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878B1 -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878B1
KR100195878B1 KR1019960048920A KR19960048920A KR100195878B1 KR 100195878 B1 KR100195878 B1 KR 100195878B1 KR 1019960048920 A KR1019960048920 A KR 1019960048920A KR 19960048920 A KR19960048920 A KR 19960048920A KR 100195878 B1 KR100195878 B1 KR 1001958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re
cylinder
fire extinguisher
oil
solenoid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89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9627A (ko
Inventor
김기영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600489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878B1/ko
Publication of KR199800296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96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8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87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04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with electrically-controlled releas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62C37/4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with electric connection between sensor and actuator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5/00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 A62C35/02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 A62C35/11Permanently-installed equipment with containers for delivering the extinguishing substance controlled by a signal from the danger zone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시트 쿠션의 내부에 수납되며, 화재 발생시 자동으로 인출되는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내부에 공간부가 형성된 시트 쿠션(1)과; 시트 쿠션(1)의 공간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소화기(F)와; 피스톤 로드가 소화기(F)의 후면에 고정되는 실린더(50)와; 실린더(50)에 오일을 압송하는 컴프레서(20)와; 컴프레서(20)에 오일을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30)와; 실린더(50)로의 오일 압송과 배출 및 중립이 가능하게 방향 전환되는 전자밸브(40)와; 실린더(50)의 피스톤 행정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접속되는 정지센서(51)(52)와; 인출모드와 수납모드를 갖는 작동스위치(SW); 자동차 내부의 화재가 감지되면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S); 그리고, 작동스위치(SW)의 인출모드와 수납모드 및 화재감지센서(S)의 출력신호에 따라 전자밸브(40)의 방향전환을 제어하고, 정지센서(51)(52)의 접속신호에 따라 전자밸브(40)를 중립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10)를 구비함으로써, 자동차의 화재 발생시 용이하게 소화기를 이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의 소화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자동차 화재 발생시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Fire Extinguisher Drawing System for Car)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의 재질은 인조피혁으로, 불에 매우 약한 성질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탑승자의 부주의에 의하여 담뱃불 등의 불씨가 시트에 떨어지게 되면 자동차의 시트에 불이 붙어 큰 화재로 진행될 수 있는 위험이 있다. 따라서, 대부분의 자동차에는, 화재 발생시 조기에 이를 진압하기 위하여 소화기가 구비되어 진다. 이러한 자동차에 구비되는 소화기는 소형이고, 작동이 편리하기 때문에 자동차 내에 발생되는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기 매우 효율적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승용차의 경우, 이러한 소화기가 운전석의 반대쪽 필라트림에 장착되기 때문에, 화재 발생시 운전자가 필라트림에 장착되는 소화기를 꺼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뒤늦게 화재의 발생을 인지하는 경우 운전자가 당황하여 소화기를 꺼내지 못하거나 소화기의 존재 자체를 잊음으로써 화재를 조기에 진압하지 못하고 큰 화재로 진행시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자동차의 시트 쿠션의 내부에 소화기가 보관되며, 화재가 발생되면 자동으로 시트 쿠션의 전방으로 소화기가 인출됨으로써, 화재 발생시 소화기의 사용을 용이하게 한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럭 구성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제어부, 20: 컴프레서, 30: 리저버 탱크, 40: 전자밸브, 50: 유압 실린더, 51, 52: 정지센서, F: 소화기, S: 화재감지센서, SW: 작동스위치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 -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공간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소화기와; 상기 소화기의 전후운동이 가능하게 피스톤 로드가 상기 소화기의 후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오일을 압송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에 오일을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실린더, 컴프레서 및 리저버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의 오일 압송과 배출 및 중립이 가능하게 방향 전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행정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접속되는 정지센서와; 인출모드와 수납모드를 갖는 작동스위치; 자동차 내부의 화재가 감지되면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작동스위치의 인출모드와 수납모드 및 화재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의 방향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정지센서의 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중립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자동차 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감지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한 제어부에서, 컴프레서를 작동시켜서 리저버 탱크로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압송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로 인출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실린더가 전진구동되도록 유로를 형성함으로써, 전자밸브를 통하여 실린더로 압송되는 오일에 의해 실린더의 피스톤이 전진구동을 하고, 이때, 실린더의 반대측으로부터 배출되는 오일은 전자밸브를 통하여 리저버 탱크로 수집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내의 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전진구동되면 정지센서에 의해 이를 감지한 제어부에서, 컴프레서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의 유로를 중립의 위치로 이동시켜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의 전진된 피스톤 로드와 함께 소화기가 전진되고, 따라서, 소화기가 시트 쿠션의 전방으로 돌출 됨으로써 운전자가 소화기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술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의 블럭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제어부(10), 컴프레서(20), 리저버 탱크(30), 전자밸브(40), 실린더(50), 소화기(F), 화재감지센서(S) 및 작동스위치(SW)로 구성된다.
시트 쿠션(1)의 내부에는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되는데, 이 공간부는 전방에 소화기(F)가 장착되고, 후방에는 이 소화기(F)에 피스톤 로드가 연결된 실린더(50)가 장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상기 시트 쿠션(1)의 공간부 후방에 장착되는 실린더(50)는, 실린더(50)의 제 1 홀과 제 2 홀로 입력되는 유압에 따라 피스톤 로드가 후진 및 전진됨에 따라 상기 소화기(F)가 시트 쿠션(1)내외로 수납 및 인출되도록, 상기 공간부에 장착된 소화기(F)의 후면에 피스톤의 로드가 고정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실린더(50)내의 피스톤 로드의 왕복운동에 따라 인출되는 소화기(F)가 시트 쿠션(1)의 전방으로 튀어 나가지 않도록, 공간부와 밀착되는 소화기(F)의 외면에 탄성부재를 부설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컴프레서(20)는 상기 실린더(50)로 오일을 압송시키는 압축기이며, 리저버 탱크(30)는 컴프레서(20)에서 오일을 압송시키기 위해 필요한 오일을 공급한다.
전자밸브(40)는, 컴프레서(20)와 압송이송관(21)을 통하여 연결되고, 리저버 탱크(30)와 배출이송관(31)을 통하여 연결되며, 실린더(50)의 제 1 홀과는 입출이송관(41)을 통하여, 제 2 홀과는 입출이송관(42)을 통하여 각각 연결됨으로써,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실린더(50)로의 오일 압송, 배출 및 중립이 가능하게 오일의 경로를 변환시키도록 구성된다.
즉, 인출신호가 입력되면, 압송이송관(21)을 통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입출이송관(41)을 통하여 실린더(50)의 제 1 홀로 입력되고, 이때, 실린더(50)의 제 2 홀에 연결된 입출이송관(42)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일이 리저버 탱크(30)로 수집되도록 전자밸브(40)의 경로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수납신호가 입력되면, 압송이송관(21)을 통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입출이송관(42)을 통하여 실린더(50)의 제 2 홀로 입력되고, 이때, 실린더(50)의 제 1 홀에 연결된 입출이송관(41)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일이 리저버 탱크(30)로 수집되도록 전자밸브(40)의 경로가 제어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린더(50)의 내부에는 각 피스톤 행정의 상사점에 접속되는 상사점 정지센서(52)와 각 피스톤 행정의 하사점에 접속되는 하사점 정지센서(51)가 각각 장착된다.
그리고, 작동스위치(SW)는 상기 실린더(50)의 피스톤 로드를 전진 구동시키는 인출모드와 피스톤 로드를 후진구동시키는 수납모드로 구성되며, 화재감지센서(S)는 자동차 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일정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된다.
제어부(10)는 상기 작동스위치(SW)의 작동에 따라, 컴프레서(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40)로 압송 및 배출되는 오일의 경로가 제어되도록 인출신호 및 수납신호를 출력시키고, 상기 화재감지센서(S)로 부터 입력되는 신호에 따라 컴프레서(20)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40)로 압송 및 배출되는 오일의 경로가 제어되도록 인출신호를 출력시키며, 또한, 상기 정지센서(51)(52)로 부터 감지신호가 감지되면 오일의 이동이 차단되도록, 상기 컴프레서(20)의 압송구동을 정지시키고 상기 전자밸브(40)를 중립의 위치로 이동시킨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하여, 소화기(F)가 자동차의 시트 쿠션(1)내의 공간부에 수납되어 있을 때에는, 실린더(50) 내의 피스톤이 후진된 상태를 유지하고, 전자밸브(40)는 중립에 위치하며, 컴프레서(20)는 정지상태이다. 이때, 사용자가 소화기(F)를 꺼내기 위해 작동스위치(SW)의 인출모드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0)에서 컴프레서(20)를 작동시켜 리저버 탱크(30)로 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압송이송관(21)을 통하여 압송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40)의 유로를 제어하여 이 압송되는 오일이 입출이송관(41)을 통하여 실린더(50)에 유입되도록 하고, 이때, 입출이송관(42)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일이 리저버 탱크(30)로 수집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60)내의 피스톤이 상사점까지 전진되면 상사점정지센서(52)에 의해 이를 감지한 제어부(10)에서, 컴프레서(2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40)의 유로를 중립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여 실린더의 피스톤이 전진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이때, 실린더(50)의 전진된 피스톤 로드와 함께 소화기(F)가 시트 쿠션(1)의 전방으로 돌출 됨으로 운전자가 용이하게 이 소화기(F)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소화기(F)를 시트 쿠션(1) 내부의 공간부에 수납시키기 위해 작동스위치(SW)의 수납모드를 작동시키면, 제어부(10)에서 컴프레서(20)를 작동시켜 리저버 탱크(30)로 부터 공급되는 오일을 압송이송관(21)을 통하여 압송시키며, 전자밸브(40)의 유로를 제어하여 압송되는 오일이 입출이송관(42)을 통하여 실린더(50)에 유입되도록 함과 동시에 입출이송관(41)을 통하여 배출되는 오일이 리저버 탱크(30)로 수집되도록 한다. 그리고, 실린더(60)내의 피스톤이 하사점까지 후진구동되면 하사점정지센서(51)에 의해 이를 감지한 제어부(10)에서, 컴프레서(20)의 구동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전자밸브(40)의 유로를 중립의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오일의 흐름을 차단하여 실린더의 피스톤 로드가 후진된 상태로 정지하게 된다. 따라서, 실린더(50)의 피스톤 로드와 함께 후진된 소화기(F)는 시트 쿠션(1)의 공간부로 삽입되어 수납되어 진다.
또한, 자동차 내에서 화재가 발생되면, 화재감지센서(S)에 의해 이를 감지한 제어부(10)에서, 상기 작동스위치(SW)에서 인출모드가 작동되었을 때와 같이 실린더(50)의 피스톤 로드가 전진되도록 상기 컴프레서(20)와 전자밸브(40)를 제어하여 소화기(F)를 시트 쿠션(1)의 전방으로 인출시킴으로써, 운전자가 시트 쿠션(1) 전방으로 인출된 소화기(F)를 용이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일 실시예에 의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에 의하여 자동차의 화재 발생시 소화기가 자동으로 인출됨으로써, 이 소화기를 이용하여 화재를 조기에 진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하지 아니하며, 당업자라면 여러 가지로 그 변형과 응용이 가능할 것이다.

Claims (1)

  1. - -
    내부에 전방으로 개방된 공간부가 형성된 시트 쿠션과; 상기 시트 쿠션의 공간부의 전방에 장착되는 소화기와; 상기 소화기의 전후운동이 가능하게 피스톤 로드가 상기 소화기의 후면에 고정되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에 오일을 압송하는 컴프레서와; 상기 컴프레서에 오일을 공급하는 리저버 탱크와; 상기 실린더, 컴프레서 및 리저버 탱크에 연결되며, 상기 실린더로의 오일 압송과 배출 및 중립이 가능하게 방향 전환되는 전자밸브와; 상기 실린더의 피스톤 행정의 상사점과 하사점에 각각 접속되는 정지센서와; 인출모드와 수납모드를 갖는 작동스위치; 자동차 내부의 화재가 감지되면 일정신호를 출력하는 화재감지센서; 그리고, 상기 작동스위치의 인출모드와 수납모드 및 화재감지센서의 출력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의 방향전환을 제어하고, 상기 정지센서의 접속신호에 따라 상기 전자밸브를 중립으로 전환시키는 제어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KR1019960048920A 1996-10-26 1996-10-26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KR1001958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920A KR100195878B1 (ko) 1996-10-26 1996-10-26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8920A KR100195878B1 (ko) 1996-10-26 1996-10-26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627A KR19980029627A (ko) 1998-07-25
KR100195878B1 true KR100195878B1 (ko) 1999-06-15

Family

ID=194791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8920A KR100195878B1 (ko) 1996-10-26 1996-10-26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8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9121A (zh) * 2020-03-21 2020-07-03 巢湖学院 一种汽车座椅灭火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359121A (zh) * 2020-03-21 2020-07-03 巢湖学院 一种汽车座椅灭火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9627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0718A (en) Anti-fire system for vehicles
US20070119657A1 (en) Lubricant supply device
US20200130651A1 (en) Cleaning device for vehicles, and method for cleaning surfaces on vehicles
KR20130022168A (ko) 오토차량의 안전제동장치
US5950757A (en) Power steering devices
KR100195878B1 (ko) 자동차의 소화기 인출장치
EP0706923A2 (en) Brake fluid pressure controller
US5032061A (en) Hydraulic pumps
JPS57126717A (en) Door opening and closing assisting unit
US5979210A (en) Drawing device for a press with control device for maintaining pressure during press stoppage
US2970336A (en) Windshield clearing system
KR101713704B1 (ko) 브레이크 시스템
KR100391273B1 (ko) 자동차 범퍼의 완충장치
JP3857536B2 (ja) ブレーキ装置
KR0118033Y1 (ko) 유압식 브레이크 장치(hydraulic brake system)
CN206285375U (zh) 一种客车应急灭火装置
US20030192576A1 (en) Cleaning facility for tubing systems of vehicles
KR100300517B1 (ko) 클러치조작장치
KR0138550B1 (ko) 유압식 브레이크의 배력장치
JPH07293589A (ja) 半自動クラッチ操作装置
KR100262073B1 (ko) 영업용 승용차량의 최루가스 분사장치
KR100336375B1 (ko) 엘피지 가스 역류 차단장치
RU2059913C1 (ru) Пневмогидравлический привод
KR0118032Y1 (ko) 차량의 제동력 유지장치(Device for Preventing Brake Force for an Automobile)
JPS63358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219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