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864B1 - 전력공급제어장치 - Google Patents
전력공급제어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95864B1 KR100195864B1 KR1019960015847A KR19960015847A KR100195864B1 KR 100195864 B1 KR100195864 B1 KR 100195864B1 KR 1019960015847 A KR1019960015847 A KR 1019960015847A KR 19960015847 A KR19960015847 A KR 19960015847A KR 100195864 B1 KR100195864 B1 KR 10019586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ower
- unit
- control
- state
- supply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H02J9/04—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 H02J9/06—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 H02J9/062—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in which the distribution system is disconnected from the normal source and connected to a standby source with automatic change-over, e.g. UPS systems for AC powered loads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9/00—Circuit arrangements for emergency or stand-by power supply, e.g. for emergency lighting
-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38—Arrangements for parallely feeding a single network by two or more generators, converters or transform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Stand-By Power Supply Arrangements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 Direct Current Feeding And Distribution (AREA)
- Control Of Electrical Variables (AREA)
Abstract
정전감지부로부터 상용전원의 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가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 되는 전원선택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하면서, 설비의 동작상태를 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상테에 비례한 전력제어신호를 프로세스제어부에서 출력하여, 프로세스제어부의 전력제어신호에 비례한 전력을 전력제어부로부터 각각의 설비에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설비에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발생되는 전원다운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최소의 발전용량의 자가전원으로 최대의 설비를 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제1도는 종래의 전력공급제어장치의 블록도.
제2도는 종래의 전력공급제어장치에 의해 설비에 공급되는 총소비전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의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의 주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의 프로세서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의 전력제어공급부를 도시한 블록도.
제7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방법의 처리단계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전력공급제어방법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9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방법의 프로세스제어부의 제어부를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방법의 전력제어공급부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플로우챠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설비의 운용상태에 따라 공급되는 전력의 비를 도시한 도면.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의 각 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의 총소비전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0 : 주제어부 230, 250, 270 : 프로세스제어부
290, 350, 410 : 전력제어공급부 330, 390, 450 : 상태검출부
370 : 전원선택공급부 490 : 정전감지부
510 : 상용전원 530 : 자가전원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전력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좀 더 구체적으로는 최소의 발전용량의 자가발전 전력에서도 전체의 설비에 효율적인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전력공급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및 그의 문제점]
생산라인에는 상용으로 공급되는 상용전원외에도 정전등의 경우에 대비하기 위해 자가발전기를 설치하고, 정전이 발생되면 자가발전기를 가동시켜 각 설비에 자가발전전력을 공급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자가발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력은 일반적으로 상용으로 공급되는 전력용량에 비해 적다. 제1도는 종래의 전력공급제어장치의 구성을 블록으로 나타낸 것이다. 상용전원(100)이 정상적으로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원부(80)는 상용의 전원을 출력한다. 이와 같은 전원상태에서는 제어부(10)느 전력공급부(20,40,60)를 온오프제어하여 전력이 필요한 각 설비(30,50,70)에 상기 전원부(80)로 부터의 전력을 공급한다. 즉, 제1설비(30)에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제어부(10)는 제1전원공급부(20)를 스위치온시켜 전원부(80)로부터의 전력을 제1설비(30)에 공급한다. 한편, 제2설비(50)는 전력공급이 필요하지 아니하면, 제어부(10)는 제2전원공급부(40)를 스위치오프시켜 전원부(80)로 부터의 전력의 제2설비(50)에 공급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제N설비(70)에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있어서도 제어부(10)는 제N전원공급부(60)를 스위치온시켜 전원부(80)로부터의 전력을 제N설비(70)에 공급한다. 한편, 상용전원(100)이 정상적으로 공급되지 않는 상태에서는 정전판별부(90)에 의해 정전상태가 감지되고, 이 정전감지에 따라 자가 발전기가 작동되면 자가전원(110)의 전력이 전원부(80)로부터 선택되어 공급되기 시작한다. 이와 같은 전원상태에서도 상기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서와 같이, 제어부(10)는 전력공급부(20,40,60)를 제어하여 상기 전원부(80)로부터의 전력을 필요한 각 설비(30,50,70)에 공급한다. 즉, 제1설비(30)에 전력이 필요하지 아니한 경우에, 제어부(10)는 제1전원공급부(20)를 스위치오프시켜 전원부(80)로부터의 전력을 제1설비(30)에 공급하지 아니한다. 그리고, 제2설비(60)에 전력이 필요한 경우에, 제어부(10)는 제2전원공급부(40)를 스위치온시켜 전원부(80)로부터의 전력을 제2설비(50)에 공급한다. 또한 제N설비(70)는 전력공급이 필요하지 아니하면, 제어부(10)는 제N전력공급부(60)를 스위치오프시켜 전원부(80)로부터의 전력을 제N설비(70)에 공급하지 아니한다. 제2도는 종래의 전력공급제어장치의 각 설비의 동작에 따른 소비전력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 제1설비(30)는 대기상테에 있고, 제2설비(50)는 온도상승상태, 제N설비(70)는 공정상태에 있는 경우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각 설비는 최대의 전력이 공급됨으로써, 도면의 하단에 도시된 바와 같이 300%전력(100%×3)이 소요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전력공급제어장치는 공급되는 전원이 상용전원(100)인지 자가전원(110)인지에 관계없이, 전력이 필요한 설비에는 최대의 전력을 공급한다. 그러므로, 종래의 전력공급제어장치는 자가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모든 설비에 일시적으로 최대의 전력을 공급하므로 전원이 다운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에 있거나, 대기상태에 있거나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한정된 전력용량을 효율적으로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발명의 목적]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전력을 필요로 하는 설비의 상태에 따라 적정의 전력을 공급할 수 있고, 전원다운현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력공급제어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발명의 구성]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된 본 발명의 특징에 의하면, 설비들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공급제어장치는 상용 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로부터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정전 감지 신호를 발생하는 정전감지부와', 상기 정전 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자가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 전원 공급부와; 상기 정전 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선택 신호와 동작 개시 신호를 발생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전력 선택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설비들로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자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선택 공급부와;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자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 선택 공급부와; 상기 설비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각 설비의 공정상태를 검출하여 상태 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 개의 프로세스 상태 검출부들과; 상기 프로세스 상태 검출기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동작 개시 신호에 응답해서 동작하고 상기 모드 검출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세스 제어부들 및; 상기 프로세스 제어부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전력 제어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전원 선택 공급부로부터 상기 설비들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복수 개의 전력 제어 공급부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상용 전원부로부터 상기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정전 감지 시호에 응답해서 정전되었는 지의 여부를 인지하여 상기 전원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수행될 프로세스 제어부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동작 개시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동작될 시작 프로세스제어부 및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입력하는 제 1 입력부와 상기 동작 개시 정보를 저장하는 제 1 메모리부와 그리고 지정된 설비의 프로세스가 종료될 때마다 상기 제 1 메모리부에 로드된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카운트하는 프로세스 카운트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부는 두 개의 입력 수단을 가지며, 하나의 입력 수단은 동작될 상기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 수단은 동작될 상기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부는 두 개의 기억 수단을 가지며, 하나의 기억 수단은 동작될 상기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하나의 기억 수단은 동작될 상기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저장하기 위해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운트부의 카운트된 내용과 상기 종료 프로세서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프로세스 제어부들 각각은 상기 동작 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 검출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모드 검출 신호에 응답해서 전력 제어 공급부로 입력되는 제1, 제2, 제3전력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마이크로 컴퓨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보저장 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2 메모리부 및; 복수개의 정보입력수단으로 이루어진제 2 입력부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전력 제어 공급부들 각각은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제 3 마이크로 컴퓨터 및; 상기 받아들이는 제 3 마이크로 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어된 전력을 상기 대응하는 설비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전력 출력 수단을 포함한다.
[작용]
본 발명은 정전판별부로부터 상용 전원의 공급상태를 감지하여 상용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는 자가전원을 공급하고 상용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그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스위칭 되는 전원선택공급부에 의해 전력을 공급함과 동시에, 설비의 동작상태를 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상태에 비례한 제어신호를 프로세스 제어부에서 출력하여, 프로세스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비례한 전력을 전원제어부로부터 각각의 설비에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설비에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발생되는 전원다운 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최소의 발전용량의 자가전원으로 최대의 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제3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의 1실시예는 1개의 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상용전원(510) 또는 자가전원(530)으로부터의 전력을 공정상태에 따라 제1설비(310)에 차등공급하는 전력공급제어장치의 예에 대한 것이다. 먼저 제1상태검출부(330)에 의해 상기 제1설비(310)의 운용상태를 검출하여 그 결과로서 상태 감지 (또는 검출)신호를 발생하고, 상기 제1상태검출부(330)로부터 검출된 설비의 운용상태를 제1프로세스제어부(230)에 기억된 운용상태의 조건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소정의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러면, 제1전력제어공급부(290)는 상기 전원선택공급부(47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을 상기 프로세스제어부(230)의 전력제어신호에 따라 제1설비(310)에 공급한다. 한편, 사용자는 제1프로세스제어부(230)의 제1운용상태기록수단(또는 입력수단)(239)를 통해 제1운용상태의 조건값(예컨대, A또는 E 또는 G)을 제1운용상태기록수단(236)에 기입시키고, 제2운용상태기록수단(240)을 통해 제2운용상태의 조건값(예컨대, B또는 D 또는 F)을 제2운용상태기억수단(237)에 기입시키고, 제3운용상태기록수단(241)을 통해 제3운용상태의 조건값(예컨대, C)을 제3운용상태기록수단(저장 또는 메모리 수단)(238)에 각각 기입시켜 둔다. 상기와 같이 설비의 운용상태의 조건값을 기억시켜둔 상태에서, 프로세스제어부제어수단(235)은 상태검출부(330)를 통해 설비의 운용상태를 검출하여 검출상태기억수단(242)에 기억시키고, 검출상태기억수단(242)에 기억된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운용상태기억수단(236-238)에 기억된 값의 어느 조건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이와같이 판단한 결과에 따라 프로세스제어부제어수단(235)은 제1운용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1전력제어신호출력수단(232)을 통해 제1전력제어신호(예컨대, 0%의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운용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2전력제어신호출력수단(233)을 통해 제2전력제어신호(예컨대, 50%의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운용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3전력제어신호출력수단(234)을 통해 제3전력제어신호(예컨대, 100%의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는 제1설비에 공급할 제1전력값을 제1전력값기록수단(299)을 통해 제1전력값기억수단(296)에, 제2전력값을 제2전력값기록수단(300)을 통해 제2전력값기억수단(297)에, 제3전력값을 제3전력값기록수단(301)을 통해 제3전력값기억수단(298)에 각각 기억시켜 둔다. 상기와 같이 설비에 공급할 전력값을 제1전력제어공급부(290)에 기억시켜둔 상태에서 상기 프로세스제어부(230)로부터의 전력제어신호가 전력제어신호입력수단(291)을 통해 입력되면, 전력제어신호입력수단(295)은 전력제어신호입력수단(291)에 입력된 값이 상기 제1 내지 제3전력값기억수단(296-298)에 기억된 값의 어느 조건과 일치하는지 비교한다. 이와같이 판별된 결과에 따라 전력제어부제어수단(295)은 제1 전력제어신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1전력출력수단(292)을 통해 제1전력(예컨대, 0%의 전력)을, 제2전력제어신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2전력출력수단(293)을 통해 제2전력(예컨대, 50%의 전력)을, 제3전력제어신호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3전력출력수단(294)을 통해 제3전력(예컨대, 100%의 전력)을 설비에 공급한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2실시예는 1개의 설비에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용전원(510) 또는 자가전원(530)으로부터의 전력을 공정상태에 따라 제1설비(310)에 차등공급하는 전력공급제어장치의 예에 대한 것이다. 먼저 설비상태검출단계(S301)로 진행하여 상기 제2설비의 운용상태를 검출한다. 그리고, 프로세스제어단계(S302)로 진행하여 상기 설비 상태 검출 단계(S301)로부터 검출된 설비의 운용상태를 판별하여 소정의 전력제어 신호를 출력한다. 마지막으로, 전력제어공급단계(S303)로 진행하여 상기 프로세스제어단계(S302)에서의 전력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력을 설비에 공급하게 된다.
상기 프로세스제어단계(S302)에서는 우선 상태검출기억단계(S82)를 통해 설비의 운용상태를 검출하여 기억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억된 설비의 운용상태가 제1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1운용상태판별단계(S83)로 진행하여 판별하거나, 제2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2운용상태판별단계(S83)로 진행하여 판별하거나 제3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운용상태판별단계(S84)로 판별하거나, 제3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운용상태판별단계(S85)로 진행하여 판별하는 단계를 처리한다. 이와 같이 판별된 결과가 제1운용상태판별단계(S83)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제1전력제어신호출력단계(S86)를 통해 제1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운용상태판별단계(S84)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제2전력제어신호출력단계(S87)를 통해 제2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운용상태판별단계(S85)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제3전력제어신호출력단계(S88)를 통해 제3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처리한다. 또한 전력제어공급단계(S303)에서는 전력제어신호입력단계(S112)를 통해 상기 프로세스제어단계(S302)로부터의 전력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전력제어신호가 제1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1전력판별단계(S113)로 진행하여 판별하거나. 제2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2전력판별단계(S114)로 진행하여 판별하거나. 제3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전력판별단계(S115)로 진행하여 판별하는 단계를 처리한다. 이와같이 처리하여 판별된 결과가 제1전력판별단계(S113)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설비에 제1전력을 출력하는 제1전력출력단계(S116)를, 제2전력판별단계(S114)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설비에 제2전력을 출력하는 제2전력출력단계(S117)를, 제3전력판별단계(S115)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설비에 제3전력을 출력하는 제3전력출력단계(S118)를 처리한다.
[실시예 3]
본 발명의 3실시예는 다수의 설비(310,370,430)의 운용상태를 상태검출부(330,390,450)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상태를 프로세스제어부(230, 250, 270)에서 판별하여 대응되는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면 그 제어신호에 따라 상용전원(510)또는 자가전원(530)의 전력을 전력제어 공급부(290, 350, 410)를 통해 제어하여 각각의 설비에 차등공급하는 전력공급제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주제어부(210)는 정전감지부(490)로부터 정전감지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상용전원(510)을, 정전감지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자가전원(530)을 선택하도록 전원선택공급부(470)를 제어하면서, 상기 프로세스제어부(230, 250, 270)가 동작되도록 순차적으로 동작개시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제4도에서, 상기 주제어부(210)를 구성하는 수단들(211-216,219,220,221,,224)은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기능한다.
상기 주제어부(210)로부터 동작개시제어신호에 따라 프로세스제어부(230,250,270)의 동작이 개시되면, 프로세스제어부(230,250,270)는 상태검출부(330,390,450)로부터 상기설비(310,370,430)의 운용상태를 검출하고, 상기상태검출부(330,390,450)로부터 검출된 설비의 운용상태를 프로세스제어부(230,250,270)에 기억된 운용상태의 조건과 비교하여 해당되는 소정의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전력제어공급부(290,350,410)는 상기프로세스제어부(230,250,270)의 제어신호에 따라 소정의 전력을 설비(310,370,430)에 각각 공급하게 된다.
상기 주제어부(210)는 동작이 개시되면, 우선 정전상태기억수단(213)을 예컨대 비정전상태인 논리 거짓(.F.)으로 초기화 시킨다.
그리고 정전감지부(490)로부터정전감지신호가 있는지 정전감지판별수단(216)으로 판별하여 정전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자가전원(530)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제어신호출력수단(221)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로 전력선택신호로서 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정전상태기록수단(212)을 통해 정전상태 기억수단(213)을 정전상태(예컨대, .T.)로 기억시킨다.
한편 상기 정전감지판별수단(216)에서 비정전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상용전원(510)을 공급하도록 전원공급부제어신호출력수단(221)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로 전력선택신호로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이어서,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할 설비의 시작번호를 프로세스시작번호기록수단(217)을 통해 프로세스시작번호기억수단(222)에 기억시키고,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할 설비의 마지막번호를 프로세스종료번호기록수단(218)을 통해 프로세스종료번호기록수단(223)에 기억시키고, 프로세스카운트수단(219)을 시작번호기억수단(222)의 값으로 기억시킨다. 상기 프로세스시작 및 종료번호기억수단(222,223)은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한다.
이렇게 설비의 번호가 기억된 상태에서 먼저 프로세스카운트수단(219)에 기억된 번호(예컨대, 2번)에 해당되는 설비(예컨대, 370)의 프로세스제어부(예컨대, 250)로 프로세스제어신호출력수단(224)을 통해 동작개시 제어신호가 출력되게 된다.
상기와 같이 특정의 제2프로세스제어부(250)가 지정되면, 그 제2프로세스제어부(250)의 프로세스제어부제어수단(235)은 동작개시수단(231)에 의해 동작개시신호(또는 동작개시정보)를 입력받고, 제2상태검출부(390)를 통해 제2설비(370)의 운용상태를 검출하여 검출상태기억수단(242)에 기억시킨다.
한편, 사용자는 제1프로세스제어부(230)의 제1운용상태기록수단(또는 입력수단)(239)를 통해 제1운용상태의 조건값(예컨대, A또는 E 또는 G)을 제1운용상태기록수단(236)에 기입시키고, 제2운용상태기록수단(240)을 통해 제2운용상태의 조건값(예컨대, B또는 D 또는 F)을 제2운용상태기억수단(237)에 기입시키고, 제3운용상태기록수단(241)을 통해 제3운용상태의 조건값(예컨대, C)을 제3운용상태기록수단(저장 또는 메모리 수단)(238)에 각각 기입시켜 둔다. 상기 수단들(236, 237, 238)은 저장 또는 메모리 수단으로 기능하고, 상기 수단들(239, 240, 241)은 입력수단으로서 기능한다.
그리고, 프로세스제어부제어수단(235)은 상기 검출상태기억수단(242)에 기억된 제2설비의 상태가 제1운용상태기억수단(236)에 기억된 제1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2운용상태기억수단(237)에 기억된 제2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운용상태기억수단(238)에 기억된 제3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한다. 제5도에서, 상기 프로세스제어부제어부(230)를 구성하는 수단들(231-235,242)은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기능한다.
프로세스제어부제어수단(235)은 상기에서의 판단결과가 제1운용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1전력제어신호출력수단(232)을 통해 제1전력제어신호(예컨대, 0%의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운용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2전력제어신호출력수단(233)을 통해 제2전력제어신호(예컨대, 50%의 전력제어신호)를 제3운용상태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3전력제어신호출력수단(234)을 통해 제3전력제어신호(예컨대, 100%의 전력제어신호)를 제2전력제어공급부(350)로 출력하게 된다. 제6도에서 상기 전력제어공급부(350)를 구성하는 수단들(291, 295-301)은 마이크로컴퓨터로서 기능한다.
상기 제2프로세스제어부(250)로부터 전력제어신호가 있으면, 제2전력제어공급부(350)의 전력제어부제어수단(295)는 전력제어신호를 전력제어신호입력수단(291)을 통해 입력받는다.
이와같이 전력제어신호가 입력되면 전력제어부제어수단(295)은 그 전력제어신호가 제1전력값기억수단(296)에 기억된 제1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2전력값기억수단(297)에 기억된 제2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전력값기억수단(298)에 기억된 제3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판단하게 된다.
전력제어부제어수단(295)은 상기에서의 판단결과가 제1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1전력출력수단(292)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로부터의 전력을 예컨대 0%로, 제2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2전력출력수단(293)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로부터의 전력을 예컨대 50%로, 제3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 경우에는 제3전력출력수단(294)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로부터의 전력을 100%로 제어하여 제2설비(370)에 공급한다.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면, 주제어부(210)의 주제어부제어수단(220)은 정전감지판별수단(216)을 통해 정전감지부(490)로부터 정전감지신호가 있는지 판단하고, 정전으로 판별된 경우에 정전상태기억수단(213)에 기억된 값이 정전인지(예컨대, .T.) 판단한다.
이때, 비정전상태((예컨대, .F.)로 판별된 경우에 전원공급제어신호출력수단(221)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을 제어하여 자가전원(530)을 선택하도록 한 후, 정전상태기록수단(212)을 제어하여 정전상태기억수단(213)을 정전상태(예컨대, .T.)로 기억시킨다.
한편, 상기 정전감지부(490)로 부터의 정전감지신호가 비정전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정전상태기억수단(213)에 기억된 값이 정전인지(예컨대, .T.) 판단한다.
이때, 정전상태((예컨대, .F.)로 판별된 경우에 전원공급부제어신호출력수단(221)을 통해 전원선택공급부(470)을 제어하여 상용전원(510)을 선택하도록 한 후, 정전상태기록수단(212)을 제어하여 정전상태기억수단(213)을 비정전상태(예컨대, .F.)로 기억시킨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이루어지면, 주제어부(210)의 주제어부제어수단(220)은 프로세스카운트수단(219)의 값을 1증가시키고(예컨대, 3), 제3프로세스제어부에 동작개시신호를 출력하게 된다. 이와같이 하여 프로세스 종료번호기록수단(218)에 기억된 설비까지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모든 동작을 마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동작을 계속 진행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의 제어를 계속 진행하게 되고 마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모든 동작을 종료시키게 된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4실시예는 다수의 설비(310,370,430)의 운용상태를 상태검출부(330,390,450)로 검출하고 그 검출된 상태를 프로세스제어부(230, 250, 270)에서 판별하여 대응되는 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면 그 제어신호에 따라 상용전원(510)또는 자가전원(530)의 전력을 전력제어 공급부(290, 350, 410)를 통해 제어하여 각각의 설비에 차등공급하는 전력공급제어장치에 대한 것이다.
먼저 정전기억상태초기화단계(S20)로 진행하여 정전상태기억을 비정전상태로 초기화 시키고, 제1정전감지판별단계(S30)로 진행하여 정전감지신호가 있는지 판단한다.
상기 제1정전감지판별단계(S30)에서 정전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제1자가전원선택단계(S40)로 진행하여 자가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하고, 제1정전상태기억단계(S60)로 진행하여 정전상태로 기억시킨다.
상기 제1정전감지판별단계(S30)에서 비정전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상요 전원선택단계(S50)로 진행하여 상용전원을 공급하도록 제어한다.
이어서 주제어부제어수단초기화단계(S70)로 진행하여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할 설비의 시작번호와,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할 설비의 마지막 번호를 기억시킨다.
상기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할 설비번호로 지정된 프로세스제어부에 프로세스제어부제어단계(S80)를 통해 동작개시 제어신호를 출력한다.
프로세스제어부제어단계(S80)에서는 상기의 동작개시 제어신호를 입력받으면, 우선 설비상태검출단계(S82)로 진행하여 설비의 운용상태를 검출하여 검출상태를 기억시킨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기억된 설비의 운용상태가 제1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1운용상태판별단계(S83)로 진행하여 판단하거나, 제2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21운용상태판별단계(S84)로 진행하여 판단하거나, 제3운용상태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운용상태판별단계(S85)로 진행하여 판단한다.
이와 같이 판별된 결과가 제1운용상태판별단계(S83)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제1전력제어신호출력단계(S86)를 통해 제1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2운용상태판별단계(S84)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제2전력제어신호출력단계(S87)를 통해 제2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고, 제3 운용상태판별단계(S85)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제3전력제어신호출력단계(S88)를 통해 제3전력제어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처리한다.
이어서, 전력제어공급부제어단계(S89)로 진행하여 제10도에 도시된 전력제어신호입력단계(S112)를 통해 상기 전력제어신호를 입력받는 단계를 처리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입력된 전력제어신호가 제1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1전력판별단계(S113)로 진행하여 판별하거나, 제2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2전력판별단계(S114)로 진행하여 판별하거나, 제3전력값의 조건에 해당되는지 제3전력판별단계(S115)로 진행하여 판별하는 단계를 처리한다.
이와같이 처리하여 판별된 결과가 제1전력판별단계(S113)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설비에 제1전력을 출력하는 제1전력출력단계(S116)를, 제2전력판별단계(S114)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설비에 제2전력을 출력하는 제2전력출력단계(S117)를, 제3전력판별단계(S115)를 성립시킨 경우에는 설비에 제3전력을 출력하는 제3전력출력단계(S118)를 처리한다.
상기의 동작이 이루어지게 되면, 주제어부(210)는 제8도의 제2정전감지판별단계(S90)로 진행하여 정전감지신호가 있는지 판단하고, 정전으로 판별된 경우에 제1정전상태기억판별단계(S100)로 진행하여 정전상태기억값이 정전인지 판단한다.
이때, 비정전상태((예컨대, .F.)로 판별된 경우에 제2자가 전원선택단계(S110)로 진행하여 전원선택공급부을 제어하여 자가전원을 선택하도록 한 후, 제2정전상태기억상태(S210)로 진행하여 정전상태로 기억한다.
한편, 상기 제2정전감지판별단계(S90)에서 비정전상태((예컨대, .T.)로 판별된 경우에 제2정전상태기억판별단계(S130)로 진행하여 정전상태기억이 정전인지 판단한다.
이때, 정전기억상태로 판별된 경우에 제2상용 전원선택단계(S140)로 진행하여 상용전원을 선택하도록 한 후, 비정전상태기억단계(S150)로 진행하여 비정전상태로 기억한다.
상기와 같은 동작이 수행은 설비수 만큼 주제어부반복루프처리단계(S71)에 의해 처리된다. 이와같이 하여 전력제어프로세스를 수행한 후, 종료처리판별단계(S160)로 진행하여 모든 동작을 마칠 것인지 판단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동작을 계속진행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상기의 단계를 계속 진행하게 되고 마칠 것으로 판단된 경우에는 모든 단계를 종료시키게 된다.
상기 실시예에서는 설비의 운용상태가 오프상태(A,G), 대기상태(B,F), 온도상승단계(C), 공정상태(D), 온도하강상태(E)로 구분하여 나타내었으나 운용하고자 하는 설비의 특성 및 공정의 성격에 따라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설비에 공급되는 제어전력을 전원으로부터의 전력의 0%와 50% 및 100%로 제어하여 공급하도록 되었으나, 다른 비율로서 제어가 가능할 뿐만 아니라, 여러단계로 세분화 시켜 제어할 수 도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력공급제어장치에 의해 전력이 공급되는 설비의 총소비전력비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설비(310)는 대기상태(B)에 있고, 제2설비(370)은 온도 상승상태(C), 제N설비(430)는 공정상태(D)에 있는 경우를 나타내었다. 제1설비(310)에는 50%의 전력, 제2설비(370)에는 100%의 전력, 제N설비(430)는 50%의 전력이 각각 공급되어 총 200%의 전력이 공급된다.
결과적으로 종래에서는 300%의 전력이 소비되던 것이, 본 발명의 전력공급제어장치에 의하면 200%의 전력만을 소비하게 된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은 종래의 자가전원이 공급되고 있는 상태에서 전력을 필요로하는 모든 설비에 일시적으로 최대의 전력을 공급하므로 전력이 다운되는 문제점과 설비가 정상적으로 작동되는 상태에 있거나 대기상태에 있거나에 관계없이 일정한 전력을 공급하기 때문에 한정된 전력용량을 효율적으로 공급하지 못하는 문제점을 해결한 것으로, 설비의 동작상태를 상태검출부에 의해 검출하고, 그 검출상태에 비례한 전력제어신호를 프로세스제어부에서 출력하여, 프로세스제어부의 전력제어신호에 비례한 전력을 전원제어부로부터 설비에 공급함으로써, 각각의 설비에 일시적으로 전력을 공급할 때, 발생되는 전원다운현상을 방지함과 더불어 최소의 발전용량의 자가전원으로 최대의 설비를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Claims (9)
- 설비들로 공급되는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 공급 제어장치에 있어서; 상용전원을 공급하는 상용 전원부와, 상기 상용 전원부로부터 상용 전원이 공급되는 지의 여부를 검출하여 정전 감지신호를 발생하는 정전 감지부와, 상기 정전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자가 전원을 공급하는 자가 전원공급부와, 상기 정전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 선택 신호와 동작 개시 신호를 발생하는 주 제어부와, 상기 전력 선택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설비들로 상기 상용 전원과 상기 자가 전원을 선택적으로 공급하는 전원선택 공급부와, 상기 설비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각 설비의 공정상태를 검출하여 상태검출 신호를 발생하는 복수개의 프로세스 상태 검출부들과, 상기 프로세스 상태 검출부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동작 개시 신호에 응답해서 동작하고 상기 모드 검출 신호에 응답해서 전원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프로세스 제어부들 및, 상기 프로세스 제어부들에 각각 대응하며, 각각이 상기 전력 제어 신호에 응답해서 상기 전원 선택 공급부로부터 상기 설비들로 공급되는 전력량을 제어하는 복수개의 전력 제어 공급부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제어부는 상기 상용 전원부로부터 상기 상용 전원이 공급되지 않을 때 상기 정전 감지 신호에 응답해서 정전되었는 지의 여부를 인지하여 상기 전원 선택 신호를 발생하고, 수행될 프로세스 제어부들 중 하나에 대응하는 동작 개시 신호를 발생하는 제 1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 제2항에 있어서, 동작될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 및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입력하는 제1입력부와, 상기 동작 개시 정보를 저장하는 제1메모리부와, 그리고 지정된 설비의 프로세스 가 종료될 때마다 상기 제 1 메모리부에 로드된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카운트하는 프로세스 카운트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입력부는 두 개의 입력 수단을 가지며, 하나의 입력수단은 동작 될 상기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공되고, 다른 하나의 입력 수단은 동작될 상기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입력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메모리부는 두 개의 기억 수단을 가지며, 하나의 기억 수단을 동작될 상기 시작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저장하고, 다른 하나으 기억수단은 동작될 상기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스 카운트부의 카운트된 내용과 상기 종료 프로세스 제어부의 동작 개시 정보를 비교하는 수단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프로세스 제어부들 각각은 상기 동작 개시 신호에 따라 상기 모드 검출 신호를 받아들여 상기 모드 검출 신호에 응답해서 전력 제어 공급부로 입력된느 제1, 제2, 제3전력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 2 마이크로컴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 제7항에 있어서, 복수개의 정보 저장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2 메모리부 및, 복수개의 정보 입력 수단으로 이루어진 제 2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전력 제어 공급부들 각각은 상기 전력 선택 공급부로부터 대응하는 설비로 공급되는 전력량이 제어되도록 상기 프로세스 제어부들 중 하나의 프로세스 제어부로부터의 상기 전력 제어 신호를 받아들이는 제 3 마이크로컴퓨터 및, 상기제 3 마이크로컴퓨터의 제어에 의해서 상기 제어된 전력을 상기 대응하는 설비로 공급하는 복수개의 전력 출력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력 공급 제어장치.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5847A KR100195864B1 (ko) | 1996-05-13 | 1996-05-13 | 전력공급제어장치 |
TW086105960A TW332943B (en) | 1996-05-13 | 1997-05-05 | Power supply for use with semiconductor fabrication facilities |
US08/855,239 US5859480A (en) | 1996-05-13 | 1997-05-13 | AC power supply controller for use in semiconductor fabrication facilities |
JP12210997A JP3593438B2 (ja) | 1996-05-13 | 1997-05-13 | 電力供給制御装置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15847A KR100195864B1 (ko) | 1996-05-13 | 1996-05-13 | 전력공급제어장치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70077887A KR970077887A (ko) | 1997-12-12 |
KR100195864B1 true KR100195864B1 (ko) | 1999-06-15 |
Family
ID=194585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15847A KR100195864B1 (ko) | 1996-05-13 | 1996-05-13 | 전력공급제어장치 |
Country Status (4)
Country | Link |
---|---|
US (1) | US5859480A (ko) |
JP (1) | JP3593438B2 (ko) |
KR (1) | KR100195864B1 (ko) |
TW (1) | TW332943B (ko)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5942811A (en) * | 1997-07-28 | 1999-08-24 | Sony Corporation | Apparatus and method for extending the supply of reserved power during a line power interruption |
US6348777B1 (en) | 2000-02-29 | 2002-02-19 | Alaris Medical Systems, Inc. | Power management system |
JP5263933B2 (ja) * | 2008-03-19 | 2013-08-14 | 日本電気通信システム株式会社 | マルチ電源装置、該装置に用いられる電力供給方法、及び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4277692A (en) * | 1979-06-04 | 1981-07-07 | Tab Products Company | Continuous power source with bi-directional converter |
US5289046A (en) * | 1992-06-10 | 1994-02-22 | Digital Equipment Corporation | Power converter with controller for switching between primary and battery power sources |
US5642002A (en) * | 1993-10-29 | 1997-06-24 | Alpha Technologies | Apparatus and methods for generating uninterruptible AC power signals |
JP3250354B2 (ja) * | 1993-12-24 | 2002-01-28 | オムロン株式会社 | 電源装置 |
US5619077A (en) * | 1994-03-18 | 1997-04-08 | Holophane Lighting, Inc. |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alternate AC voltage |
-
1996
- 1996-05-13 KR KR1019960015847A patent/KR10019586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
- 1997-05-05 TW TW086105960A patent/TW332943B/zh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 1997-05-13 US US08/855,239 patent/US5859480A/en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7-05-13 JP JP12210997A patent/JP3593438B2/ja not_active Expired - Fee Rela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5859480A (en) | 1999-01-12 |
JPH1070852A (ja) | 1998-03-10 |
KR970077887A (ko) | 1997-12-12 |
JP3593438B2 (ja) | 2004-11-24 |
TW332943B (en) | 1998-06-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0587637C (zh) | 可编程控制器 | |
KR970002530A (ko) | 복수의 전력사용계의 동작제어장치 및 동작제어방법 | |
US5151683A (en) | Power supply control device in fire alarm system | |
US5887178A (en) | Idle state detector and idle state detecting method for a microprocessor unit for power savings | |
KR100195864B1 (ko) | 전력공급제어장치 | |
JP2508305B2 (ja) | 初期値決定装置 | |
CN111407157A (zh) | 一种用于烹饪器具的控制板控制方法及烹饪器具 | |
JPH08194021A (ja) | 電池電圧の監視方法及び監視装置 | |
KR970003275Y1 (ko) | 경보출력 제어장치 | |
CN1027612C (zh) | 具有用于已收到信息的支持装置的选择呼叫接收机 | |
KR0138615B1 (ko) | 리모콘을 이용한 데아타 백업장치 및 그 방법 | |
JPH1141819A (ja) | 単独運転検出装置及び単独運転検出方法 | |
JPS6253860B2 (ko) | ||
JPH0664673B2 (ja) | 監視警報装置 | |
KR0169623B1 (ko) | 펜을 입력수단으로 사용하는 휴대용 단말시스템의 배터리 잔류전원 검출장치 및 그 방법 | |
JP3415897B2 (ja) | 火災発信機 | |
JPS59194254A (ja) | 運転状態変化要因判定方式 | |
JPS62102646A (ja) | 自己診断方式 | |
JPS61267810A (ja) | 停電検出判定回路 | |
JPH0680154U (ja) | 機器監視制御装置 | |
KR950007938B1 (ko) | 선반형 프로그래머블 로직 콘트롤러의 리세트 처리방법 | |
JPH05308714A (ja) | 電源電圧監視方法 | |
JPH06202889A (ja) | 多重入出力回路系の故障検出装置 | |
JPH05313710A (ja) | プログラマブルコントローラ | |
JPH1092096A (ja) | 電源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5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6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