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421B1 -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 Google Patents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421B1
KR100192421B1 KR1019950050780A KR19950050780A KR100192421B1 KR 100192421 B1 KR100192421 B1 KR 100192421B1 KR 1019950050780 A KR1019950050780 A KR 1019950050780A KR 19950050780 A KR19950050780 A KR 19950050780A KR 100192421 B1 KR100192421 B1 KR 1001924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heater
oxygen sensor
pul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507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4907A (ko
Inventor
어정수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10199500507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2421B1/ko
Publication of KR9700449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49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4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421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4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 F02D41/145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the characteristics being an oxygen content or concentration or the air-fuel ratio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2Circuit arrangements for generating control signals
    • F02D41/14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 F02D41/1438Introducing closed-loop corrections using mean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the combustion gases; Sensors therefor
    • F02D41/1493Details
    • F02D41/1494Control of sensor he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Oxygen Concentration In Cells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Fluid Adsorption Or Rea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을 제공하는 것으로, 듀얼 산소센서를 사용하고, 산소센서의 활성화를 위한 히터를 온/오프하여 산소센서 조기활성화 시간을 단축시키므로써 공연비 제어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조기 활성화 로직의 블록 다이어그램.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EGOUPSHTL 2 및 4 : 풀온제어
5 : EGODNSHTL 6 및 7 : 제어부
본 발명은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에 관한 것으로 특히, 듀얼 산소센서 공연비 피드백 제어시스템에 산소센서 조기활성화를 하기위한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산소(O2)센서는 배기다기관에 장착되어 배기가스중의 산소(O2)와 대기중의 산소(O2)의 농도차에 따라 이론 공연비를 중심으로 출력전압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이용하여 엔진작동중에 연소상태 즉 매연의 농도를 알아내어 전자제어유닛(ECU)은 이를 기준으로 연료량을 조절한다. 그리고, 배기가스가 소음기를 거치기 전에 엔진에서 발생한 유해가스인 CO, HC, NOx를 무해가스로 변환해주는 장치로서 촉매변환장치가 있다. 즉 엔진에서의 배기가스로써 유해가스인 CO는 CO2로, HC는 H2O로, NOx는 N2와 O2로 분리시켜서 유해성분을 제거한다. 종래에는 싱글 산소(O2)센서를 이용하여 공연비 피드백 제어를 실시하였으며 별도의 센서히터(Sensor Heater) 회로의 구현없이 배기가스에 의해 센서가 히팅되어 활성화가 이루어지므로 산소(O2)센서의 활성화 시간이 길어지기 때문에 이로인한 배기가스의 악화가 불가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듀얼 산소센서를 사용하고, 산소센서의 활성화를 위한 히터를 온/오프하여 상기한 단점을 해소할 수 있는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NORF가 1이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 보다 크면 UPSFULF는 1이되며 이때 스위치는 EGOUPSHTL에서 풀온제어로 접속되고, NOT CRKF가 1이고, 배터리 전압 A/D값이 산소센서 히터 제어 배터리 최고한계 보다 작고 수온센서의 A/D값이 -10℃보다 크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 보다 작아서 UPSSTBF가 1이 될때 제어부는 상기 풀온제어의 출력신호인 UPSHOFTIM신호 및 상기 UPSSTBF는 1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 온/오프 제어중 히터 제어 온 시간을 온으로 고정하고 테이블 UPSFULF를 오프로 설정한 후 히터 풀온 제어를 행하여 UPSHETF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NORF가 1이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 보다 크면 DNSFULF는 1이되며 이때 스위치는 EGODNSHTL서 풀온제어로 접속되고, NOT CRKF가 1이고 배터리 전압 A/D값이 산소센서 히터 제어 배터리 최고한계 보다 작고 수온 센서의 A/D값이 -10℃보다 크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보다 작아서 DNSSTBF가 1이 될때 제어부는 상기 풀온제어의 출력신호인 DNSHOFTIM신호 및 상기 DNSSTBF는 1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 온/오프 제어중 히터제어 온시간을 온으로 고정하고 테이블 DNSFULF를 오프로 설정한 후 히터 풀온 제어를 행하여 DNSHETF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은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면은 본 발명에 따른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에 대한 블록 다이어그램이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같이 NORF가 1이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EXGTMP)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THRPNTC) 보다 크면 UPSFULF는 1이되며 이때 스위치(SW1)는 EGOUPSHTL(1)에서 풀온제어(2)로 접속된다. 이때 NOT CRKF가 1이고, 배터리 전압 A/D값(BATADC)이 산소센서 히터 제어 배터리 최고한계(BATLMTC) 보다 작고, 수온 센서의 A/D값(WTSADC)이 -10℃보다 크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EXGTMP)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HETLMTC) 보다 작아서 UPSSTBF가 1이 될때, 제어부(6)는 상기 풀온제어(2)의 출력신호인 UPSHOFTIM신호 및 상기 UPSSTBF는 1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 온/오프 제어중 히터 제어 온 시간(EGOHETC)을 온으로 고정하고, 테이블(EGOUPSHTL)UPSFULF를 오프로 설정한 후 히터 풀온 제어를 행하여 UPSHETF신호를 출력한다.
이화 동시에 NORF가 1이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EXGTMP)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THRPNTC) 보다 크면 DNSFULF는 1이되며 이때 스위치(SW2)는 EGODNSHTL(5)에서 풀온제어(4)로 접속된다. 이때 NOT CRKF가 1이고, 배터리 전압 A/D값(BATADC)이 산소센서 히터 제어 배터리 최고한계(BATLMTC) 보다 작고, 수온 센서의 A/D값(WTSADC)이 -10℃보다 크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EXGTMP)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HETLMTC)보다 작아서 DNSSTBF가 1이 될때, 제어부(7)는 상기 풀온제어(4)의 출력신호인 DNSHOFTIM신호 및 상기 DNSSTBF는 1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 온/오프 제어중 히터제어 온시간(EGOHETC)을 온으로 고정하고, 테이블(EGODNSHTL)DNSFULF를 오프로 설정한 후 히터 풀온 제어를 행하여 DNSHETF신호를 출력한다.
하기의 표 1 및 표 2는 도면에 설정된 변수 및 상수의 값을 나타낸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듀얼 산소센서를 사용하고, 산소센서의 활성화를 위한 히터를 온/오프하여 산소센서 조기활성화 시간을 단축시키므로써 공연비 제어를 빠르게 할 수 있는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2)

  1.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에 있어서, NORF가 1이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 보다 크면 UPSFULF는 1이되며 이때 스위치는 EGOUPSHTL에서 풀온제어로 접속되고, NOT CRKF가 1이고 배터리 전압이 A/D값이 산소센서 히터 제어 배터리 최고한계 보다 작고 수온 센서의 A/D값이 -10℃보다 크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 보다 작아서 UPSSTBF가 1이 될때 제어부는 상기 풀온제어의 출력신호인 UPSHOFTIM 신호 및 상기 UPSSTBF는 1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 온/오프 제어중 히터 제어 온 시간을 온으로 고정하고 테이블 UPSFULF를 오프로 설정한 후 히터 풀온 제어를 행하여 UPSHETF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2.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에 있어서, NORF가 1이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 보다 크면 DNSFULF는 1이되며 이때 스위치는 EGODNSHTL서 풀온제어로 접속되고, NOT CRKF가 1이고 배터리 전압 A/D값이 산소센서 히터 제어 배터리 최고한계 보다 작고 수온 센서의 A/D값이 -10℃보다 크고 배기가스 온도 모델링 변수가 산소센서 히터 온/오프 제어 한계값보다 작아서 DNSSTB가 1일 될때 제어부는 상기 풀온제어의 출력신호인 DNSHOFTIM신호 및 상기 DNSSTB는 1인 신호를 기초로 하여 히터 온/오프 제어중 히터제어 온시간을 온으로 고정하고 테이블 DNSFULF르 오프로 설정한 후 히터 풀온 제어를 행하여 DNSHETF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KR1019950050780A 1995-12-15 1995-12-15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KR1001924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780A KR100192421B1 (ko) 1995-12-15 1995-12-15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50780A KR100192421B1 (ko) 1995-12-15 1995-12-15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07A KR970044907A (ko) 1997-07-26
KR100192421B1 true KR100192421B1 (ko) 1999-06-15

Family

ID=194406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50780A KR100192421B1 (ko) 1995-12-15 1995-12-15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242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4907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E8603227D0 (sv) Forfarande for bestemning av aldringstillstandet hos en avgaskatalysator vid en med lambda-sondreglering av brensle/luftforhallandet utrustad forbrenningsmotor
JPS5950862B2 (ja) 空燃比制御装置
WO2000004282A1 (fr) Procede d'appreciation des deteriorations d'un dispositif catalyseur pour la regulation des gaz d'emission
WO2002081887A3 (de) Verfahren zum reinigen des abgases einer brennkraftmaschine
EP0799985A3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EP0918147A3 (en) Exhaust gas purify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393834B1 (en) Exhaust purifying apparatu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5698542A (en) Air-fuel ratio controlling system for engine
KR100192421B1 (ko) 산소센서 히터를 이용한 센서 조기활성화 로직
JP2008231926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US4397279A (en) Air-fuel ratio control system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910001228A (ko) 내연기관의 공연비 제어 장치
KR100305781B1 (ko) 이중산소센서를이용한공연비제어장치및그방법
JPS5848743A (ja) 内燃機関の触媒劣化防止装置
JP5034751B2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S6416959A (en) Method for discriminating activation of exhaust gas concentration sensor
JPS6113691Y2 (ko)
JPH0544449A (ja) デイーゼル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S5830452A (ja) 空燃比制御装置
JPH0658185A (ja) 内燃機関の排気浄化装置
JPH08130472A (ja) A/d変換装置
JPS643256A (en) Exhaust reflux control device for diesel engine
JPH0536617B2 (ko)
JP2996030B2 (ja) 内燃機関の触媒暖機装置
KR100362629B1 (ko) 촉매활성화시간단축을위한엔진의공연비산정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61229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