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866B1 -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866B1
KR100197866B1 KR1019920018255A KR920018255A KR100197866B1 KR 100197866 B1 KR100197866 B1 KR 100197866B1 KR 1019920018255 A KR1019920018255 A KR 1019920018255A KR 920018255 A KR920018255 A KR 920018255A KR 100197866 B1 KR100197866 B1 KR 100197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anol
jerrykudranin
chloroform
gericudranin
extrac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82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9168A (ko
Inventor
유익동
김창진
이인경
김환묵
오구택
Original Assignee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원훈, 한국과학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박원훈
Priority to KR10199200182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866B1/ko
Publication of KR940009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9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86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28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nly
    • C07D311/322,3-Dihydro derivatives, e.g. flavano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31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 C07D31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having one oxygen atom as the only hetero atom, condensed with other rings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311/04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 C07D311/22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 C07D311/26Benzo[b]pyrans, not hydrogenated in the carbocyclic ring with oxygen or sulfur atoms directly attached in position 4 with aromatic rings attached in position 2 or 3
    • C07D311/40Separation, e.g. from natural material; Purification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암활성을 갖는 하기 구조식(1), (2) 및 (3)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제리쿠드라닌 성분을 함유하는 식물체로부터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제1도는 제리쿠드라닌 에어(gericudrania A)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제2도는 제리쿠드라닌 에어(gericudrania A)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제3도는 제리쿠드라닌 에어(gericudrania A)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제4도는 제리쿠드라닌 에어(gericudrania A)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제5도는 제리쿠드라닌 비(gericudranin B)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제6도는 제리쿠드라닌 비(gericudranin B)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제7도는 제리쿠드라닌 비(gericudranin B)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제8도는 제리쿠드라닌 비(gericudranin B)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제9도는 제리쿠드라닌 씨(gericudranin C)의 자외선 흡수 스펙트럼.
제10도는 제리쿠드라닌 씨(gericudranin C)의 적외선 흡수 스펙트럼.
제11도는 제리쿠드라닌 씨(gericudranin C)의 수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
제12도는 제리쿠드라닌 씨(gericudranin C)의 탄소핵자기 공명 스펙트럼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은 항균 및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의 제리쿠드라닌(gericudranin)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보다 상세하게는 하기 구조식(1), (2) 및 (3)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이성체와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제리쿠드라닌(gericudranin) 물질은 몇몇 그람양성세균 및 그람음성세균에 항균력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특히 간암세포, 폐암세포, 대장암세포, 자궁암세포, 피부암세포, 중추신경계암세포등 각종 암세포주에 대해 강한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물질로 그 구조 및 이화학적 특성이 기존에는 보고된 적이 없는 물질로 본 발명자들에 의해 처음으로 발견된 새로운 화합물이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추출에 이용되는 약용식물의 일종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는 뽕나무과에 속하는 낙엽성 소교목 또는 관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민간 상용약초로 악성질환에 그 뿌리 및 줄기를 다려 먹으면 특효하다고 전해내려 오고 있다. 또한 국내 생약대사전에 의하면 꾸지뽕나무의 목부는 부인의 붕중, 혈결 치료에 이용되며 수피와 근피는 요통, 객혈, 타박상 치료에 이용되었고 경엽 부위는 소염, 진통, 활혈 등에 효과가 있다고 기술되어 있다(정보섭, 신민교 공저, 도해향약(생약)대사전, 식물편, 영림사, 1990 년).
또한 중국의 문헌에 의하면 꾸지뽕나무는 실험동물의 고형함(Ehrlich 암)의 증식억제 작용을 나타내며 시험관내(invitro)에서는 식도암주 등에 세포독성을 나타내는 약리작용이 있어 임상적으로 위임, 식도암, 결장암, 직장암 등 소화기와 관련된 악성종양에 치료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었다.(후꾸시마, 항암 중약의 임상응용, 치의약 출판사, 1987). 그러나 후꾸시마 등에 의해 보고된 꾸지뽕나무가 고형암에 세포독성을 나타낸다는 보고는 완전히 정제되어 구조를 확인한 물질의 효과가 아니라 꾸지뽕나무 조추출물로 실험한 결과로 어떤 화합물에 의해 항암효과가 나타났는지는 규명하지 못하였다.
한편 꾸지뽕나무로 부터 생리활성물질을 추출 정체하여 보고된 화합물은 현재 30여 종류의 화합물이 보고되었는데 그 대표적인 예를 소개하면 노무라등에 의해 이소프레닐화 잔톤(isoprenylated xanthone) 화합물인 쿠드라잔톤 A∼O(cudraxanthone A∼O), 이소프레닐화 후라본(isoprenylated flavone) 화합물인 쿠드라후라본 A, B(cudraflavone A, B)가 보고되었다 (Nomura, T.et al., Plant Medica 50, 161-163; 50, 218-221(1984); 51, 190-193(1985); 56, 299-402; 56, 478-481(1990); 57, 172-175(1991)).
또한 후지모도등에 의해 싸이클로아토카페신(cycloartocarpesin), 포프린(populnin), 퀘르시메트린(quercimetrin) 등의 화합물이 발견되어 보고되었다(Fujimoto, T. et al., Tetrahedron 34, 1389(1978)). 또한 국내의 연구로는 박종철등에 의해 캠페롤(kaempferol) 및 그 유도체와 나린제닌(naringenin) 유도체등 4 종류의 화합물이 보고되었으나(박종철 등, 약회회지 36, 40-45, 1992) 모두 공지 물질로 밝혀졌으며 용 등에 의해서도 후라보노이드 계통의 물질이 추출 정제되어 보고되었다(Youn, H.S. et al., Arch. Pham. Res., 12, 39(1989)). 그러나 상기의 보고에서는 각 물질들의 화학 구조만 밝혔을 뿐 생물활성에 관한 연구는 전무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민간 전래 한약재 또는 약용식물로 부터 새로운 생리활성 물질을 탐색하던중 국내에서 야생하고 있는 약용 식물인 꾸지뽕나무(Cudrania tricuspidata)의 추출물로 부터 새로운 후라보노이드(flavonoid) 계통의 항생·항암물질을 발견하고 정제하여 그 물질의 이화학적 특성규명과 함께 약리활성을 확인하게 되었다.
특히 본 발명자들에 의해서 발견된 제리쿠드라닌 물질은 구조식, 분자량, 분자식 및 기타의 이화학적 특성면에서 상기의 기 보고된 화합물들과 명료하게 구별되며 몇몇 그람 양성세균, 그람 음성 세균에 항균 활성을 나타낼 뿐만 아니라 간암 세포주, 대장암 세포주, 폐암 세포주, 자궁암 세포주, 피부암 세포주, 중추신경계암 세포주 등에 강한 세포독성을 나타냄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항생 및 항암활성을 나타내는 후라보노이드계 신규 물질을 식물체로 부터 분리정제하고 구조를 밝힌 후 그의 약리활성을 규명하여 독성이 없으면서도 새롭고도 효과적인 천연물 유래의 항생·항암활성 물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신규 항생·항암 물질은 우리나라의 중남부지방에 야생하고 있는 민간 전래 약용식물인 꾸지뽕나무를 비롯한 뽕나무과의 식물체로부터 추출 정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나의 실시양태에 따르면 꾸지뽕나무 줄기의 껍질을 80% 메탄올 용액으로 추출한 후 추출액을 농축시키고 클로로포름으로 재차 추출한다. 이와 같이 하면 활성물질은 물층으로 가게되는데 이 물층을 에틸아세테이트로 약 3 회 추출하고 얻은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클로로포름; 메탄올 20:1, 10:1, 5:1, 1:1로 순차적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한 후활성분획물을 다시 크로로포름:메탄올 10:1 용액으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실시한다. 이와 같이 하여 얻은 활성 분획물을 오디에스(ODS) 역상컬럼을 이용하여 30% 아세토나이트릴을 용매로 하여 분취하면 체류시간 약 35.2분, 21.3분, 12.9 분에 각각 단일 피크를 얻을 수있다. 따라서 이 각각의 피크를 분취하여 35.2분 대에서 얻은 순수하게 정제된 물질을 제리쿠드라닌 에이(Gericudranin A), 21.3 분 대의 물질을 제리쿠드라닌 비(Gericudranin B), 12.9 분대의 물질을 제리쿠드라닌 씨(Gericudranin C)라고 각각 명명하였다.
상기의 정제 방법을 단독 또는 복합적으로 반복하면 순수한 정제물질을 더욱 손쉽게 얻을 수 있는데 이상과 같이하여 정제된 본 발명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비, 씨 물질의 각각의 이화학적 특성은 다음과 같다.
A. 제리쿠드라닌 에이(gericudranin A)
1) 물질의 성상 : 황색분말
2) 분자량 : 516
3) 분자식 : C29H24O9
4) 질량분석치(M + H)+: 517m/z
5) 융점 : 135℃
6) 자외선 흡수스펙트럼(UVmaxnm)
메탄올에서 측정한 자외선 흡수스펙드럼은 제1도와 같다.
7) 적외선 흡수스펙트럼(IRmaxcm-1)
KBr 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은 제2도와 같다.
8) 핵자기 구멍(NMR 흡수스펙트럼
튜트로메탄올(CD3OD)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틸실란(TMS)을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한 수소핵자기 공명(1H-NMR) 스펙트럼과 탄소핵자기 공명(13C-NMR)스펙트럼은 각각 제3도 및 제4도와 같다.
9) 용해성
용 해 :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불 용 : 물, 클로로포름
10)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Rf 치
흡착제 : 실리카 TLC 머크사 5715,
전개용매 : 클로로포름 : 메탄올(5:1), Rf:0.17
흡착제 : RP-18 TLC 머크사 15683,
전개용매 : 메탄올 : 물(6:4), Rf:0.38
11) 화학구조식
B. 제리쿠드라닌 비(gericudranin B)
1) 물질의 성상 : 황색분말
2) 분자량 : 410
3) 분자식 : C22H18O8
4) 질량분석치(M + H)+ : 411m/z
5) 융점 : 197℃
6) 자외선 흡수스펙트럼(UVmaxnm)
메탄올에서 측정한 자외선 흡수스펙트럼은 제5도와 같다.
7) 적외선 흡수스펙트럼(IRmaxcm-1)
KBr 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은 제6도와 같다.
8) 핵자기 공명(NMR) 흡수스펙트럼
튜트로메탄올(CD3OD)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틸실란(TMS)를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한 수소핵자기 공명(1H-NMR)스펙트럼과 탄소핵자기 공명(13C-NMR)스펙트럼은 각각 제7도 및 제8도와 같다.
9) 용해성
용 해 :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불 용 : 물, 클로로포름
10)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Rf 치
흡착제 : 실리카 TLC 머크사 5715,
전개용매 : 클로로포름:메탄올(5:1), Rf:0.16
흡착제 : RP-18 TLC 머크사 15683,
전개용매 : 매탄올:물(6:4), Rf:0.40
11) 화학구조식
C. 제리쿠드라닌 씨(gericudranin C)(제리쿠드라닌 B의 이성질체)
1) 물질의 성상 : 황색분말
2) 분자량 : 410
3) 분자식 : C22H18O8
4) 질량분석치(M + H)+ : 411m/z
5) 융점 : 174℃
6) 자외선 흡수스펙트럼(UVmaxnm)
메탄올에서 측정한 자외선 흡수스펙트럼은 제9도와 같다.
7) 적외선 흡수스펙트럼(IRmaxcm-1)
KBr 법으로 측정한 적외선 흡수스펙트럼은 제10도와 같다.
8) 핵자기 공명(NMR) 흡수스펙트럼
튜트로메탄올(CD3OD)을 용매로 하고 테트라메틸실란(TMS)를 표준물질로 하여 측정한 수소핵자기 공명(1H-NMR)스펙트럼과 탄소핵자기 공명(13C-NMR)스펙트럼은 각각 제11도 및 제12도와 같다.
9) 용해성
용 해 : 메탄올, 에탄올,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불 용 : 물, 클로로포름
10) 박층 크로마토그래피(TLC)의 Rf 치
흡착제 : 실리카 TLC 머크사 5715,
전개용매 : 클로로포름:메탄올(5:1), Rf:0.17
흡착제 : RP-18 TLC 머크사 15683,
전개용매 : 매탄올:물(6:4), Rf:0.45
11) 화학구조식
본 발명의 제리쿠드라닌 에이, 비, 씨 화합물은 꾸지뽕나무의 중기에서 뿐만 아니라 뿌리에서도 추출할 수 있으며, 꾸지뽕나무 뿐만 아니라 산뽕나무, 일반재배 뽕나무에서도 상기의 물질을 얻을 수 있고 더 나아가서는 뽕나무 이외의 식물체에서도 얻을 수 있으며, 또한 꾸지뽕나무의 각 부위, 추출 정제 방법등을 변형시켜서도 본 물질을 얻을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뽕나무과 식물이외의 어떤 식물체로부터 본 정제방법을 변형시켜 얻은 제리쿠드라닌도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의 제리쿠드라닌 에이, 비, 씨는 물론 그의 무기 또는 유기염, 에스테르 화합물 및 이성질체등 모든 유도체들을 포함한다. 상기 유도체는 본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은 실시에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되며,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이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분리정제(1)
꾸지뽕나무 줄기의 껍질을 약 3㎝의 크기로 절단한 후 줄기 껍질 1,000g 을 10ℓ의 80% 메탄올 용액중에 하룻밤동안 침출시켜 활성물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매는 회수하고 남은 껍질을 10ℓ의 80% 메탄올을 이용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두 모은 후 감압농축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를 다시 2ℓ의 클로로포름으로 3회 반복 추출하여 클로로포름층은 제거하고 물층을 재차 2ℓ의 에틸아세테이트로 3 회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농축시켜 20g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를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 = 20:1의 용매로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70∼230 메쉬, Merck) 800㎖ 의 컬럼(5X 40㎝)에 통과시킨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20:1 내지 1:1의 비율로 조성된 유기용매로 전개시켜 활성분획만을 모아 약 3g 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를 다시 상기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리카겔 컬럼에 통과시킨 후 클로로포름:메탄올 10:1 의 비율로 조성된 유기용매로 전개시켜 약 1.8g 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 분획물을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OSD, 10X 30㎜, 30%, CH3CN, 4.5㎖/분)하여 체류시간 35.2 분에서 제리쿠드라닌 에이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350㎎, 체류 시간 21.3 분에서 제리쿠드라닌 비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300㎎, 체류시간 12.9 분에서 제리쿠드라닌 씨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105㎎ 을 얻었다.
[실시예 2]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분리정제(2)
꾸지뽕나무 줄기의 껍질을 약 3㎝의 크기로 절단한 후 줄기 껍질 1,000g 을 10ℓ의 80% 메탄올 용액중에 하룻밤동안 침출시켜 활성물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매는 회수하고 나무 껍질을 10ℓ의 80%메탄올을 이용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두 모은 후 감압농축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를 다시 2ℓ의 아틸아세테이트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시켜 26g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를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 20:1의용매로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70∼230 메쉬, Merck) 800㎖ 의 컬럼(5X 40㎝)에 통과시키고 클로로포름: 메탄올 20:1 내지 5:1 의 비율로 조성된 유기용매로 전개시켜 활성분획만을 모아 3.4g 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 분획물을 로바알피 컬럼크로마토그래피(Lobar RP column chromatography, ODS, 25X 310㎜, 50% MeOH)하여 제리쿠드라닌 에이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370㎎, 제리쿠드라닌 비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315㎎, 제리쿠드라닌 씨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120㎎을 얻었다.
[실시예 3]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분리정제(3)
꾸지뽕나무 줄기의 껍질을 약 3㎝의 크기로 절단한 후 줄기 껍질 1,000g 을 10ℓ의 80% 메탄올 용액중에 하룻밤동안 침출시켜 활성물질을 추출하였다. 추출된 용매는 회수하고 나무 껍질을 10ℓ의 80%메탄올을 이용하여 2회 더 추출하여 추출액을 모두 모은 후 감압농축시켜 메탄올을 제거하였다. 이를 다시 2ℓ의 아틸아세테이트로 3회 반복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감압 농축시켜 27g 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를 다시 클로로포름:메탄올 20:1의 용매로 용해시킨 후 실리카겔(70∼230 메쉬, Merck) 800㎖ 의 컬럼(5X 40㎝)에 통과시키고 클로로포름: 메탄올 20:1 내지 5:1 의 비율로 조성된 유기용매로 전개시켜 활성분획만을 모아 3.5g 의 조유효성분을 얻었다. 이 분획물을 오디에스 컬럼 (40∼63㎛, Merck) 400㎖ 의 컬럼 (4X 35㎝)에 통과시킨 후 30% 메탄올 내지 90% 메탄올의 비율로 조성된 유기용매로 전개시켜 제리쿠드라닌 에이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400㎎, 제리쿠드라닌 비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330㎎, 제리쿠드라닌 씨에 해당하는 단일물질 130㎎ 을 얻었다.
[실시예 4]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분리정제(4)
산뽕나무 줄기 또는 뿌리의 껍질을 약 3㎝ 의 크기로 절단한 후 재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리쿠드라닌 에이 90㎎, 제리쿠드라닌 비 75㎎, 제리쿠드라닌 씨 45㎎ 을 얻었다.
[실시예 5]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분리정제(5)
일반 농가에서 재배되고있는 재배뽕나무 줄기 또는 뿌리의 껍질을 약 3㎝의 크기로 절단한 후 이를 재료로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제리쿠드라닌 에이 85㎎, 제리쿠드라닌 비 60㎎, 제리쿠드라닌 씨 40㎎ 을 얻었다.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의 항균 및 항암활성을 다음과 같이 시험하였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항균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정제하여 얻은 각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1㎎/㎖ 농도에서 페이퍼디스크법(Hewitt, W., et al., Theory and Application of Microbiological Assay, AP, 1989)으로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제리쿠드라닌 비는 피검균주중 스타필로 코커스 아우레이스 KCTC 1928 균주 및 대장균 BE1186 균주에 항균활성을 나타냈다. 이때 공시균주로 사용한 대장균 BE 1186 균주는고감수성 변이주이며,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이스 KCTC 1928 균주는 페니실린, 카나마이신, 스트렙토마이신, 클로람페니콜, 테트라싸이클린 및 마크롤라이드계 항생물질에 내성을 갖도록 만들어진 균주인바 본 발명의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는 상기의 항생물질에 내성을 나타내는 균주에 대해 활성을 갖는 항생물질로 확인되었다. 한편 제리쿠드라닌 씨는 피검균주중 대장균 BE 1186 균주에 대해 활성을 보였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간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 물질의 마우스 간암 세포주(mouse hepatoma tumor cell line, lclc7)에 대한 항암활성을 방사선 동위원소법(Twentyman, P.R. et al., J. Cancer, 50:625, 1984)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간암 세포주 lclc7 에 대한 항암활성 유효농도(ED)는 제리쿠드라닌 에이는 3.20㎍/㎖, 제리쿠드라닌 비는 4.10㎍/㎖ 이었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폐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 물질의 인체 폐암 세포주(human lung tumor cell line, A 549)에 대한 항암활성을 에스 알 비 법(SRB 법, Skehan, D. et al.,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1989))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폐암 세포주 A 549 에 대한 항암 활성 유효농도 (ED)는 제리쿠드라닌 에이는 7.89㎍/㎖, 제리쿠드라닌 비는 13.19㎍/㎖ 이었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자궁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 물질의 인체 자궁암 세포주(human ovary tumor cell line, SKOV-3)에 대한 항암활성을 에스 알 비법(SRB 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4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궁암 세포주 SKOV-3 에 대한 항암 활성 유효농도(ED)는 제리쿠드라닌 에이는 9.68㎍/㎖, 제리쿠드라닌 비는 10.75㎍/㎖ 이었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대장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 물질의 인체 대장암 세포주(human colon tumor cell line, HCT-15)에 대한 항암활성을 에스 알 비법(SRB 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장암 세포주 HCT-15 에 대한 항암 활성 유효농도(ED)는 제리쿠드라닌 에이는 4.42㎍/㎖, 제리쿠드라닌 비는 8.23㎍/㎖ 이었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피부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 물질의 인체 피부암 세포주(human melanoma tumor cell line, SK-MEL-2)에 대한 항암활성을 에스 알 비법(SRB 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6 에 나타낸 바와 같이 피부암 세포주 SK-MEL-2에 대한 항암활성 유효농도(ED)는 제리쿠드라닌 에이는 4.67㎍/㎖, 제리쿠드라닌 비는 5.29㎍/㎖ 이었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중추신경계암 세포주에 대한 항암활성시험]
상기 실시예 1에서 얻은 제리쿠드라닌 에이 및 비 물질의 인체 중추신경계 암세포주 (human CNS tumor cell line, XF-498)에 대한 항암활성을 에스 알 비법(SRB 법, Skehan, D., et al., Proc. Am. Assoc. Cancer Res. 30, 612, 1989)에 의해 조사하였다. 그 결과 표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추신경계 암세표주 XF-498에 대한 항암활성 유효농도(ED)는 제리쿠드라닌 에이는 6.80㎍/㎖, 제리쿠드라닌 비는 8.76㎍/㎖ 이었다.
[제리쿠드라닌 물질의 독성시험]
제리쿠드라닌 에이, 비, 씨 화합물을 각각 4 주령된 5 마리의 ICR 계 숫놈 마우스 및 5 마리의 ICR 계 암놈 마우스에 각 1000㎎/㎏ 농도로 경구 투여하고 14 일간 관찰한 결과 10 마리 모두 아무런 이상을 발견하지 못하였다. 또한 부검후 장기의 이상유무를 관찰한 결과 장기내의 아무런 이상도 발견하지 못하였다.

Claims (5)

  1. 항균 및 항암활성을 갖는 다음 구조식(1)의 제리쿠드라닌 에이, 그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2. 항균 및 항암활성을 갖는 다음 구조식(2)의 제리쿠드라닌 비, 그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3. 항균 및 항암활성을 갖는 다음 구조식(3)의 제리쿠드라닌 씨, 그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
  4. (1) 제리쿠드라닌 활성물질을 함유하는 식물체를 메탄올 용액으로 추출하여 활성물질을 추출하고, (2) 추출액을 농축시킨 후 다시 클로로포름으로 추출하며, (3) 물층을 에틸 아세테이트로 3 회 추출한 후 에틸아세테이트층을 크로로포름/메탄올로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를 2회 반복 실시하여 활성분획물을 수득하고, (4) 상기 활성분획물을 오디에스(ODS) 역상 컬럼을 이용하여 크로마토그래피함을 포함하는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의 제리쿠드라닌을 제조하는 방법.
  5. 제1항 내지 3항중 어느 한 항의 제리쿠드라닌, 그의 유도체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그의 염종 적어도 하나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암 조성물.
KR1019920018255A 1992-10-06 1992-10-06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100197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255A KR100197866B1 (ko) 1992-10-06 1992-10-06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18255A KR100197866B1 (ko) 1992-10-06 1992-10-06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168A KR940009168A (ko) 1994-05-20
KR100197866B1 true KR100197866B1 (ko) 1999-06-15

Family

ID=193406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8255A KR100197866B1 (ko) 1992-10-06 1992-10-06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86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9168A (ko) 1994-05-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925870A (en) Therapeutic use of proanthocyanidine A2 as a cytoprotective agent
Maciel et al.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a successful combination in the study of Croton cajucara
Trifunović et al. Cytotoxic constituents of Achillea clavennae from Montenegro
Singh et al. The genus Anogeissus: A review on ethnopharmacology, phytochemistry and pharmacology
Akkol et al. Isolation of active constituents from cherry laurel (Laurocerasus officinalis Roem.) leaves through bioassay-guided procedures
US4254112A (en) Inula extract, its method of preparation and its use as pharmaceutical
US6337095B1 (en) Process for the isolation of compound scopoletin useful as nitric oxide synthesis inhibitor
US7138428B2 (en) Compounds isolated from gamboge resin having activity in inhibiting the growth of tumor/cancer cel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JPH0477730B2 (ko)
KR100750500B1 (ko) 항산화 활성을 갖는 신규 사가 크로마놀 유도체 화합물, 이의 분리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항산화제
KR100205045B1 (ko) 신규한 트리테르펜 글리코사이드 화합물, 그의 제조방법 및 그를 함유하는 항암제 조성물
Yenesew et al. (R)-Prechrysophanol from Aloe graminicola
EP1619195A2 (en) Compounds isolated from gamboge resin having activity in inhibiting the growth of tumor/cancer cell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 same
DE60012750T2 (de) Neue xanthon derivate, deren herstellung und verwendung als arzneimittel
KR100197866B1 (ko) 신규의 제리쿠드라닌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Oktavia et al. Overview of traditional, phytochemical, and pharmacological uses of pulai (Alstonia scholaris)
US5955497A (en) Bioactive acetogenins
EP2222624A1 (en) Derivatives of 4-nerolidylcatecho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them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Annamalai et al. Novel solution for oral diseases using indian medicinal plant Manilkara hexandra roxb
KR0143718B1 (ko) 항암 활성을 갖는 신규 제리쿠드라닌 이 및 제이 화합물, 및 그의 제조방법
EP2572713B1 (en) Extracts and isolated flavonoids from Euphorbia cuneata useful as anti-ulcer agents
CN104829529B (zh) 一种毛叶鹰爪花总生物碱提取物及其应用
EP2848251B1 (en) Extracts and isolated compounds from Cakile arabica for treatment of ulcer
Kapadnis et al. THERAPEUTIC POTENTIAL OF PONGAMIA PINNATA IN VARIOUS DISORDER
Siti Rabeah Chemical constituents from Crotalaria pallida, Morinda citrifolia and Chlorophyllum molybdites/Siti Rabeah Fadzi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