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5022B1 -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5022B1
KR100195022B1 KR1019950022135A KR19950022135A KR100195022B1 KR 100195022 B1 KR100195022 B1 KR 100195022B1 KR 1019950022135 A KR1019950022135 A KR 1019950022135A KR 19950022135 A KR19950022135 A KR 19950022135A KR 100195022 B1 KR100195022 B1 KR 1001950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carrier
sun gear
vehicle
drive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22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822A (ko
Inventor
김정철
엄태관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1019950022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5022B1/ko
Publication of KR9700058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8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50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5022B1/ko

Links

Landscapes

  • Retarders (AREA)

Abstract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에서 제1,2드라이브 축(54,55)을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에서 직접 인출하게 되면 제1,2드라이브 축(54,55)이 모터(50)의 중심축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차체의 지상고가 너무 낮아지게 됨을 방지하기 위하여, 동력이 인출되는 부분인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와, 제1,2,드라이브축(54,55)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높일 수 있는 상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으로써 차체 하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일반적인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제1연결축 2 : 제1기어
3 : 제2기어 4 : 제2연결축
5 : 제3기어 6 : 제4기어
본 발명은 전기 자동차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는 사용 연료에 따라 가솔린 엔진 자동과, 디젤 엔진 자동차, 전기 자동차 등으로 분류되고, 여기에 알콜등을 사용하는 자동차도 개발되고 있다.
여기서, 상기한 가솔린과 디젤은 화석 연료인 까닭에 이산화탄소, 일산화탄소, 아황산가스 등이 매우 많이 배출됨으로써 환경 오염 규제에 대한 대책이 어려워 매연 가스의 배출이 없는 전기 자동차와 알콜 자동차의 개발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특히, 상기한 전기 자동차는 청정 연료인 전기를 사용하게 됨으로써 배기 가스에 의한 환경 오염이 없을 뿐만 아니라 구동 메카니즘이 단순하게 되어 제작이 용이하게 개발이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상기한 전기 자동차는 통상 동력원인 축전지, 제어기, 전동기, 구동장치로 구성되는 바, 상기한 구동 장치는 전동기에 연결되어 직접적으로 드라이브 축에 연결된 타이어를 구동시켜 전기 자동차의 추진력을 발생시킨다.
여기서, 구동 장치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유성 기어 세트(51)와, 상기한 제1유성 기어 세트(51)에 연결되어 회전수를 감속시키는 제2유성 기어 세트(52)와, 상기한 제2유성 기어 세트(52)에 연결되어 주행에 적합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감속시키는 제3유성 기어 세트(53)와, 상기한 제3유성 기어 세트(53)에 연결됨과 아울러 타이어(T)에 연결된 제1,2드라이브 축(54,55)으로 구성되어 있다.
즉, 제1,2,3,4유성 기어 세트(51,52,53)를 통해 적합한 구동력을 얻을 수 있도록 다단계로 감소시키게 되는 바, 상기한 각 유성 기어 세트는 제1,2,3선 기어(56,57,58)와 유성 피니언(59,60,61) 그리고 링 기어(62,63,64)와 캐리어(65,66,67)로 구성되어 있게 된다.
특히, 상기한 제1선기어(56)는 모터(50)에 연결되어 있고, 상기한 제1캐리어(65)는 제2선기어(57)와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한 제2캐리어(66)는 제3링기어(64)에 연결되어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제1드라이브 축(54)은 제3선기어(58)에 연결되어 있고, 제2드라이브 축(55)은 제3캐리어(67)에 연결되어 타이어(T)에 구동력을 전달하게 된다.
상기한 제1,2드라이브 축(54,55)을 각각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에서 인출함은 차동 기어의 역할을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동 장치는 모터(50)의 회전에 따라 제1선기어(56)가 회전하게 되고, 상기한 제1선기어(56)의 회전에 따라 고정된 제1링기어(62)를 따라 제1유성 피니언(59)이 자전과 공전을 하면서 감속됨과 아울러 제1캐리어(65)와 연결된 제2선기어(57)에 일정 비율로 감속된 회전력이 전달된다.
제2선기어(57)에 전달된 회전력은 다시 제2유성 피니언(60)의 자전과 공전에 의해 감소되면서 제2캐리어(66)를 통해 재차 감속된 회전력이 제3링키어(64)로 전달된다.
제3링기어(64)에 전달된 회전력은 이와 치차 결합된 제1,2드라이브 축(54,55)을 회전하면서 타이어(T)를 구동하여 전기 자동차를 구동시키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드라이브 축을 제3선기어와 제3캐리어에서 직접 인출하게 되면 제1,2드라이브 축이 모터의 중심축을 통과하게 됨으로써 차체의 지상고가 너무 낮아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즉, 모터의 직경이 점차 작아지게 되면서 차체의 지상고가 너무 낮아져 도로의 안전 시설인 범프등에 차체의 하부가 접촉되어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유성 기어 구동 장치를 사용하는 전기 자동차의 지상고를 높여 노면에 의한 하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동력이 인출되는 부분인 제3선기어와 제3캐리어와, 제1,2드라이브 축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높일 수 있는 상승 수단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상세한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를 도시한 개략도로서,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와, 제1,2,드라이브 축(54,55)과의 사이에 단차를 형성하여 차량의 지상고를 높일 수 있는 상승 수단이 형성되어 있다.
물론, 상기한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에는 제2유성 기어 세트(52)로부터 제2캐리어(66)와 제3링기어(64)를 통해 회전력이 전달되고 있는 상태가 된다.
여기서 상기 상승 수단은 제3선기어(58)에 제1연결축(1)으로 연결된 제1기어(2)와, 상기한 제1기어(2)에 수직으로 일정 간격을 두고 치합되도록 제1드라이브 축(54)에 설치된 제2기어(3)와, 상기한 제3캐리어(67)에 제2연결축(4)으로 연결된 제3기어(5)와, 상기한 제3기어(5)에 수직으로 치합되도록 제2드라이브 축(55)에 결합된 제4기어(6)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1,2 연결축(1)(4)으로부터 전달되는 구동력을 상기 제1,2드라이브 축(54)(55)으로 전달하여 주면서도 상기 제1,2연결축(1)(4)과 제1,2,드라이브축(54)(55)사이에 소정의 단차를 이루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제1,2기어(2,3)와 3,4기어(5,6) 사이의 간격은 동일하면서도 높이가 자동차의 운행시 안정성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가 되어야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자동차가 구동하면서도 제2도에 도시된 모터(50)가 회전하면서 제1선기어(56)를 회전시키게 되면 이와 치합된 제1유성 피니언(59)과 캐리어 (65)가 자전과 공전을 하면서 감속 회전하게 되고, 이는 제2선기어(57)에 전달된다.
그리고, 제2선기어(57)에 전달된 회전력은 제2유성 피니언(60)과 캐리어(66)를 통해 감속되면서 제3링 기어(64)로 전달되고, 이는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를 통해 제1,2연결축(1,4)으로 전달된다.
이때 제1,2연결축(1,4)으로 전달된 회전력은 제1,3기어(2,5)에 전달됨과 아울러 이와 치합된 제2,4기어(3,6)로 수직 전달되는 바, 회전 중심을 제1,3기어(2,5)의 회전축으로부터 제2,4기어(3,6)의 회전축으로 하향시켜서 제1,2,드라이브축(54)(55)로 전달시킴으로써 상기 1,3기어(2,5)와 제2,4기어(3,6)간의 거리만큼 자동차의 지상고가 높아진 상태에서 운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2,3,4기어(2,3,5,6)를 통해 자동차의 지상고를 상승시킴으로써 노면이 불규칙할 때 노면의 돌출된 부분이 자동차의 하부에 접촉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제3캐리어와 선기어에 상승 수단을 연결하여 제1,2드라이브 축을 구동하면서 차량의 지상고를 상승시켜 차체 하부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Claims (1)

  1. 유성 기어 세트(51,52,53)의 동력이 인출되는 부분인 제3선기어(58)와 제3캐리어(67)가 제1,2,드라이브축(54,55)에 단차를 형성하도록 연결되어 차량의 지상고를 높일 수 있는 상승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전기자동차용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승 수단이 제3선기어(58)와 제1연결축(1)을 매개로 연결된 제1기어(2)와, 상기한 제1기어(2)에 수직으로 일정간격을 두고 치합되도록 제1드라이브축(54)에 설치된 제2기어(3), 상기 제3캐리어(67)와 제2연결축(4)을 매개로 연결된 제3기어(5) 및, 상기 제3기어(5)에 수직으로 치합되도록 제2드라이브 축(55)에 결합된 제4기어(6)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자동차용 구동 장치.
KR1019950022135A 1995-07-25 1995-07-25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KR1001950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135A KR100195022B1 (ko) 1995-07-25 1995-07-25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22135A KR100195022B1 (ko) 1995-07-25 1995-07-25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822A KR970005822A (ko) 1997-02-19
KR100195022B1 true KR100195022B1 (ko) 1999-06-15

Family

ID=609344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22135A KR100195022B1 (ko) 1995-07-25 1995-07-25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50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4971A1 (en) 2016-08-16 2018-02-21 ETR Co, Ltd Single shaft two-speed drive system
EP3401563A1 (en) 2017-05-10 2018-11-14 ETR Co, Ltd Clearance control swash plate device and single-shaft two-speed drive system with friction clutch applied theret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284971A1 (en) 2016-08-16 2018-02-21 ETR Co, Ltd Single shaft two-speed drive system
US10047841B2 (en) 2016-08-16 2018-08-14 Etr Co., Ltd. Single-shaft two-speed drive system
EP3401563A1 (en) 2017-05-10 2018-11-14 ETR Co, Ltd Clearance control swash plate device and single-shaft two-speed drive system with friction clutch applied thereto
KR20180124177A (ko) 2017-05-10 2018-11-21 이티알 주식회사 클리어런스 제어 사판 장치 및 마찰 클러치 적용 단일 축 2속 구동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822A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58368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KR101459472B1 (ko) 하이브리드 자동차의 동력전달장치
CN102815198A (zh) 基于无级变速传动的混合动力汽车驱动系统
CN101692591B (zh) 一种分体式涡轮增压减速器差速电驱动机
CN101791944A (zh) 双行星轮系多动力耦合机构
KR20190080485A (ko) 하이브리드 차량용 동력전달장치
JPH0767208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駆動機構
JPH0796759A (ja) ハイブリッド車両における駆動機構
KR20060108003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
KR100195022B1 (ko) 전기 자동차용 구동장치
CN213199452U (zh) 一种商用车的混合动力驱动桥
KR20060108002A (ko) 하이브리드 전기 자동차의 동력 전달 장치
CN211684626U (zh) 一种多主减速器双电机耦合驱动系统
CN208198094U (zh) 一种用于混合动力车辆的动力传动系统
CN111409442A (zh) 一种发动机和电机动力耦合机构及汽车
CN104972888A (zh) 双动力耦合装置
KR100293543B1 (ko) 하이브리드변속기
KR100217864B1 (ko) 전기자동차용 차동장치
CN111546872A (zh) 一种双电机混合动力车辆驱动装置
CN201784448U (zh) 新型双动力模式驱动装置
CN104960415A (zh) 双动力耦合变速差速系统
CN111055669A (zh) 一种汽车混合动力驱动装置及汽车
CN200974458Y (zh) 电动汽车驱动系统
CN110143125A (zh) 一种混合动力系统及车辆
CN216002170U (zh) 增程式电动车用混合动力传动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2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