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690B1 -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 Google Patents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690B1
KR100195690B1 KR1019960040111A KR19960040111A KR100195690B1 KR 100195690 B1 KR100195690 B1 KR 100195690B1 KR 1019960040111 A KR1019960040111 A KR 1019960040111A KR 19960040111 A KR19960040111 A KR 19960040111A KR 100195690 B1 KR100195690 B1 KR 1001956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edged soil
dredged
soil
pipe
si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01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1299A (ko
Inventor
임철웅
Original Assignee
유영을
주식회사한국종합엔지니어링
임철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영을, 주식회사한국종합엔지니어링, 임철웅 filed Critical 유영을
Priority to KR10199600401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690B1/ko
Publication of KR199800212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12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6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690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02Improving by compacting
    • E02D3/10Improving by compacting by watering, draining, de-aerating or blasting, e.g. by installing sand or wick drai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50/00Production methods
    • E02D2250/0053Production methods using suction or vacuum techniqu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Investigation Of Foundation Soil And Reinforcement Of Foundation Soil By Compacting Or Drainage (AREA)

Abstract

1.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원형연성주름관(7)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1)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 시공법.
2. 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간석지 등의 수심이 얕은 바닷가의 현장조건이나 지역의 특성에 구애됨이 없이 시설공정의 간소화로서 시공설치 비용을 적게 할 수 있도록 하며, 준설토지반(8)을 진공압밀 탈수촉진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함.
3.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준설토투기장(1)의 내부에 다수의 중량추(6)을 걸어묶음시켜 형성한 여과주름관인 원형연성주름관(7)을 수평드레인공법으로 시공 설치한 다음, 준설토를 매립하여 준설토지반(8)을 형성하여 준설토지반(8)이 가지는 자체의 밀폐성에 의하여 준설토지반(8)이 전단파괴현상이 발생되는 일이없이 진공압밀 탈수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
4. 발명의 중요한 용도
준설토투기장에 형성되는 준설토지반(8)에 함유되어 있는 수분(물)을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켜 준설토지반을 견고하게 함.

Description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浚渫土投棄場)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제1도는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하여 간석지(干潟地)에 제방을 축조하여 형성한 준설투기장(浚渫投棄場)에 중량추를 걸어 묶음시킨 원형연성주름관을 스평드레인공법으로 시공설치한 상태의 단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준설투기장에 준설토를 매립한 상태의 단면도.
제3도는 제2도에서 준설투기장 상부의 바닷물을 품어낸 상태의 단면도.
제4도는 제2도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제5도는 제3도의 요부를 확대하여 보인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을 시공설치한 상태에서 일부를 절개하여 보인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준설토투기장 1a : 바닷물
2 : 제방 3 : 원바다
4 : 집수관 5 : 밀폐관
6 : 중량추 7 : 원형연성주름관
8 : 준설토지반
본 발명은 간석지(干潟地)나 수심이 얕은 바닷가의 적정지역을 선정하여 제방을 축조하여주므로 형성되어지는 준설토투기장(浚渫土投棄場)의 내부에 다수개의 중량추를 임의 간격으로 걸어 묶음시킨 원형연성주름관을 수평드레인공법으로 시공설치하되, 원형연성주름관은 집수관에 연결시킨 밀폐수지관에 연결하여 준설토투기장내의 바닷물에 설치하여 주므로서 원형연성주름관이 중량추의 무게에 의하여 준설토투기장의 바닥면으로 가라앉으면서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도록하며, 이와 같은 상태에서 준설토투기장내부에 준설토(浚渫土)를 준설 매립하여 주무로서 형성되는 준설토지반의 내부에 함유하고 있는 물을 진공압밀에 의해 탈수 촉진시킬 수 있도록 제안된 여과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浚渫土投棄場)의 진공압밀 탈수촉진시공법에 관한 것으로 준설토를 준설 매립한 준설토투기장이나 간척지 등의 현장조건이나 직역의 특색에 구애됨이 없이 용이하게 시공 설치할 수 있으며 수평드레인만을 시공 설치한 상태에서도 별도의 성토 층을 증설하거나 진공막을 설치하는 일이 없이 진공압밀탈수촉진작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함에 주안점을 둔 것이다.
종래의 제안된 특허공고 제96-3745호(96.3 22)에 있어서는 점성토로 이루어진 연약지반의 상부에 반드시 모래배수층과 성토층을 순차적으로 적층되게 설치하면서 여과용주름관(원형연성주름관)을 수직상태와 수평상태로 되게 설치하는 공법으로 연약지반의 탈수효과는 원활하였으나 탈수작용을 반드시 성토 층의 하중에만 의존하였으므로 토질 및 현장조건이나 지역의 특성에 적합하지 않으면 시공상의 어려움으로 시설비가 많아지게 되어 비경제적이며, 특히 한정된 지역에만 실시되고 있으므로 보편성이 적은 결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진공압밀 시공과정에서 발생된 문제점을 해소시키면서 진공압밀법의 특성을 개량하여 탈수기능을 향상시키므로 서 급소지반의 개량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하며, 진공압인 대기압(1.0kg/㎠)이 하중으로 작용될 경우 지중에 의한 부압상태의 간극수압이 작용되어 전단파괴현상이 발생되는 일이 없이 강제압밀탈수기능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제안하였다.
즉, 갯벌이나 준설토지반이 가지는 지반자체의 밀폐 성을 이용하여 진공압을 겸용할 수 있는 진공압밀공법을 개량하였으며, 준설토매립지반(Hydraulic Fill)에 대해서 초기 상태부터 진공 막이 필요하지 않은 진공압밀공법으로 급속탈수 할 수 있도록 개량하여 토지의 조건이나 지역의 특성에 구애됨이 없이 시공 설치할수 있도록 제안된 것으로서 이를 첨부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간석지(干潟地)나 수심이 얕은 바닷가의 적정지역에 임의 면적을 설정할 여 제방(2)를 축조하므로서 원바다(3)과 분리되는 준설토투기장(1)을 형성한다.
준설토투기장(1)을 형성하는 제방(2)의 상부에는 집수관(4)를 설치하여 밀폐관(5)와 다수의 중량추(6)을 임의 간격으로 걸어 묶음 시켜 형성한 원형연성주름관(7)을 순차적으로 연설한다.
상기의 중량추(6)을 설치한 원형연성주름관(7)을 준설토투기장에 가둬진 바닷물(1a)에 수평드레인공법으로 시공설치하여 원형연성주름관(7)이 중량추(6)의 지중에 의하여 바닷물(1a)의 해수면 아래로 가라앉으면서 준설토투기장(1)의 바닥 면에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설치되게 한 다음, 준설토투기장(10에 준설토를 매립하여 준설토지반(8)을 형성하는 것이며, 준설토지반(8)을 형성하는 준설토를 원바다(3)의 수심이 얕은 바닥이나 항로에 매워진 초연약지반 또는 갯벌 등을 준설하여 공급하는 것이며, 이때 준설토투기장(1)내에 담수 되어 있는 바닷물(1a)은 제방(2)에 형성한 배수통로(도시생략)을 통하여 원바다(3)로 넘쳐 배수되며, 준설토지반(8)의 상부에 채워져 있는 바닷물(1a)은 원바다(3)으로 품어 내므로 본 발명의 시공설치작업이 완료된다.
도면중 미설명부호 3a는 원바다(3)의 바닥을 준설하여 형성되는 항로, 3b는 선박 4a는 진공펌프를 표시한 것이며, 제6도에서 원 내부에 도시한 부분확대도는 원형연성주름관(7)의 구조를 확대 도시하여 보인 단면도로서 내부에 요입륜(10)과 돌출륜(11)을 형성하며 요입륜(10)의 둘레부에 다수의 배수공(12)를 뚫어 형성한 주름관체(13)에 여과포(14)를 둘러씌운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이와같은 본 발명은 수심이 얕은 바닷가의 적정지역을 선택하여 제방(2)를 축조하므로서 원바다(3)의 바닷가 측으로 형성되는 준설토투기장(1)에는 바닷물(1a)이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바지선 등의 선박을 이용하여 중량추(6)을 걸어 묶은 상태의 원형연성주름관(7)을 바닷물(1a)에 수평드레인공법으로 시공 설치하여 주게되면 중량추(6)의 자중에 의해서 바닷물(1a)의 하방으로 가라앉으면서 원형연성주름관(7)이 준설토투기장(1)의 바닥면에 수평상태로 나란하게 시공 설치되게 된다.
이와같이 준설토투기장(1)의 내부에 다수의 원형연성주름관(7)을 시공 설치한 상태에서 준설토를 매립하여 주므로서 준설토투기장(1)내에 담수되어 있는 바닷물(1a)는 제방(2)의 일 측으로 형성한 배수통로(도시생략)을 통하여 배출되거나, 제방(2)를 넘어 원바다(3)으로 넘쳐 흘러 들어가게 되므로서 준설토투기장(1)내부는 준설토지반(8)이 형성된다.만
이때 준설토투기장(1)을 매립하기 위한 매립토는 산토나 모래도 가능하지만 현장공급이 어려우므로 공사비가 많아지게 된다.
따라서 현장공급이 용이한 수심이 얕은 원바다(3)의 바닥에서 준설토를 공급하는 것이 용이하였다.
이와 같은 시공설치작업에 의하여 형성되는 준설토지반(8)의 상부에 채워져있는 바닷물(1a)는 제방(2)의 타측의 원바다쪽으로 품어 내주므로서 도면의 제3도 및 제5도와 같이 완전한 준설토지반(8)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형성된 준설토지반(8)내에 함유되어 있는 물은 모세관작용에 의하여 흡수기능을 가지는 원형연성주름관(7)으로 흡수되어 밀폐관(5)와 집수관(4)를 통하여 진공펌프(4a)에 의하여 제방(2)넘어의 원바다(3)으로 배출시키므로서 준설토지반(8)의 탈수작용이 진행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탈수작용은 준설토지반(8)이 가지는 지반자체의 밀폐성에 의하여 별도의 진공막이 없이 진공압밀기능을 발휘하면서 준설토지반(8)을 진공압밀 급속 탈수하게 되는 것이다.
이와같이된 본 발명은 간석지(干潟地)나 수심이 얕은 바닷가의 현장조건 및 지역의 특성에 구애됨이 없이 진공압밀법의 특성을 이용하여 간단한 장비로서 용이하게 시공설치하므로서 공사비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며, 밀폐성을 가지는 준설토지반의 하중에 의하여 전단파괴현상이 발생되는 일이 없이 강제압밀탈수기능을 원활하게 발휘하므로서 탈수기능을 향상시켜 준설토지반을 급속하게 개량할수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수심이 얕은 바닷가의 선정지역에 제방(2)를 축조하여 원바다(3)와 분리되도록 준설토투기장(1)을 형성하며, 통상의 진공펌프(4a)를 설치한 집수관(4)와 밀폐관(5) 및 다수의 중량추(6)을 걸어묶음시켜 형성한 원형여성주름관(7)을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결합시킨 원형연성주름관(7)을 준설토투기장(1)의 내부에 수평드레인 공법으로 시공설치한 다음 준설토를 매립하여 형성하는 준설토지반(8)의 내부에 중량추(6)을 걸어묶음시켜 형성한 원형연성주름관(7)을 수평드레인공법으로 시공설치되도록함을 특징으로한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압밀탈수 촉진시공법.
KR1019960040111A 1996-09-16 1996-09-16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KR1001956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11A KR100195690B1 (ko) 1996-09-16 1996-09-16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0111A KR100195690B1 (ko) 1996-09-16 1996-09-16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299A KR19980021299A (ko) 1998-06-25
KR100195690B1 true KR100195690B1 (ko) 1999-06-15

Family

ID=19473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0111A KR100195690B1 (ko) 1996-09-16 1996-09-16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69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290A (zh) * 2012-06-15 2012-09-26 河海大学 一种防淤积排水体装置以及其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7589B1 (ko) * 2001-03-30 2004-04-29 김동민 부직포를 이용한 진공탈수에 의한 점성토준설매립지반의표층처리시공법 및 표층처리구조
KR100692362B1 (ko) * 2006-01-25 2007-03-12 한국해양연구원 심해수 취수용 파이프 어셈블리 및 그의 설치 방법
KR101868769B1 (ko) * 2018-01-22 2018-07-23 최영진 해안가 매립장의 배수 및 보강을 위한 시공 방법
KR102586161B1 (ko) 2022-05-10 2023-10-06 동조산업 주식회사 군용 화생방 방독면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691290A (zh) * 2012-06-15 2012-09-26 河海大学 一种防淤积排水体装置以及其方法
CN102691290B (zh) * 2012-06-15 2014-07-09 河海大学 一种防淤积排水体装置以及其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1299A (ko) 1998-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hu et al. Land reclamation using clay slurry or in deep water: challenges and solutions
KR20120001856A (ko) 지오신세틱스와 개수로를 이용한 연약지반 표층 보강공법
KR100195689B1 (ko) 원형연성주름관과 과물하중을 이용한 연약점성토 지반의 진공압밀탈수촉진공법
KR100195690B1 (ko) 원형연성주름관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CN214784073U (zh) 一种用于滨海软土吹填造陆的围堰挡护结构
CN112538860A (zh) 高水位复杂地层无封底混凝土锁扣钢管桩围堰施工方法
KR101459703B1 (ko) 준설토 투기장의 표층수 건조 및 표층 보강 공법
KR100261407B1 (ko) 부직포를 피착시킨 중공보드드레인을 이용한 준설토투기장의 진공 압밀 탈수 촉진시공법
US3785158A (en) Hydraulic engineering installations
JP4029335B2 (ja) 圧密促進埋立工法
KR100427589B1 (ko) 부직포를 이용한 진공탈수에 의한 점성토준설매립지반의표층처리시공법 및 표층처리구조
KR960003745B1 (ko) 여과용 주름 배수관을 이용한 점성토 연약지반의 탈수 촉진공법
KR0155668B1 (ko) 연약지반의 물재하공법
JP3886127B2 (ja) 雨水用浸透ポットの施工方法
KR200188118Y1 (ko) 준설토 매립 병행 다층수평배수관에 의한 준설매립토의 진공탈수구조
JP3325924B2 (ja) 地下貯留浸透施設の構造
JP3289063B2 (ja) 水底マウンドの構築法
HU227023B1 (en) Tub-like reservoir for surface waters and procedure for making this structure
JP3387398B2 (ja) ケーソン基礎の貫入方法
RU2453653C1 (ru) Способ строительства защитной дамбы на побережье арктического моря
JPH0376371B2 (ko)
JP2006299580A (ja) 上部斜面スリット堤用止水蓋及び上部斜面スリット堤の曳航方法並びに上部斜面スリット堤の施工方法
KR200221423Y1 (ko) 부직포를 이용한 진공탈수에 의한 점성토준설매립지반의표층처리구조
JP4322629B2 (ja) 廃棄物処分場
JP2713112B2 (ja) 廃棄物処理場の造成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7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