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263B1 -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263B1
KR100195263B1 KR1019970002893A KR19970002893A KR100195263B1 KR 100195263 B1 KR100195263 B1 KR 100195263B1 KR 1019970002893 A KR1019970002893 A KR 1019970002893A KR 19970002893 A KR19970002893 A KR 19970002893A KR 100195263 B1 KR100195263 B1 KR 1001952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polymer
substrates
substrate
crystal dis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28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7048A (ko
Inventor
심정욱
신성태
브이. 에프. 페트로브
에스. 피. 펠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700028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263B1/ko
Publication of KR19980067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70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2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2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4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based on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s, e.g. microencapsulated liquid crysta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04Compensation of DC component across the pixels in flat panels

Abstract

새로운 구조의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해 개시된다. 이 액정 표시장치는 그 표면에 전극을 구비하고, 소정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며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과, 두 개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고분자 마이크로 볼로 이루어진 단일막과, 두 기판 사이의 셀갭에 주입된 액정 및 액정을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액정내에 별도의 첨가물이 없으므로 히스테리시스 및 전압 보유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판의 표면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평판 표시소자의 일종인 액정 표시(Liquid Crystal Display; 이하 LCD라 칭함) 장치는 전기장에 의하여 분자의 배열이 변화하는 액정의 광학적 성질을 이용하는 액정기술과 반도체기술을 융합한 표시장치로서, 평판 표시장치의 대명사로 불리고 있다. LCD 산업의 제품추세는 노트북 PC용 표시장치에서 멀티미디어(muti-media) 환경에 적용할 수 있는 모니터(monitor), 개인용 정보 수신장치(PDA) 등으로 제품의 적용범위가 확대 일로에 있다.
현재 액정 표시장치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은 트위스티드 네마틱 (Twisted Nematic; TN) 및 수퍼 트위스티드 네마틱(Super Twisted Nematic; STN) 액티브 매트릭스(active matrix)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표시장치(TFT-LCD)이다.
이들은 그 구동원리상 편광판을 사용하기 때문에, 광의 이용 효율이 적어 휘도가 떨어지고 시야각(viewing angle)이 20 W 내외로 좁다. 특히, 칼라 화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칼라필터(color filter)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광효율이 더욱 저하된다. 이러한 LCD의 휘도를 개선하기 위하여 광원의 세기를 증가시키게 되는데, 이로 인하여 소비전력이 증가된다.
따라서,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고 광의 산란 및 투과현상을 이용하는 액정 표시장치를 개발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져 온 결과, 고분자에 액정을 분산시킨 광산란모드의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Polymer Dispersed Liquid Crystal) 표시 장치가 등장하게 되었다. PDLC 방식은 액정층 내에 분산된 고분자의 굴절율과 액정의 굴절율의 차이에 의해 액정과 고분자의 계면에서 빛의 산란이 일어나는 현상을 이용하여 표시장치를 구현하는 방식이다.
PDLC는 용매 증발법, 액정의 캡슐화법, 고분자와 액정 모노머의 용해도 차이를 이용하는 상분리 방법 등에 의해 제조된다. 그 중에서도 상분리 방법이 가장 널리 이용되는데, 이 방법은 액정 모노머를 투명 고분자 수지로 중합되는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에 용해시킨 다음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 중합시키면, 중합반응이 진행됨에 따라 액정 모노머의 용해도가 감소되어 액정 모노머가 드로플렛(droplet) 형태로 석출되는 원리를 이용한 방법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칼라 박막 트랜지스터 고분자 분산형 액정 표시장치의 구조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고분자(3)가 연속상이고 액정(4)이 드로플렛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여기에서 (1)은 기판, (2)는 투명전극층을 각각 나타낸다.
상기한 고분자 분산형 액정 표시장치는, 박막 트랜지스터 및 화소전극(ITO)이 형성되어 있는 제1 기판과, 블랙 매트릭스, 칼라필터 및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제2 기판을 접합하여 약 10㎛ 두께의 공셀을 형성하고, 이 공셀에 상기 고분자/ 액정 조성물의 등방성 온도 범위내에서 상기 조성물을 진공주입한 다음, 약 365nm의 자외선을 조사하여 봉지한다.
상기 PDLC에 전계를 인가하지 않는 경우 고분자내에서 액정의 다이렉터(director)는 무질서하게 불연속으로 배열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광을 조사하면, 액정과 고분자의 계면에서의 굴절율의 차이와 액정의 다이렉터의 비틀림에 의한 광산란으로 셀이 불투명하게 나타난다. 여기에 전계를 인가하면, 액정이 전계방향으로 배열되고 액정과 고분자의 굴절율이 서로 일치되어 고분자와 액정의 계면에서의 광산란이 최소화됨으로써 셀이 투명하게 나타난다.
상기한 PDLC 액정 표시장치는, 도시된 바와 같이 편광판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기존의 액정 표시장치보다 광의 이용효율이 높아 휘도가 우수하며, 시야각이 우수한 조광표시가 가능해진다. 따라서, 고휘도를 갖는 직시형 및 투사형 액정 표시장치로의 이용가능성이 밝다.
그러나, PDLC 방식의 액정 표시장치 제조시 액정과 고분자의 상분리를 유도하는 과정에서 다변성으로 인해 재현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다. 그리고, 액정 내에 불순물로 작용하는 고분자를 첨가함으로써 전압보유율이 감소하여 박막 트랜지스터 구동 방식으로 화상을 구현하였을 때 잔상 및 플리커(fliker) 등을 유발하게 된다. 또한, 전압을 최저에서 최고점으로 증가시킬 때와, 반대로 감소시킬 때의 투과율이 다른 경로를 가지는 이른바 히스테리시스(hysterisis)가 존재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재현성을 확보하고 불순물에 의한 영향을 제거할 수 있으며, 히스테리시스 특성이 없는 액정 표시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상기 액정 표시장치의 적합한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고분자 분산형 액정(PDLC) 표시소자의 일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형성된 MBM을 관찰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 3은 수막 위에 마이크로 볼 단일막(MBM)을 형성하고, 이를 기판 위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Langmuir-Blodgett(LB) 방법에 의해 형성시킨 마이크로 볼 단일막(MBM)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도 5는 LB 방법에 의해 수막위에 균일하게 형성시킨 MBM을 기판위에 전송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EM)사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온(on) 및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온(on) 및 오프(off)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는, 그 표면에 전극을 구비하고, 소정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며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 상기 두 개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고분자 마이크로 볼로 이루어진 단일막; 상기 두 기판 사이의 셀갭에 주입된 액정; 및 상기 액정을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은 그 직경이 0.5㎛ ∼ 15㎛ 정도이고,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굴절율과 액정의 굴절율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다른 과제를 이루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은, 그 표면에 전극이 형성된 두 개의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상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로 이루어진 단일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기판을 소정 셀 갭을 유지하여 대향하도록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두 기판 사이의 셀 갭에 액정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정이 주입된 주입구를 봉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막위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마이크로 볼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진다.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단계는 Langmuir-Blodgett 방법(LB method)을 사용하여 용매가 첨가된 물표면에 형성하는데, 상기 용매로서는 에탄올이 바람직하고, 상기 수막위에 형성된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기판위로 전송할 때 균일한 표면장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은 그 직경이 0.5㎛ ∼ 1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액정은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액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재현성을 확보할 수 있으며, 액정내에 별도의 첨가물이 없으므로 히스테리시스 및 전압 보유율의 감소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기판 위에 광산란을 조정할 수 있는 균일한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Micro-Ball Monolayer; 이하 MBM이라 칭함)을 형성하여 액정 표시장치를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기판 위에 균일한 MBM을 형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Langmuir-Blodgett 방법(LB method)을 이용하여 수막(water surface) 위에 고밀도의 MBM을 형성하고, 이렇게 형성된 MBM을 기판 위로 전송함으로써 기판 위에 MBM을 형성한다.
도 2는 본 발명에서 형성된 MBM을 관찰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다.
이 장치는, 마이크로 볼의 상태를 촬영하기 위한 비디오 카메라(11), 이를 관측할 수 있도록 하는 TV 모니터(12)와 비디오 레코더(video recorder; 15), 상기 마이크로 볼을 확대관찰하기 위한 현미경(13)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 장치를 이용하면 수막위에 형성된 마이크로 볼(14)의 분산상태와, 압축대에 의해 형성되는 MBM의 밀도상태를 관찰할 수 있다.
도 3은 수막 위에 MBM을 형성하고, 이를 기판 위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 참조부호 21은 수조(trough), 22는 작업막대(barrier mechanism), 23은 완충영역, 24는 작업영역, 25는 이동 가로대(moving barrier), 26은 장력 측정기(tension meter), 27은 마이크로 프로세서 제어 및 측정시스템(microprocessor control and measuring system), 28은 컴퓨터, 29는 기판 지지대, 30은 모터를 각각 나타낸다.
이 장치는 초순수가 담긴 수조(21)에 장착된다. 상기 수조(21)는 가로대(22)에 의해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데, 작은 부분영역은 완충영역(23)과 공백수막으로 구성되며 넓은 부분영역은 작업영역(24)이다. 상기 작업영역(24)은 작업막대(22)에 의해 그 면적의 조절이 가능하다. 작업막대(22)에 의해 작업영역의 면적이 감소하면, 작업영역에 분산되어 있는 마이크로 볼의 입자간 간격이 감소하게 되고, 상기 마이크로 볼의 입자간 간격은 장력 측정기(26)에 의해 측정된다.
그리고, 상기 장치는 외부 컴퓨터(28)와 연결되는 기기에 의해 미세 조종된다.
기판은 지지대에 고정되어 회전이 가능하다. 지지대에 고정된 기판이 완충영역(23)을 지나 작업영역(24)으로 나오면서 수막위에 형성된 MBM을 기판 위로 전송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마이크로 볼은 일반적으로 물에 비해 그 비중이 높기 때문에, 물속에서는 중력에 의해 가라앉게 된다. 그러나, 물표면에서는 다른 경향을 보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고분자 마이크로 볼은 소수성 물질로서, 물표면에서는 그 척력에 의해 고분자 볼이 물표면에 그대로 존재한다.
그러나, 순수한 물위에 이러한 성질을 가진 마이크로 볼을 분산시킨다해도 많은 양의 마이크로 볼이 물밑으로 가라앉아 수조를 오염시키고, 대량의 마이크로 볼의 손실을 가져온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순수한 물을 사용하지 않고 혼합물 용액을 사용한다. 이 때, 가장 좋은 특성을 가진 용액은 에탄올(Ethanol)로서, 에탄올의 비중 및 점도는 물에 비해 작기 때문에, 관찰한 바로는 물표면위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분산시키기에 적당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도 4는 LB 방법에 의해 형성시킨 MBM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방법을 도식화한 것이다.
초기상태(a-영역)에서 기판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대(4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완충영역의 수면을 퉁과한다(b-영역). 이후, 지지대가 물속을 지나 MBM이 형성되어 있는 작업영역으로 나오면 수막으로부터 기판위로의 MBM의 전송이 이루어진다(c-영역).
이상과 같이 MBM을 기판위에 형성하는 과정에서 가장 중요한 사항은, 지지대(30)가 작업영역을 통과할 때 수면위에 형성되어 있는 MBM의 표면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것이다.
도 5는 LB 방법에 의해 수막위에 균일하게 형성시킨 MBM을 기판위에 전송한 상태를 나타내는 주사형 전자 현미경(Scanning Electron Microscopy; SEM)사진으로서, 기판위에 MBM이 균일하게 분포함을 알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공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처음에, 접합시킬 2장의 기판을 순수(純水)의 초음파층에서 수 분간, 2회 정도에 걸쳐 세정한 후 표면의 물기를 제거하고 핫 플레이트(hot plate)에서 건조시킨 후 냉각시킨다(단계 105). 상기 두 장의 기판중 하나에는 신호선과 주사선에 의해 스위칭되는 박막트랜지스터와, 액정을 구동시키기 위한 화소전극으로 구성되는 화소(pixel)가 매트릭스(matrix) 형태로 배열되어 있고, 다른 하나에는 광반사에 의한 누설전류를 방지하기 위한 블랙 매트릭스, 칼라화상을 구현하기 위한 칼라필터(color filter) 및 화소전극이 형성되어 있다.
세정 및 건조된 상기 기판의 표면에 배향막으로, 예를 들어 폴리이미드(polyimide)막을 소정 두께로 스핀 코팅(spin coating)한 후 상기 기판을 가열하여 용매를 증발시킨다. 다음에, 이 기판을 약 200℃ 정도의 오븐을 통과시키면서 30분간 가열소성하여 상기 배향막을 중합시킨다(단계 110).
이 상태에서는 액정분자가 한 방향으로 배열하지 않으므로, 상기 배향막의 표면을 한방향으로 문지르는, 이른바 러빙(rubbing) 배향처리를 실시한다. 이 러빙 배향처리는 대다수의 경우 벨벳천을 이용하기 때문에 기판의 표면에 천에서 빠진 실보푸라기가 다수 부착된다. 따라서, 이것을 제거하기 위해 러빙후 세정을 실시할 수도 있다(단계 115).
다음에, 배향막이 형성된 기판에 LB 방법을 이용하여 고분자 마이크로 볼로 이루어진 단일막(MBM)을 균일하게 형성한다(단계 120). 기판 위에 MBM을 형성하기 위한 장치와 방법은 도 3 및 도 4에 설명한 바와 같다. 즉, LB 방법을 이용하여 수막위에 MBM을 균일하게 분포시킨 후 이를 기판위로 전송하여 형성할 수 있다. 상기 MBM은 한쪽 기판에만 형성하거나, 경우에 따라 양측기판 모두에 형성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직경은 0.5㎛ ∼ 15㎛ 정도가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기판을 접합시켰을 때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스페이서(spacer)를 한쪽 기판의 일면에 산포시키고 그 주변부에 접착제를 인쇄하는데, 여기에는 씰 마스크(seal mask)를 이용하여 접착제를 인쇄하는 경우가 많다(단계 125).
이어서, 이 기판과 또다른 기판을 상, 하 위치가 어긋나지 않도록 정밀제어하여 접합시키고(단계 130), 예를 들어 0.5㎏/㎠ 정도의 압력으로 기판을 가압하여 원래 접착제의 높이, 즉 30㎛부터 스페이서의 높이까지, 예를 들어 5㎛까지 균일하게 누른 다음, 온도를 가하여 접착제를 경화시킨다(단계 135).
이어서, 상기 기판을 각각의 패널로 분단하여 셀로 나눈 후(단계 140), 액정을 주입한다. 액정의 주입은 우선 챔버를 진공상태로 한 뒤 각 패널의 한쪽 끝을 액정에 담근다. 이 때, 공기를 도입하여 압력차를 이용하는 경우가 많다. 액정을 주입한 후의 패널의 간격은, 유리가 휘어지기 때문에 스페이서의 직경보다 두꺼워지고 면내에서 불균일해진다. 액정 표시장치를 단조 레벨에서도 균일하게 표시하기 위해서는 액정을 주입한 패널의 간격이 모든 표시위치에서 균일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단계 145). 균일한 패널간격을 얻기 위해서는 주로 패널의 양면을 예를 들면 0.5㎏/㎠의 압력으로 가압하고, 유리의 휘어짐을 제거한 상태에서 액정을 주입한 주입구를 봉지한 다음(단계 150), 패널을 세정하고 외면에 부착된 액정을 제거한다(단계 155).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로서, MBM이 상, 하 기판중 어느 하나에 분포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 참조부호 70은 하부기판, 72는 상부기판, 74는 MBM, 그리고 76은 액정을 나타낸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로서, MBM이 상, 하 두 기판에 분포된 경우를 나타낸다. 도면 참조부호 80은 하부기판, 82는 상부기판, 84는 MBM, 그리고 86은 액정을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 같이 MBM이 균일하게 분포된 기판을 한 장 또는 두 장을 결합하여 셀을 만든 후, 기판 사이의 공간에 네마틱(nematic) 액정을 주입함으로써 LCD를 제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직경은 0.5㎛∼15㎛ 정도가 바람직하고,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굴절율과 액정의 굴절율이 동일한 고분자와 액정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 전압을 인가하지 않은 오프(OFF) 상태가 되면, 셀내의 액정(76, 86)은 무작위로 배향을 하게 된다. 이 때에는 고분자의 굴절율과 액정의 굴절율이 다르기 때문에 액정층 및 고분자 볼(74, 84)의 계면에서 광산란이 일어나게 되어 셀이 불투명하게 나타난다(도 7a 및 도 8a).
상기 액정 표시장치에 전압을 인가하여 셀이 온(ON) 상태가 되면, 셀 내에서 액정이 기판에 수직하게 배열하므로 액정과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굴절율이 동일하기 때문에, 입사한 빛은 굴절이나 산란이 없이 액정 표시장치를 투과하므로 셀이 투명하게 나타난다(도 7b 및 도 8b).
이러한 광산란의 유무에 의해 액정 표시장치를 구현할 수 있는데, 그 원리는 PDLC 모드와 동일하지만, 액정 표시장치를 제조할 때 액정 내에 별도의 첨가물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그로인해 발생하는 여러 가지 문제, 예를 들어 재현성의 부족, 히스테리시스 현상 및 전압보유륭 저하 등의 문제를 제거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에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적 사상내에서 당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많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상술한 본 발명에 의한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에 따르면, 기판위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균일하게 형성한 후 액정을 주입하여 액정 표시장치를 제조한다. 따라서, 종래의 PDLC 방식에서 발생하는 재현성의 부족, 히스테리시스 현상 및 전압보유율 저하 등의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1)

  1. 그 표면에 각각 전극을 구비하고, 소정의 셀갭(cell gap)을 유지하며 대향하는 두 개의 기판;
    상기 두 개의 기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대향면에 형성되며, 고분자 마이크로 볼로 이루어진 단일막;
    상기 두 기판 사이의 셀갭에 주입된 액정; 및
    상기 액정을 봉지하기 위한 봉지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은 그 직경이 0.5㎛∼15㎛ 정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굴절율과 액정의 굴절율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
  4. 그 표면에 전극이 형성된 두 개의 기판을 마련하는 단계;
    상기 두 개의 기판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기판상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로 이루어진 단일막을 형성하는 단계;
    상기 두 기판을 소정 셀 갭을 유지하여 대향하도록 접합시키는 단계;
    상기 두 기판 사이의 셀 갭에 액정을 주입하는 단계; 및
    상기 액정이 주입된 주입구를 봉지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형성하는 단계는,
    수막위에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단계는,
    Langmuir-Blodgett 방법(LB method)을 사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을 용매가 첨가된 수막위에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로 에탄올을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 볼을 기판위로 전송하는 단계에서,
    상기 마이크로 볼의 표면장력을 균일하게 유지하면서 기판위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0.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은 그 직경이 0.5㎛∼15㎛ 정도로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은,
    상기 고분자 마이크로 볼의 굴절율과 동일한 굴절율을 갖는 액정을 주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정 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19970002893A 1997-01-30 1997-01-30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019526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893A KR100195263B1 (ko) 1997-01-30 1997-01-30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2893A KR100195263B1 (ko) 1997-01-30 1997-01-30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48A KR19980067048A (ko) 1998-10-15
KR100195263B1 true KR100195263B1 (ko) 1999-06-15

Family

ID=194960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2893A KR100195263B1 (ko) 1997-01-30 1997-01-30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26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7048A (ko)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244310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598943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method for preparation thereof
US7248318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US5739882A (en) LCD polymerized column spacer formed on a modified substrate, from an acrylic resin, on a surface having hydrophilic and hydrophobic portions, or at regular spacings
CN1693970A (zh) 液晶配向添加剂、包含其的液晶显示装置及制造方法
JP2006171681A (ja) 液晶表示装置とその製造方法
CN100447638C (zh) 液晶显示装置及其生产方法
JPH11305256A (j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型液晶表示装置
KR100751188B1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의 제조방법
KR100195263B1 (ko) 고분자 마이크로 볼 단일막을 구비하는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JP2006195112A (ja) 液晶素子とそれを用いた調光素子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3105379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の作製方法
JP3294381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作製方法
JP4103207B2 (ja) 液晶表示装置
KR20050068174A (ko) 면내 스위칭 모드의 액정표시장치와 그 제조방법
JP3197392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KR100255072B1 (ko) 액정표시소자의 광배향막 형성방법
JP3215675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JP3215696B2 (ja) 液晶電気光学装置
Ji et al. The mechanism for the formation of polymer wall in higher polymer content cholesteric liquid crystal mixture
JPH07120758A (ja) 高分子分散型液晶表示装置
KR20020051185A (ko) 강유전성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753206B2 (ja) ゲストホスト型液晶表示素子
JP4508696B2 (ja) 液晶パネルと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JP4508697B2 (ja) 液晶パネル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