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2009B1 - Mounting structure of ignition parts for an automobile engine - Google Patents

Mounting structure of ignition parts for an automobile eng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2009B1
KR100192009B1 KR1019960038928A KR19960038928A KR100192009B1 KR 100192009 B1 KR100192009 B1 KR 100192009B1 KR 1019960038928 A KR1019960038928 A KR 1019960038928A KR 19960038928 A KR19960038928 A KR 19960038928A KR 100192009 B1 KR100192009 B1 KR 100192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gine
cover
ignition system
bracket
ign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8928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970016101A (en
Inventor
도시이치 데라가도
Original Assignee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와모토 노부히코, 혼다 기켄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와모토 노부히코
Publication of KR9700161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61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2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2009B1/en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67/00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67/04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 F02B67/06Engine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f auxiliary apparatus not being otherwise provided for, e.g. the apparatus having different functions; Driving auxiliary apparatus from engin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f mechanically-driven auxiliary apparatus driven by means of chains, belts, or like endless members

Abstract

차량, 특히 차체 앞부분의 엔진룸내에 크랭크축을 차체 전후방향으로 배치한 세로배치 엔진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엔진의 앞면에 그 엔진의 조시전동기구를 앞쪽에서 덮는 커버를 위치시키도록 한 타입의 차량에 있어서는, 종래에는 엔진 옆쪽에 위치하는 차체나 엔진본체 옆면에 엔진용 점화계 부품이 부착되어 있었으므로, 주행풍에 의한 점화계 부품의 냉각효과를 충분히는 기대할 수 었어서, 엔진으로 부터의 열의 영향으로 점화계 부품의 점화성능이 저하하거나 충분한 내구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A longitudinally arranged engine in which a crankshaft is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is provided in an engine room of a vehicle, particularly a front portion of the vehicle body, and a type of vehicle in which a cover for covering the front- Since the ignition system parts for the engine are attached to the side of the vehicle body or the engine body located on the side of the engine in the past, the cooling effect of the ignition system parts by the running wind can be sufficiently expect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ignition performance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s is deteriorated or a sufficient durability performance can not be obtained.

본 발명은 이러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이TRh, 이 목적 달성을 위하여 상기 타입의 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앞면에 위치하여 조시전동기구를 앞쪽에서 덮는 커버의 앞쪽에 엔진의 점화계 부품을 배설함과 동시에, 그 점화계 부품의 앞면을 엔진의 앞쪽에 배설되는 라디에이터팬의 보호판 개구부에 대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라디에이터팬을 통하여 그 후방쪽으로 대량으로 흐르는 주행풍을 엔진의 점화계 부품에 대하여 직접 그리고 효율적으로 충분히 쐴 수 있기 때문에 주행풍에 의한 점화계 부품의 냉각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서, 동 부품의 점화성능의 열로 인한 저하를 효과적으로 억제함과 동시에, 그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In order to achieve this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s directed to a vehicle of the above-described type, which is position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ngine and has a front portion of a cover covering the front transmission mechanism, And the front face of the ignition system part is opposed to the opening of the shield plate of the radiator fan disposed on the front side of the engine so that the running wind flowing in a large amount toward the rear side through the radiator fan The cooling effect of the ignition system parts due to the running wind can be greatly improved since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s can be directly and efficiently discharged sufficiently to effectively suppress the deterioration due to the heat of the ignition performance of the components, .

Description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Mounting structure of ignition system parts for engines in vehicles

제1도는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시한 자동차의 개략 정면도.FIG. 1 is a schematic front view of an automobile show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제2도는 상기 자동차의 엔진룸에 있어서 엔진, 라디에이터팬, 이그나이터 부착부의 상호배치관계를 간략히 도시한 확대 정면도.FIG. 2 is an enlarged front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mutual arrangement relationship of an engine, a radiator fan, and an igniter attachment portion in the engine room of the automobile.

제3도는 상기 엔진의 요부를 구체적으로 도시한 확대 정면도.FIG. 3 is an enlarged front view specifically showing a main portion of the engine. FIG.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시 부분의 평면도.FIG. 4 is a plan view of a portion of an arrow in FIG. 3; FIG.

제5도는 이그나이터용 부착 브라켓의 단체 정면도(제6도의 화살표시도).FIG. 5 is a front view of a group of attachment brackets for igniter (arrows in FIG. 6).

제6도는 제5도의 6화살표시도.6 shows an arrow in FIG.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DESCRIPTION OF THE REFERENCE NUMERALS

Bo : 차체 B : 본넷Bo: Body B: Bonnet

1 : 엔진룸 2 : 크랭크축1: Engine room 2: Crankshaft

E : 엔진 R : 라디에이터E: Engine R: Radiator

F : 라디에이터팬 A : 공기청정기F: Radiator fan A: Air purifier

CR, CL : 실린더 3 : 슬로틀보디CR, CL: Cylinder 3: Slotted body

4 : 에어플로우튜브 G : 그릴(grille)4: Air flow tube G: Grille

5 : 공기도입구 6 : 보호판(shroud)5: air inlet 6: shroud

6a : 원형개구부 6b : 모우터 지지틀6a: circular opening 6b: motor supporting frame

7 : 팬본체 8 : 팬모우터7: Fan body 8: Fan motor

9 : 엔진본체 T : 조시(調時) 전동기구9: Engine body T: Josh (time adjustment)

10 : 뒷커버 11 : 앞커버10: rear cover 11: front cover

11M : 중앙앞커버 I : 이그나이터11M: Center front cover I: igniter

13 : 하우징 14 : 빈틈13: Housing 14: Clearance

15h1, 15h2: 관통구멍 16 : 다리부15h 1 , 15h 2 : Through hole 16: Leg portion

16a : 부착좌 Br : 브라켓16a: Attached left Br: Bracket

H : 하네스 Pw: 냉각수파이프H: harness Pw : cooling water pipe

PA: 공기파이프 18H, 18W, 18A: 걸림부P A : air pipe 18 H , 18 W , 18 A :

Se : 크랭크각 센서 20 : 크랭크풀리( 및 캠풀리)Se: crank angle sensor 20: crank pulley (and cam pulley)

본 발명은 차체 앞부분의 엔진룸내에 크랭크축을 차체 전후방향으로 배치한 세로배치 엔진을 설치함과 동시에 그 엔진의 앞면에 그 엔진의 조시(調時) 전동 기구를 앞쪽에서 덮는 커버를 위치시키도록 한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의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에 관한 것이다.A longitudinally arranged engine having a crankshaft disposed in a front-rear direction of a vehicle body is provided in an engine room in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body, and a cover for covering a front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engine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ngine To an attachment structure of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of an engine in a vehicle.

종래, 상기 차량에 있어서 엔진의 이그나이터, 이그니션코일, 디스트리뷰터 등의 점화계 부품은 엔진 옆쪽에 위치하는 차체에 부착되거나, 혹은 일본국 실공평 5-41239호 공보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엔진본체의 측면에 부착되어 있었다.Conventionally, ignition system components such as an igniter, an ignition coil, and a distributor of an engine in the vehicle are attached to a vehicle body located on the side of the engine or attached to a side surface of the engine body as disclosed in Japanese Utility Model Publication No. 5-41239 .

그런데, 그러한 종래의 점화계 부품의 배치에서는 주행풍에 의한 점화계 부품의 냉각효과를 충분히는 기대할 수 없어서 엔진으로 부터의 열의 영향으로 점화계 부품의 점화성능이 저하하거나 충분한 내구성능을 얻을 수 없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arrangements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s, the cooling effect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s due to the running wind can not be sufficiently expected, so that the ignition performance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s is deteriorated due to heat from the engine, And the like.

본 발명은 주행풍에 의한 점화계 부품의 냉각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도록 하여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게 한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attachment structure of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for an engine in a vehicle, which can sufficiently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of the prior art by sufficiently obtaining a cooling effect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s by the running wind.

그리고,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엔진의 앞면에 위치하여 조시전동기구를 앞쪽에서 덮는 커버의 앞쪽에 엔진의 점화계 부품을 배설함과 동시에 그 점화계 부품의 앞면을 엔진의 앞쪽에 배설되는 라디에이터팬의 보호판 개구부에 대면시킨 것을 제1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라디에이터팬을 통하여 그 후방쪽으로 대량으로 흐르는 주행풍을 점화계 부품에 대하여 직접 그리고 효율적으로 충분히 쐴 수 있기 때문에 주행풍에 의한 점화계 부품의 냉각 효과를 대폭 향상시킬 수 있어서 동부품의 점화성능이 열에 의하여 저하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됨과 동시에 그 내구성도 향상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spark ignition 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having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disposed in front of a cover which is locat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engine and covers the quick-turn transmission mechanism from the front, The radiator fan is provided on the rear side of the radiator fan so as to face the opening of the shield plate so that a large amount of running air flowing rearwardly through the radiator fan can be drawn directly and efficiently to the ignition system part,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improve the cooling effect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by the heat, and the durability of the ignition system can be effectively suppressed.

또, 본 발명은 상기 특징에 더하여 상기 점화계 부품을 상기 커버의 앞쪽에서 지지하는 부착브라켓을 그 브라켓이 커버를 그 앞쪽으로부터 덮듯이 단면 대략 ゴ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브라켓 양단부를 엔진본체에 고정시킨 것을 제2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커버앞쪽에 점화계 부품을 배설함에도 불구하고 그 부품의 부착브라켓을 엔진본체쪽에 양쪽지지로 안정되게 지지시킬 수 있으므로 점화계 부품의 지지강성을 높일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ignition system 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ver is formed in a substantially loose shape in cross section such that the bracket covers the cover from the front side thereof, As a second feature. As a result, even though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cover as described above, the mounting bracket of the component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both supports on the engine body side, so that the support rigidity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can be increas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각 특징에 더하여 상기 커버가 엔진본체 또는 그 엔진 본체에 고정된 뒷커버에 붙이고 떼기가능하게 결합되는 앞커버이고, 상기 점화계 부품을 앞커버의 앞쪽에서 지지하는 부착브라켓이 앞커버를 피하여 엔진본체 또는 뒷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제3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앞커버의 앞쪽에 점화계 부품을 배설함에도 불구하고 그 부품의 부착브라켓을 그 앞커버의 엔진본체 또는 뒷커버에 대한 붙이고 떼기의 방해가 되지 않도록 배치할 수 있기 때문에 점화계 부품을 정규의 부착상태에 둔체로 앞커버의 붙이고 떼는 작업, 나아가서는 조시전동기구의 보수작업을 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feature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is a front cover in which the cover is detachably attached to an engine body or a rear cover fixed to the engine body, and an attachment bracket for supporting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cover And is fixed to the engine body or the rear cover while avoiding the front cover. Thus, even though the ignition system part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it is possible to dispose the mounting bracket of the component so that the front cover does not interfere with the detachment from the engine body or the rear cover. It is possible to attach and detach the front cover with the obtuse state in the attached state, and to perform the repair work of the quick-turn transmission mechanism.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또는 제3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부착브라켓과 커버와의 사이에 빈틈을 마련한 것을 제4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그 빈틈에 주행풍이 유통하여 점화계 부품의 냉각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커버를 붙이고 뗄때에 그 커버가 부착브라켓과 간섭하기 어렵게 되어 그 붙이고 떼는 작업을 쉽게 그리고 정화히 할 수 있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Further, in addition to the second or third aspect,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gap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cover, whereby a running wind flows in the gap, And the cover is hardly interfered with the attaching bracket when the cover is attached and detached, so that the work for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ver can be easily and cleaned, and the work efficiency is improv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제3 또는 제4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부착브라켓에는 점화계 부품의 배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는 것을 제5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이에 의하여 그 관통구멍을 통하여 부착브라켓의 안쪽 공간에 점화계 부품의 배면을 직접 노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그 방열성을 높일 수 있고, 더욱이 그 관통구멍의 형성에 의하여 부착브라켓 자체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econd, third or four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ing bracket has a fifth feature that a through hole is form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Since the back surface of the ignition system part can be directly exposed to the inner space of the mounting bracket through the hole, the heat dissipation property can be enhanced, and the mounting bracket itself can be made lightweight by forming the through hole.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2, 제3, 제4 또는 제5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부착브라켓에는 하네스, 냉각수파이프 또는 에어파이프를 클램프하기 위한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제6의 특징으로 하고 있으며, 하네스, 냉각수파이프 또는 에어파이프를 점화계 부품의 부착브라켓을 이용하여 그 점화계 부품주변의 소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적으로 유리함과 동시에 하네스, 냉각수라이프 또는 에어파이프에 대하여 주행풍에 의한 충분한 냉각효과도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o the second, third, fourth, and fifth asp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ttachment bracket is provided with a latching portion for clamping a harness, a cooling water pipe, or an air pipe. It is possible to fix the harness, the cooling water pipe or the air pipe at a predetermined position around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by using the attachment bracket of the ignition system part, thereby being advantageous in terms of space and sufficient cooling The effect can also be expected.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제1의 특징에 더하여 상기 엔진이 좌우 1쌍의 실린더 열을 V자 형상으로 배치한 V형 세로배치 엔진이고, 상기 커버가 상기 좌우 1쌍의 실린더열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좌우 1쌍의 상부 앞커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그 한쪽의 상부 앞커버의 앞쪽에 점화계 부품으로서의 이그니션코일을 배설하고, 또 그 다른쪽의 상부 앞버커내에 크랭크각 센서를 설치한 것을 제7의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에 의하여 그 다른쪽의 상부 앞커버는 크랭크각 센서의 보수를 위하여 커버착탈의 기회가 많아져도 그와는 반대쪽의 상부 앞커버의 앞쪽에 이그니션 코일이 배설되기 때문에 그 센서의 보수작업을 이그니션코일이나 부착브라켓에 방해되지 않고 쉽게 할 수 있다. 더욱이 이그니션코일로부터 크랭크각 센서를 충분히 떨어지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코일이 센서에 미치는 자계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어서 센서의 오작동방지에 유효하다.In addition to the first feat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o the first feature, the engine is a V-shaped longitudinally arranged engin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cylinder rows are arranged in a V-shape, and the cover includes left and right An ignition coil as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is disposed in front of one of the upper front covers and a crank angle sensor is provided in the other upper front bucker. . As a result, even if there is an increased chance of detachment of the cover for the maintenance of the crank angle sensor, the other upper front cover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coil in front of the upper front cover opposite thereto. It can be easily done without interfering with the mounting bracket. Further, since the crank angle sensor can b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the ignition coil,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on the sensor can be suppressed, which is effective for preventing malfunction of the sensor.

본 발명에 있어서의 상기,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잇점은 첨부한 도면에 따라 다음에 상술하는 알맞은 실시예의 설명에서 명백히 될 것이다.The above and other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먼저, 제1도 내지 제4도에 있어서, 자동차(V)의 차체(Bo) 앞부분에 형성되어 본넷(B)에 의하여 개폐가능한 엔진룸(1)에는 크랭크축(2)을 차체 전후방향으로 배치한 세로배치 엔진(E)과, 그 엔진룸(1)의 전단에 위치하여 그 엔진(E)의 냉각수를 냉각시킬 수 있는 라디에이터(R)와, 그 라디에이터(R)에 후부에 인접배치된 라디에이터팬(F)과, 엔진(E)에 공급할 공기를 청정화하기 위한 공기청정기(A)가 라디에이터팬(F)의 후방에 엔진(E)의 앞면이 공간(S)을 가지고 위치하며, 또한 그 공간(S) 및 엔진(E)의 옆쪽에 공기청정기(A)가 위치하도록 배설된다. 상기 엔진(E)은 도시예에서는 쌍을 이루는 실린더열(CR, CL)을 차체 좌우방향으로 V자 형상으로 배치한 V형 세로 배치 다기통엔진이고, 그 좌우의 실린더열(CR, CL)의 사이에 형성되는 V자 형상 공간에는 슬로틀보디(3)나 이에 이어지는 흡기분기장치(도시하지 않음) 등이 배설된다. 슬로틀보디(3)와 공기청정기(A) 사이에는 상기 공간(S)의 윗쪽으로 대략 수평으로 뻗는 에어플로우튜브(4)가 접속되어 있다.1 to 4, a crankshaft 2 is disposed in a front-rear direction of a vehicle body in an engine room 1 which is formed at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body Bo of an automobile V and can be opened and closed by a bonnet B A radiator R positioned at the front end of the engine room 1 for cooling the cooling water of the engine E and a radiator R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portion of the radiator R, A fan F and an air purifier A for purifying the air to be supplied to the engine E are disposed behind the radiator fan F with the front surface of the engine E having a space S, And the air cleaner A is located on the side of the engine S and the engine E, respectively. The engine E is a V-type longitudinally arranged multi-cylinder engine in which a pair of cylinder rows CR and CL are arranged in a V-shape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vehicle body. A slant body 3 and an intake branching device (not shown) are disposed in the V-shaped space. An airflow tube 4 extending substantially horizontally above the space S is connected between the air duct 3 and the air cleaner A. [

상기 라디에이터(R)는 자동차(V)의 앞면 그릴(G)이나 범퍼의 공기도입구(5)의 후방에 위치하고 있고, 그 라디에이터(R)의 후부에는 라디에이터팬(F)의 바깥틀을 이루는 보호판(6)이 그 개방전단을 라디에이터(R) 후면에 임하도록 하여 고정지지되어 있다. 이 보호판(6)의 내부에는 그 보호판(6)의 후면에 설치한 좌우 1쌍의 원형개구부(6a)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 1쌍의 프로펠러 형상 팬본체(7)가 병설되어 있고, 이들 팬본체(7)를 지지하고 또한 회전구동하는 좌우 1쌍의 팬모우터(8)가 상기 개구부(6a)를 방사상으로 가로지르는 모우터 지지틀(6b)(제4도 참조)을 통하여 보호판(6)에 지지되어 있다.The radiator R is located behind the front grill G of the automobile V or the air inlet 5 of the bumper an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radiator R with a shield plate (6) is fixedly supported so that its open front end is locat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radiator (R). A pair of left and right propeller-like fan bodies 7 are provided in the inside of the protection plate 6 so as to correspond to a pair of left and right circular openings 6a provided on the rear surface of the protection plate 6, A pair of right and left fan motors 8 for supporting and rotatably driving the motor 7 are mounted on the protection plate 6 via a motor supporting frame 6b (see FIG. 4) radially crossing the opening 6a. Respectively.

상기 엔진(E)은 그 엔진본체(9)의 앞부분에 가동밸브기구를 크랭크축(2)에 연동시키는 감아걸기식의 조시전동기구(T)를 구비하고 있다. 이 조시전동기구(T)는 크랭크풀리(20) 및 캠풀리(도시하지 않음)와 이들 풀리 사이에 걸려있는 무단상 타이밍벨트(21)를 가지며, 벨트커버(Co)에 의하여 덮여있다. 그 벨트커버(Co)는 도시예에서는 엔진본체(9)의 전단면에 볼트(B1)를 통하여 고정된 뒷커버(10)(제6도 참조)와 그 뒤커버(10)에 볼트(B2)를 통하여 고정되는 앞커버(11)로 구성된다. 그리하여 앞커버(11)는 엔진본체(9)의 중앙부분에 대응하여 크랭크풀리를 덮는 중앙앞커버(11M)와, 엔진본체(9)의 좌우의 실린더열(CR)에 각각 대응하여 좌우의 캠풀리(20)를 덮는 좌우 1쌍의 상부 앞커버(11L, 11R)로 분할구성되어 있어서, 상기 조시전동기구(T)를 앞쪽으로부터 덮도록 엔진(E)의 앞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더욱이 좌우의 상부 앞커버(11L, 11R) 및 중앙앞커버(11M)는 뒷커버(10)(따라서, 엔진본체(9))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붙이고 뗄 수 있다.The engine E is provided at the front portion of the engine main body 9 with a hoist gear transmission mechanism T for interlocking the movable valve mechanism with the crankshaft 2. [ The jog transmission mechanism T has a crank pulley 20 and a cam pulley (not shown), and an endless timing belt 21 interposed between the pulleys, and is covered by a belt cover Co. The belt cover Co includes a rear cover 10 (see FIG. 6) fixed to the front end face of the engine body 9 through a bolt B 1 and a bolt B And a front cover 11 which is fixed to the front cover 11 through the front cover 11. The front cover 11 includes a central front cover 11M covering the crank pulley in correspondence with the central portion of the engine body 9 and left and right cams 11R corresponding to the left and right cylinder rows CR of the engine body 9, And a pair of left and right upper front covers 11L and 11R covering the pulley 20 so as to be located on the front face of the engine E so as to cover the forward transmission mechanism T from the front side, The front covers 11L and 11R and the center front cover 11M can be attached and detached individually to and from the rear cover 10 (and thus the engine body 9).

한쪽의 상부 앞커버(도시예에서는 우상부 앞커버 (11R))의 앞쪽에는 엔진(E)의 점화계 부품으로서의 이그나이터(I)가 배설된다. 이 이그나이터(I)의 앞면은 그 전부가 상기 라디에이터팬(F)의 보호판 개구부(6a)에 대면시키고 있으며, 즉 그 이그나이터(I)의 하우징(13) 전체가 보호판(16)의 개구부(6a)의 후방투영면내에 들어가는 배치로 되어 있다. 이러한 배치에 의하면 라디에이터팬(F)을 통하여 그 후방쪽에 대량으로 흐르는 주행풍에 이그나이터(I)에 대하여 직접 그리고 효율적으로 충분히 쐴 수 있으므로 주행풍에 의한 이그나이터(I)의 냉각효과가 대폭 향상되어 동 이그나이터(I)의 점화 성능이 열에 의하여 저하하는 것이 효과적으로 억제되어 그 내구성도 향상된다. 그리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우상부 앞커버(11R)가 본 발명의 커버를 구성한다.An igniter I as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of the engine E is disposed in front of one upper front cover (an upper right front cover 11R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entire front surface of the igniter I faces the shield plate opening 6a of the radiator fan F. That is, the entire housing 13 of the igniter I covers the opening 6a of the shield plate 16, In the rear projection plane of the projection lens. According to this arrangement, since the running wind flowing in a large quantity to the rear side through the radiator fan F can be sufficiently drawn directly and efficiently to the igniter I, the cooling effect of the igniter I due to the running wind is significantly improved, The ignition performance of the igniter I is effectively suppressed from being lowered by heat, and the durability thereof is also improved. Thu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constitutes the cover of the present invention.

상기 이그나이터(I)는 제5도, 제6도에 명시한 바와 같은 판형상의 부착 브라켓(Br)을 통하여 엔진본체(9)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부착된다. 그 부착브라켓(Br)은 우상부 앞커버(11R)를 그 앞쪽으로부터 덮듯이 단면이 대략 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고 즉,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면에 소정의 빈큼(14)을 가지고 대면하며, 또한 동 커버(11R)의 앞면을 가로지르는 방향(즉, 대응하는 우실린더열(CR)의 실린더축선과 차량앞쪽에서 보아 대략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대략 평탄한 중간부(15)와 그 중간부(15)의 양단에 각각 연이어 설치되고 그 중간부(15)로부터 후방으로 약 90도 굴곡하여 뻗는 1쌍의 다리부(16)로 구성된다. 그 양다리부(16)의 후단에는 그 다리부(16)로부터 약 90도 굴곡하여 뻗는 부착좌(16a)가 각각 일체로 연이어 설치되고 그들 부착좌(16a)는 윗커버(10)의 부착좌(10a)에 볼트(B3)를 가지고 고착되어 있다.The igniter I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gine body 9 through a plate-like mounting bracket (Br) as shown in Figs. 5 and 6. The attachment bracket Br is formed to have a substantially L-shaped cross section such that it covers the upper-right portion front cover 11R from its front side. That is, the attachment bracket Br has a predetermined margin 14 on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And has a substantially flat intermediate portion 15 extending in the direction crossing the front surface of the copper cover 11R (that is, in a direction substantially orthogonal to the cylinder axis of the corresponding right cylinder row CR) And a pair of leg portions 16 which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both ends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5 and which extend from the intermediate portion 15 to the rear by about 90 degrees. And the attachment leg 16a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eg portion 16 so as to extend integrally from the leg portion 16 and bent at about 90 degrees. 10a) there is a fixed with a bolt (B 3).

그리하여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 이그나이터(I)를 배설하여도 ゴ자 형상으로 된 부착브라켓(Br)이 양쪽에서 지지되어 엔진본체(9) 쪽으로 안정되게 지지되어 이그나이터(I)에 대한 지지강성이 높아진다. 더욱이 그 부착브라켓(Br)은 우상부 앞커버(11R)의 뒷커버(10)(따라서, 엔진본체(9))에 대한 붙이고 떼기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그 앞커버(11R)를 피하여 뒷커버(10)(따라서, 엔진본체(9))에 고정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그나이터(I)를 정규의 세트상태로 놓은채로 우상부 앞커버(11R)의 붙이고 떼는 작업을 무리없이 행할 수 있는 것이고, 조시전동기구(T)의 보수작업이 쉬워진다.Even if the igniter I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so that the grommet attachment bracket Br is supported on both sides and is stably supported toward the engine body 9, The supporting rigidity is increased. The attachment bracket Br is prevented from being caught in the rear cover 10 of the right-hand part front cover 11R (and hence on the engine body 9) 10) (and therefore, the engine body 9), it is possible to carry out the operation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upper right portion cover 11R without difficulty while keeping the igniter I in the regularly set state, The maintenance work of the mechanism T becomes easy.

또, 특히 부착브라켓(Br)(따라서, 이그나이터(I)의 배면쪽)과 우상부 앞커버(11R) 앞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빈큼(14)이 확보되어 있으므로 그 빈큼(14)에 주행풍이 유통하여 이그나이터(I)의 냉각성이 향상될 뿐만아니라 우상부 앞커버(11R)를 붙이고 뗄때에 그 커버(11R)가 부착브라켓(Br)과 간섭하기 어렵게 되어 그 붙이고 떼는 작업을 쉽게 그리고 정확히 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우상부 앞커버(11R)으 떼내는 작업을 볼트(B2)을 빼내고 우상부 앞커버(11R)를 대응하는 실린더열(CR)의 실린더축선에 대략 따르도록(즉, 부착브라켓(Br)의 중간부를 가로지르도록) 비스듬히 윗쪽으로 당겨올림으로써 행하여진다.Particularly, since a predetermined margin 14 is secured between the attaching bracket Br (thus, the rear surface of the igniter I)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right portion front cover 11R, The cover 11R hardly interferes with the mounting bracket Br when the upper right cover 11R is attached and detached and the operation of attaching and detaching the cover 11R can be easily and accurately performed . The bolt B 2 is removed and the upper right cover 11R is attached to the cylinder head of the corresponding cylinder row CR so as to substantially follow the cylinder axis of the corresponding cylinder row CR (I.e., across the middle portion of the frame).

또, 부착브라켓(Br)의 상기 중간부(15)의 앞면에는 그 브라켓(Br)에 이그나이터(I)의 하우징(13)을 고정시키기 위한 복수의 부착좌(15a)가 서로 간격을 두고 일체로 융기형성되어 있고, 그들 부착좌(15a)에는 이그나이터(I)의 하우징(13)으로부터 뻗어나온 부착아암부(13a)가 볼트(B4)를 가지고 고착된다. 또, 상기 중간부(15)에는 이그나이터(I)의 하우징(13) 배면에 대응하는 위치나 그 주변위치에 각각 관통구멍(15h1, 15h2)이 뚫어 설치되어 있고, 전자의 관통구멍(15h1)의 특설에 의하면 그 구멍(15h1)을 통하여 부착브라켓(Br)의 안쪽공간(즉, 상기 중간부(15)와 우상부 앞커버(11R) 앞면과의 사이의 빈틈(14))에 이그나이터(I)의 배면을 직접 노출시킬 수 있어서 그 방열성이 향상되고, 또 후자의 관통구멍(15h2)의 특설에 의하면 주행풍이 그 구멍(15h2)을 통하여 상기 빈큼(14)에 효율적으로 잘 흘려서, 이그나이터(I)의 방열성이 더욱 향상된다. 더욱이 상기 관통구멍(15h1, 15h2)의 형성에 의하여 그만큼 부착브라켓(Br) 자체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A plurality of attaching seats 15a for fixing the housing 13 of the igniter I to the bracket Br are integrally formed at a distance from each other on the front face of the intermediate portion 15 of the attaching bracket Br and the ridge is formed, has left their attachment (15a) is attached to the arm (13a) extending from the housing 13 of the igniter (I) is fixed with a bolt (B 4). Through holes 15h 1 and 15h 2 are drilled in the intermediate portion 15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housing 13 of the igniter I and at peripheral positions thereof and through holes 15h 1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inner space of the attachment bracket Br (that is, the gap 14 between the intermediate portion 15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right portion cover 11R) through the hole 15h 1 igniter (I) it is possible to directly exposing the back surface improves the heat radiating property and, yet efficient well as the binkeum 14 according to the special of the latter through-hole (15h 2) of the running wind through the hole (15h 2) of the The heat dissipation of the igniter I is further improved. Further, by forming the through holes 15h 1 and 15h 2 ,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weight of the attachment bracket itself.

또한, 부착브라켓(Br)에는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 각각 배치되는 엔진용 각종 하네스(H), 냉각수파이프(PW), 에어파이프(PA)를 각각 소정위치에 주지의 클램프수단을 가지고 클램프하는데에 이용되는 복수의 걸림부(18H, 18W, 18A)가 이그나이터(I)의 주변에 설치된다. 따라서, 이들 하네스(H)나 파이프류(PW,PA)를 이그나이터(I)부착브라켓(Br)을 이용하여 이그나이터(I) 주변의 소정위치에 합쳐서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공간상 유리함과 동시에 주행풍에 의한 하네스(H)나 파이프류(PW, PA)에 대한 충분한 냉각효과도 기대할 수 이다.The harness H for engine, the cooling water pipe P W and the air pipe P A , which are respectively arranged in front of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are attached to the attachment bracket Br at predetermined positions a plurality of engaging portion to be used for the clamp has a means (18 H, 18 W, 18 a) are provided in the vicinity of the igniter (I). Therefore, the harness H and the pipes P W and P A can be fixed at predetermined positions around the igniter I by using the bracket Br with the igniter I, A sufficient cooling effect on the harness H and the pipes P W and P A due to the wind can be expected.

다른쪽의 상부 앞커버(좌상부 앞커버(11L))의 안쪽에는 크랭크각 센서(Se)가 고정적으로 배설되어 있고, 이 크랭크각 센서(Se)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그 커버(11L) 내의 캠풀리(20)의 측면에 고정설치된 시그널돌기와 협동하는 것이고 즉, 그 시그널돌기가 그 센서(Se )를 가로지를 때마다(즉, 그 돌기의 통과에 의하여 그 센서(Se)의 픽업코일내의 자속이 변화할 때마다) 펄스신호를 엔진제어회로에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하여 이 클랭크각 센서(Se)를 배설한 쪽의 좌상부 앞커버(11L)는 그 센서(Se)의 보수를 위하여 그 커버(11L)를 붙이고 떼는 기회가 비교적 많아지나 그 커버(11L)와는 반대쪽의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 점화계 부품으로서의 이그나이터(I)를 배설한 관계로 그 센서(Se)의 보수작업을 이그나이터(I)나 그 부착브라켓(Br)에 방해되지 않고 쉽게 할 수 있다. 또, 특히 점화계 부품으로서 도시예의 이그나이터(I) 대신에 특히 이그니션코일을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 배치한 경우에는 그 코일과 크랭크각 센서(Se)와의 사이를 충분히 이간시킬 수 있으므로 그 코일이 센서(Se)에 미치는 자계의 영향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그 센서(Se)의 오작동을 방지할 수 있다.A crank angle sensor Se is fixedly disposed inside the other upper front cover (left upper portion front cover 11L). As is known, the crank angle sensor Se is provided with a cam (That is, the magnetic flux in the pickup coil of the sensor Se due to the passage of the protrusion) is coincident with the signal projection fix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pulley 20. That is, every time the signal projection crosses the sensor Se And outputs a pulse signal to the engine control circuit every time it changes. The upper left front cover 11L on which the crank angle sensor Se is disposed has a relatively large opportunity to attach and detach the cover 11L for the maintenance of the sensor Se, The igniter I serving as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is arranged in front of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of the igniter I so that the maintenance work of the sensor Se can be easily carried out without being disturbed by the igniter I or the mounting bracket Br . Particularly, in the case where the ignition coil is disposed in front of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in place of the igniter I shown in the drawing as an ignition system part, the coil and the crank angle sensor Se can be sufficiently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effectively suppress the influence of the magnetic field exerted on the sensor Se by the coil so as to prevent malfunction of the sensor Se.

엔진본체(9)의 각 실린더열(CR, CL)에 대응한 실린더헤드(CH)에는 각 연소실마다 점화플러그(P)가 각각 배설되어 있고, 또 그 실린더헤드(CH) 위에 중합결착되는 헤드커버(HC)에는 각 점화플러그(P)에 출력단부를 접속할 수 있는 이그니션코일(IC)이 배설된다. 따라서, 그들 점화플러그(P)나 이그니션코일(IC)과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 위치하는 이그나이터(I)와의 사이의 거리를 극력 짧게 할 수 있기 때문에 그 사이를 접속할 하네스(H)의 길이의 단축화를 꾀할 수 있다.Spark plugs P are disposed in the cylinder heads CH corresponding to the cylinder rows CR and CL of the engine main body 9 for each combustion chamber, (HC) is provided with an ignition coil (IC) capable of connecting an output end to each spark plug (P). Therefore, the distance between the ignition plug P and the ignition coil IC and the igniter I positioned in front of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can be made as short as possible.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horten the length.

다음에 상기 실시예의 작용에 대하여 설명한다. 자동차(V)의 주행시에 있어서 라디에이터팬(F)을 통과하여 그 보호판(6)의 개구부(6a)로부터 후방쪽으로 대량의 주행풍이 흘려서, 그 후방에 위치하는 엔진(E)의 앞면에 부딪친다. 이 경우, 조시전동기구(T)의 앞커버(11)(도시예에서는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는 엔진의 점화계 부품으로서의 이그나이터(I)가 배설되며, 이 이그나이터(I)의 앞면은 그 전부를 라디에이터팬(F)의 보호판 개구부(6a)에 대면시키고 있기 때문에 상기 대량으로 흐르는 주행풍을 이그나이터(I)에 대하여 직접 그리고 효율적으로 충분히 쐴 수 있어서 주행풍에 의한 이그나이터(I)의 냉각효과가 대폭 향상된다. 또, 비록 이그나이터(I)가 보호판(6)의 개구부(6a)의 후방투영면밖에 배치되어 있다하더라도 그 이그나이터(I)는 우상부 앞커버(11R)를 앞쪽으로부터 덮듯이 대략 ゴ자 형상으로 형성된 부착브라켓(Br)을 가지고 엔진(E)(우상부 앞커버(11R))의 앞쪽에 배치고정되므로 앞면 그릴(G)이나 범퍼의 공기도입구(5)를 통하여 엔진룸(1)내에 진입하는 주행풍을 이그나이터(I)에 효율적으로 쐴 수 있어서 주행풍에 의한 이그나이터(I)의 냉각효과의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Next, the operation of the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A large amount of running air flows from the opening 6a of the protection plate 6 through the radiator fan F at the time of traveling of the automobile V and strikes against the front surface of the engine E located behind the opening 6a. In this case, an igniter I as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of the engine is disposed in front of the front cover 11 (the upper right front cover 11R in the illustrated example) of the power transmission mechanism T, Since the front surface faces the cover plate opening 6a of the radiator fan F, the large amount of running air can be sufficiently drawn directly and effectively against the igniter I, The cooling effect of the cooling water is greatly improved. Even if the igniter I is arranged outside the rear projection surface of the opening 6a of the protection plate 6, the igniter I can be attached to the upper front cover 11R from the front, The front grill G and the air of the bumper are introduced into the engine room 1 through the inlet 5 since the front bracket Br is disposed and fixed in front of the engine E (the upper right cover 11R) It is possible to efficiently apply the air to the igniter I so that the cooling effect of the igniter I due to the traveling air can be expected to be improved.

또, 부착브라켓(Br)(따라서, 이그나이터(I)의 배면쪽)과 우상부 앞커버(11R)의 앞면과의 사이에 소정의 통풍빈큼(14)이 확보되어 있을 뿐만아니라 부착브라켓(Br)의 이그나이터(I) 배면에 대응하는 위치나 그 주변위치에 관통구멍(15h1, 15h2)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빈큼(14)을 흐르는 주행풍에 의하여 이그나이터(I)를 더욱 효율적으로 냉각시킬 수 있다.Not only a predetermined ventilation gap 14 is secured between the attachment bracket Br (on the back side of the igniter I)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upper right portion front cover 11R, Since the through holes 15h 1 and 15h 2 are formed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back surface of the igniter I and at the periphery thereof, the igniter I can be cooled more efficiently have.

그런데, 엔진룸(1) 내에서 이그나이터(I)나 라디에이터팬(F)의 보호판(6)의 옆쪽에는 공기청정기(A)가 배설되어 있어서 그 보호판(6)과 엔진(E)의 앞면(조시전동기구(T)의 앞커버(11))와의 사이의 공간(S)의 한 옆쪽에 공기청정기(A)의 옆면이 임하고 있으므로 그 공기청정기(A)를 주행풍을 이그나이터(I) 쪽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로 겸용할 수 있어서 그만큼 구조의 간소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그나이터(I)의 냉각성이 더욱 향상된다.The air cleaner A is arranged in the engine compartment 1 on the side of the protection plate 6 of the igniter I or the radiator fan F so that the protection plate 6 and the front surface of the engine E Since the side surface of the air cleaner A is located at one side of the space S between the air cleaner A and the front cover 11 of the transmission mechanism T, the air cleaner A is guided to the direction of the igniter I So that the structure can be simplified and the cooling property of the igniter I can be further improved.

또한, 이그나이터(I)의 윗쪽에는 공기청정기(A)로부터 뻗는 에어플로우 튜브(4)가 배설되어 있어서 상기 공간(S)의 윗쪽에 상기 에어플로우튜브(4)의 하면이 임하고 있으므로 그 에어플로우튜브(4)도 또 주행풍을 이그나이터(I) 쪽으로 유도하는 가이드부재로 겸용할 수 있고, 따라서 구조의 간소화와 이그나이터(I)의 냉각성 향상을 더욱 꾀할 수 있다. 더욱이 에어플로우튜브(4) 자체의 냉각성도 향상되어 그곳을 흐르는 흡기의 충전효율도 높아진다.Since the air flow tube 4 extending from the air cleaner A is disposed above the igniter I and the lower surface of the air flow tube 4 is located above the space S, (4) can also be used as a guide member for guiding the running wind to the igniter (I) side, thus simplifying the structure and improving the cooling performance of the igniter (I). Furthermore, the cooling efficiency of the air flow tube 4 itself is improved, and the charging efficiency of the intake air flowing through the air flow tube 4 is also enhanced.

이상, 본 발명의 1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여러 가지 실시예가 가능하다. 예를 들면, 상기 실시예에서는 점화계 부품으로서 이그나이터(I)를 예시하였으나 기타의 점화계 부품, 예를 들면 이그니션코일이나 디스트리뷰터를 라디에이터팬(F)의 보호판 개구부(6a)에 대면시키거나 또는 엔진(E)(엔진 (11R))의 앞쪽에서 상기 부착브라켓(Br)에 지지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점화계 부품(이그나이터(I))의 앞면의 전부를 라디에이터팬(F)의 보호판 개구부(6a)에 대면시킨 것을 예시하엿으나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점화계 부품(이그나이터)의 앞면의 일부만을 보호판 개구부(6a)에 대면시키도록 하여도 좋고, 또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점화계 부품(이그나이터)을 보호판 개구부(6a)의 후방투영면밖에 배치하여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는 점화계 부품(이그나이터(I))의 부착브라켓(Br)의 양단부를 엔진본체(9)에 고정된 뒷커버(10)를 통하여 엔진본체(9)에 고정시키도록 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뒷커버(10)에의 부착이 곤란한 경우(예를 들면, 커버를 생략하고 앞커버(11)를 엔진본체(9)에 직접 고정시키는 경우)에는 부착브라켓(Br)의 양단부를 엔진 본체(9)에 직접고정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또, 상기 부착브라켓(Br)이 직접 또는 뒷커버(10)를 통하여 고정되는 엔진본체(9)는 실린더헤드(CH), 헤드커버(HC), 실린더블록 등의 엔진본체를 구성하는 어떤 부품이라도 좋다.Although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but various embodiment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the above embodiment, the igniter I is illustrated as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but other ignition system components, for example, an ignition coil or a distributor, face the opening 6a of the shield plate 6a of the radiator fan F, And may be supported by the mounting bracket Br from the front side of the engine E (engine 11R). In the above embodiment, all of the front surfaces of the ignition system parts (igniter I) are faced to the shield plate opening 6a of the radiator fan F. However, in the invention of claim 1, The ignition system part (igniter) may be disposed outside the rear projection surface of the shielding plate opening 6a in the invention of claim 2. In the above embodiment, both end portions of the attachment bracket Br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igniter I) are fixed to the engine body 9 through the rear cover 10 fixed to the engine body 9 Both ends of the attaching bracket Br are fixed to the engine main body 9 in the case where it is difficult to attach to the rear cover 10 (for example, in the case of omitting the cover and fixing the front cover 11 directly to the engine main body 9) 9). The engine main body 9 in which the mounting bracket Br is fixed directly or through the rear cover 10 is not limited to any component constituting the engine main body such as the cylinder head CH, the head cover HC, good.

Claims (7)

차체 앞부분의 엔진룸내에 크랭크축을 차체 전후방향으로 배치한 세로배치 엔진을 설치하고 그 엔진의 앞면에 그 엔진의 조시전동기구를 앞쪽으로부터 덮는 커버를 위치시키도록 한 차량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앞쪽에 엔진의 점화계 부품을 배설함과 동시에 그 점화계 부품의 앞면을 엔진의 앞쪽에 배설되는 라디이터팬의 보호판 개구부에 대면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A longitudinally arranged engine in which a crankshaft is disposed in a front-rear direction of a vehicle body is provided in an engine room in a front portion of a vehicle body, and a cover for covering a front transmission mechanism of the engine from a front side is disposed on a front surface of the engine. Wherein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of an engine is disposed and a front surface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is opposed to a shield plate opening of a radiator fan disposed in front of the engin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점화계 부품을 상기 커버의 앞쪽에서 지지하는 부착 브라켓을 그 브라켓이 커버를 그 앞쪽에서 덮듯이 단면이 대략 ゴ자 형상으로 형성하여 그 브라켓 양단부를 엔진본체에 고정시킨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2. The igni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n attaching bracket for supporting the ignition system part from the front side of the cover is formed such that its bracket covers the front side of the cover from its front side and has both ends of the bracket fixed to the engine body Wherein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for an engine is mounted on a vehicle.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엔진본체 또는 그 엔진본체에 고정된 뒷커버에 붙이고 떼기 가능하게 결합되는 앞커버이고, 상기 점화계 부품을 앞커버의 앞쪽에서 지지하는 부착브라켓이 앞커버를 피하여 엔진본체 또는 뒷커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3. The ignition system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ver is a front cover detachably attached to an engine body or a rear cover fixed to the engine body, wherein an attachment bracket for supporting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from the front side of the front cover Wherein the front cover is fixed to the engine body or the rear cover while avoiding the front cover.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브라켓과 상기 커버와의 사이에 빈큼을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The attachment structure of an ignition system for an engine according to claim 2 or 3, wherein an empty space is provided between the mounting bracket and the cover. 제2, 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브라켓에는 점화계 부품의 배면에 대응하는 위치에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The attachment structure of an ignition system for an eng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3, and 4, wherein the attachment bracket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a back surface of the ignition system component. 제2, 3, 4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브라켓에는 하네스, 냉각수 파이프 또는 에어파이프를 클램프하기 위한 걸림부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The attachment structure of an ignition system component for an engine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2, 3, 4, and 5, wherein the attachment bracket is provided with an engagement portion for clamping a harness, a cooling water pipe,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엔진은 좌우 1쌍의 실린더열을 V자 형상으로 배치한 V형 세로배치 엔진이고, 상기 커버는 상기 좌우 1쌍의 실린더열에 개별적으로 대응하는 좌우 1쌍의 상부 앞커버를 적어도 포함하고 그 한쪽의 상부 앞커버의 앞쪽에 이그니션코일을 배설하고, 또 그 다른쪽의 상부 앞커버내에 크랭크각 센서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랑에 있어서의 엔진용 점화계 부품의 부착구조.The eng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engine is a V-shaped longitudinally arranged engine in which a pair of left and right cylinder rows are arranged in a V-shape, and the cover includes a pair of left and right upper front covers Wherein an ignition coil is provided in front of one upper front cover and a crank angle sensor is provided in the other upper front cover. .
KR1019960038928A 1995-09-12 1996-09-09 Mounting structure of ignition parts for an automobile engine KR100192009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234399A JP3099177B2 (en) 1995-09-12 1995-09-12 Mounting structure of engine ignition system parts for vehicles
JP95-234399 1995-09-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6101A KR970016101A (en) 1997-04-28
KR100192009B1 true KR100192009B1 (en) 1999-06-15

Family

ID=1697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8928A KR100192009B1 (en) 1995-09-12 1996-09-09 Mounting structure of ignition parts for an automobile engine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3099177B2 (en)
KR (1) KR100192009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3687B1 (en) * 2015-03-31 2017-02-07 이광일 Protection device for sparring
JP7102747B2 (en) * 2018-01-25 2022-07-20 マツダ株式会社 Engine exhaust purification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099177B2 (en) 2000-10-16
JPH0979034A (en) 1997-03-25
KR970016101A (en) 1997-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791482A (en) Noise supression air duct assembly for air cooled internal combustion engines in vehicle installations
US6745862B2 (en) Snowmobile equipped with a four-cycle engine and intake structure for snowmobile engines
US4891940A (en) Muffler cooling structure for liquid-cooled engine system
JP4139179B2 (en) Cooling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provided on vehicle for traveling on rough terrain
US4911135A (en) Intake air cooling arrangement for turbocharged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579675B2 (en) Forced air-cooled small engine
US6941924B2 (en) Arrangement and structure of auxiliaries in a snowmobile engine
US11198404B2 (en) Tractor
KR100192009B1 (en) Mounting structure of ignition parts for an automobile engine
JP4520058B2 (en) Outboard motor generator cooling structure
US5170754A (en) Intake system for V-type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3466072B2 (en) Mounting structure of electrical components
JPH11301514A (en) Structure of vehicle front portion
JP5168650B2 (en) Auxiliary structur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6871699B1 (en) Engine coolant conduit with integral alternator and exhaust gas recirculation valve
US2972340A (en) Cooling and air supply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3601639B2 (en) Intake system layout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18138773A (en) Internal combustion engine for vehicle
JPS6035122Y2 (en) Headlamp device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 mounted on agricultural machinery
JPH06257524A (en) Intake air manifold supporting construction of transversely-mounted engine
JP6292265B2 (en) Superstructure of vehicle engine
KR100313459B1 (en) Spark ignitio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0227057A (en) Intake device of engine
JPH051634A (en) Mechanism for lowering suction temperature of engine suction system
EP1121514A1 (en) Engine coolant crossove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9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