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518B1 -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518B1
KR100194518B1 KR1019960054695A KR19960054695A KR100194518B1 KR 100194518 B1 KR100194518 B1 KR 100194518B1 KR 1019960054695 A KR1019960054695 A KR 1019960054695A KR 19960054695 A KR19960054695 A KR 19960054695A KR 100194518 B1 KR100194518 B1 KR 10019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g
vehicle
head
boundary
infl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4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6180A (ko
Inventor
강기봉
조성강
김민식
장명륜
송영환
Original Assignee
정몽훈
주식회사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훈, 주식회사성우 filed Critical 정몽훈
Priority to KR1019960054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518B1/ko
Publication of KR199800361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61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518B1/ko

Links

Landscapes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등받이 일측면내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와 승차자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측면 에어백의 헤드백과 더락스백 제어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측면 에어백에서 승차자의 가슴를 보호하는 더락스 백과 승차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헤드 백을 분리하는 경계 부위를 테더를 이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시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일정압력(0.3~1.5bar)에 의해 경계부위의 봉제실이 뜯어지면서 더락스백과 헤드백을 팽창시킬 수 있게 함으로써 측면 에어백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하고 기능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면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MANUFACTURING METHOD OF A SIDE AIRBAG FOR A CAR AND STRUCTURE THEREFOR)
본 발명은 자동차의 좌석등받이 일측면내에 설치하여 차량의 충돌 사고시 운전자와 승차자를 보호하는데 사용하는 사이드 에어백의 헤드백과 더락스백 제어방법 및 그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사이드 에어백에서 운전자와 승차자의 흉부(가슴)를 보호하는 더락스 백(THORAX BAG)과 운전자와 승차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헤드 백의 경계부위에 봉합하는 테더(TETHER)를 이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 시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에 의해 더락스백이 전개되고 그후 가스압력이 일정압력(0.3~1.5bar)에 달할때 경계부위의 봉제실이 뜯어지면서 헤드백을 팽창시킬 수 있게 하므로서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차량의 충돌 사고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순간적으로 부풀어 지면서 운전자와 승차자를 충돌 사고로 부터 보호할 수 있도록 에어백이 설치 사용된다.
상기와 같은 에어백은 차량의 전면에서 충돌이 일어날때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스티어링 휠의 안쪽 경적누름판 아래나 전면패널 상에 설치되는 에어백이 있으며, 또한 차량의 측면에서 발생되는 충격으로 부터 승차자를 보호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이 있다.
상기 사이드 에어백은 차량의 좌석 쿠션이나 도어의 내측에 설치되는 방식이 있으나 이는 에어백의 기능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어 근래에는 사이드 에어백을 차량의 시트 등받이의 일측면내에 설치하여 승차자의 어깨 및 가슴 부위와 머리 부위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일반적인 사이드 에어백은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사이드 에어백(11)이 인플레이터(16)와 함께 시트 등받이(10)의 일측에 설치되며, 더락스 백(12)과 헤드 백(13)으로 구분되어 측면충돌 사고시 인플레이터(16)가 점화되어 발생시키는 급속 팽창가스에 의해서 에어백이 팽창할때 흉부 부위를 보호하는 더락스 백(12)이 시트등받이 측면으로부터 도어와 승차자 사이로 수평 방향으로 팽창한후 동시에 머리 부위를 보호하는 헤드 백(13)이 수직방향으로 팽창하여 승차자의 가슴과 머리를 동시에 보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상기와 같은 사이드 에어백이 전개될때 승차자가 백에 부딪히는 시간은 더락스백 부위가 약 7~25밀리/초(ms) 정도이고, 헤드백 부분이 약 15~35밀리/초(ms)이다.
따라서 더락스백과 헤드백 부분이 부딪치는 시간의 차이는 약8~30밀리/초(ms) 정도의 차이를 두고 제어 되어 더락스백이 먼저 전개하여 승차자의 흉부 부위를 보호한 후 헤드백이 전개하여 승차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목적으로 이용되는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을 보면 도 2와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더락스 백(12)과 헤드 백(13)및 테더(15)와 측면판(17)을 분리하여 구성하되 상기 더락스 백(12)과 헤드 백(13)의 전개시간을 제어할 수 있도록 경계 부위에는 가스 벤트홀(14))을 갖는 테더(15)를 봉제방법으로 부착하여 에어백의 전개시간을 제어할 수 있게 구성하였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16)가 점화되어 발생시키는 가스가 먼저 더락스백(12)을 전개시켜 승차자의 가슴부위를 보호하게 되고 이후 더락스백(12)과 헤드백(13)사이에 있는 테더(15)의 가스 벤트홀(14)을 통하여 가스가 헤드백(13)으로 분출하여 더락스백(12)의 강성을 약화시키면서 동시에 헤드백(13)을 전개시켜 승차자의 머리부위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식은 더락스백(12)에 있는 가스를 헤드백(13)으로 분출하기 위한 가스 벤트홀(14)이 형성되는 테더(15)가 부착 설치되어 부품수가 증가하고, 이에 따라 제작 공정이 복잡하여 제작에 어려움이 많고 생산성이 떨어지며, 제조원가를 상승시키는 요인이 되고, 제작시 불량 발생이 많아 제품의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보완하고자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사이드 에어백에서 승차자의 흉부를 보호하는 더락스 백과 승차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헤드 백을 구분짓는 경계 부위를 테더를 이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 구성시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일정압력(0.3~1.5bar)에 의해 경계부위의 봉제실이 뜯어지면서 더락스백과 헤드백을 순차적으로 전개 제어할 수 있게 하므로서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면서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하는데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사이드 에어백 장착 사용예 구성도.
도 2는 종래의 사이드 에어백 분리 사시도.
도 3은 종래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측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사이드 에어백 2: 더락스 백
3: 헤드 백 4: 인플레이터
5: 경계라인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면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인플레이터(4)와 함께 시트등받이 일측면내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1)을 구성하는 더락스 백(2)과 헤드백(3)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경계부위를 테더를 이용하지 않고 인플레이터(4)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더락스백(2)과 헤드백(3)의 경계부위가 전개될 수 있도록 경계수단을 구비하여 에어백의 전개시간을 순차적으로 제어할 수 있게 하였다.
또한 상기 더락스백(2)과 헤드백(3)의 팽창시 경계부위를 제어하는 경계수단을 가스 압력이 약 0.3~1.5bar 정도 일때 전개될 수 있도록 구비하여 제어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어를 위하여 에어백(1)을 구성하는 더락스백(2)과 헤드백(3)의 경계부위를 에어 벤트홀을 갖는 테더를 사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하여 경계라인(5)를 형성 구성하였다.
또한 상기 더락스백(2)과 헤드백(3)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계라인(5)을 가스의 압력에 따라서 한개 이상 다수개의 라인으로 봉제하여 구성할 수 있다.
한편,상기 더락스백과 헤드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계라인(5)을 봉제실이 아닌 초음파 및 고주파융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되도록 할수도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사이드 에어백(1)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차량의 측면 충돌이 발생하여 사이드 에어백(1)이 팽창할때 먼저 상기 인플레이터(4)와 연결되는 더락스백(2)이 인플레이터(4)에서 발생시키는 가스 압력에 의해 팽창하여 승차자의 흉부 부위를 보호하게 되고 이후 약 8~30밀리/초(ms)의 차이를 두고 상기 더락스백(2)과 헤드백(3)을 분리하고 있는 경계부위의 봉제실로 이루어지는 경계라인(5)이 가스의 압력이 약0.3~1.5bar정도 일때 뜯어지면서 상기 더락스백(2)의 압력을 약화시키고 동시에 헤드백(3)을 팽창시켜 승차자의 머리부위를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승차자를 측면 충돌로 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차량의 시트등받이 일측면내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1)의 더락스백(2)과 헤드백(3)을 순차적으로 제어하여 전개시킬 수 있도록 경계부위를 종래처럼 테더를 이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하여 경계라인(5)을 형성하여 인플레이터에서 발생시키는 가스압력에 의해서 상기 경계라인(5)이 뜯어지면서 에어백의 전개시간을 순차적으로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게 하고 부품수를 감소시켜 제작공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측면 충돌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시키는 가스에 의해 팽창하는 사이드 에어백에서 운전자와 승차자의 흉부를 보호하는 더락스 백과 운전자와 승차자의 머리 부분을 보호하는 헤드 백을 분리하는 경계 부위를 테더를 이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 구성시켜 인플레이터에서 발생하는 가스의 일정압력(0.3~1.5bar)에 의해 경계부위의 봉제실이 뜯어지면서 더락스백과 헤드백을 순차적으로 전개 제어할 수 있게 하여 부품수를 줄이고, 제조 공정수를 줄여 제작성을 향상시켜 생산성을 극대화 할 수 있으며, 제작시 불량 발생을 줄여 제품의 품질과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5)

  1. 차량의 측면 충돌시 전개될 수 있도록 인플레이터와 함께 시트등받이 일측면내에 설치되는 사이드 에어백을 구성하는 더락스 백과 헤드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는 경계부위를 테더를 이용하지 않고 인플레이터에서 발생되는 가스의 압력에 의해 전개될 수 있도록 경계수단을 구비하여 에어백의 전개시간을 순차적으로 제어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더락스백과 헤드백의 팽창시 경계부위의 전개시간을 제어하는 경계수단을 가스 압력이 약 0.3~1.5bar정도 일때 제어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방법.
  3. 차량의 좌석등받이 일측면내에 인플레이터와 함께 설치되는 에어백을 구성하는 더락스백과 헤드백의 경계부위를 가스벤트홀을 갖는 테더를 사용하지 않고 봉제실을 이용하여 직접 봉제하여 경계라인를 형성 가스 폭발시 뜯어질 수 있게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구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락스백과 헤드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계라인을 가스의 압력에 따라서 한개 이상 다수개의 라인으로 봉제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구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더락스백과 헤드백을 순차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형성되는 경계라인을 봉제실이 아닌 초음파 및 고주파융착수단을 이용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사이드 에어백의 제어구조.
KR1019960054695A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KR1001945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695A KR100194518B1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4695A KR100194518B1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80A KR19980036180A (ko) 1998-08-05
KR100194518B1 true KR100194518B1 (ko) 1999-06-15

Family

ID=663209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4695A KR100194518B1 (ko) 1996-11-16 1996-11-16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51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512A1 (ko) * 2021-06-02 2022-12-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255512A1 (ko) * 2021-06-02 2022-12-08 아우토리브 디벨롭먼트 아베 자동차의 사이드 에어백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618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7764B1 (en) Vehicle seat with side airbag device
US6808198B2 (en) Pillar-mounted frontal airbag
JP6265190B2 (ja) 自動車用乗員保護装置
JP4034656B2 (ja) 膨張可能な折畳コンビネーションカーテンのための装置及び方法
JP4434193B2 (ja) 車両用サイドエアバッグ装置
US6712385B2 (en) Dent and vibration resistant rigid knee airbag
US20050029781A1 (en) Dual cushion passenger airbag
US11752965B2 (en) Side airbag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ide airbag device
JP2014151734A (ja) カーテンエアバッグ装置及び乗員保護装置
EP1660355A2 (en) Gas flow defl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airbag systems
KR20160025370A (ko) 차량의 커튼 에어백
KR102144753B1 (ko) 자동차의 센터 사이드 에어백 장치
EP1278659B1 (en) Air bag apparatus for vehicle
EP3959105B1 (en) Side airbag assembly
KR102005748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KR102005750B1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US10994690B2 (en) Vehicle side airbag device
KR100194518B1 (ko) 자동차용 사이드에어백의 제어방법 및 그 구조
JP2013126827A (ja) 車両用乗員保護装置
JP2003200810A (ja) 自動車の側突用エアバッグ装置
EP4234342A1 (en) Air bag device for pedestrian protec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US20050127647A1 (en) Side curtain airbag system
JP3843985B2 (ja) 自動車の側突時における乗員保護装置
JP2006123674A (ja) エアバッグ装置
KR20220151456A (ko) 자동차의 커튼 에어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21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