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7063B1 -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7063B1
KR100197063B1 KR1019960009945A KR19960009945A KR100197063B1 KR 100197063 B1 KR100197063 B1 KR 100197063B1 KR 1019960009945 A KR1019960009945 A KR 1019960009945A KR 19960009945 A KR19960009945 A KR 19960009945A KR 100197063 B1 KR100197063 B1 KR 1001970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member
insulator
housing
sphere
conduc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9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1801A (ko
Inventor
하루노리 가또
야스까스 미즈다니
미쓰히로 우라노
데루유끼 다께다
히로시 무라다
사또시 데라니시
히데끼 고세끼
Original Assignee
니시카와 히로토시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18221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827098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2959595A external-priority patent/JP2935490B2/ja
Application filed by 니시카와 히로토시, 가부시키가이샤 우부카타 세이사쿠쇼 filed Critical 니시카와 히로토시
Publication of KR9700118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18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70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70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H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H1/00Measuring characteristics of vibrations in solids by using direct conduction to the detec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asurement Of Mechanical Vibrations Or Ultrasonic Waves (AREA)
  • Switches Operated By Changes In Physical Conditions (AREA)

Abstract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발명은 전방향성의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발명이 해결하려고하는 기술적 과제]
즉 본발은 상부절연체 및 방사형상의 접촉부재의 상대위치 맞춤으로부터 날개의 굴곡성형, 고정까지의 작업이 용이한 구성 및 제조방법의 기술수단을 제공하는데있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도전성원판의 거의 중심에 천공된 구멍에 도전단자핀(4)이 전기절연성충전재에의해 관통상태로 기밀로 고정된 뚜껑(3)과 저면이 있는 원통상의 도전성하우징으로 기밀용기를 형성하고, 그 기밀용기내에 전동이 자유로운 관성구(8)를 수용해서 그 위쪽으로부터는 도전성상부접촉부재(9)의 유연한 날개부(9A)가 그 관성구(8)와 접촉해서 항상 도전상태를 유지하고 그 구의 아래쪽은 그 구가 전동한때 도전성하부접촉부재(7)와의 전기적 접속이 단절되는 구성의 상시폐색접점형의 감진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거의 컵형상의 상부절연체(11)(51)(61)(71)의 중심에 상기한 도전단자핀(4)을 삽입관통시키는 관통구멍(6B)을 갖고 그 컵저면(61B)(71B)에 상기한 상부접촉부재(9)를 지지판(10)(62)(72)로 끼워서 그 지지판(10)(62)(72)을 끼워넣으므로서 평탄한 전개 자세의 상기한 날개부(9A)를 프레스성형과같이 압입변형시켜서 이것을 원통상쇄자형 또는 두부의 평탄한 소정의 경사를 갖는 우산형상쇄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지지판(10)(62)(72)을 도전단자핀(4)의 하단에 용접해서 도전적으로 고착시키고 상기한 하우징내저부측에는 하부접촉부재(7)를 파지고정시킨 하부절연체(6)를 소정위치에 장착시키고 여기에 상기한 관성구(8)를 탑재시킨 후에 상기한 성형을 종료한 상부접촉부재(9)를 그 하우징내에 삽입해서 상기 한 관성구(8)와 상시 접촉시키는 배치의 상태로해서 뚜껑(3)의 원판을 그 하우징의 개방구단말에 기밀로 고착시키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의 제조방법.
[발명의 중요한용도]
본발명은 보안제어용의 신호처리장치에 부착되어 지진등의 진동을 감지해서 그 검출신호를 신호처리장치에 보내는 전방향성의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Description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
제1도는 본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세로단면도.
제2도는 제1도중의 A-A선에 따른 가로단면도.
제3도는 제1도중의 저면부부근의 주요부 확대설명도.
제4도는 제2도중의 주요부의 조립전의 형태를 나타내는 전개도.
제5도는 제1의 실시예와 주요구성이 동일하고 하우징의 일부를 변형한 제2실시예의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6도는 같은모양으로 제1도중의 하부절연체에 스페이서를 첨가한 제3실시예의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7도는 제5도와 같은 취지로 하우징의 다른 일부를 변형한 제4실시예의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8도는 제1도중의 상부절연체의 형태를 부분변형한 제5실시예의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9도 내지 제13도는 본발명의 하나의 특징인 제조법에 관련된 제6실시예를 나타내고 그중 제9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10도는 전체의 실시예에 공통으로 사용되는 상부접촉부재의 조립전의 평면형상을 나타내는 전개도.
제11도는 제9도의 주요부를 빼내어 상부절연체와 상부접촉부재와를 조합해서 지지판으로 협지한다고하는 제조요지를 설명하기위한 하면도.
제12도는 제11도에 나타낸 3개의 부재를 조합해서 도전단자핀에 결합한상태를 설명하기위한 제9도에 대응하는 부분확대세로단면도.
제13도는 실시예중의 상부절연체를 역으로한 상태의 확대사시도.
제14도는 제6의 실시예를 일부 변형한 제7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중의 주요부의 부분확대세로단면도.
제16도 및 제17도는 본발명의 감진소자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설명도로서 그중 제16도는 본예의 세로단면도이고 제17도는 제16도의 측면쪽에서 본 설명도로서의 세로단면도.
제18도 내지 제20도는 본발명이전의 감진소자의 예를 나타내고 그중 제18도는 제1도에 대응하는 세로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중의 B-B선에 따른 가로단면도.
제20도는 그 구성중의 주요부를 확대해서 나타낸 하부접촉부재와 하부절연체와의 상호의 위치관계가 어긋나는것을 설명하는 부분확대세로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A : 돌출부 3 : 뚜껑
4 : 도전단자핀 6 : 하부절연체
6A : 경사면 6B : 관통구멍
7 : 하부접촉부재 8 : 관성구
9 : 상부접촉부재 9A : 날개부
10, 62, 72 : 지지판 11, 51, 61, 71 : 상부절연체
22A : 계단부 32 : 스페이서
51A : 돌기 61B, 71B : 컵저면
61F, 71E : 퇴피홈 61G : 안내홈
본발명은 예를들면 석유난방기나 가스연소기기 또는 기타의 가열을위한 전기기기의 보안제어용의 신호처리장치에 부착되어 지진등의 진동을 감지해서 그 검출신호를 신호처리장치에 보내는 전방향성의 감진소자(感震素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다.
근래에 이와같은 감진소자를 사용해서 지진등의 비상시에 각종가열장치 또는 그 연료등 공급장치에 대해서 자동보안제어장치를 거쳐서 자동소화시키는등의 적절한 보안처치가 취해지도록 되어있다.
이 목적을 위한 비상진동검출용의 감진소자로서는 이미 몇가지인가의 형식의것이 소개되어있으나 일반적으로는 소형화하는것이 요망되고있다.
본발명의 감진소자는 그중의 상시폐색접점스위치형식에 속하고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구의 비상시감진동작에의해 접점 OFF의 검출신호를 출력시키는 형식의것이다.
종래의 상시폐색접점식 감진소자로서는 이 금속구를 사용하는것외에 수은을 사용하는것이있고 이것은 소형화의 요구를 만족시키고 다시또 장기간에 안정동작이 얻어지는 우수한 이점을 구비하고있으나 근래에 환경보호의 사회적 관점으로부터 수은을 사용하지않고 수은방식동등의 성능을 갖는 감진소자가 요망되게되었다.
그러나 도전성액체인 수은을 금속구로 치환하는것만으로는 지진등의 비상 진동이 아닌 미소진동에 있어서도 OFF신호를 출력시키거나 또는 상시폐색접점의 유지상태가 불안정하게되어서 신호처리장치의 오동작을 초래하지않을수 없는등의 문제가 발생한다.
여기서 본출원인은 앞서 일본국에 있어서의 특허출원인 특원평 6-208136호에 있어서 금속구를 사용해서 수은방식동등의 소형화요구를 실현한 상시폐색접점식 감진소자를 제시했다.
본발명은 그것을 다시또 가혹한 취급 또는 수송시등의 예기이상의 과대진동에 조우하는때에도 기능이 손상되는일이 없도록 그리고 보다 장기에 걸쳐 안정된 성능을 유지할수있도록 개량을 도모한것으로서 또한 그 제작도 보다 용이하게되도록 개량한것이다.
즉 본발명은 상기한 일본국 특원평 6-208136호에 개시된 기술을 다시또 개량발전시키는것을 주목적으로 하는것이다.
본발명의 기술에 들어가기전에 첨부도면중의 제18도 내지 제20도에 기초해서 선행기술의 구성을 간단히 설명한다.
감진소자(101)은 금속제의 하우징(102)와 뚜껑(103)에의해 기밀용기를 구성하고있다.
뚜껑(103)은 금속제의 원판(103A)에 관통구멍이 천공된 도전단자핀(104)가 전기절연성충전재(105)에의해 기밀로 관통고정된것이다.
하우징(102)의 저면에는 거의 중앙으로부터 외측으로향해서 동심원상으로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사면이 형성되고 또한 중심부에 관통구멍(106C)가 형성된 하부절연체(106)이 그 주위벽에 설치된 리브(106F)등을 거쳐서 압입고정되어있다.
하부절연체(106)은 다리부(106A) 및 (106B)에의해 하우징의 저면과의 사이에 간격이 형성되어있고 이 간격에 탄성을갖는 재료로된 하부접촉부재(107)이 설치되어있다.
하부접촉부재(107)의 고정부(107B)는 하부절연체(106)의 다리부를 겸한 고정다리(106B)에 끼워맞추어서 고정되어있고 그 부재의 거의 중심에있는 접촉부(107A)의 선단은 하부절연체(106)의 중앙부에 천공된 관통구멍(106C)로부터 위쪽으로 소정의 치수 관통돌출가능하게 배치되어있다.
하부접촉부재(107)에는 외주방향으로 돌출하는 접촉편(107C)가 설치되고 이 접촉편(107C)를 하우징(102)와 하부절연체(106)으로 협지하므로서 하부접촉편은 확실히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하부절연체(106)의 경사면상에는 도전성의 관성구(108)이 전동가능하게 탑재되고 통상은 이 관성구(108)은 하부절연체의 관통구멍(106C)상에 위치하고 상기한 하부접촉부재(107)이 부여하는 위쪽으로의 편기력에 대항해서 접촉부(107A)를 밀어내리면서 통상시에는 이것과 접촉을 유지하고있다.
도전단자핀(104)의 내측선단에는 복수의 유연한 날개부(109A)를 방사상으로 배치한 상부접촉부재(109)가 도전적으로 고정되어있고 이 상부접촉부재(109)의 날개부선단근방에는 항상 관성구(108)과 접촉하고있다.
또 도전단자핀(104)와 상부접촉부재(109)와의 고정부분에는 관성구(108)이 이 근방에 직접 충격접촉하는것을 방지하기위한 지지판(110)이 고착되어있다.
다시또 전도시등에있어서 상부접촉부재(109)가 하우징(102)와 접촉해서 도통신호를 발생시키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상부접촉부재(109)를 둘러싸도록해서 컵형상의 상부절연체(111)이 고정되어있다.
이 감진소자(101)은 제18도에 나타내는 천지향으로 장착된 정규자세에 있어서 정지시에는 관성구(108)과 하부접촉부재(107)이 접촉하고있기때문에 도전단자핀(104)와 하우징(102)와의 사이에 전로가 구성된다.
진동이나 경사등에의해 관성구(108)이 전동하면 관성구와 접촉부(107A)가 이간되고 도전단자핀(104)와 하우징(102)와의 사이의 전로는 단절된다.
이 감진소자(101)에 있어서는 제18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관성구(108)를 상부접촉부재(109)로 하부접촉부재(107)에대해 밀어붙이고있기때문에 관성구(108)의 중량이상의 힘으로 접촉시킬수가있고 종래의것과 비교해서 소형의 관성구를 사용해도 접촉상태를 안정시킬수가있다.
이와같은 구성의 감진소자에대해 본발명에서 다시또 개량을 의도한 과제개소를 이하 순서대로 기술하면 우선 종래의 구성에 있어서의 하부접촉부재(107)는 제19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하부절연체(106)의 고정다리(106B)에 대략 나선형상의 하부접촉부재(107)의 일단부에 형성한 구멍주변에 방사상의 슬릿(slit)을 구비한 고정부(107B)를 끼워넣고 이 고정부(107B)의 탄성에의해 고정다리(106B)를 파지하므로서 양자는 고정된다.
여기서 하부접촉부재가 인청동과 같은 재질이며 또한 박판으로서 고정다리(106B)와의 접촉면적은 대단히 적기때문에 단위면적당의 접촉압력이 크게된다.
이에대해 하부절연체(106)의 재질이 예를들면 불소계수지(PFA)등의 내열온도가 높은것이라도 제20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하부접촉부재의 고정부(107B)가 하부절연체의 고정다리(106B)에 먹혀들어가 특히 그 먹혀들어감이 한방향으로 편향된 경우에는 하부접촉부재가 경사지거나 하부절연체와의 위치관계가 변화해서 예를들면 접촉부가 하부절연체의 관통구멍에 접촉하는등 해서 접촉부의 동작이 저해되는등의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생긴다.
즉 이것이 본발명이 해결하고저하는 과제의 하나이다.
다음에 또 이 구성에있어서는 상부접촉부재의 날개부(109A)의 각 밑뿌리는 지지판(110)과 상부절연체(111)과의 대향면간에서 협지되어있는것이 아니고 도전단자핀(104)의 하단에서 지지판(110)과의 용착부에서 그 중심구멍부분이 지지되고 즉 각 날개편은 이 밑뿌리부근에서 휘어질수있도록 지지판(110)상부에는 간격이있다.
여기서 만약 하우징(102)내에서의 상부절연체(111)의 끼워맞춤지지가 느슨해저서 미끄러져내려가면 날개부(109A)의 밑뿌리부분이 눌려서 용수철의 특성이 변하고 감진동작특성이 변하는 원인이된다.
또 하부절연체(106)도 압입에의해 하우징(102)내에 장착되어있으나 만일 이 장착이 풀어지는 일이있으면 충격등에의해 위치가 어긋나는것을 생각할수있다.
이와같은 상하의 절연체(111), (106)의 고정위치를 유지하는 수단으로서 만일 접착제를 사용하면 그 용제성분등의 영향으로 전로의 접점저항을 증가시키는 원인이되는일이 염려된다.
즉 상하의 절연체(111), (106)의 끼워장착한상태가 풀리는것이 우려되는 때에는 이들이 설정된 위치유지를 안정화하는것, 이것도 또 과제의 하나로서 의식된다.
그리고 또 감진소자(101)의 구성에 있어서 상부접촉부재(109)의 날개부(109A)에 충분한 유연성을 갖는 관성구(108)의 전동에 추종해서 접촉을 유지하도록 하기위해서는 예를들면 인청동판을 사용한경우에는 두께를 0.01~0.02㎜정도로하는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와같은 두께의 금속판을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것은 그 유연성때문에 어렵고 제품마다의 형상을 고르게 하기위해서는 고도의 기술이 요구됨과 동시에 가공후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취급하는것도 또 특별한 유지구나 용기를 준비하는등의 필요가있어 상당히 번잡하게된다.
또 지지판(110)에의해 상부접촉부재(109)와 도전단자핀(105)와의 고착부근방의 관성구(108)의 충돌은 방지되지만 지지판과의 충돌시에 관성구의 표면이 손상되거나 관성구표면에 시행한 도금등의 표면처리가 박리되거나할 가능성이있었다.
다시또 이 감진소자(101)의 구조에서는 진동을 받을때마다에 상부접촉부재(109)의 날개부(109A)가 관성구(108)과 상부절연체(111)과의 사이에 충격에 수반해서 끼워지기때문에 장기적으로는 이 반복에의해 접촉부재의 날개부가 변형하고 내구성능이 저하한다고하는 문제가있다.
즉 관성구(108)이 지지판(110)에 충돌하지않는 구성으로서 또한 그 구가 상부절연체(111)의 컵주위가장자리에서 날개부(109A)를 끼우지않게하므로서 보다 가혹한 취급이나 예기치않은 과대진동을 만나는때에도 특성이 손상되지 않도록 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발명은 상기한 일본국 특원평 6-208136호의 감진소자에 관한 몇가지의 남겨진 과제에대해 각각에 그 해결의 기술적수단을 제공하는것을 목적으로 하는것으로서 그 특징을 포괄적으로 기술하면 우선 하부접촉부재와 하부절연체와의 결합방법을 이제까지의 탄성감착결합으로부터 가열변형에의한 고정방식등을 사용한 파지고착방법으로 변경해서 양자의 상대위치가 어긋나지 않게하고 하우징내에서 상부절연체 또는 하부절연체의 위치가 어긋나는것의 우려에대해서는 상부절연체에는 부분적인 외형형상변경을 가하고 하부절연체에는 형상변형대신에 스페이서를 부가하고 또는 하우징측에 있어서 저면부근방에 계단부를 형성하거나 또는 그 원통원주벽의 소요의 개소에서 안쪽으로 몇개의 돌기를 형성하므로서 이 목적에 맞는 방책을 제시하고 그리고 상부접촉부재의 날개부에 소정의 형상의 굴곡가공을 실시하고 또한 그 상태에서 상부단자핀에 접속고정시키기위해서는 상부절연체의 컵형상의 입구가장자리부에서 방사상의 날개부의 단말부를 안내지지하도록하고 이것에의해 컵과의 상대위치를 정한 날개중심부에 지지판을 밀어붙여서 이것을 컵내로 휘게해서 컵저면에 끼우는 공정에서 각 날개부는 소요의 굴곡형상으로 변형되고 그리고 지지판은 이대로 상부접촉부재를 협지한 상태로 상부단자핀에 용접고정된다.
즉 본발명의 명백한 특징은 상부절연체 및 방사형상의 접촉부재의 상대위치 맞춤으로부터 날개의 굴곡성형, 고정까지의 작업이 용이한 구성 및 제조방법의 기술수단을 제공하는데있다.
다시또 상부절연체의 상술한 컵형상은 그 내부에 있어서는 거기에 미리 배치형성한 계단부에서 관성구의 튀어오름을 저지해서 그 구가 날개지지판에 충돌하는것을 방지하고 컵의외부가장자리에 있어서는 상술한바와같이 상부접촉부재의 조립시 그 날개부의 지지안내를 해야하는 위치에 관성구의 전동접촉에의해 날개가 끼워지지않도록 방사상으로 퇴피홈을 형성하고 그리고 그 퇴피홈의 외부가장자리단말부에 조립시의 날개지지용의 안내홈을 형성하므로서 관성구와 날개부와를 다같이 보호해서 그것에의해 감진소자로서의 장기안정적인 성능유지를 실현한것을 특징으로한다.
[실시예]
다음에 제1도 내지 제4도에 대해서 제1실시예의 구성을 설명한다.
감진소자(1)은 뚜껑(3)을 저면이있는 원통상의 금속제하우징(2)의 개방구단말에 링프로젝션용접등으로 고정한 기밀용기내에 구성된다.
이 밀봉을 행하는때 우선 용기내부의 공기를 배제한후에 수소, 헬륨, 알곤, 질소등의 오손방지용가스와 치환해서 봉입시키면 후술하는 각 접촉부재나 관성구의 표면을 부식이나 오손으로부터 보호해서 장기에 걸쳐 안정된 특성을 얻기위해 바람직하다.
뚜껑(3)은 금속제의 원판(3A)의 거의 중심에 관통구멍이 천공되고 그 구멍에 유리와같은 전기절연성충전재(5)에의해 도전단자핀(4)가 기밀로 관통고정된것이다.
하우징(2)의 내저면부에는 세라믹이나 합성수지등의 절연물로 구성된 하부절연체(6)이 그 외부원주에 설치한 리브(6F)를 하우징(2)의 내부원주에 슬라이드압입시켜서 고정되어있다.
하부절연체(6)는 다리부(6C)를갖고 이 다리부(6C)에의해 형성되는 간격에는 하부접촉부재(7)이 장착되어있다.
하부절연체(6)의 상면에는 거의 중심부로부터 외측으로 향해서 동심원상으로 완만하게 상승하는 경사면(6A)가 형성되어있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경사면의 형상은 소정의 경사각도를 갖는 직선을 회전시켜서 얻어지는 원추면상으로 되어있으나 그 형상은 이에 한정되는것이 아니고 도중에서 경사각도가 변화하는 원추면이나 상하로 완만한 곡률을 갖는 곡선을 회전시켜서 얻어지는 오목한면 또는 볼록한면도 포함하는것이다.
또 상기한 곡선은 경사방향이 변화하지않으면 도중에서 혹은 서서히 곡률이 변화해도된다.
이 경사면(6A)의 중앙에는 관통구멍(6B)가 형성되고 하부접촉부재(7)의 일단의 접촉부(7C)가 하면으로부터 상면으로 삽입관통되어있다.
이 하부접촉부재(7)은 예를들면 두께 0.03~0.1㎜정도의 인청동판등으로 제조된 유연한 용수철이며 그 평면형상은 예를들면 제4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거의 나선상의 탄성부(7B)를 내측으로 갖는 링형으로 되어있다.
탄성부(7B)의 선단에서 하우징(2)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일단에는 전술한 접촉부(7C)가 설치되고 그 선단부는 제1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그 평면에대해 거의 직각으로 세워져서 관통구멍(6B)에 삽입관통되어있다.
또 접촉부(7C)의 근방에는 탄성부(7B)의 복원력에의한 접촉부의 위쪽방향으로의 이동량을 규제하기위한 스토퍼(7D)가 적어도 그 양단이 관통구멍(6B)에 걸리도록 폭넓게 설치되어있다.
하부접촉부재(7)의 접촉부(7C)에는 금이나 은등의 귀금속도금이나 혹은 기타의 표면처리를 실시해서 산화피막의 생성을 방지해두는것이 좋다.
하부접촉부재(7)에는 제4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은 복수의 관통구멍(7E)의 하나에 하부절연체(6)의 다리부(6C)가 삽입관통됨과 동시에 다른 관통구멍(7E)에 하부절연체(6)에 형성된 2개소의 고정부(6D)가 삽입관통된다.
그후에 제3도와 같이 이 고정부(6D)의 선단을 전기용접기나 초음파용접기 등에의해 폭을확대변형시키므로서 하부접촉부재(7)는 하부절연체(6)에 파지 고정된다.
하부접촉부재(7)의 한쪽의 가장자리에는 접속편(7A)가 뻗어나와있고 이 접속편(7A)는 하부절연체(6)과 함께 하부접촉부재(7)이 하우징(2)에 압입장착되는때에 하우징(2)의 내벽과 하부절연체(6)의 외벽과로 끼워지기때문에 하우징(2)와 강고히 접촉해서 전기적 접속을 확실한것으로 하고있다.
하부절연체(6)의 경사면(6A)상에는 예를들면 철이나 그 합금인 스테인레스 등의 금속으로 제작된 관성구(8)이 수납되어있다.
이 관성구(8)은 철이외에도 예를들면 동이나 그 합금, 또는 경질연등 각종의 금속으로 제조할수가있고 철이나 동등 공기중에서 산화하기쉽고 그 산화피막이 도전성을 저해할우려가 있는 것에대해서는 바람직하게는 금이나 은 등의 귀금속도금이나 기타의 표면처리를 실시한것이 목적에 따라 선정되지만 그 표면이 사용목적에 적합한 도전성을 갖는 고체의 구이면 재질 표면처리등 모두 이에 한정되는것은 아니다.
이 관성구(8)은 통상의 정규자세에서의 정시에 있어서는 경사면(6A)의 중심인 관통구멍(6B)상에 위치하고 상기한 하부접촉부재(7)의 접촉부(7C)를 밀어내리도록 접촉되어있고 소정의 가속도이상의 진동을 받기까지는 전동하지않고 접촉상태를 유지한다.
감진소자(1)이 지진등에의해 소정의 값이상의 진동을 받으면 관성구(8)은 관통구멍(6B)를 이탈해서 경사면(6A)상을 전동하고 접촉부(7C)와의 접촉을 중단하도록 되어있다.
제1도의 감진소자의 경우에 있어서는 관성구(8)의 전동개시속도 α는 관성구(8)의 반경을 R 로하고 관통구멍(6B)의 반경을 r 로하면 다음의 식에의해 결정된다.
(G는 중력가속도를 나타낸다)
단 실제로는 관성구(8)이 후술하는 상부접촉부재(9)에의해 눌려짐과 동시에 하부접촉부재(7)에의해 밀어올려지기때문에 이것보다 약간 다른 값으로 조정된다.
도전단자핀(4)의 내측선단에는 상부접촉부재(9)를 끼우도록해서 지지판(10)이 맞대는용접등의 방법으로 고착된다.
이 상부접촉부재(9)에는 복수의 유연한 날개부(9A)가 방사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본실시예에서는 이 날개부(9A)는 도전단자핀(4)를 중심으로해서 균일한각도 구체적으로는 60°마다에 합계 6개 설치되어있다.
예를들면 관성구의 질량이 0.7~1.5g정도의 경우에는 상부접촉부재(9)의 재질로서는 두께가 0.01~0.02㎜의 인청동판이 바람직하다.
이 상부접촉부재(9)의 날개부(9A)의 선단근방은 관성구(8)이 가령 존재하지않는 자유상태로 관성구(8)의 표면위치보다 약간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설정되어있고 항상 관성구(8)과 접촉하고있다.
날개부는 바람직하게는 폭이 0.3㎜정도이고 충분히 유연성을 갖고있고 관성구(8)의 전동시에도 항상 적어도 2개가 추종해서 관성구와의 접촉을 유지하도록 되어있다.
또 날개부(9A)의 개수나 1개당의 반발력은 관성구(8)의 전동개시속도에 미치는 영향이나 전기적 접촉저항등을 고려해서 결정된다.
제1도에서 볼수있는바와같이 지지판(10)은 관성구(8)이 상부접촉부재(9)의 고정부근방에 직접 충돌하는것을 지지하고 이것을 변형시키지않도록 보호한다.
예를들면 감진소자(1)이 수송시에 진동등을 받아서 관성구(8)이 튀어올라서 점선(8A)로 나타내는 위치이상까지 올때가있다.
이때 지지판(10)이 없으면 관성구(8)은 상부접촉부재(9)와 도전단자핀(4)와의 고착부근방에 충돌하여 상부접촉부재(9)가 바람직하지않은 소성변형을 일으킨다.
이와같이 날개부(9A)의 밑뿌리측에서 소성변형을 일으키면 날개부(9A)의 선단에서는 변형량이 확대되어 그 위치를 크게 변화시키는일이있다.
그러나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판(10)을 상부접촉부재(9)의 고정부근방에서의 변형이 없도록 배치하므로서 장기간에 걸쳐 안정된 특성을 얻을수가있다.
다시또 전도시등에 있어서 상부접촉부재(9)가 하우징(2)와 접촉해서 도통신호를 발신하는것을 방지하기위해 상부접촉부재(9)의 주위를 둘러싸도록해서 상기한 하부절연체(6)과 마찬가지로 세라믹이나 합성수지등의 절연물로 구성된 중첩컵형의 상부절연체(11)이 그 주위벽에 설치된 리브등에의해 하우징(2)의 개방구단말부측의 내부에 압입고정되어있다.
이 상부절연체(11)는 하부절연체(6)과 협동해서 점선 (8B)로 나타내는 관성구(8)의 최대이동위치에 있어서도 단말부(11A)및 접시가장자리부(6E)에의해 관성구(8)을 저지하는것이며 이 (8B)의위치에 있어서도 관성구(8)과 하우징(2)의 내벽과는 근소한 거리를 유지하여 양부재가 접촉하는일이없다.
그 때문에 최대진폭시에 감진소자가 ON신호를 출력해버리는일이없고 또 제어대상기기가 경사 또는 전도된때에도 확실히 OFF로 할수가있다.
이 감진소자(1)의 동작에 대해 설명하면 감진소자(1)이 정규자세로 정지상태에 있는때에 관성구(8)은 경사면(6A)의 관통구멍(6B)상에 위치하고 하부접촉부재(7)의 접촉부(7C)에 접촉되고 관성구자체의 중량 및 상부접촉부재(9)에의해 압압력을 가하고있다.
이것에의해 도전단자핀(4)-상부접촉부재(9)-날개부(9A)-관성구(8)-접촉부(7C)-하부접촉부재(7)-하우징(2)-원판(3A)의 경로로 전로가 구성된다.
감진소자(1)이 소정의 가속도 예를들면 주기가 0.2내지 1초로서 120gal 이상의 수평진동을 받으면 가동접점인 관성구(8)은 관통구멍(6B)를 이탈해서 경사면(6A)상을 전동하여 하부접촉부재(7)의 접촉부(7C)와의 접촉을 중단하고 전술한 전로를 소정시간 이상 차단한다.
그때문에 감진소자(1)에 접속된 신호처리장치에 검지신호가 송신되고 예를 들면 석유난방기나 가스연소기기이면 제어장치에의해 자동소화등의 적절한 보안조치가 취해지게된다.
또 감진소자(1)이 정지상태로 복귀하면 관성구(8)은 경사면(6A)의 중앙의 관통구멍(6B)상으로 복귀하고 재차 접촉부(7C)와 접촉하므로서 전로를 형성한다.
여기서 날개부(9A)는 항상 관성구(8)에 슬라이드 접촉하고있기때문에 복귀시에 관성구(8)이 접촉부(7C)와 접촉하므로서 신속히 전로를 형성할수가있다.
본실시예의 감진소자(1)의 하부접촉부재(7)은 전술한바와같이 하부접촉부재(7)에 형성된 관통구멍(7E)에 하부절연체(6)의 고정부(6D)를 삽입관통시키고 그 삽입관통부를 가열등의 방법으로 폭확대변형시키므로서 하부접촉부재를 그 전체방향에 대해서 실질적으로 파지고착시키고있다.
그때문에 종래예와같이 하부접촉부재가 탄성적으로 하부절연체에 응력을 계속 가하는 구조가아니고 또 그 고착력도 2개소의 고정부(6D)에의해 분산되어있기때문에 하부접촉부재(7)이 소망하지않는 먹혀들어감등에의해 경사지거나 위치의 어긋남이 일어나는일이없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절연체의 고정부(6D)는 2개소로 되어있으나 3개소 이상이라도되고 또 1개소라도된다.
1개소로한 경우에는 하부접촉부재(7)과 하부절연체(6)과의 위치어긋남이나 격리되는것을 억제하기위해 두께가있는 링형상의 기구를 거쳐서 하부접촉부재(7)의 특히 탄성부(7B)의 외측의 고정부분(7F)를 지지해서 보다 굵은 고정부로 지지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실시예 있어서는 하부절연체로서 합성수지등으로 형성된것을 예로 설명했으나 적어도 고정부(6D)에 합성수지등의 변형가능부재를 일체로 성형하거나 매립하거나하면 하부절연체의 대부분을 체결등의 변형가공이 불가능한 세라믹등의 절연재료로 구성할수도있다.
또 변형가능부재로서는 합성수지등외에도 관성구의 동작이나 전로개폐에 영향을 주지않는것이면 금속제의 소위 리벳이나 나사등을 사용할수도있다.
다음에 본발명의 제2실시예에대해 제5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또한 다음의 각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고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5도에 나타내는 감진소자(21)에 있어서는 하우징(22)의 저면의 원주가장자리부에 계단부(22A)가 형성되어있고 하부접촉부재(7)의 원주가장자리부는 이 계단부(22A)상에 탑재되어있다.
하부접촉부재(7)는 전술한 실시예와 같은모양의 구성에의해 하부절연체(6)과의 상호의 전방향에대한 위치어긋남이 방지되어있고 다시또 그 원주가장자리부를 하우징(22)의 계단부(22A)와 하부절연체(6)의 저면가장자리부(6G)에의해 협지하므로서 확실히 고정된다.
본실시예의 경우 다리부(6C)는 제1의 실시예와같이 하우징저면까지 달하는 것은 필요없고 따라서 고정부(6D)가 2개소 이상 설치된것이면 그것만으로 회전방향의 위치결정이 충분해지기때문에 다리부(6C)를 생략해도된다.
또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절연체(6)의 고정부(6D)는 가열변형시키지않아도되고 또 전술한 실시예와같이 가열폭확산변형등에의해 고착시켜두면 다시또 바람직스러운것은 말할것도없다.
다음에 본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대해 제6도를 참조해서 설명한다.
제6도의 감진소자(31)에 있어서는 하우징(2)의 저면에 그 외형이 원형의 스페이서(32)가 장착되어있다.
이 스페이서(32)는 전술한 실시예의 계단부와 마찬가지의 동작을 하는것으로서 금속제 또는 절연물제로 하우징(2)의 저면의 내측원주가장자리부나 하부절연체(6)의 다리부(6C)의 배치에 간섭하지않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도시하지않았지만 그 평면형상은 바람직하게는 제4도에 나타내는 하부접촉부재(7)의 좌측의 원호상고정부분(7F)와 우측의 평판부분을 될수있는대로 넓게 지지하여 하부절연체(6)의 다리부(6C)및 고정부(6D)와 끼워맞추는 구멍을 구비한다.
본실시예에 있어서도 하부접촉부재(7)은 전술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다리부(6C)와 본도면에서 보이지않는 고정부에의해 위치어긋남과 회전이 방지되어있고 다시또 그 원주가장자리부를 스페이서(32)와 하부절연체(6)의 저면가장자리부(6G)에의해 협지하므로서 하부접촉부재(7)은 확실히 고정된다.
상기한 각 실시예는 하부절연체(6)은 그 외부원주에 설치한 리브(6F)를 침지변형시키면서 압입에의해 하우징(2)내로 장착고정시키고있으나 예를들면 하부절연체가 합성수지에의해 구성되어있으면 그 소재에 따라서는 압입후 예를들면 80℃이상의 고온상태에 놓여지거나 이와같은 일이 없었다고해도 장기간중에 하부절연체 그자체가 서서히 소성변형해버려서 당초의 압입강도가 얻어지지않게되고 충격등에의해 하부절연체의 위치가 어긋나버릴 가능성이있다.
그 때문에 하부절연체의 하우징에의 접착등을 행하는것도 고려할수있으나 작업이 귀찮고 접착제에 포함되는 성분에의한 각 접점에의 영향에의한 접촉 저항의 증가등이 염려된다.
이때문에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절연체의 삽입배치후에 하우징의 주위벽의 소정위치에 내측으로의 돌기를 설치하여 하부절연체의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하고있다.
이 실시예에대해 제7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감진소자(41)는 제1의 실시예의것과 같은 구조로 되어있으나 하부절연체(6)를 하부접촉부재(7)과 함께 하우징(2)내에 압입에의해 장착고정시킨후에 하우징(2)의 주위벽의 소정의 수개소를 내측으로 돌출가공하므로서 하부절연체(6)는 리브(6F)의 압입강도가 저하해도 하우징의 개방구부측으로 어긋나거나 하는일이없고 그 고정을 확실한것으로 할수있다.
이 돌출부(2A)는 하부절연체(6)의 위치어긋남은 방지하지만 관성구(8)의 동작에는 영향이 없는 크기로 되어있고 관성구가 점선으로 표시한 최대이동위치(8B)에까지 전동해서 온때에도 돌출부(2A)와 관성구(8)과는 접촉하지않는다.
또 상술한 각 실시예에 나타낸 원통형의 상부절연체(11)는 그 중앙의 관통구멍에 도전단자핀(4)를 삽입관통시킨후 상부접촉부재(9)를 끼우도록해서 상부절연체의 관통구멍보다도 큰직경의 지지판(10)을 맞대는용접등의 방법으로 단자핀(4)의 하단에 고착시키므로서 원판(3A)측으로 고정된다.
그후 원판(3A)를 하우징(2)의 개방구부에 맞대어용접하는 시점에서 상부절연체(11)은 하우징(2)의 개방구단말근방에 압입고정된다.
이제까지의 실시예에서는 상부절연체(11)의 관통구멍근방(11B)(제7도)과 지지판(10)과의 사이에는 근소한 간격이 형성되고 상부접촉부재(9)의 날개부(9A)가 밑뿌리의 부분으로부터 유효하게 탄성변형해서 관성구(8)에 작용하도록 되어있다.
그러나 상부절연체를 합성수지로한경우에는 전술한 하부절연체의 경우와 같은 이유로 압입강도가 저하하고 상부절연체가 도면에 나타내는 아래쪽으로 내려가기때문에 상술한 간격이 없어져서 날개부(9A)의 동작상태가 변하거나 관성구와의 위치관계가 변해버려서 동작특성이 변화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여기서 제8도에 나타내는 제5의 실시예에서는 이 감진소자(50)내의 상부절연체(51)의 상단원주가장자리부에 하우징(2)의 내경보다도 외측으로 돌출한 돌기(51A)가 설치되어있고 이 돌기(51A)가 하우징의 개방구단말의 플랜지부분(2B)에 걸어맞추어진다.
이 돌기(51A)는 원주가장자리부에 2개소 이상 균등하게 설치된것이라도되고 원주가장자리부 전체에 플랜지상으로 나오도록 형성해도된다.
또 그 크기는 하우징(2)의 개방구부와 원판(3A)과의 용접시에 지장이 없도록 설정된다.
상부절연체(51)는 전술한 실시예와같이 하우징(2)에 압입됨과 동시에 이 돌기(51A)가 하우징(2)의 플랜지(2B)상에 탑재되므로서 위치결정된다.
그때문에 종래의것과 같이 상부절연체(51)의 압입강도가 저하해도 돌기(51A)에의해 상부절연체(51)의 위치는 소정의 위치에 유지된다.
또 도시는 생략하지만 상부절연체의 하단부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주위벽에 제7도에 기호 (2A)로 표시한것과 같은 돌출부를 형성하여 상부절연체의 위치결정과 아래쪽으로의 소망하지않는 이동을 방지할수도있다.
이상 기술한바와같이 제1내지 제5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하부접촉부재(7)의 장착은 하부절연체(6)에 열체결등의 방법으로 파지시키거나 또는 하우징측에 계단부(22A)를 형성하여 또는 계단부(22A)의 수단대신에 스페이서(32)를 부가해서 하부절연체(6)과의 사이에서 협지시키므로서 그 고정을위한 유지력이 종래와같이 하부절연체(6)의 하나의 위치에 집중되는 문제를 해소하고 이것에의해 하부접촉부재의 경사나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할수가있다.
또 상부절연체 또는 하부절연체에 대응하는 하우징의 소정의 위치를 내측으로 돌출변형시키므로서 상기한 각 절연체의 위치의어긋남을 방지할수있고 감진소자의 특성의 변화등을 방지할수가있다.
다음에 제9도 내지 제13도를 참조해서 제6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밀폐용기구조내저부의 하부절연체(6) 및 하부접촉부재(7)의 구성 및 관성구(8)의 탑재까지는 제1의 실시예와 전혀 동일하다.
본실시예의 감진소자(60)에 있어서는 상부절연체(61)의 구성에 상술한 각예와 다른 특징이있고 이것은 제12도 및 제13도에서 상세히 볼수있는바와같이 합성수지등의 절연재료로 대략 컵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컵저면(61B)의 중심에 도전단자핀(4)와 끼워맞추어지는 관통구멍(61A)가 형성되어있다.
컵형상의 내측 및 컵의 입구가장자리는 몇개인가의 계단부가 형성되어있다.
우선 그 입구가장자리부(61E)의 내측에는 상부접촉부재(9)의 날개부(9A)의 수 및 그 방사상배치에 대응하는 각 위치에 오목한부가 형성되어있다.
그 오목한부를 이하 그 역할에 어울리게 퇴피홈(61F)라 부른다.
퇴피홈(61F)내의 입구가장자리단말측에는 다시또 컵에대해 고의로 가장자리절단을 한것과같은 형태로 오목한부가 형성되어있다.
이 오목한부는 각각 그 중앙부가 한층깊게 파인 홈으로 되어있다.
그 홈을 같은모양으로 그 역할에 맞추어서 안내홈(61G)라 부른다.
그 안내홈(61G)의 폭은 날개부(9A)를 지지하는데 족한것으로되고 즉 제10도와 같이 각 날개단말(9D)를 확대한 굴곡가공전의 상부접촉부재(9)를 제11도중의 점선으로 나타내는바와같이 상부절연체(61)의 입구가장자리부(61E)에 탑재시킨때에 이것을 상호의 중심을 합치시킨 상대배치관계로 지지하는것이다.
컵의 내측에는 입구가장자리부(61E)와 컵저면부(61B)와의 사이에 제1의 계단부(61C)가 구성되어있고 그 계단부(61C)는 퇴피홈(61F)배치의 방사상위치에 맞추어서 다시또 한층 깊게 형성된 제2의 계단부(61H)를 형성하고있다.
즉 제1의 계단부(61C)는 제2의 계단부(61H)의 형성에의해 6개로 분할되어 있다.
이 분할된 제1의 계단부편내에서 1조의 대향하는것이 컵중심으로 향해서 돌출하도록 노스부(61D)가 형성되어있다.
이것에의해 컵저면(61B)의 평면형은 원형의 중심을 끼우는 양측으로부터 잘록한형으로 되어있다.
컵저면(61B)의 평면형상에 맞춘 금속제의 지지판(62)가 거기에 끼워맞추어져있고 그 끼워넣는때에 상부접촉부재(9)의 중앙부분을 컵저면(61B)와의 사이에 끼워 장착하도록 구성되어있다.
즉 지지판(62)의 잘록하지않은 원주부분의 직경은 상부접촉부재(9)의 판의 두께를 고려한 크기로 정하고 구체적으로 말하면 지지판(62)를 끼워장착하는 때에 날개부(9A)가 제2의 계단부(61H)의 계단부입구가장자리(61J)로 지지판(62)의 원주부분에 눌려서 프레스성형 되는것과 같이해서 대략 직각으로 굴곡 변형되도록한다.
이와같이 지지판(62)가 상부접촉부재(9)를 컵저면(61B)와의 사이에 협지한 상태에서 맞대는용접에의해 지지판(62)의 중심부는 도전단자핀(4)에 고착된다.
이 용접시 지지판(62)의 중심의 용접부(62A)에서 생기는 돌기를 회피하기 위해 상부접촉부재(9)의 중심에는 제10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미리 부착구멍(9B)를 천공해서 용접시의 열에의해 상부접촉부재(9)가 변형하는등의 영향을 경감시키고 또 부착구멍(9B)주위의 하부부분(9C)가 도전단자핀(4)의 단면과 지지판(62)간에 강고히 협착되도록한다.
이상의 구성으로 용이하게 이해될수있는바와같이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기술한 다른 실시예와 다르고 상부접촉부재(9)는 지지판(62)를 거쳐서 도전단자핀(4)와의 접속을 이루는 조립에있어서 미리 날개부(9A)를 소정의 원통상쇄자형으로 굴곡형성해둘 필요는없고 제10도와같이 전개자세인채로 조립에 제공된다.
이 조립에있어서의 특징이 즉 본발명의 목적의 하나로서의 제조방법에 관한것이며 이 공정을 일차 정리해서 다시말하면 우선 상부절연체(61)의 입구가장자리부(61E)의 안내홈(61G)의 각개로 제11도에 점선으로 나타내는바와같이 상부접촉부재(9)의 각 날개단말(9D)를 걸어맞추므로서 그 중심의 부착구멍(9B)는 상부절연체(61)의 중심축상에 위치한다.
다음에 지지판(62)의 중심의 용접부(62A)의 돌기를 날개부착구멍(9B)에 맞추어서 그 잘록한것을 노스부(61D)의 위치에 걸어맞추어서 상부접촉부재(9)를 눌러휘게하면서 컵저면(61B)에 근접시켜가면 각 날개부(9A)는 제1의 계단부(61C)의 분할된 간격에 침입해들어가서 제2의계단부(61H)의 계단부입구가장자리(61J)를 밀어굴곡시켜서 제12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원통형쇄자상의 자세로된다.
여기서 지지판(62)는 상부절연체(61)의 컵저면(61B)에 끼워지고 양자는 상호 임시고정된다.
또 상부접촉부재(9)는 박판이기때문에 양자간에서 변형된상태로 유지된다.
다음에 미리 원판(3A)에 고정되어있는 도전단자핀(4)의 선단을 상부절연체(61)의 관통구멍(61A)에 삽입관통배치하고 전술한바와같이 상부접촉부재(9) 및 상부절연체(61)를 도전단자핀(4) 및 원판(3A)와의 사이에 협지되도록 지지판(62)를 도전단자핀(4)의 선단부에 용접고정시킨다.
이것에의해 지지판(62)의 원주가장자리부에서 협지된 날개부(9A)의 형상이 소정의 형상으로 확정되는것이며 예를들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2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원판(3A)에 대해서 거의 수직으로 설정된다.
이와같이 원판(3A)측에 상부접촉부재(9)와 함께 조립을 종료한 상부절연체(61)는 지지판(62)에의해 원판(3A)와의 사이에 협지되어있고 다른 실시예와 같이 하우징(2)내에 압입시키지않아도 이후는 위치어긋남이 생기지않기때문에 그 외부원주상의 리브나 제5실시예등에있어서의 위치어긋남방지책은 무용하게된다.
하우징(2)저면부에 하부절연체 및 하부접촉부재(7)를 장착한후 이상의 조립을 종료한 상부절연체(61)를 삽입하는때 날개부(9A)를 밀어확대시키도록해서 관성구(8)를 파지시키고 제9도에 나타내는바와같이 하우징(2)와 원판(3A)와를 동심원상으로 맞추어서 다른실시예와 마찬가지로 기체 치환 및 링프로젝션용접에의한 밀폐를 행하여 감진소자(60)이 완성된다.
이 감진소자(60)의 상부절연체(61)은 다른실시예의것보다 형태가 약간 복잡하게 구성되어있으나 기본적인 역할에 있어서는 대략 동일하다.
즉 이 상부절연체(61)는 다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하부절연체(6)와 협동해서 제9도에 점선 (8C)로 나타내는 제1실시예에서의 (8B)와 같은위치에 관성구(8)의 최대가로이동위치를 규제하는것이며 이 경우에 있어서도 입구가장자리부(61E)및 접시가장자리부(6E)에의해 관성구(8)를 (8C)의 위치에서 저지하기때문에 관성구(8)과 하우징(2)의 내벽과는 근소한 거리를유지하고 양부재가 접촉하는일은없다.
또 물론 날개부(9A)의 선단(9D)도 하우징내면에 접촉하는일이없도록 길이가 설정되어있다.
그때문에 최대진폭시에 감진소자(60)이 ON신호를 출력해버리는일은 없고 또 제어대상기기가 경사 또는 전도된때에도 확실히 OFF신호상태가된다.
상기한 기본적역할에 추가해서 이 감진소자(60)에 있어서는 다음과같은 다른 실시예에 없는 특징을갖고있다.
즉 감진소자(60)이 강한 충격을 받은때 또는 반복해서 충격이 가해진때등에 만일 기술한 다른 실시예 또는 선행기술과같이 퇴피홈(61F)를 갖지않은것인때에는 관성구(8)과 상부절연체입구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날개부(9A)가 끼워져서 소성변형이 생기는일이있고 그것에의해 감진소자로서의 특성이 변화해버리는일이있다.
본실시예에서는 관성구(8)에 눌린 날개단말(9D)는 퇴피홈(61F)로 들어가기 때문에 협착되는일도 변형이 생기는일도없다.
다시또 상부절연체(61)의 내측에 제1의계단부(61C)를 형성하므로서 감진소자(60)의 수송시의 관성구(8)의 튀어오름이나 감진소자가 전도 특히 도립상태가 된때에도 관성구의 이동위치는 제9도의 (8D)로 나타내는 위치에서 저지되고 날개부(9A)의 밑뿌리근방에 관성구(8)이 충돌하는것도 금속제의 지지판(62)와 충돌하는일도없고 관성구(8)의 표면이 상처가나거나 도금등의 표면처리가 박리되는것이 방지된다.
또 계단부(61C)의 날개부에 대응하는 위치에는 제2의계단부(61H)에 이르는 절단부가 형성되어있기때문에 이 위치에 있어서도 날개부(9A)가 관성구(8)와 상부절연체(61)와에의해 끼워지는일은없고 날개부의 변형을 방지할수있다.
이와같이 본실시예의 구성 및 제조방법에의하면 원판(3A)에대해 상부절연체(61)과 상부접촉부재(9)및 지지판(62)를 고정시키는때에 동시에 상부접촉부재의 날개부(9A)를 소정의 형상으로 자동적으로 형성할수가있고 그때문에 박판형상의 상부접촉부재(9)를 미리 소정의 형상으로 변형시켜둘 필요가없어지고 평면상인채로 취급할수가있기때문에 그 취급이 대단히 용이하게된다.
또 종래에 그 유연성때문에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것이 어려웠든 상부접촉부재(9)의 형상을 상부절연체와 지지판을 중심으로한 주변부품의 형상 및 위치관계에의해 결정할수있기때문에 제품마다의 형상을 갖추는것이 용이하게되고 감진소자로서의 성능의 불균일을 없게할수가있다.
다시또 상부접촉부재(9)는 미리 가공할필요가 없어지기때문에 제조시의 공정수가 절감된다.
여기서 약간 보충하면 상기한 제조의 수순에 있어서 위로향하게한 상부절연체(61)상에 상부접촉부재(9)와 지지판(62)를 중첩시키는 방식을 상하 역으로해서 지지판(62)상에 상부접촉부재(9)를 그 중심을 맞추어서 중첩시킨후에 상부절연체(61)의 컵입구를 아래로 향하게 씌워서 임시고정하도록해도되고 또 원판(3A)에 고정되어있는 도전단자핀(4)를 앞서 상부절연체(61)의 관통구멍(61A)에 끼워장착해두고 그 상부절연체(61)의 컵저면(61B)에 상기한 방법으로 날개부(9A)를 밀어넣어도된다.
또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지지판(62)의 잘록한형상에의해 상부절연체의 노스부(61D)에 슬라이드안내시키는 예를 설명했으나 양자의 회전방지구조로서는 이에 한정되는것이아니고 노스부를 역으로 오목한부로해서 상부절연체의 컵저면의 형상을 역의 요철형상으로하고 지지판형상을 거기에 맞추므로서 상호가 회전하지 않도록해도된다.
다음에 제15도 및 제17도를 참조해서 제7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감진소자(70)에있어서의 상부절연체(71)의 컵형상은 상기한 제6실시예에 비해 약간 간략화한것으로서 컵입구가장자리(71D)에는 날개부(9A)에 대응하는 각위치에 단면이 브이(V)자형의 퇴피홈(71E)를 형성하고 컵내부는 입구가장자리(71D)와 컵저면(71B)와의 중간에 하나의 계단부(71C)가 구성되어있다.
본실시예에서는 컵저면(71B)및 계단부(71C)의형상은 다같이 동심원상이다.
계단부(71C)의 계단부입구가장자리(71A)로 날개부(9A)를 밀어넣어 변형시킴과 동시에 상부접촉부재(9)를 상부절연체(71)에 조립하는 방법은 제6의 실시예와 같지만 본실시예에 있어서는 날개부(9A)의 변형후의 자세는 원통상이아니고 우산형으로 약간 확대된 형상으로하고있다.
상부접촉부재(9)의 중앙부를 컵저면(71B)내로 밀어넣는 지지판은 본실시예에서는 금속제의 캡형상의 지지판(72)로서 그 입구가장자리(72B)는 바깥쪽으로향해 약간 확대되고 그 외부원주에서 날개부(9A)를 소정의 확대형으로 밀어확대하고있다.
본예에서는 날개가 확대되는것이기때문에 이에 상응하도록 컵저면(71B)의 직경은 제6실시예에 상당하는 원의직경보다도 적게설정된다.
기타의 부재의 구성 및 배치는 다른실시예의것과 동일하다.
본실시예에 있어서의 상부절연체(71)에대한 상부접촉부재(9)의 조립은 제6실시예와 동일하고 굴곡가공을 시행하지않는 날개부(9A)를 퇴피홈(71E)내로 들어가도록 맞대고 지지판(72)의 중심의 용접부(72A)의 돌기를 상부접촉부재(9)의 중심부착구멍(9B)에 끼워맞추어서 지지판(72)를 계단부(71C)로부터 컵저면(71B)로 활강시켜가고 날개부(9A)는 컵저면(71B)와 동심원이되도록 유도된다.
본예에 있어서는 이와같이 퇴피홈(71E) 가 제6실시예에서의 안내홈(61G)의 역할을 겸하고있는것이기때문에 각 홈의 중앙에 날개부(9A)가 잘 위치유도되도록 퇴피홈(71E)는 제15도에서 보는바와같이 평탄저면이 아니고 브이(V)자형으로 구성해둔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도 관성구(8)이 좌우전동해서 날개부(9A)를 밀때 날개는 퇴피홈(71E)내로 들어가고 상부절연체(71)의 컵입구가장자리(71D)와의 사이에 끼이지않는것이 이해될것이다.
이때 관성구(8)의 전동은 그입구가장자리(71D)와 하부절연체(6)의 접시가장자리부(6E)에의해 제14도의 (8F)로 나타내는 위치에 정지하고 하우징(2)에는 접촉하지않는다.
또 수송중등에서 관성구(8)이 격렬하게 튀어올라서 지지판(72)에 충돌하는 때에는 동도면의 (8E)로 나타내는위치가되고 역시 접촉하는일은 없다.
이 지지판(72)와의 충돌은 지지판입구가장자리(72B)가 바깥쪽으로 확대되도록 원활하게 형성되어있기때문에 관성구(8)의 표면은 예리한 각으로 충돌하는것은 아니기때문에 관성구(8)의 표면의 도금층등이 상처를 받는일은 없다.
이 제7실시예는 전술한 제6실시예에 비해서 상부절연체(71)의 컵내 계단부 구성, 및 입구가장자리부에서 안내홈을 겸하는 퇴피홈의 구성에있어서 간략화된것이지만 상부접촉부재(9)의 취급이 용이한것, 및 상부절연체(71)에의 조립과 동시에 소정의 형태로 날개부(9A)가 변형되는 특징은 동일하다.
다른것은 날개부(9A)에대해 우산형으로 확대개방되는 소망의 경사를 부여하는것, 및 지지판(72)를 도전단자핀(4)에 용접하는 작업공정에 있어서 지지판(72)의 내측에 용접용의 치구인 용접용전극(도시생략)을 삽입해서 중심을 결정하는것이 용이한것등이다.
이상 설명한 제2의 실시예로부터 제7실시예에 이르는 각각의 감진소자의 동작에 대해서는 제1실시예의 감진소자(1)과 전혀 동일하다.
즉 정규의 부착자세에서 정지상태인때에는 도전단자핀(4)로부터 하부접촉부재(7)까지의 직렬전로가 ON상태를 유지하고 규정이상의 진동을 받았을때 관성구(8)과 하부접촉부재(7)간의 접촉이 단절되어서 OFF신호를 발생시키고 이것을 도시하지않은 각 제어대상기기에의 진동검출신호로서 제공하고 거기서 OFF신호의 폭 및 주기등으로부터 지지인가 어떤가의 판단을 거쳐서 지진이면 자동소화등의 적절한 보안처치가 취해지는것이다.
이들 각 실시예의 감진소자를 상술한 제어대상기기에 부착시키는 방법에 대해서는 예를들면 본출원인의 한국출원청구번호1995년 제24751호에도 소개한바가있으나 확인을 위해 여기에 다시기술한다.
다음에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내는 감진기(81)은 예를들면 상술한 감진소자(1)를 정규자세로 유지하는 부재인 수지제의 케이스(82)를 갖는 실시예이며 이 감진소자(1)의 하우징(2)에 용접핀(83)이 용접고정된것을 케이스하면의 개방구로부터 삽입하고 그 도전단자핀(4)와 용접핀(83)을 케이스에 천공된 관통구멍(82A), (82B)에 삽입관통시키고 케이스(82)의 내측에있는 면상 또는 적어도 3개소의 돌기의 자세유지부(82C)에 뚜껑(3)의 원판(3A)를 맞닿게해서 감진소자의 위치결정을 행한다.
이 상태에서 도전단자핀(4) 및 용접핀(83)의 케이스상부에 돌출한 단말부에 각각 단자(84)및 (85)를 용접하므로서 감진소자(1)은 케이스(82)에 대해 고정된다.
이 감진기(81)를 예를들면 석유팬히터등에 부착시키는때에 이 케이스저면(82D)을 도시하지않은 석유팬히터의 저면판등의 수평면에 밀착시켜 고정용 구멍(82E)에 나사등을 통해서 감진기(81)를 체결해서 고정시키므로서 감진소자(1)는 정규자세가 되도록 감진기(81)의 케이스저면(82D)와 감진소자(1)과는 소정의 위치결정이 이루어지는것이다.
또한 본실시예에서는 케이스를 수평면에 부착시키는 예에대해 설명했으나 부착면을 예를들면 수직면이나 소정의 각도의 경사면으로하는것은 케이스의 형상의 설계변경에의해 용이하게 할수있다.
이이외에도 감진소자를 정규자세로 유지하는 수단은 각종형태를 고려할수 있고 예를들면 도전단자핀(4)에 문의 형상이나 엘(L)자형등의 소정의 기구를 용접해서 이 기구가 소정의 부착면에 부착되므로서 감진소자가 정규의 자세로 유지되도록하거나 적당한 점도를 선정한 실리콘오일등을 주입한 케이스내에 감진소자를 매달아서 감진소자자체에 자동자세보정기능을 갖게한것은 일본국 실개소61-141551호공보나 실개소 62-204155호공보나 특개평 6-50804호공보 등으로부터 주지의 수단이다.
이상 기술한바와같이 본발명의 감진소자는 금속구를 사용한 상시폐색접점방식의것에 있어서 하부접촉부재의 장착위치가 어긋나서 동작특성을 손상하는것을 방지하기위해 그 접촉부재와 하부절연체와의 걸어맞춤방법을 종전의 탄성끼워맞춤의 걸어맞춤력이 한국부에 집중되는 방식을 개량해서 하부절연체와 끼워맞춤부에서 그 절연체의 일부를 가열변형시켜서 고착시키고 또는 그 끼워맞춤부는 비탄성끼워맞춤인채로 그 하부절연체를 수용하고있는 하우징측에 계단부를 설치하고 또는 그 하부절연체의 하측에 스페이서를 부가하므로서 하부접촉부재의 경사나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해서 동작특성의 안정유지를 도모하고 다시또 하우징측에 내부에의 돌기를 형성해서 상하의 절연체의 위치어긋남을 억제하고 또는 상부절연체의 외부원주상단에 돌기를 형성하므로서 위치의 어긋남방지를 실현하거나해서 감진소자의 동작성능의 장기안정적유지의 목적을 달성하고있다.
그리고 또 상부접촉부재의 상부절연체와의 조립공정에 있어서 그 접촉부재의 취급이 대단히 귀찮고 어려웠든 문제를 해결하기위해 접촉부재의 날개굴곡가공전의 전개상태인채로 조립에 제공하도록하고 조립시에 자동적으로 소요의 날개굴곡가공이 행해지도록해서 그취급을 현저하게 용이한것으로했다.
이것에의해 종래의 그유연성때문에 소정의 형상으로 가공하는것이 어려웠든 상부접촉부재의 형상을 상부절연체와 지지판을 중심으로한 주변부품의 형상 및 위치관계에의해 결정할수가있기때문에 제품마다의 형상을 갖추는것이 용이하게되고 감진소자로서의 성능의 불균일을 없게할수가있다.
또 사전의 날개굴곡가공도 불필요하고 조립도 용이하므로 비용도 절감된다.
다시또 본발명의 감진소자는 상부절연체는 상부접촉부재와의 조립에있어서 그 절연체와의 상대위치를 안내하여 날개부를 지지하는 홈을 갖는 구성에의 해 관성구가 격렬히 전동하거나 빈번히 전동하는때에 상부절연체의 컵형상입구 가장자리와의 사이에 날개부를 끼우려고할때 날개부는 이 퇴피홈내에 들어감으로서 끼워지지않고 그것에의해 소성변형을 받거나 그 변형에 수반하는 감진동작특성의 변화를 발생시키는것이 회피된다.
그리고 또 상기한 제조방법에 사용하는 날개부의 지지판에대해 수송시동관성구가 격렬히 튀어오르는때에도 그 관성구가 그 지지판에 직접 충돌하지 않도록 구성하고 또는 충돌해도 예리한 각도로 충돌하지않도록해서 관성구의 표면도금층등이 손상되지않도록 하고있다.
이와같이해서 본발명의 감진소자는 그 성능의 신뢰성유지의 면에 있어서 각종의 효과를 실현한것이다.

Claims (12)

  1. 도전성원판의 거의 중심에 이것과 절연상태로 기밀로 도전단자핀(4)을 관통고정시켜서 뚜껑(3)을 구성하고, 그 뚜껑(3)과 저면이있는 원통상의 도전성하우징으로 기밀용기를 구성하고, 그 용기의 저면부근방에 그 거의 중심으로부터 바깥쪽으로 향해서 거의 동심원상의 완만히 상승하는경사면(6A) 및 그 경사면(6A)중심에 관통구멍(6B)을 구비한 하부절연체(6)를 실질적으로 고정시키고 그 경사면(6A)상에 도전성의 관성구(8)를 전동이 자유롭게 탑재시키고 컵형태의 컵입구측을 아래로향하게해서 또한 그중심에 상기한 도전단자핀(4)을 관통시킨 상부절연체(11)(51)(61)(71)를 상기한 용기내의 상부에 고정시키고, 도전단자핀(4)의 하단에 그 핀을 중심으로해서 방사상의 복수의 유연한 날개부(9A)로 상기한 관성구(8)에 접촉시키고 또한 그 구의 전동에 추종해서 그 접촉을 유지하는 도전성상부접촉부재(9)를 그 핀에의 지지판(10)(62)(72)의 용접을 거쳐서 고정시키고, 적어도 한쪽의 가장자리에 뻗어나온 접속편이 하우징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그리고 중앙부의 접촉부가 상기 한 하부절연체(6)관통구멍(6B)에 삽입관통되어서 그 관통구멍(6B)상에있는 관성구(8)에 그 탄력으로 접촉되는 하부접촉부재(7)를 하부절연체(6)의 하측에 설치하고, 하우징이 정규자세에 있는때의 상기한 관성구(8)와 상기한 하부접촉부재(7)와의 전기접속은 그 관성구(8)가 상기한 경사면(6A)상에서 정지하고있는때에는 구자체의 중력 및 상기한 날개부(9A)가 부여하는 탄력에 의해 하부접촉부재(7)접촉부의 밀어올리는 힘에 대항해서 경사면(6A)중심관통구멍(6B)상에서 접촉부와 접촉하는 위치를 유지하고 그 구가 전동하는때 그 접촉이 중단되도록 구성하고, 상기한 하부접촉부재(7)와 상기한 하부절연체(6)와의 상호의 고정은 하부절연체(6)를 하우징내에 끼워장착해서 동시에 하부접촉부재(7)의 접속편을 하우징에 접속시키는때에 그 하부접촉부재(7)의 접촉부가 그 하부절연체(6)의 관통구멍(6B)내의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하부접촉부재(7)와 그 하부절연체(6)와의 상대위치가 실질적으로 유지되도록 구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하부접촉부재(7)와 상기한 하부절연체(6)와의 상호의 고정은 하부절연체(6) 하면에 있는 고정부를 그 하부접촉부재(7)의 관통구멍(6B)에 삽입관통시키고 그 관통구멍(6B)을 관통한 고정부의 부분을 폭확대변형해서 상대위치를 결정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3. 제1항에 있어서, 하부접촉부재(7)의 외부원주부분을 상기한 하부절연체(6)의 하면외부원주에서 상기한 하우징의 저면근방에 형성한 계단부(22A)와의 사이에 협착해서 고정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하부접촉부재(7)와 하부절연체(6)와의 상호의 고정은 상기한 하부절연체(6)와 하우징저면의 사이에 하부접촉부재(7)를 지지하고 또한 접촉부의 상하이동을 방해하지않도록 형성한 스페이서(32)를 장착시켜서 상대위치를 결정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하우징내에 상기한 하부절연체(6)를 끼워넣은후 그위치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하우징원주벽의 소정의 수개소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2A)를 형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6. 제1항에 있어서, 상부절연체(11)(51)(61)(71)의 외부원주상단에 돌기(51A)를 형성해서 이것을 상기한 하우징의 상단의 플랜지부분에 걸어맞추어서 상부절연체(11)(51)(61)(71)의 아래쪽으로의 위치의 어긋남을 방지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7. 제1항에 있어서, 상부절연체(11)(51)(61)(71)의계단부(22A)와 컵저면(61B)(71B)에 끼워맞추는 지지판(10)(62)(72)에의해 상부접촉부재(9)를 협지시키고 지지판(10)(62)(72)을 도전단자핀(4)의 하단면에 도전적으로 고착시킨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부절연체(11)(51)(61)(71)의 입구가장자리부근방에 상부접촉부재(9)의 날개단말이 관성구(8)와 상부절연체(11)(51)(61)(71)와의 사이에 끼이지않도록 퇴피홈(61F)(71E)을 형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부절연체(11)(51)(61)(71)의 입구가장자리부근방에형성한퇴피홈(61F)(71E)의 중앙부에 안내홈(61G)을 형성한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
  10. 도전성원판의 거의 중심에 천공된 구멍에 도전단자핀(4)이 전기절연성 충전재에의해 관통상태로 기밀로 고정된 뚜껑(3)과 저면이 있는 원통상의 도전성하우징으로 기밀용기를 형성하고, 그 기밀용기내에 전동이 자유로운 관성구(8)를 수용해서 그 위쪽으로부터는 도전성상부접촉부재(9)와 유연한 날개부(9A)가 그 관성구(8)와 접촉해서 항상 도전상태를 유지하고 그 구의 아래쪽은 그 구가 전동한때 도전성하부접촉부재(7)와의 전기적 접속이 단절되는 구성의 상시폐색접점형의 감진소자의 제조에 있어서, 거의 컵형상의 상부절연체(11)(51)(61)(71)의 중심에 상기한 도전단자핀(4)을 삽입관통시키는 관통구멍(6B)을 갖고 그 컵저면(61B)(71B)에 상기한 상부접촉부재(9)를 지지판(10)(62)(72)로 끼워서 그 지지판(10)(62)(72)을 끼워넣으므로서 평탄한 전개자세의 상기한 날개부(9A)를 프레스성형과같이 압입변형시켜서 이것을 원통상쇄자형 또는 두부의 평탄한 소정의 경사를 갖는 우산형상쇄자형으로 형성하고 그 지지판(10)(62)(72)을 도전단자핀(4)의 하단에 용접해서 도전적으로 고착시키고 상기한 하우징내저부측에는 하부접촉부재(7)를 파지고정시킨 하부절연체(6)를 소정위치에 장착시키고 여기에 상기한 관성구(8)를 탑재시킨후에 상기한 성형을 종료한 상부접촉부재(9)를 그 하우징내에 삽입해서 상기한 관성구(8)와 상시 접촉시키는 배치의 상태로해서 뚜껑(3)의 원판을 그 하우징의 개방구단말에 기밀로 고착시키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의 제조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지지판(10)(62)(72)의 형상은 원판의 일부가 오목한부 및 볼록한부를갖고 상부절연체(11)(51)(61)(71)의 컵저면(61B)(71B)에 그 지지판(10)(62)(72)의 오목한부 및 볼록한부와 대응하는 위치맞춤부를 형성해서 상호의 회전방지로 하고 압입변형전의상부접촉부재(9)의날개단말이 상부절연체(11)(51)(61)(71)의 입구가장자리부에 설치된 퇴피홈(61F)(71F)의 각 중앙부의 안내홈(61G)에 지지되고 상기한 지지판(10)(62)(72)을 위치맞춤부에 일치시켜서 상기한 컵저면(61B)(71B)에 압입시키므로서 상부접촉부재(9)의 날개부(9A)가 컵저면(61B)(71B)의 계단부(22A)입구가장자리에의해 원통상쇄자형으로 성형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의 제조방법.
  12. 제10항에 있어서, 지지판(10)(62)(72)은 용접을위한 치구에 지지되기쉬운 캡형상의것을 사용하고 상기한 상부절연체(11)(51)(61)(71)는 퇴피홈(61F)(71E)을 단면이 대략 브이(V)자형으로 성형해서 압입변형전의 상부접촉부재(9)의 날개부(9A)가 퇴피홈(61F)(71E)에 위치안내되어서 침몰하고 지지판(10)(62)(72)에의해 압입되므로서 평두간 우산상쇄자형으로 성형되는것을 특징으로하는 감진소자의 제조방법.
KR1019960009945A 1995-08-02 1996-04-03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1001970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1822195A JP2827098B2 (ja) 1995-08-02 1995-08-02 感震素子
JP95-218221 1995-08-02
JP32959595A JP2935490B2 (ja) 1995-11-24 1995-11-24 感震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95-329595 1995-11-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801A KR970011801A (ko) 1997-03-27
KR100197063B1 true KR100197063B1 (ko) 1999-06-15

Family

ID=265224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9945A KR100197063B1 (ko) 1995-08-02 1996-04-03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0197063B1 (ko)
CN (1) CN1079946C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520039B (zh) * 2017-10-27 2019-03-15 江西理工大学 适用于旋转磨机筒体的滚动式监测装置
CN109239395B (zh) * 2018-08-13 2020-01-07 北京梦之墨科技有限公司 一种物体状态检测仪及检测系统
KR102078987B1 (ko) * 2018-11-13 2020-02-19 한국전력공사 전신주용 충격 감지장치
CN110706457B (zh) * 2019-11-20 2021-06-08 马骁骋 一种地震检测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1801A (ko) 1997-03-27
CN1079946C (zh) 2002-02-27
CN1142604A (zh) 1997-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2333B1 (ko) 진동 액츄에이터 및 그 급전 기구
KR100379754B1 (ko) 낙하센서
JP2004200171A (ja) 携帯型電子装置用のエネルギー源取付けデバイス
EP1981129A2 (en) Coaxial Connector
US7749032B1 (en) Probe connector
JP2519560B2 (ja) 感熱スイッチ
EP2256874A1 (en) Miniature switch connector
KR20130019370A (ko) 브레이커
KR100197063B1 (ko) 감진소자 및 그 제조방법
EP2112718A2 (en) Electrical contact
JPH10125191A (ja) 温度反応スナップアクション制御装置と、その製造方法
KR100287482B1 (ko) 가변저항기
US20110111643A1 (en) Audio Connector
JP2836672B2 (ja) 加速度検知器
KR100197064B1 (ko) 감진소자
EP1030335B1 (en) Pressure switch
US5229740A (en) Thermally responsive switch
JP2827098B2 (ja) 感震素子
JP2007502520A (ja) 電気端子
US10422813B2 (en) Miniature hermetic acceleration detection device
JP2935490B2 (ja) 感震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EP0940822A2 (en) Variable resistor
CN218005433U (zh) 电子设备
JP2939148B2 (ja) 感震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JP3503547B2 (ja) 可変抵抗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0206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