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0473B1 -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 Google Patents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0473B1
KR960010473B1 KR1019920026404A KR920026404A KR960010473B1 KR 960010473 B1 KR960010473 B1 KR 960010473B1 KR 1019920026404 A KR1019920026404 A KR 1019920026404A KR 920026404 A KR920026404 A KR 920026404A KR 960010473 B1 KR960010473 B1 KR 9600104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rection
misconvergence
coil
wound
coil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26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7901A (ko
Inventor
조유연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 주식회사, 황선두 filed Critical 삼성전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19920026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60010473B1/ko
Publication of KR9400179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79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04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04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8Arrangements for convergence or focusing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편향요크의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선 A-A에 따른 단면도.
제3도 (a)∼(d)도는 ~에 의해 발생된 YH, YHc 및 VCR현상을 나타낸 화면상태도.
제4도는 종래 YH 및 YHc ~를 보정하기 위한 \의 자계 분포도.
제5도는 제4도의 \에 인가되는 시간-전류의 일 싸이클의 그래프.
제6도는 종래 VCR ~를 보정하기 위한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평면도.
제7도는 제6도의 다른 실시에를 나타내는 \의 평면도.
제8도는 이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의 평면도.
제9(a)∼(b)도는 이 발명 실시에인 제8도의 제1 내지 제3보정코일의 자계 분포도.
제10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 자게계 분포도.
제11(a)∼(b)도는 이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의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DY : 편향요크 VC : 수직편향코일
F : 편향력, → : 자력선
11 : 네트부 12 : 스크린부
13 : 코일세퍼레이터 14 : 터미널 보드
16,17,31 : 보정부재
이 발명은 편향요크의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화면 상하측간의 빔 산포와 버티칼 센터 라스터(vertical center raster : 이하, VCR이라 칭함)를 용이하게 각각 조정할 수 있도록 한 \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TV수상기나 모니터등의 음극선관(CRT)에는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을 편향시키는 편향요크가 장착되어 있고 전자빔을 일정한 방식으로 주사/tlzu 화면을 형성하고 있으며, 또한, 점차로 화면의 크기가 커지고, 화소가 작아지고, 음극선관의 두께가 얇아짐에 따라 편향각이 커지고 고해상도를 얻기 위하여 편향요크(요 : deflection yoke)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고 있다.
편향요크(DY)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네트부(11)와, 스크린부(12)로 이루어지는 코일세퍼레이터(13)의 내부에 한쌍의 수평편향코일(도시되지 않음)이 장착되어 있으며, 한쌍의 ^이 코일 세퍼레이터(13)의 외부에 장착되어 구성되고, 상기 네트부(11)의 일측에 \와의 연결을 위한 터미널보드(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수직 및 수평편향코일(VC)에 톱니파 펄스가 인가되어 자계를 형성함에 따라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적색(R), 녹색(G) 및 청색(B) 전자빔의 화면상의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러나, 그러나 일반적으로 ^의 자계는 제2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바랠(barral) 형상으로 형성되므로 인라인 배열방식의 전자총들중 중앙에 위치하는 G빔의 자력에 대한 감도가 양측에 위치하는 R빔 및 B빔보다 떨어진다. 따라서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G빔의 R 및 B빔 보다 화면의 내측에 주사되는 VCR현상이 발생한다.
또한 음극선관의 화면이 구가 아닌 평면에 가까우므로 화면 상하측에서 균일한 정보로 B빔과 R빔의 산포(YH라 칭함)가 생기며(제3(B) 내지 제3(C)도에 도시), ^의 산포에 의해 R빔 및 B빔 보다 화면의 내측에 주사되는 VCR현상이 발생한다.
이러한 VCR, YH 및 YHc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음극선관의 전자총에 자성체의 필드 조절기를 설치하여 G빔의 감도를 높여 주고 있으나, 음극선관의 고정세화 및 고주파수화에 따라 필드조절기의 성능이 발열에 의해 열화되거나, 편향요크의 누설자계의 영향을 받아 에디 커런트(eddy current) 현상이 발생하므로 전자총에서 필드조절기를 제거하고, 제4도 및 제6도에 도시되는 것과 같은 코마 프리 코일(COMA free coil)을 편향요크(요)의 네크부(11) 외곽에 설치하였다.
제4도는 종래 YH 및 YHc ~를 보정하기 위한 \(15)의 평면도이다.
얇은 ㄷ자형 철편을 여러장 적층시킨 제1 및 제2보정부재(16),(17)의 연결편(16-1),(17-1)에서 제1 및 제2보정코일(18),(19)이 권선되어 상기 편향요크(DY)의 네크부(11)상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보정코일(18),(19)은 좌우로 반대 방향의 편향력(F)이 발생되도록 권선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보정코일(18),(19)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제1 및 제2보정부재(16),(17)의 양끝단에서 누설자계가 형성되어 좌우측 방향으로 편향력(F)이 발생한다.
제6도는 종래 VCR ~를 보정하기 위한 (25)의 평면도로서, 상기 VCR (25)에 인가되는 전류가 제5도에서 T0로 12일 경우이다. 얇은 ㄷ자형 철편을 여러장 적층시켜 형성한 한쌍의 보정부재(26)의 연결편(26-1)에 제1 및 제2보정코일(27),(28)을 권선하여 편향요크(DY)의 네크부(11)상의 상하측에 서로 대향되도록 설치하였다.
상기 제1 및 제2보정코일(27),(28)은 서로 동일한 방향으로 편향력(F)을 발생시키도록 권선되어 잇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보정코일(27),(28)에 전류가 인가되면, 상기 보정부재(26)의 끝단에 누설자게가 형성되어 G빔의 편향력(F)이 작용하여 G빔을 상승시키게 되고, 하측편향인 경우에는 ^의 전류가 반대방향이므로, 반대의 자계가 형성되어 G빔의 ~를 보정하게 된다.
또한 종래 기술의 다른 실시예로서 제7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E자형 보정부재(29)의 연결핀에 제1 및 제2보정코일(30),(31)이 권선되어 상기 @의 좌우측에 설치되어 있기도 하나, 이는 상기 제6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G빔의 편향력을 R빔과 B빔보다 크게 하여 VCR을 보정하며, 측면의 자계로 YH를 보정하게 되어 있었다.
상술한 종래의 는 ㄷ자형 또는 E자형 보정부재의 연편에 보정코일을 권선하여 편향요크의 네크부의 상하측 도는 좌우측에 설치하여 VCR현상을 방지하고, 또한 화면의 상하측의 YH 및 YHc를 보정하였다.
이러한 종래의 \는 코일자체의 전류에 의한 자계보다는 보정부재에서 누설되는 누설자계를 이용하였으므로 전류의 효율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누설자계가 보정부재의 형상에 크게 의존하여 자계의 모양을 조절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으며, 상기 보정부재의 안쪽으로 갈수록 자계가 직선이 되어 자게의 선형성이 떨어지므로 이를 보정하기 위한 별도의 코일을 설치하여야 하는 등 ~ 보정의 최적조건을 찾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이 발명의 목적은 보정부재의 누설자계 보다는 보정코일 자계를 이용하여 전류의 효율이 높은 \를 제공함에 있다.
이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계가 보정부재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고 코일의 분포에 따라 형성하므로 자계의 형상의 조절이 용이하며 자계의 선형도가 좋으며 용이하게 ~ 보정의 최적조건을 찾을 수 있는 \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 발명은 스크린부와 네크부로 구성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내외측에 탑재되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 설치되는 \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상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보정부재와, 상기 보정부재에 권선되어 잇는 보정코일을 구비하는 \를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이 발명에 따른 \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는 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40)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원통형상의 보정부재(41)의 상하 양측에 화면의 VCR을 보정하기 위한 제1보정코일(42)이 권선되어 있다. 또한 상기 보정부재(41)의 좌우 양측에 화면의 YH 및 YHc를 보정하기 위한 제2 및 제3보정코일(43),(44)이 각각 권선되어 있다. 상기 제2 및 제3보정코일(43),(44)은 서로 반대방향의 자계가 형성되도록 권선되어 있다.
이때 상기 보정코일들중 VCR 보정용의 제1보정코일(42)은 ^에 직렬로 연결되며, YH 및 YHc보정용의 제2 및 제3보정코일(43),(44)은 ^과 다이오드를 통과하여 직렬로 연결되어 있어 상기 ^에 흐르는 전류가 한 싸이클을 이루는 동안 상기 제2 및 제3보정코일(43),(44)에 흐르는 전류를 동일한 방향으로 유지되도록 한다.
상기 제1 내지 제3보정코일(42),(43),(44)이 권선되어 있는 보정부재(41)은 @의 네크부(11)상에 탑재되어 고정된다.
상기 보정부재(41)은 철판을 절단 절곡하여 형성하거나, 페라이트코아를 성형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 제2 및 제3보정코일(42),(43),(44)에 전류가 인가되면 맥스웰 방정식에 의해 제8도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은 자계를 발생시키고, 상기 보정부재(41)의 내부에 폐회로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내지 제3보정코일(42),(43),(44)의 분포에 영향을 받아 자계들이 형성된다.
제8도의 \의 자계를 제9(A)도 및 제9(B)도를 참조하여 보정코일별로 분리하여 살펴보면, 제9(B)도를 참조하면, VCR 보정용의 제1보정코일(42)은 상향 및 하향편향시 상하측에서 편향력(F)이 각각 발생되어 G빔을 편향하여 VCR을 방지한다.
제9(A)도를 참조하면, YH 및 YHc 보정용의 제2 및 제3보정코일(43),(44)은 ^의 상측 및 하측 편향시 좌/우측으로 서로 반대 방향의 편향력(F)이 발생되어 R빔 및 B빔을 편향시켜 YH를 방지한다.
또한 제8도에는 상기 제2 및 제3보정코일I(43),(44)을 각각 두 번씩 나눈어 권선되어 있다. 이는 자계를 보다 균일하게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서 각각 하나로 형성하거나 여러개로 형성할 수도 있으며, 상기 제1보정코일(42)도 여러번 나누어 권선할 수 있다.
제10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의 평면도로서, VCR 보정용의 제1보정코일(42)은 제8도와 동일하게 권선되어 있으며, YH 및 YHc 보정용의 제2 및 제3보정코일(46), (47)의 상측 및 하측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권선되어 있어 서로 반대 방향의 자계가 형성된다.
따라서 ^의 상측 및 하측 편향시 자계가 R빔 및 B빔을 편향시켜 YH 및 YHc를 보정하며, 편향력(F)은 VCR을 방지한다. 이때 상기 보정코일에는 다이오드가 불필요하며, 상기 보정코일의 상하측중 어느하나만 선택적으로 작동되도록 하여 실현될 수 있다.
제11(A)도 및 제11(B)도는 이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 장치를 도시한 것으로서, 상기 보정부재(51),(52)의 일측 또는 사방이 이격되어 있는 경우이다. 이는 제조공정중 권선 및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것으로서, 필요에 다라 여러조각으로 보정부재(51),(52)를 형성하여 서로 접착하여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이 발명은 편향요크의 네크부상에 탑재되어 화면상에 R빔과 B빔이 산포되는 YH 및 YHc와, G빔이 R/B빔의 안쪽에 위치하는 VCR 등과 같은 ~를 보정하는 \로써 원통형상의 보정부재의 상하측 및 좌우측에 VCR 보정용 보정코일과 YH 및 YHc 보정용 보정코일을 소정의 편향력을 갖도록 권선하여 네크부상에 탑재하였다.
따라서, 이 발명은 \가 간단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으며, VCR과 YH 및 YHc를 동시에 보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이 발명은 보정코일 자체의 자계를 이용하여 \에 의한 전류의 손실이 적으며, 자계가 보정부재의 형상에 의존하지 않아 자계의 선형성을 향상시켜 용이하게 ~ 보정의 최적조건을 찾을 수 있어 \의 특성조정이 간편한 이점이 있다.

Claims (11)

  1. 스크린부와 네크부로 구성되는 코일세퍼레이터의 내외측에 탑재되는 수평 및 수직편향코일을 구비하는 편향요크에 설치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에 있어서, 상기 네크부상에 설치되는 원통형상의 보정부재와, 상기 보정부재에 권선되어 있는 보정코일을 구비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가 철편 또는 페라이트 코아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임의로 선택되는 하나로 형성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의 적어도 일측이 이격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코일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향력을 갖도록 상기 보정부재의 상하측에 권선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의 상하측에 권선되어 있는 보정코일이 적어도 두 개로 나누어 권선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코일이 좌우방향으로 서로 반대발향의 편향력을 갖도록 상기 보정부재의 좌우측에 권선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부재의 좌우측에 권선되어 있는 보정코일이 적어도 두 개로 나누어 권선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8. 제1항 내지 제7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코일이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정코일이 상하방향으로 서로 동일한 방향의 편향력을 갖도록 보정부재의 상하측에 권선되어 있는 제1보정코일과 좌우방향의 편햐역을 갖도록 상기 보정부재의 좌우측에 권선되어 있는 제2보정코일을 구비하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보정코일이 각각 적어도 두 개로 나누어 권선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보정코일이 상기 수직편향코일과 직렬로 연결되어 있는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19920026404A 1992-12-30 1992-12-30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600104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404A KR960010473B1 (ko) 1992-12-30 1992-12-30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20026404A KR960010473B1 (ko) 1992-12-30 1992-12-30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901A KR940017901A (ko) 1994-07-27
KR960010473B1 true KR960010473B1 (ko) 1996-08-01

Family

ID=193475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26404A KR960010473B1 (ko) 1992-12-30 1992-12-30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6001047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7901A (ko) 1994-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59874A (en) Deflection yoke comprising magnetically permeable members forming a pincushion shape field within the neck of a crt
US3800176A (en) Self-converging color image display system
US4257024A (en) Color picture tube apparatus
US4231009A (en) Deflection yoke with a magnet for reducing sensitivity of convergence to yoke position
US4882521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athode ray tube
US5179319A (en) Deflection yoke for a color CRT
US5059858A (en) Color cathode ray tube apparatus
KR100432059B1 (ko) 칼라음극선관장치
KR960010473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US4972519A (en) Vertical coma correction arrangement
KR100703506B1 (ko) 컨버전스 보정 장치를 가진 컬러 음극선관
CN1020990C (zh) 彩色阴极射线管的偏转线圈
US4305055A (en) Television display system incorporating a coma corrected deflection yoke
KR100193611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70002423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현상 보정장치
KR950004321Y1 (ko) 편향요크의 보정장치
KR950003108Y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50005808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100334670B1 (ko) 편향요크의그린빔드롭현상방지장치
KR950003928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US5828168A (en) Deflection yoke with inner arm
KR960006080B1 (ko) 미스컨버젼스 보정장치
KR940005051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 현상보정장치
KR100208902B1 (ko) 하프-엔드 턴 코일
KR940004072Y1 (ko) 편향요크의 버티컬 센터 라스터(vcr)현상 보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71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