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6413B1 -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6413B1
KR100196413B1 KR1019960066782A KR19960066782A KR100196413B1 KR 100196413 B1 KR100196413 B1 KR 100196413B1 KR 1019960066782 A KR1019960066782 A KR 1019960066782A KR 19960066782 A KR19960066782 A KR 19960066782A KR 100196413 B1 KR100196413 B1 KR 1001964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bicycle
operating
front wheel
han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66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1690A (ko
Inventor
김현익
Original Assignee
김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현익 filed Critical 김현익
Priority to KR10199600667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6413B1/ko
Publication of KR9700616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16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6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6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M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R SLEDGES; POWERED PROPULSION OF SLEDGES OR SINGLE-TRACK CYCLES; TRANSMISS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VEHICLES
    • B62M1/00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 B62M1/14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 B62M1/16Rider propulsion of wheeled vehicles operated exclusively by hand power by means of a to-and-fro movable handleba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Devices For Bicycles And Motorcy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전거의 전진을 위해 사용되는 후륜구동장치 없이 자전거를 구성하는 몸체중 일부인 핸들을 운전자위 전면으로 당겨 누르면 전륜 상단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통해 동력이 전륜까지 전달되어 자전거가 전진 가능토록 한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작동핸들(1)을 작동기어(2)의 작동축(2a)에 부착하고, 상기 작동기어(2)와 치차 결합되며 스프링(10)에 의해 복귀되는 착,탈연동기어(3)는 작동기어(2)측면에 형성된 밀편(8)에 의해 유동되고, 상기 착,탈연동기어(3)와 동일축에 설치된 래치기어(4)는 연동기어(6)와 동일축에 설치된 구동기어(5)와 체인 연결되고, 상기 연동기어(6)는 전륜구동 래치기어(7)와 체인 연결되는 한편, 연동기어(6)의 회전축 커버 상부로 작동핸들(1) 복귀 스프링(12)이 부착된 스토퍼(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제1도는 본 발명 장치가 설치된 자전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 장치의 작동도.
제4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역회전 작동을 나타낸 작동도.
제5도는 본 발명 장치의 역회전 작동을 위한 밀편의 작동도.
제6도는 제5도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A : 구동장치 1 : 작동핸들
2 : 작동기어 3 : 착, 탈연동기어
4,7 : 래치기어 5 : 구동기어
6 : 연동기어 8 : 밀편
10,12 : 스프링 11 : 스토퍼
본 발명은 자전거의 전진을 위해 사용되는 후륜구동장치 없이 자전거의 전륜 상단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 자전거가 전진될 수 있도록 한 자전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자전거를 구성하는 몸체중 일부인 핸들을 운전자의 전면으로 당겨 누르면 전륜 상단에 설치된 구동장치를 통해 동력이 전륜까지 전달되어 자전거가 전진 가능토록 한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자전거의 사용 목적을 보면, 자전거를 이용하여 원하는 목적지까지 이동하는 이동수단으로서 사용되어 왔는데 상기와 같은 이동수단은 현대사회가 발달됨으로 인하여 사람들이 이동시 자전거를 이용하는 것이 아니라 자동차를 이용하여 이동하다 보니 현대의 사회에서는 자전거의 사용목적도 점차 변하여 현재에는 이동수단으로 사용하기보다는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하기 위한 목적으로 자전거의 사용목적이 변하여 가는 실정이라 할 수 있는데 상기와 같이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하는 것을 보면 운동하고자 하는 사람이 자전거에 승차한 후 자전거를 전진을 위해 자전거의 페달을 구동시켜야 하는데, 상기와 같이 자전거의 전진을 위해 자전거의 페달을 구동시키다 보니 자연적으로 다리운동이 되는 것을 감안하여 별도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다리운동을 하는데, 사실적으로 다리운동은 일상 생활을 하면서 걷는 것으로 다리운동이 되어 별도로 자전거를 이용하여 다리운동을 하지 않아도 다리의 운동량은 부족하지 않지만 이와 반대로 팔은 실생활에서 크게 움직이지 않아 팔의 운동량이 매우 부족한 상태이며 더욱이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한다는 것은 다리운동량만 가증될뿐 팔운동은 전혀 불가능한 일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자전거를 이용하여 운동을 할 때 자전거를 구동시키는 구동장치를 전륜상단에 설치하여 운전자가 자전거를 전진시키고자 하여 구동장치를 작동시킬 때, 팔운동이 자동으로 될 수 있도록 하여 실생활에서 부족된 팔의 운동량을 보충할 수 있도록 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전거의 핸들을 작동시켜 구동되도록 한 구동장치와 상기 구동장치에 전륜 구동기어가 체인 연결되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와 제2도에 있어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한 작동핸들(1)을 작동기어(2)의 작동축(2a)에 부착하고, 상기 작동기어(2)와 치차 결합되며 스프링(10)에 의해 복귀되는 착, 탈연동기어(3)는 작동기어(2) 측면에 형성된 밀편(8)에 의해 유동되고, 상기 착, 탈연동기어(3)와 동일축에 설치된 래치기어(4)는 연동기어(6)와 동일축에 설치된 구동기어(5)와 체인 연결되고, 상기 연동기어(6)는 전륜구동 래치기어(7)와 체인 연결되는 한편, 연동기어(6)의 회전축 커버 상부로 작동핸들(1) 복귀 스프링(12)이 부착된 스토퍼(11)가 설치되어 이루어 진 것이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9는 스프링(10)고정구, 11a는 스토퍼(11)의 유동부, 11b는 유동부(11a) 복귀스프링, 40은 발 받침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중 제1도에 도시한바와 같이 구동장치(A)에서 전진을 위해 작동기어(2)의 작동축(2a)에 고정된 작동핸들(1)을 운전자의 전면으로 당겨 누르게 되면 작동기어(2)가 회전하여 작동기어(2)와 치차 결합된 착, 탈연동기어(3)를 회전시켜 착,탈연동기어(3)의 회전축 단부에 설치된 래치기어(4)에 동력이 전달된다.
상기와 같이 래치기어(4)에 동력이 전달되면 래치기어(4)와 체인 연결된 구동기어(5)와 동일축에 설치된 연동기어(6)에 동력이 전달되어 연동기어(6)와 체인으로 연결된 전륜 구동기어인 래치기어(7)에 동력이 전달됨으로써 자전거가 전방으로 전진하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설명은 작동핸들(1)을 한 번 운전자의 전면을 당겨 눌렸을 때 자전거가 전방으로 전진하는 과정을 위한 설명인데 자전거가 연속하여 진행하기 위해서는 상기와 같은 작동을 자전거의 전진속도를 감안하여 필요 적절하게 실행하여야 한는데 상기와 같이 필요시만 작동할 수 있도록 작동기어(2)에서 동력을 전달받는 착,탈연동기어(3)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래치기어(4)는 작동핸들(1) 전면으로 눌렀을 때 발생되는 동력만 구동기어(5)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일 방향으로만 동력이 전달되도록 하는 래치기어(4)를 사용하여 작동핸들(1)을 누른 상태에서 작동핸들(1)을 원위치될 때 각각의 기어(3,4,5,6,7)에 영향을 주지 않고 원위치 되어 다음 작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고, 또 작동핸들(1)을 작동시켜 각 구동장치(A)를 통하여 전륜(20)이 구동되어 자전거가 전진될 때 전륜(20)만 회전 가능토록 래치기어(7)를 사용하였다.
또 작동핸들(1)을 한 번 작동하여 전륜(20)을 구동시킨 후 작동핸들(1)이 원위치 될 때 작동핸들(1)을 운전자가 원위치 시키지 않아도 스토퍼(11)와 작동핸들(1)시간에 작동핸들(1)의 복귀 스프링(12)을 설치하여 작동핸들(1)이 자동으로 원취치 되어 다음동작을 수행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작동핸들(1)을 작동시켜 자전거를 전진시켜 자전거를 타면 되는데, 상기와 같이 자전거를 타다가 자전거를 정지시킨 후 자전거의 진행방향을 바꾸고자 하여 바퀴(20,30)를 앞뒤로 회전시켜야 할 때 전진시는 별문제가 발생되지 않지만 후진시는 자전거를 전진시키고자 하여 작동핸들(1)을 반복적으로 작동하기 위해서 설치된 래치기어(4,7)에 의해 후진시 바퀴(20)의 동력이 역으로 전달되어 작동핸들(1)이 스토퍼(11)에 걸려 바퀴(20,30)가 후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되는데, 상기와 같이 회전이 불가능한 상태가 될 때 자전거의 몸체를 뒤로 연속해서 밀게되면 스토퍼(11)에 형성된 유동부(11a)가 후퇴되어 작동핸들(1)이 뒤로 후퇴되는 상황이 발생된다.
상기와 같이 작동핸들(1)이 후퇴되면 작동핸들(1)이 부착된 작동축(2a)과 작동기어(2)가 역회전이 되는데, 이때 작동기어(2)의 측면에 설치된 밀편(8)이 착,탈연동기어(3)를 작동기어(2)로부터 분리시키는데 상기와 같이 분리가 되는 순간 작동핸들(1)에 역동력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바퀴(20,30)가 후진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즉 후진을 위해 작동핸들(1)을 강제로 스토퍼(11)의 설치된 방향으로 밀지 않아도 자동으로 자전거의 후진을 위해 발생되는 역동력에 의해 자동으로 동력이 차단되어 후진이 가능한 것이다. 상기와 같이 작동기어(2)에서 분리된 착,탈연동기어(3)는 후진이 끝난 직후 착,탈연동기어(3) 복귀 스프링(10)의 힘에 의해 복귀되어 다시 전진을 위해 동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되는 것이다.
상기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은 자전거에 승차한 후에 자전거를 전진하기 위해 작동핸들을 팔을 사용하여 작동시킬 때 자동으로 팔운동이 될 수 있는 것이고,작동핸들의 높낮이 조절이 가능토록 구성되어 있어 어른이나 어린아이들도 쉽게 작동시켜 사용할 수 있는 등의 유용한 효과를 제공한다.

Claims (1)

  1. 높낮이 조절이 강한 작동핸들(1)을 작동기어(2)의 작동축(2a)에 부착하고, 상기 작동기어(2)와 치차 결합되며 스프링(10)에 의해 복귀되는 착,탈연동기어(3)는 작동기어(2) 측면에 형성된 밀편(8)에 의해 유동되고, 상기 착,탈연동기어(3)와 동일축 설치된 래치기어(4)는 연동기어(6)와 동일축에 설치된 구동기어(5)와 체인 연결되고, 상기 연동기어(6)는 전륜구동 래치기어(7)와 체인 연결되는 한편, 연동기어(6)의 회전축 커버 상부로 작동핸들(1) 복귀 스프링(12)이 부착된 스토퍼(11)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KR1019960066782A 1996-12-17 1996-12-17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KR100196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782A KR100196413B1 (ko) 1996-12-17 1996-12-17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66782A KR100196413B1 (ko) 1996-12-17 1996-12-17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90A KR970061690A (ko) 1997-09-12
KR100196413B1 true KR100196413B1 (ko) 1999-06-15

Family

ID=194884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66782A KR100196413B1 (ko) 1996-12-17 1996-12-17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641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2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KR100779301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다기능 자전거
KR101504111B1 (ko) * 2013-08-26 2015-03-19 차진우 전륜 구동 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79302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운동겸용 삼륜자전거
KR100779301B1 (ko) 2006-04-28 2007-11-23 권오광 다기능 자전거
KR101504111B1 (ko) * 2013-08-26 2015-03-19 차진우 전륜 구동 수단이 구비된 자전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1690A (ko) 1997-09-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26897A (en) Manually powered vehicle having a flywheel assisted drive
US6572128B2 (en) Ratchet propulsion system for scooters
US5970822A (en) Unidirectional output from bi-directional inputs bicycle transmission
US6578861B2 (en) Reciprocating type driving mechanism
MXPA06014937A (es) Bicicleta accionada con una mano adicional.
US6585277B1 (en) Hand powered cart
JP3101174U (ja) 自転車
US4875699A (en) Human powered vehicles and mechanisms particularly useful therein
US5816598A (en) Two-wheel drive hand and foot powered bicycle
KR100196413B1 (ko) 자전거 전륜 구동장치
US3701543A (en) Drive mechanism for wheeled vehicle
US4708356A (en) Human powered vehicles and mechanism particularly useful therein
US20030127266A1 (en) Pedal-operated auxilary drive system and method
KR200437546Y1 (ko) 유모차용 동력발생장치
US2436199A (en) Pedal scooter
JP2001224634A (ja) 車椅子
US7686316B2 (en) Pedal drive mechanism
JPH03132493A (ja) 自転車
CN216943410U (zh) 脚踏平衡车
KR101017162B1 (ko) 등판능력이 보강된 인력 자전거
CN201333139Y (zh) 手摇轮椅
KR20100005964A (ko) 탑승용 기구
JPWO2004092003A1 (ja) クランク装置、それを備えた乗り物用クランクペダル装置、及びそれらを備えた乗り物
KR200255796Y1 (ko) 자전거의 동력구동장치
KR20080103153A (ko) 전동식 및 핸들 조작에 의해 구동되는 자전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316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