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3611B1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3611B1
KR100193611B1 KR1019960026573A KR19960026573A KR100193611B1 KR 100193611 B1 KR100193611 B1 KR 100193611B1 KR 1019960026573 A KR1019960026573 A KR 1019960026573A KR 19960026573 A KR19960026573 A KR 19960026573A KR 100193611 B1 KR100193611 B1 KR 1001936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misconvergence
deflection
coils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65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80005245A (ko
Inventor
신인섭
Original Assignee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형도,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형도
Priority to KR10199600265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3611B1/ko
Publication of KR980005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80005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36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3611B1/ko

Links

Landscapes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스크린부와 네크부로 구성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내외측에 탑재되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 설치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상응하는 상기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에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2개의 보정코일이 각각 구비된다.

Description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편향요크의 정면도.
제2도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젼스의 보정장치 구성도.
제3도는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구성도.
제4도는 내지 제5도는 미스컨버젼스가 발생된 화면 상태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단면도.
제7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회로도.
제8도는 본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수직 자계 분포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 : 수직편향코일 3,4 : 미스컨버젼스 보정코일
5 : 페라이트 코아 6 : 가변저항
7 : 수직편향 자력선 8 : 미스컨버젼스 수정 자력선
본 발명은 편향요크(DY: deflection yoak)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수직편향코일에 별도의 보정코일을 구비시켜 버티칼 센터 라스터(vertical center raster: VCR)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 수상기나 모니터 등의 음극선관(CRT)에는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가 장착되어 있어 전자빔을 일정한 방식으로 주사되도록 하여 화면을 형성한다. 점차로 화면의 크기가 커지고, 평면화되어, 화소가 작아지고, CRT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편향각이 커지고 고해상도를 얻기 위하여 편향요크(DY: deflection yoak)의 중요성이 증가되고 있다.
편향요크(DY)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네크부(1)와 스크린부(12)로 이루어지는 코일세퍼레이터(13)의 내부에 한쌍의 수평편향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으며, 한쌍의 수직편향코일(VC)이 코일세퍼레이터(13)의 외부에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네크부(11)의 일측에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 보드(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및 수평편향코일(VC)에 톱니파가 인가디어 자계를 형성함에 따라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전자빔의 화면상의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편향력의 불일치 등에 의해 화면에 불량이 발생되며,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각종 보정장치를 편향요크의 주변에 구비하였다.
이러한 불량으로는 버티칼 센서 라스터(vertical center raster: 이하 VCR이라 칭함)가 있다. 인라인 배열방식의 전자총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G 빔의 자력에 대한 감도가 양측에 위치하는 R 및 B 빔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G 빔이 R 및 B 빔보다 화면의 내측에 주사되는 VCR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상기 화면의 중심부가 주변부 보다 빔의 편향력이 떨어져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은 디스토션이 발생된다. 이러한 VCR 등을 개선하기 위하여 편향요크(DY)의 네크부(11) 외곽에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인 코마프리코일(COMA free coil)을 설치하여 빔의 편향력을 조정하여 준다.
제2도는 종래 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16)의 평면도이다. 얇은 ㄷ자형 철편을 여러장 적층시킨 한쌍의 보정부재(17)의 돌출편(18)에 보정코일(19)이 권선되어 상기 편향요크(DY)의 네크부(11)상의 좌우측에 서로 대칭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정코일(19)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보정부재(17)의 양단에서 자계가 유도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편향력(F)이 발생한다. 상기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16)는 수직편향코일(VC)이 상측편향일 경우에는 R, G, B 빔 모두를 상승시키는 방향으로 편향력이 형성되며, 그중 G 빔을 더 많이 상승시켜 VCR을 보정한다.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25)를 도시한 제3도는 얇은 E자형 철편을 여러장 적층시켜 형성된 한쌍의 보정부재(26)의 돌출편(27)에 보정코일(27)을 권선하여 편향요크(DY)의 네크부(11)상의 상하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상기 보정코일(27)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력(F)을 발생시키도록 권선되어 있다.
상기 수직편향코일(VC)이 상측편향인 경우에는 상기 보정코일(27)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보정부재(26)에 자계가 형성되어 G 빔을 상승시키며, R과 B 빔은 하강시켜 VCR을 보정한다.
상술한 종래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그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떨어지고, 최근의 CRT의 대형화, 고주파수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제기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다른 방법으로 CRT 전자총 부위의 상,하에 마그네트를 부착시켜 DC 자력선을 발생시켜 G 빔을 편향적으로 증대 시킬 수도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마그네크 가우스(Magnet Gauss)의 산포로 인해 VCR이 완전히 제어되지 못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화면 상하측에 발생하는 VCR을 보정할 수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스크린부와 네크부로 구성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내외측에 탑재되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 설치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상응하는 상기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에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제1도 및 제2도 보정코일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도 및 제2도 보조코일의 자계는 상기 편향요크를 통과하는 R 및 B 빔과 G 빔이 수평적으로 일치하도록 가변저항을 구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는 편향요크의 코일세퍼레이터에 탑재된 수직편향코일(1)(2)에서, 스크린부의 최상단 및 최하단에 상응하는 부분에 보정코일(3)(4)을 구비시킨다. 이 두 보정코일(3)(4)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직편향코일크(1)(2)과 직렬로 구성한다.
이때, 가변저항(6)은 직렬로 연결된 수직편향코일(10(2)에 병렬로 연결되었고, 보정코일(3)(4)의 자계는 제8도와 같이 편향요크을 통과하는 R 및 B 빔과 G 빔이 서로 수평적으로 일치하도록 가변저항(6)의 값을 가변시켜 조정한다.
따라서, 수직편향코일(1)(2)이 상측 또는 하측 편향이 발생함에 따라 VCR이 발생되어도 보정코일(3)(4)에 의해 보정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이 따르면 간단하면서도 적은 비용으로 VCR을 조정할 수 있으며, CRT의 대형화, 고주파수화에 따른 필드 콘트롤러의 제거경향에도 신뢰성있게 대처할 수 있다.

Claims (3)

  1. 스크린부와 네크부로 구성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내외측에 탑재되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 설치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부의 최상단과 최하단에 상응하는 상기 편향요크의 수직편향코일에 미스컨버젼스를 보정하기 위한 제1도 및 제2도 보정코일이 각각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및 제2도 보조코일의 자계는 상기 편향요크를 통과하는 R 및 B 빔과 G 빔이 수평적으로 일치하도록 가변저항을 구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도 및 제2도 보정코일은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직렬로 구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60026573A 1996-06-29 1996-06-29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1936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573A KR100193611B1 (ko) 1996-06-29 1996-06-29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26573A KR100193611B1 (ko) 1996-06-29 1996-06-29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245A KR980005245A (ko) 1998-03-30
KR100193611B1 true KR100193611B1 (ko) 1999-06-15

Family

ID=66240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6573A KR100193611B1 (ko) 1996-06-29 1996-06-29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361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56297B1 (ko) * 2000-02-25 2002-10-12 삼성전기주식회사 편향요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80005245A (ko) 1998-03-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00176A (en)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CA1124304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JP3543900B2 (ja) 陰極線管装置
US5179319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RT
US5378961A (en) Deflection yoke apparatus
US3721930A (en) Deflection yoke for use with in-line electron guns
US5811922A (en) Coma-error correcting means of CRT
KR100193611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US6326742B1 (en) Color CRT with cross-misconvergence correction device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KR950005808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200144626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50004321Y1 (ko) 편향요크의 보정장치
EP0310242B1 (en) Colour display system including a self-converging deflection yoke providing raster distortion correction
KR970002423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현상 보정장치
KR960010473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334670B1 (ko) 편향요크의그린빔드롭현상방지장치
KR950002657Y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50003108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GB2235575A (en) A deflection yoke for a cathode ray tube
US3892996A (en) Self-converging color television display system
KR100410950B1 (ko) 편향 요크
JPH05252525A (ja) 偏向ヨーク装置
KR200143631Y1 (ko) 편향요크의 컨버젼스 요크코일 장치
KR0137179Y1 (ko)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118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