위로 연장되어 있다.
유니트(8a)의 실시예의 각 또는 코너구조를 가지는 중간벽(20a') 뿐 아니라 벽 부재들은 서로 인접하여 있다. 중간벽(20a')은 천정부재(15a)에서 간격을 둔다. 중간벽(20a)은 외벽(13a')보다 두꺼우며 그 주변 범위상에 동일한 놀이를 가진다. 중간벽(20a')과 외벽(13a') 사이에는 링형 또는 환상의 덕트(21a')가 형성되어 벤티레터(9a)로 공기를 흡입하여 아래로 유동하여 필터(7a)로 향한다. 외벽(13a')로부터 측방으로 간격을 두고 중간벽(20a') 내벽(22a')이 배열되고 마찬가지로 서로 평행으로 지지체(14a)로부터 위로 연장된다. 내벽은 중간벽(20a')보다 작거나 무시할만한 추가 높이로 되어 있다.
내벽(22a')은 벽부재들에 의해 서로 접하여 형성되고 중간벽(20a')와 함께 환상 통로 덕트(23a')를 경계 한정한다. 내벽(22a')은 여과 환기 유니트(8a)상에 평면도로 나타나는 것과 같이 작은 간격을 두고 벤티레터(9a)를 둘러 싸고 있다.
내벽(22a')으로 폐쇄되고 둘러 싸인 방은 필터(7a)상방으로 판(24a)에 의하여 막혀 있다. 판(24a)은 내벽(22a')으로 싸인 내부공간 또는 방을 충전한다. 제5도에서와 같이 판(24a)은 내벽(22a')의 내측 약 반의 높이로 장착된다. 외벽(13a'), 중간벽(20a') 및 내벽(22a')의 모든 벽부재는 지지체(14a)상에 부착 또는 장착된다. 또한 이들 벽부재를 천정부재(15a)에 나사봉으로 현수하여도 된다.
벽들(13a'),(20a'),(22a')아래로 간격을 두고 필터(7a)를 여과 환기 유니트(8a)의 부품으로 또는 분리되 구조 부재로 유니트와 연결하여 또는 조립 중에 또는 장치 후에 구비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모든 벽들(13a'),(20a'),(22a')은 광물 울, 석면, 또는 포옴재와 같은 소음 차단재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커버천정부재(15a)(17a)도 소음 차단재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여과환기 유니트(8a)는 극히 좋은 소음 차단 효과를 구비한다. 또한 판(24a)도 소음 차단재로 구성되어 있다. 각각의 벽들(13a'),(20a'),(22a')은 벽부재로 함께 조립 구축할 수 있으므로 예비 제조 부재로 조립 건설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벽부재 만을 따로 교환할 수 있으므로 손상되 벽부재만을 교체하고 전체 벽을 교환할 필요가 없다.
벽들(13a'),(20a'),(22a')의 벽부재는 각각으로 또는 서로 일체로 조립할 수 있다. 여과 환기 유니트(8a)와 함께 벽들은 흡음재로 구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벽들을 금속판 시이트 등과 같은 통상의 재료로 삽입 또는 설치하여도 좋다.
필터(7a)는 통상의 재질로 구성한다. 따라서 유니트(8a)는 청정실의 모든 급에 대하여 채택된다. 회전공기(25a)는 순환 공기 안내 수단 또는 덕트(18a)를 거쳐 벤티레터(9a)에 의하여 흡입된다. 흡입공기는 제5도의 화살표 방향으로 벤티레터(9a)로부터 환상통로 덕트(21a) (23a)로 안내되고 그 안에서 수직으로 또는 직각으로 하향하여 필터(7a)로 안내된다.
필터(7a)를 통과후 청정 순수화된 공기는 청정실 또는 방(1a)으로 간다(제4도). 벽들(13a'),(20a'),(22a')의 내향으로 된 단계화로 필터 표면의 균일한 속도가 선택 조성된다. 따라서 이 여과환기 유니트(8a)는 소형화된 구조방식과 고도의 소음 차단을 구비하고 균일한 유속과 균일한 흐름 분배가 선택되고 조정된다. 벤티레터(9a)에서 필터(7a)로 가는 흐름 경로는 환상 링형의 경로 또는 덕트(21a),(23a)로서 극히 짧으므로 유속손실이 적어 매우 작은 동력이 소요된다. 환상의 경로 또는 덕트(21a),(23a)에 벽이 비교적 낮으므로 유니트(8a)의 극히 작은 소형화 구조로 유속손실이 적거나 무시할 정도가 되는 이점이 있다. 벤티레터(9)는 중앙으로 배치되어 황상의 경로 또는 덕트(21a)와 (23a)의 주변에 균일한 흐름이 유지된다.
커버부재(15a)상에 스페이서(19a)를 두고 모서리에 커버 천정부재(17a)가 지지되므로 제6도에서와 같이 회전공기(25a)는 벤티레터(9a)의 모든 측으로 흡입되어 순환 공기 안내수단(18a)안으로 들어간다. 따라서 스페이서(19a) 사이에 입력 개구(26)에서 순환공기 안내 수단(18a)이 스페이서 안으로 위치한다. 이들 입력 개구(26)에는 열교환기(27)이 있어 회수공기(25a)는 회수공기 안내 수단(18a)로 들어가는 도중에 거쳐서 안내된다. 열교환기(27)는 그를 통해 흐르는 냉매가 있는 관으로 형성되며 적층식으로 서로 간격을 가지고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으며 관의 축에 대하여 수직으로 또는 직각으로 연장되어 자리를 잡고 연장된다. 튜브 또는 관은 연결 끝부(28)(제6도)를 가지며 열교환기(27)의 관안으로 각기 유동하는 특수한 냉매를 거친다.
이 관은 천정부재(15a)(17a)의 범위 또는 주변에 연장되어 관의 냉매 흐름 또는 배출관을 통하여 출구 배출단부(29)를 가지는 연결단부(28)에 접한다. 냉매로서는 냉각수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그러나 냉각 간수 또는 냉동 매질과 같은 다른 냉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만일 바닥측 회수공기 안내 수단(4a)의 밖으로 흐르는 회전공기(25a)가 열교환기(27)를 경유하여 회수공기 안내 수단(18a)으로 흐르면 최적하게 같이 냉각된다. 열교환기(27)은 유니트(8a)의 주위에 위치하며 벤티레터(9a)로부터 큰 간격으로 구비되므로 유입 흐름속도에 대한 최소한의 침해만이 발생한다. 또한 압력 손실이 매우 적다.
따라서 열교환기(27)의 사용에 불구하고 유니트(8a)는 에너지 소요가 작다. 열교환기(27)는 각각의 설치조건에 따라 회수공기 안내 수단(18a)내의 유입개구(26)로부터 간격을 가지고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유입유속에 방해가 따르고 높은 압력손실이 발생하여 유니트의 동력요구가 증가한다.
기본적으로 회수공기(25a)의 흡입은 모든 측으로부터 흡입할 필요가 없다. 따라서 유니트(8a)의 한쪽으로만 회전공기에 대한 입구 개구(26)을 구비하고 두 커버 또는 천정부재(15a)와 (17a) 사이의 나머지 측에는 밀폐벽 또는 감소된 자유 단면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상황에서 열교환기(27)는 유니트(8a)의 한쪽에만 구비한다.
또한 회수공기 안내 수단은 회수공기(25a)가 순환공기 안내수단(18a)의 안으로 흡입되지 않고 순환공기(17a)의 흡입개구를 구비하는 커버천정부(17a)의 흡입되게 구축하여도 좋다.
이 경우에는 천정부재(17a)의 단부지역에 흡입개구를 위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 순환공기(25a)는 그 경로에 열교환기(27)를 거치도록 흐르게 하여 벤티레터(9a)로 향하게 한다.
순환공기(25a)는 열교환기(27)를 거쳐 유동하는 도중에 열교환기에 열을 방출하여 대등하게 냉각된다.
순환공기(25a)의 냉각도는 열교환기를 통하는 냉매 온도 등에 의하여 조정 또는 조절한다. 냉각매질에 대신하여 열교환기(27)를 통하여 흐르는 가열매질을 여과 환기 유니트(8a)의 사용 조건에 따라 각각 특수하게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여과 환기 유니트(8a)는 두개의 환상경로 덕트(21a)(23a)을 구비한다.
가장 간단하고 직선 방향의 실시예는 외벽(13a')와 내벽(22a')로 경계구성되는 단일의 환상경로 덕트를 구비한다. 이런 유니트(8a)는 극소형 컴팩트 방식으로서 더욱이 균일한 흐름 분포와 무시할 수 있는 유속 손실 및 최소의 에너지를 소요한다. 또한 만일 가치가 고도의 소음차단을 주로 한다면 양 벽(13')(22')들을 소음차단재로 구성한다. 소음차단에 대한 필요가 적어도 충분하다면 한쪽 벽(13') 또는 (20')만을 소음차단재로 구성한다.
또한 여과 환기 유니트(8a)를 두개 이상의 환상경로 덕트가 구비되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다시 추가의 벽을 구비하고 그 높이를 서로 조절하고 맞추며 벽의 높이는 바깥에서 안쪽으로 갈수록 낮아진다. 이 단계관계는 필터면상에 균일한 공기 유속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유니트(8a)는 각각의 사용조건에 따라 매우 간단하고 직각적인 방식으로 장치할 수 있다. 모든 변동은 균일한 유동분포, 조립의 소형화 방식, 작은 유동 손실, 적은 중량 및 에너지 소요량 최소화 등의 조건에 의하여 구별되어 특정된다.
천정커버(17)은 열교환기(27)위에 놓거나 부착함으로서 분리 스페이서(19)를 사용하지 않을 수가 있다. 천정커버(17)를 분리하여 용이하게 각각 교체할 수 있으며 유지보수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열교환기(27)을 단하나로 할 수도 있고 유니트(8)의 범위 주변에 몇개의 열교환기를 구비하게 할 수도 있다.
이들 열 교환기는 서로 직렬로 배치하여 연결할 수 있으며 서로 병열로 평행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평행으로 가동할 경우 냉매 또는 가열 가온 매질에 대하여 각각 입구와 출구를 하나씩 구비해야 한다.
본 발명은 경계벽에 의해 제한되고 정해지는 공기 유동실을 향하는 적어도 하나의 벤티레터를 가지는 청정실을 사용하는 여과 환기 장치 배치에 관한 것이다. 유동실은 경계벽(13a)에서 (13d),(20a)로부터 (20d),(22a)에서 (22d);(13a'),(20a'),(22a')로 경계되는 그 중 하나의 벽은 소음차단재로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상경로(21),(23),(21a),(23a)로서 구성된다. 벤티레터수단(9),(9a)는 환상경로(21),(23),(21),(21a)에 대하여 중앙으로 배치되며 하나의 천정커버부재(15)(15a)내에 배치된다.
환상경로(21),(21a)는 그와 함께 장치 또는 유니트(8),(8a)의 한외벽(13),(13a)에 의하여 경계된다.
적어도 하나의 외경계벽(13a) 내지(13d);(13a') 내지 (13d')는 흡음재로 구성된다.
유니트(8),(8a)의 외벽(13),(13a')는 천정부재(15),(15a)까지로 연장된다.
내부경계벽(20a) 내지 (20d),(20a') 내지 (20d')는 천정부재(15),(15a)로부터 간격을 두고 있다.
유니트(8),(8a)는 그 높이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향하여 감소하는 경계벽(13a) 내지 (13d),(20a) 내지 (20d),(22a) 내지 (22d); (13a') 내지 (13d'),(20a') 내지 (20d'),(22a') 내지 (22d')로 이뤄지는 몇개의 환상경로 (21), (23); (21a), (23a)를 구비한다.
각 유니트(8),(8a)는 유동실(21)(23);(21a),(23a)의 하부지역에 배치되는 필터(7),(7a)를 가진다. 내부 최종 경계벽(22a) 내지 (22d); (22a') 내지 (22d')에 둘러 싸인 공간 또는 방은 필터(7),(7a)에 대하여 밀폐된다. 내부 최종 경계 벽(22a)-(22d); (22a')는 그 내측으로 각 판(24),(24a)에 접하며 소음차단재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천정커버재(15),(15a)는 흡음재로 구성되고 하부 경계가 회전공기안내수단(18),(18a)로서 형성되는 것이 좋다. 회수공기안내수단(18),(18a)은 소음 차단재로 하는 것이 좋은 추가의 천정부재(17),(17a)로 상방으로 제한된다. 냉각공기 연결부(11)는 벤티레터의 흡입측상에 직각으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추가로 천정커버부재(17)안에 구비된다.
냉각공기연결부(11)를 통하여 찬 공기가 흐르며 순환공기(25)에 대하여 직각으로 가로질러 유동하는 것이 좋다.
유니트(8),(8a)는 모듈방식으로 실시 구축하는 것이다.
경계벽(13a) 내지 (13d),(20a) 내지 (20d),(22a) 내지 (22d); (13a') 내지 (13d'),(20a') 내지 (20d'),(22a') 내지 (22d')는 지지부재(14),(14a)상에 배치된다.
경계벽(13a) 내지 (13d),(20a) 내지 (20d),(22a) 내지 (22d); (13a') 내지 (13d'),(20a') 내지 (20d'),(22a') 내지 (22d')는 천정부재(15),(15a)에 매달아서 또는 연장하여 장착배치하는 것도 좋다.
환상경로(21),(23);(21a),(23a)는 서로 공축으로 놓여진다.
환상경로(21),(23);(21a),(23a)는 사각 외곽선 형상으로 된다.
청정실에 사용하는 여과 환기 장치 또는 배치는 그 압력측이 공기 유동실로 향하고 청정실로부터 순환공기를 이 벤티레터로 흡입하며 특히 벤티레터(9a)의 흡입 지역에 순환공기(25a)가 경유하는 최소한 하나의 열교환기(27)를 놓는 것이 좋다.
열교환기(27)는 유니트(8a)의 순환공기 안내수단(18a) 내에 배치한다.
회수공기안내수단(18a)는 상기 벤티레터(9a)상의 지역에 배치한다.
열교환기(27)는 순환공기안내수단(18a)의 한쪽입구(26)에 배치한다.
열교환기(27)는 유니트(8a)의 주변상에 연장된다.
열교환기(27)는 순환공기안내수단(18a)내에 천정부재(15a)의 한 끝부에 따라 배치된다.
순환공기(25a)는 열교환기(27) 전후방에서 같은 방향으로 흐르거나 다른 방향으로 흐르게 한다.
열교환기(27)는 순환공기 안내수단(18a)의 순환공기를 위한 입구 개구 아래의 지역에 배치된다.
열교환기(27)는 공기 냉각기이다.
열교환기(27)는 그 안을 통하는 냉매를 구비한다.
열교환기(27)는 그 안을 유동하는 가열매질을 가진다.
본 발명을 이상과 같이 설명하나 첨부되는 청구 범위내의 수정변경이 있을 수 있다.

Claims (18)

  1. 지지부재, 지지부재상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경계벽, 경계벽 중 가장 외벽상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천정부재가 모듈로 구성되어지되, 적어도 하나가 소음차단재로 구성된 경계벽에 의하여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통로에 의해 형성된 공기유동실을 향하여 압력측이 위치하는 적어도 하나의 환기장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환형통로는 천정부재에 대하여 중앙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경계벽에 의하여 천정부재로부터 일정간격을 갖는 내벽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환형통로는 높이가 외측에서 내측으로 감소되는 경계벽에 의하여 형성된 다수의 환형통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필터가 상기 환형통로에 의하여 형성된 유동공간 하부위치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환형통로를 형성하는 가장 내측의 경계벽은 필터에 대하여 공간을 밀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내측의 경계벽 내면은 소음차단재로 구성된 판과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천정부재는 회송공기안내수단의 하부경계를 구획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회송공기안내수단은 소음차단재로 구성되는 추가의 천정부재에 의하여 위쪽이 구획 경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추가 천정부재는 환기 장치의 흡입측상부에 수직으로 배치되는 차가운 공기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차가운 공기 연결부를 통하여 흐르는 차가운 공기는 회송공기에 대하여 직각으로 가로질러 흐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경계벽은 상기 천정부재에 현가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통로는 서로 동일한 축상에 위치하며 정방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열교환기가 회송공기가 흐르는 상기 환기장치의 흡입지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회송공기는 상기 열교환기 전, 후의 다른 방향으로 흐르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공기 냉각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7.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안을 통하여 흐르는 냉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18.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열교환기는 그 안을 통하여 흐르는 가온 매질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청정실용 여과 환기 장치.
KR1019940000155A 1994-01-06 1994-01-06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KR100197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155A KR100197935B1 (ko) 1994-01-06 1994-01-06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00155A KR100197935B1 (ko) 1994-01-06 1994-01-06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24A KR950023924A (ko) 1995-08-18
KR100197935B1 true KR100197935B1 (ko) 1999-06-15

Family

ID=19375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00155A KR100197935B1 (ko) 1994-01-06 1994-01-06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93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38B1 (ko) 2006-09-11 2007-08-09 주식회사 인벤트이엔지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48138B1 (ko) 2006-09-11 2007-08-09 주식회사 인벤트이엔지 모듈형 공기조화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23924A (ko) 1995-08-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7990A (en) Filter-ventilator-arrangement
KR930009610B1 (ko) 클리인 루움 구축 시스템
US3776121A (en) Controlled environmental apparatus for industry
US6089970A (en) Energy efficient laboratory fume hood
JP7138280B2 (ja) 空調ユニット
KR20180100436A (ko) 공조용 실내 유닛 및 공기 조화 장치
US5518451A (en) Clean room system
US3323437A (en) Filter system
KR101973530B1 (ko) 환기장치용 케이싱 및 그것을 구비한 열회수형 환기장치
US3465666A (en) Cleanroom filtering method
EP2382425B1 (en) Low profiled air handling unit with tilted rotary heat exchange
KR100197935B1 (ko) 청정실용 여과환기장치
KR102594728B1 (ko) 공기 조화기
JPH0583817B2 (ko)
FI109725B (fi) Laite huoneenilman jäähdyttämiseksi
CN112714846B (zh) 通风装置用热交换单元
US20050086972A1 (en) HVAC cabinet with configurable duct connections
JP4486727B2 (ja) 循環型クリーンルーム
JPH0332914Y2 (ko)
KR102557333B1 (ko) 대용량 전열교환 청정장치
JP2580990B2 (ja) 清浄作業室
JPH01102232A (ja) クリーンルーム
CN218336986U (zh) 一种高性能降温式控制台
JP2857584B2 (ja) 熱交換器
KR102617621B1 (ko) 열교환 환기시스템에 구비되는 효율 확보가 우수한 열교환 모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