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516B1 -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 Google Patents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516B1
KR100197516B1 KR1019900017796A KR900017796A KR100197516B1 KR 100197516 B1 KR100197516 B1 KR 100197516B1 KR 1019900017796 A KR1019900017796 A KR 1019900017796A KR 900017796 A KR900017796 A KR 900017796A KR 100197516 B1 KR100197516 B1 KR 1001975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unk line
call
telephone
phone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779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011159A (ko
Inventor
김석종
이상민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0001779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7516B1/ko
Publication of KR9200111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111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5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5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ub-Exchange Stations And Push- Button Telephone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두개의 전화선(국선)을 사용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자의 전화를 자동으로 전환시킴과 동시에 키폰전화기에 가고자 할 장소에 특정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킨 후 그 키폰전화기에 착신자의 전화가 걸려오면 입력된 전화번호의 곳으로 전화를 자동으로 걸 수 있게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는 착신자로 하여금 전화가 걸려오면 자기가 있는 곳으로 착신자의 전화를 전환시킬 수 있는 회로가 없기때문에 착신자로 하여금 일정시간후에 다시 전화를 걸어야 하고, 착신자의 전화를 받는 경우 그 착신자의 통화내용이나 그에 따른 약속장소와 전화번호를 일일이 메모해야 하는 문제점과 또 간이교환장치에 사용되는 키폰전화기는 사용자가 자리를 옮기는 경우 긴급한 용무로 키폰전화기에 걸려온 전화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제1도에서와 같이 두개의 전화선(국선)을 이용하여 외출시에 자기가 있는 곳의 전화번호를 기억시켜서 착신자로 하여금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놓은 곳을 다른 한개의 전화선을 통해 착신자의 전화를 자동전환시킬 수 있게 하고, 또 제4도에서와 같이 키폰전화기에 가고자 할 장소에 특정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킨 후 그 키폰전화기에 착신자의 전화가 걸려오면 입력된 전화번호의 곳으로 전화를 자동으로 걸어 착신 전환할 수 있게 한다.

Description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및 회로
제1도는 착신 전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구성도.
제2도는 착신전환시와 원격제어에 의해 착신전환지를 변경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
제3도는 종래의 간이교환장치에 사용되는 키폰전화기의 회로구성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간이교환장치에 사용되는 키폰전화기의 회로구성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제1국선 연결부 20 : 제2국선 연결부
30 : 제1링검출부 40 : 제2링검출부
50 : 제1국선 홀드부 60 : 제2국선 홀드부
70 : 다이얼 신호발생부 80 : 메세지 녹음부
90 : 다이얼 신호검출/원격신호검출부
100 : 국선 상호연결부 110 : 음성신호검출부
120 마이크로 프로세서 207 : DTMF 신호송출부
본 발명은 두개의 전화선(국선)을 사용하는 전화기에서 착신을 자동으로 전환시킬 수 있게 하는 착신 전환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외출시에 사용자가 있는 곳의 전화번호를 기억시켜서 전화가 걸려오면 기억시켜 놓은 전화번호로 착신 전환시킬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방법 및 회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전화기는 사용자가 부재중인 상태에서 착신되면 사용자가 있는 곳으로 착신 전화를 전환시킬 수 있는 회로가 없기 때문에 발신자는 원하는 상대방과 통화하기 위해서는 일정시간 경과후에 다시 전화를 걸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 키폰전화기의 회로구성도는 링감지부(201)와, 루우프 감지부(202) 및 릴레이 구동부(203), 음악(메세지) 송출부(204), 음성신호연결부(205), 중앙처리장치(206)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키폰전화기회로 구성도에 의하면, 먼저 국선을 통해 링(ring)신호가 들어오는 경우, 해당 링신호는 릴레이 스위치(51)를 통해 브릿지 다이오드(BD)에 의하여 정류되고, 정류된 링신호는 다시 릴레이 스위치(52)와 (53)를 통해 포토커플러(PTC1)내의 발광다이오드(LED)에 가해져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됨과 동시에 수광트랜지스터(TR1)가 발광빛을 수광하여 수광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고 수광트랜지스터(TR1)가 턴온 됨에 따라 Vcc전원은 콜렉터와 에미터 단자를 통해 바이패스 됨과 동시에 버퍼1에서는 이를 감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버퍼1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중앙처리장치(206)에서는 키 스테이션(Key Station)에 국선에서 링신호가 왔음을 알린다.
따라서, 루우프 감지부(202)에서는 릴레이 구동부(203)내의 릴레이를 구동시켜 국선을 점유하여 루우프가 형성되며, 평소에 하이레벨(high level)을 유지하던 포토 커플러(PTC2)의 출력전압이 로우레벨(low level)로 떨어지는데, 버퍼2는 이를 감지하여 중앙처리장치(206)로 알려준다.
그리고, 릴레이 구동부(203)는 간이교환장치와 국선을 연결시키거나 차단시키는 릴레이와 국선을 점유하여 다이얼할때 키 스테이션으로 들리는 다이얼 펄스신호를 줄이는 뮤트(mute) 릴레이등을 구동시키고, 음악(메세지) 송출부(204)는 국선을 호울드(hold) 했을때 음악 혹은 메세지를 들려주고, 음성신호연결부(205)는 국선을 점유하거나 국선으로 부터의 착신에 응대하기 위하여 어느 키스테이션이 오프 후크(off-hook)하는 경우 그 키 스테이션끼리 패스를 연결시키거나 회의기능(Conference)등을 제공할 수 있도록 패스를 연결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간이교환장치를 사용하는 키폰전화기는 사용자가 자리를 옮기는 경우 긴급한 용무로 키폰전화기에 걸려온 전화를 받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두 개의 전화선(국선)을 수용하여, 외출시에 사용자가 있는 곳의 전화번호를 기억시켜서 전화가 걸려오면 전화번호를 기억시켜 놓은 곳으로 다른 한개의 전화선을 통해 착신 전환시킬 수 있게 하고, 또 키폰전화기에 가고자 할 장소에 특정의 전화번호를 입력시킨 후 그 키폰전화기에 착신자의 전화가 걸려오면 입력된 전화번호의 곳으로 전화를 자동으로 걸어 착신 전환할 수 있도록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 방법 및 회로를 제공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착신을 전환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회로 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1, 국선2를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국선연결부(10),(20)와, 각 국선1, 국선2를 통해 들어오는 링신호를 검출하기 위한 제1 및 제2링검출부(30), (40)와, 각 국선의 상태를 홀드시켜 주기 위한 제1 및 제2국선 홀드부(50), (60)와, 기억되어 있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 하기 위한 다이얼 신호발생부(70)와, 필요한 메세지를 녹음하거나 재생시키는 메세지 녹음부(80)와, 원격지에서도 착신전환지의 전화번호를 전환하는 기능을 두기 위하여 원격지 제어가 가능한 전자식 다이얼 신호검출/원격신호검출부(90)와, 두개의 국선1,2을 연결시켜주는 국선상호 연결부(100)와, 두 통화자 사이의 통화내용을 감지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달하는 음성신호검출부(110)로 구성되어 있다.
제2도는 착신전환시와 원격제어에 의해 착신전환지를 변경시키기 위한 본 발명의 플로우차트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간이교환장치에 사용되는 키폰전화기의 회로구성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국선을 통해 들어온 링신호를 정류하는 브릿지 다이오드(BD)와, 정류된 링신호를 감지하는 포토커플러(PCT1)와 버퍼1로 구성된 링감지부(201)와, 링감지부에서 감지된 신호에 의해 키 스테이션(Key Station)에 국선에서 링신호가 왔음을 알려주는 중앙처리장치(206)와, 릴레이를 구동시켜서 루우프가 형성되면 이를 감지하여 루우프가 형성됨을 중앙처리장치(206)로 알려주는 포토커플러(PTC2)와 버퍼2로 구성된 루우프 감지부(202)와, 간이교환장치와 국선을 연결 또는 차단시키거나 국선을 점유하여 다이얼을 펄스할 때 키 스테이션으로 들리는 다이얼 펄스신호를 줄이는 뮤트 릴레이로 구성된 릴레이 구동부(203)와, 국선을 호울드 했을때 음악 혹은 메세지를 들려주는 음악(메세지)송출부(204)와, 국선을 점유 혹은 국선을 착신하기 위하여 어느 키 스테이션이 오프 후크(off-hook)했을때 트랜스포머(T)를 통해 그 키 스테이션 쪽으로 패스(path)를 연결시키거나 내선 통화를 위해 키 스테이션끼리 패스를 연결시키거나 회의기능(Conference)등을 할때 패스를 연결시키는 음성신호 연결부(205)와, 중앙처리장치(206)와 트랜스포머(T) 사이에 미리 지정한 전화번호에 따라 DTMF신호를 송출하거나 지정된 전화번호에 따라 다이얼시키는 DTMF 신호송출부(206)를 연결하여 착신자와 통화가 이루어지게 구성한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첨부한 실시예의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제1도와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각의 국선1,2 마다 제1링검출부(30)와 제2링검출부(40) 및 국선 상호연결부(100), 제1국선홀드부(50), 제2국선홀드부(60)가 별도로 연결되어 있어 어느 한 국선(국선1, 국선2)을 통하여, 예를 들어, 국선1을 통하여 링신호가 들어오면(단계 100), 제1링검출부(30)에서는 링신호를 펄스신호로 변환시켜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달하여 준다.
이에따라, 마이크로 프로세서(120)가 상대방으로부터 전화가 걸려왔음을 인지하게 되면, 제1국선연결부(10)를 제어하여 국선1과 본 장치를 연결시켜 준뒤(단계101), 메세지 녹음부(80)를 가동시켜 다른 곳으로 전환시켜 준다는 메세지를 내보낸다(단계 102).
그리고 나서 제1국선 홀드부(50)를 이용하여 전화가 걸려온 국선1을 홀드시켜 놓고(단계103), 제2국선연결부(20)를 제어하여 다른 국선2을 연결시켜서(단계104), 다이얼 신호발생부(70)에 기억되어 있던 착신전환지의 전화번호를 국선2측에 다이얼링 한다(단계105). 다이얼링이 끝나면 국선상호연결부(100)를 제어하여 두 국선(국선1과 국선2)을 연결시켜 놓은 뒤(단계106), 링신호가 들어와서 홀드시켜 놓았던 국선1의 홀드상태를 해제시켜(단계107), 국선1측 발신자와 국선2측 착신자가 서로 통화를 할수 있도록 한 뒤 음성신호검출부(110)에 의하여 두 통화자간의 음성신호를 감시하고 있다가 일정시간후에 통화가 끝났음을 감지하면(단계108), 제1 및 제2국선 연결부(10), (20)를 제어하여 두 국선1,2을 모두 끊고 해당 두 국선간의 연결을 해제시킨다(단계109). 그리고 원격지에서 기억시켜 놓았던 착신전환지의 전화번호를 변경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국선1,2어느 곳으로 부터 전화가 걸려온 상태에서 해당 국선에 착신전환 메세지를 송출하는 도중에 국선으로부터 비밀코드가 들어왔는가를 확인하여(단계110), 들어오지 않으면 다시 단계 103로 보내고 들어왔으면 원격제어 상태 확인음을 국선측에 송출한 후(단계111) 착신전환지의 전화번호 변경 상태로 다시 들어간뒤, 국선으로부터 전화번호 변경코드가 들어오는가를 확인하여(단계112), 들어왔으면 전화번호 변경상태 확인음을 송출한다(단계113). 이어서, 해당 국선으로부터 전화번호 변경 # 코드가 들어오는가를 확인하여(단계114), 다른 코드가 들어오면 보내온 해당 코드가 0~9 숫자중의 하나인가를 확인하여(단계116), 해당 입력된 번호를 메모리에 보관한다(단계117). 만일, 단계114에서 전화번호 변경 #코드가 들어오면, 마이크로 프로세서(120)는 전에 기억시켜 두었던 전화번호 대신 새로 들어온 전화번호를 메모리에 기억시켜 둔다(단계115). 다음에 제4도와 제5도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간이교환장치에 사용되는 키폰전화기의 회로 구성도로서, 먼저 사용자는 국선번호(국선A,B,C,D)와 가고자 할 곳의 착신전환 전화번호를 키폰전화기에 입력시킨다.
그리고 나서 그 국선A에 링(ring) 신호가 오면(사용자의 전화) 링신호는 릴레이의 스위치(S1)를 통해 브릿지 다이오드(BD)에 의하여 정류되고, 정류된 링신호는 다시 릴레이의 스위치(S2)와 (S3)를 통해 포토 커플러(PTC1)내의 발광다이오드(LED)에 가해져 발광다이오드가 발광됨과 동시에 수광 트랜지스터(TR1)도 발광빛을 수광하여 수광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되고, 수광트랜지스터(TR1)가 턴온됨에 따라 Vcc전원은 그의 콜렉터와 에미터 단자를 통해 바이패스됨과 동시에 버퍼1에서는 이를 감지한다.
이와 같이 링감지부(201)에서는 국선A를 통해 들어온 링신호를 검출하고(단계301), 검출된 링신호에 의하여 중앙처리장치(206)에서는 링신호가 검출된 국선이 사용자가 미리 지정한 국선번호A 인지를 체크하여(단계302), 국선번호A가 아니면 키 스테이션에 링신호가 왔음을 알려주고(단계303), 국선번호가 A이면 링신호가 검출된 국선A을 호울드(hold)하여 (단계304), 음악(메세지) 송출부(204)로 음악을 송출한다(단계305). 이와 동시에 다른 국선 즉 통화중이 아닌 빈 국선B를 점유하여(단계306), DTMF 신호송출부(207)에 의해 미리 지정한 전화번호에 따라 국선B로 DTHF신호를 송출하거나(단계307), 릴레이로써 지정된 전화번호에 따라 다이얼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처리장치(206)는 음성신호연결부(205)를 제어하여 호울드되어 있는 국선A를 홀드 해제시켜(단계308), DTMF 신호 혹은 다이얼 신호를 송출한 국선B과 국선A를 연결시켜(단계309), 통화를 이루게 한다.
예를들어, 간이교환장치에는 국선(A),(B),(C),(D)가 연결되어 있고, 사용자의 스테이션 번호가 1이고, 사용자가 가고자 할 곳의 전화번호를 2라고 가정하고 국선A에 전화가 오면 링감지부(201)에서는 이를 감지하여 감지된 링신호를 중앙처리랑치(206)로 입력한다.
그러면, 중앙처리장치(206)에서는 감지된 링신호가 국선A에서 들어올 경우 국선A를 호울드시킨 후 음악(메세지) 송출부(204)로 음악을 송출한다.
그리고 나서 중앙처리장치(206)는 DTMF 신호송출부(207)를 제어하여 전화번호 2의 DTMF신호를 빈 국선B 흑은 국선C,D를 통하여 송출하거나 릴레이로써 다이얼 펄스를 송출한 후 음성신호연결부(205)를 제어하여 국선B로 연결시켜 줌으로써 통화를 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동작되는 본 발명은 사용자가 있는 곳의 전화번호를 기억시켜서 전화가 걸려오면 기억시켜 놓은 곳으로 자동으로 착신 전환시킬 수 있게 하였으며, 또, 원격지에서도 착신전환지의 전화번호를 변경시킬 수 있게 하고, 아울러, 사용자가 키폰전화기에 가고자 할 곳의 전화번호를 입력하여 사용자가 부재시에도 키폰전화기에 걸려온 전화를 자동으로 입력 전화번호로 연결하여 착신전환시켜 줌으로써 키폰전화기의 사용을 극대화할 수 있게 된다.

Claims (4)

  1. 제1국선을 통해 착신되면 녹음부를 가동시켜서 착신전환 메세지를 상기 제1축선측에 송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제1과정이후 상기 제1국선을 보류시키고 제2국선을 점유하는 제2과정과; 상기 제2과정이후 기억되어 있던 착신전환지의 전화번호를 상기 제2국선을 통해 다이얼링하는 제3과정과; 상기 제3과정이후 상기 제2국선에 호가 접속되면 상기 제1국선의 보류를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제1국선과 제2국선을 상호 연결하는 제4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방법.
  2. 두개의 국선을 사용하는 전화기에 있어서, 제1 및 제2국선의 각각을 연결시키는 제1 및 제2국선 연결부(10),(20)와: 제1 및 제2국선의 각각을 통해 들어오는 링신호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달하는 제1 및 제2링검출부(30),(4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국선의 호접속을 홀드하는 제1 및 제2국선 홀드부(50),(60)와;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는 다이얼 신호발생부(70)와; 상기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의 제어에 따라 음성메세지를 녹음하거나 재생하는 메세지 녹음부(80)와; 상기 제1 및 제2국선연결부(10),(20)로 부터 인가되는 다이얼 신호와 원격제어신호를 검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달하는 다이얼 신호검출/원격신호검출부(90)와; 상기 제1 및 제2국선을 연결시켜주는 국선상호연결부(100)와; 상기 제1 및 제2국선연결부(10),(20)를 통해 입출력되는 통화내용을 감시하여 마이크로 프로세서(120)에 전달하는 음성신호검출부(110)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회로.
  3. 링신호가 검출되면 해당 링신호가 미리 지정한 국선으로 부터 인가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는 제1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검출된 링신호가 지정된 국선으로부터 인가된것이 아니면 키 스테이션에 링신호가 왔음을 알려주는 제2과정, 상기 제1과정에서 검출된 신호가 미리 지정한 국선으로 부터 인가된 것이면 링신호를 호울드시킨후 음악을 송출하는 제3과정, 상기 제3과정이후 다른 국선을 점유하고 미리 지정한 전화번호를 점유된 해당 다른 국선측에 송출하는 제4과정, 상기 제4과정이후 호울드 되어 있는 상기 국선의 호울드 상태를 해제하여 전화번호를 송출한 상기 다른 국번과 연결하는 제5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과정에서 착신전환 메세지를 상기 제1국선측에 송출하는 도중에 비밀번호가 입력되면 원격 제어 상태 확인음을 상기 제1국선측에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제1국선을 통해 전화번호 변경코드가 수신되면 새로 수신된 전화번호를 기억시키는 과정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화기에서의 착신 전환방법.
KR1019900017796A 1990-11-03 1990-11-03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KR1001975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796A KR100197516B1 (ko) 1990-11-03 1990-11-03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00017796A KR100197516B1 (ko) 1990-11-03 1990-11-03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59A KR920011159A (ko) 1992-06-27
KR100197516B1 true KR100197516B1 (ko) 1999-06-15

Family

ID=19305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7796A KR100197516B1 (ko) 1990-11-03 1990-11-03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751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011159A (ko) 1992-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802202A (en) Telephone call selector
KR900007612B1 (ko) 전화장치의 발호자 표시장치
US6192254B1 (en) Personal portable apparatus for use in completing a telephone call
US5131026A (en) Facsimile system having auto-answering function
EP0684722B1 (en) Diverter interface between two telecommunication lines and a subscriber station set
US4625079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ctivating through phone telecommand an announcer-recorder, and for selectively activating through the sending of codes consisting of signals at least another automatic call attention phone device
US5267302A (en) Facsimile system
US4096358A (en) Key telephone system signal priority arrangement
KR100197516B1 (ko) 전화기에서의 착신전환 방법 및 회로
CA2038514C (en) Shared facsimile-telephone communication device
US4641337A (en) Key telephone system with means for operatively connecting another key telephone systems
JPH0575823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S61237595A (ja) 電話装置
KR19980039519A (ko) 전화기의 자동 메시지 송신 방법
JP2793202B2 (ja) 電話機
KR910003300B1 (ko) 국선 및 전용선의 공용 인터페이스회로
KR950010480B1 (ko) 키폰 시스팀과 전화기와의 접속 장치 및 방법
JPS58187050A (ja) 自動ダイヤル装置
GB2100957A (en) Call diverter
JP2669828B2 (ja) 電話システムのpb信号受信装置
JP2639946B2 (ja) 端末装置の呼出方式
KR100217726B1 (ko) 일 포인트 방식 아나로그 스위치에서 디지트 릴레이를 위한 스위치 제어방법
JPH03179857A (ja) ファクシミリ及び留守番電話受信方式
JPH10164185A (ja) 端末機器での発呼者番号情報を利用した着信自動転送方法
JPH01251992A (ja) ボタン電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X1 Appeal (before the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2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