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657B1 -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657B1
KR100191657B1 KR1019970009861A KR19970009861A KR100191657B1 KR 100191657 B1 KR100191657 B1 KR 100191657B1 KR 1019970009861 A KR1019970009861 A KR 1019970009861A KR 19970009861 A KR19970009861 A KR 19970009861A KR 100191657 B1 KR100191657 B1 KR 1001916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polymer
composition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098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4176A (ko
Inventor
강형식
김덕주
인주환
양경수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700098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657B1/ko
Publication of KR1998007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4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6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65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6Flame-proofing or flame-retarding additi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46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containing other atoms than carbon or hydrogen atoms
    • C08L23/0853Vinylaceta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00/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unspecified polymers
    • C08J2300/22Thermoplastic res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22Halogen free composi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표면처리된 금속수산화물과 표면 처리된 적린의 복합 난연제 및 난연 상승제를 동시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사용함으로써 난연제를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Description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본 발명은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통신선 및 전력선 피복용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부주의 및 전기 누전 등에 의해 발생되는 통신 케이블 및 건물등의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가 증가하고 있다. 특히 통신선의 화재 사고는 일단 발생하면 통신선의 유실 뿐만아니라 복구 시기까지의 모든 유선망의 단절로 인하여 파급되는 손실이 막대하므로 이에 대한 예방이 절실히 요구된다. 따라서 이러한 재해를 예방하기위해서 통신 케이블의 난연화가 추진되고 있으며, 특히 난연성은 기본적으로 보유하면서도 기계적 물성, 압출 외관 등 물성이 향상된 제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이러한 통신선 및 전력선 피복용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고 있는 난연제로서 할로겐계 난연제가 있으나, 연소시 발생하는 유독 가스때문에 환경문제가 심각하여 네델란드 및 독일에서는 일부 할로겐계 난연제의 사용을 금지하였다. 또한 할로겐계 난연제 및 할로겐화 폴리에틸렌은 사용할 경우 수지 가공 및 성형시 발생되는 할로겐화 수소로 인하여 금형 부식, 수지 분해 착색 등의 문제를 발생시킨다. 따라서, 현재 전세계적으로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는 비할로겐계 난연 수지 조성물이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비할로겐계 난연 수지 조성물은 난연제로서 대부분 금속 수산화물을 첨가하여 사용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수지와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기술이 지속적으로 개발되어 왔다(일본국 특허 특원평 4-179411, 특원평 4-101010, 특원평 4-200515, 특원소 61-81422).
또한 금속 수산화물 이외에 비할로겐계 난연제로서 암모늄 포스페이트 계통의 화합물을 사용하여 난연 수지 조성물을 얻는 기술도 개발되어 왔다.(미합중국 특허 5,286,775).
하지만 금속 수산화물과 암모늄 포스페이트를 난연제로 사용할 경우 베이스 수지인 폴리올레핀 수지와의 상용성이 나쁘고, 난연성을 유지하기위해서 비교적 과량을 첨가해야함으로 최종 수득되는 난연 수지 조성물의 기계적 강도와 외관이 불량하다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금속 수산화물, 특히 수산화 마그네슘은 공기중의 수분 및 이산화탄소와 반응하여 탄산마그네슘을 형성하여 표면에 백화 현상을 일으키며, 수산화 마그네슘 또는 수산화 알루미늄 등 금속 수산화물은 산과 알칼리에 대한 내성이 매우 낮아 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산 혹은 알칼리와 접촉하였을 경우 금속 수산화물과 반응하여 수지 표면이 변형을 일으키기 ?다는 결과가 한국특허 공보 공고번호 90-6359에 나타나 있다.
상기 난연제외에 비교적 근래에 소개된 비할로겐계 난연제중의 하나인 적린은 소량 사용하여도 탁월한 난연성을 나타내므로 이를 이용한 난연화 기술이 일본국 특허 특공소 41-13154, 특개소 48-4598, 특공소 47-18223, 특공소 52-25435, 특공소 54-21379 등에 나타나 있다. 그러나 적린의 경우 습기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가공시 유독한 포스핀 가스를 발생하기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여 수지와 상용성이 뛰어나며 그에 의해 종래보다 난연성과 물성이 향상된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위해 노력한 결과, 폴리올레핀 수지에 표면처리된 금속수산화물과 표면 처리된 적린을 복합하여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사용함으로써 수지와의 상용성이 우수하고 난연 상승제를 사용하여 전체적인 난연제의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고 우수한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난연제로서 표면처리된 비할로겐계 복합 난연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지와의 상용성이 뛰어나며 그에 의해 종래보다 난연성과 물성이 향상된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즉, 본 발명은 (A)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 싱글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이하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공중합체라 칭함)와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일종 이상의 혼합물 31.5 내지 68.9 중량%,
(B) 난연제로서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과 적린을 포함하는 복합 난연제 26 내지 55 중량%,
(C) 난연상승제 1 내지 8 중량%,
(D) 커플링제 0.1 내지 0.5 중량%,
(E) 상용화제, 표면처리제, 가공 조제, 카본 블랙, 산화 방지제 등을 각각 0.1 내지 5 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선 및 전력선 피복용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A) 성분에서 사용된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의 예로는 극초저밀도 폴리에틸렌 (ULDPE: 밀도 0.880 ∼ 0.900),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VLDPE: 밀도 0.895 ∼ 0.915), 저밀도 폴리에틸렌 (LDPE: 밀도 0.910 ∼ 0.925),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LLDPE: 밀도 0.915 ∼ 0.935), 중밀도 폴리에틸렌 (MDPE: 밀도 0.935 ∼ 0.949), 고밀도 폴리에틸렌 (HDPE: 밀도 0.950 ∼ 0.965)등이 있다. 이중에서 190℃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했을 때 0.1 내지 15,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10분의 용융 지수를 갖는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싱글사이트 촉매혹은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올레핀을 중합한 제품으로 기존의 고압법으로 제조된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기존의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에 비하여 분자량 분포 및 분지의 분포도가 적은 것이 특징이며, 높은 강성과 상대적으로 촉매의 양이 적어 불순물로 작용할 수 있는 잔류 촉매의 양이 적고, 용매 용출량이 작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싱글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40 개 이하의 알파 올레핀, 예컨대, 프로필렌,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을 고압공법, 용매공법, 슬러리공법, 기상/슬러리 공법 등으로 공중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는 촉매의 종류에 따라 분자내 단쇄 분지 단독 또는 단쇄 분지 및 장쇄분지를 포함하고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예로는 밀도가 0.870 내지 0.960 g/cm3, 바람직하게는 0.870 내지 0.920 g/cm3, 가장 바람직하게는 0.870 내지 0.910 g/cm3이며, 용융지수는 190℃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했을 때 0.01 내지 40 g/10분,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2 g/10분, 가장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10분인 것이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로는 에틸렌 단량체와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에타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공중합시킨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에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티렌 메타아크릴레이트 등과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를 알콜기로 치환시킨 폴리에틸렌 비닐알콜등이 사용될 수 있다. 공중합체의 함량이 적을 수록 전기적인 특성이 일반적으로 증가하며, 첨가제를 더 많이 첨가시킬 수 있다. 적합한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예로는 공중합체내 에틸렌을 제외한 공중합체 단량체의 함량이 5 내지 50 중량%, 바람직하게는 7 내지 35 중량%이며, 용융 지수가 190℃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했을 때 0.1 내지 15 g/10분, 바람직하게는 0.1 내지 5 g/10분인 것이다.
본 발명의 난연 수지 조성물에서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 싱글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와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일종 이상의 혼합물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31.5 내지 68.9 중량%가 적합하다.
본 발명의 (B) 성분으로 사용된 표면 처리된 금속 수산화물로는, 붕산염계 화합물, 금속 스테릭산 화합물 등을 표면처리제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을 들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25 내지 40 중량%이고, 표면 처리된 적린으로는 페놀계 수지 혹은 금속 수산화물, 티타늄 2산화물을 표면 처리제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적린을 들 수 있으며, 그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1 내지 15 중량%이다. 상기 표면 처리된 금속 수산화물과 표면 처리된 적린의 복합 난연제의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26 내지 55 중량% 이다.
본 발명에서 (C) 성분으로 사용된 난연 상승제는 주난연제의 난연성을 증가시키기위하여 첨가한 것으로서 그 자체로는 난연성을 보유하고 있지 않으나, 적린 또는 금속 수산화물을 사용한 복합 난연제에 소량 첨가시 뛰어난 난연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난연 상승제의 예로는 일반적으로 탈크라고 알려진 이산화규소(SiO2) 50 내지 70%,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25 내지 40%, 그외 알루미나(Al2O3), 삼산화이철(Fe2O3), 칼슘 옥사이드(CaO), 칼륨 옥사이드(K2O), 나트륨 옥사이드(Na2O) 등으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혼합물, 혹은 일반적으로 카올린이라고 알려진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수산화알루미늄실리케이트, 수산화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1 내지 8 중량%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서 (D)성분으로 사용된 커플링제는 티타네이트계 화합물로서 금속 수산화물 및 난연 상승제, 적린 등의 무기 첨가물과 베이스 수지와의 계면사이의 다리 역활을 수행하여 고분자와 무기 첨가물간의 상용성을 증가시키는 역활을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티타네이트 화합물은 1)알콜 분해, 2)표면 킬레이트 형성, 3)배위 교환, 4) 배위에 의한 염형성, 5) 고분자 반응기 교환 촉매, 6) 유기 반응기 상호 작용 중 한 가지 이상의 기능으로 고분자와 무기물간의 계면 결합력을 증가시키게 된다. 이러한 티타네이트계 커플링제로는 모노알콕시 티타네이트, 킬레이트계 티타네이트, 코티네이트계 티타네이트, 퀴트계 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릴 티타네이트, 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 사이클로헤테로원자 티타네이트, 파이로포스페이트 티타네이트 등이 있다. 난연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함량은 전체 조성물을 기준으로 0.1 내지 0.5 중량%가 적합하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 (E) 성분으로 사용된 상용화제, 표면처리제, 가공 조제, 카본 블랙, 산화 방지제는 상기 난연 수지 조성물의 물성과 난연성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내에서 소량 첨가됨으로써 난연 수지 조성물의 가공성과 표면특성 등을 개선시킬 수 있다. 사용되는 량은 전체 수지 조성물을 기준으로 총 3 내지 5 중량%이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난연 수지 조성물의 일반적인 제조 방법 및 평가: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기위하여 80℃로 유지되는 헨셀 믹서에서 900 rpm으로 난연상승제, 카본블랙, 산화방지제, 가공조제 등을 커플링제로 5분간 표면처리한 후 폴리올레핀계 공중합체 또는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를 투입하여 50℃ 이상 일정한 온도로 유지되는 헨셀 믹서에서 900 rpm에서 10분 이상 혼련한 후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함으로써 상기 성분을 함유한 수지 마스타 배치를 제조하였으며, 인화성이 강한 적린은 직접 사용하기가 어려우므로 질소로 퍼징되는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적린의 마스타배치를 제조하였다. 또한 폴리에틸렌 극성 공중합체와 스테아린산 아연으로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을 헨셀 믹서에서 5분간 혼련한 후 이를 이용하여 금속 수산화물 마스터 배치를 이축 압출기를 이용하여 제조하였다. 최종 난연 수지 조성물은 상기 수지 마스타 배치, 적린 마스타 배치, 금속 수산화물 마스타 배치를 상기와 같은 조건으로 헨셀 믹서에서 혼련한 후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압출하였으며, 압출 스트랜드를 절단하여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압출시 압출기의 온도는 처음 부분을 150℃, 마지막 다이 부분을 180℃로 설정하고, 압출기 스크류 회전 속도를 150 rpm으로 압출량을 시간당 30 kg으로 하였다.
상기에서 수득한 수지 조성물 펠렛으로부터 시험시편을 제작하여 난연 수지 조성물의 물성과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난연성은 산소지수와 연기밀도의 수치로 평가하였는 데, 산소지수는 높을수록 연기밀도는 낮을수록 난연성이 우수함을 나타낸다.
2) 사용 원료
1. EVA(Ethylene Vinyl Acetate Polymer):
일본 미쓰이듀폰사 EVAFLEX 360 (비닐아세테이트 함량 28%, 용융 지수 2), 엑슨사 UL00226 (비닐 아세테이트 함량 28%, 용융 지수 2)
2. VLDPE: 엘지화학 제품 FA0850(용융지수 0.8, 밀도 0.900)
3. 적린: 일본 화학 적린 CP-15, TP-15
인화학 적린 HISHGARD FR120UFA
4. Mg(OH)2: 교화화학 공업사 KISUMA 5B
5. 난연 상승제: 일본 탈크 공업사 P-3
6. 커플링제: 캔리치사 CAPS 38, LICA 38, CAPOW 38
7. 가공조제: 라이온 케미칼 LC102N
8. 카본 블랙: 캐봇사 VULCAN 9A32
9. 산화방지제: 유니로얄사 제품 NAUGARD 445
2) 사용기기
1. 헨셀 믹서: 헨셀사 10 리터 믹서
2. 이축압출기: WP사 ZSK 40
3) 시험 방법
1. 산소 지수: ASTM D2863
2. 연기 밀도: ASTM E662
3. 신율, 인장강도: ASTM D 638
실시예 1
표면 처리된 복합 난연제의 사용에 따른 난연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하기위해 표 1의 조성비와 같이 VLDPE 10 중량%, 난연 상승제 4 중량%, 커플링제 0.3 중량%, 카본 블랙 2.5 중량%, 산화방지제 0.2 중량%, 가공 조제 0.3 중량%,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공중합체 48.2 중량%와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 난연제 28 중량%, 표면처리된 적린 난연제 6.5 중량%를 함유하는 난연 수지 조성물을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후 물성과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비교예 1
난연제로서 표면처리되지 않은 Mg(OH)2를 28 중량%과 적린 6.5 중량%를 복합하여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후 물성과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상기 실험으로부터 표면 처리된 복합 난연제를 사용한 본 발명의 난연 수지 조성물(실시예 1)과 표면 처리되지 않은 복합 난연제를 사용한 조성물(비교예 1)과 비교하였을 때 본 발명의 조성물이 난연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인장강도와 신도(가연전과 후)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난연성을 그대로 유지하면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것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서 표면 처리된 복합 난연제를 사용함으로써 수지와 상용성이 개선되어 물성이 향상된 것으로 생각된다.
비교예 2
난연제로서 표면처리되지 않은 Mg(OH)2를 60 중량%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비로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한 후 물성과 난연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Mg(OH)2만을 사용한 비교예 2의 난연 수지 조성물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 비교하였을 때 난연성의 기준인 산소지수와 연기밀도가 낮아 난연성이 떨어지며 기계적인 물성중에서 특히 신율 103 %로 급격하게 저하된 것을 알수 있다. 또한 난연 수지 조성물의 열안정성을 측정하는 가열후 신율이 53%로 매우 낮은 값을 보이고 있다. 아울러 비교예 1과 2의 난연 수지 조성물을 비교하였을 때 복합 난연제를 사용한 경우가 난연성과 물성이 그리고 열안정성이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실시예 2 및 3
커플링제의 사용에 따른 난연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평가하기위해 표 1에 나타난 조성비와 같이 커플링제를 각각 0.15와 0.4 중량%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와 동일하게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난연성 및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신도에 약간의 변화한 것이외에는 특기할만한 난연성이나 물성의 변화가 관측되지 않았다.
실시예 4
수지의 변화에 따른 난연 수지 조성물의 특성을 살펴보기위해 수지를 VLDPE에서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중합체로 변화한 것이외에는 표 1의 조성비대로 실시예와 동일하게 난연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 후 난연성 및 물성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그 결과를 살펴보면, 본 실시예에 따라 수득된 난연 수지 조성물이 지금까지의 실시예와 비교예에서 살펴본 조성물중에서 최상의 난연성과 물성을 나타냄을 알 수 있다.
[표 1]
실시예 1∼4와 비교예 1∼2 의 난연 조성물의 조성비
실시예 1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EVA1 48.2 48.2 24.95 48.4 48.1 48.2
VLDPE2 10 10 10 10 10 -
싱글사이트폴리올레핀 공중합체3 - - - - - 10
적린4 6.5 6.5 - 6.5 6.5 6.5
Mg(OH)25 28 28 60 28 28 28
커플링제6 0.3 0.3 0.3 0.1 0.4 0.3
난연상승제7 4 4 4 4 4 4
산화방지제8 0.2 0.2 0.2 0.2 0.2 0.2
가공 조제9 0.3 0.3 0.3 0.3 0.3 0.3
카본 블랙10 2.5 2.5 2.5 2.5 2.5 2.5
(단위 중량%)1. EVA: EVAFLEX 360, UL002262. VLDPE: FA08503. 싱글사이트 공중합체: EXXON Exact 40114. 적린: TP-155. Mg(OH)2: KISUMA 5B6 커플링제: LICA 387. 난연 상승제: P-38. 산화방지제: NAUGARD 4459. 가공조제: LC102N10. 카본 블랙: VULCAN 9A32
[표 2]
실시예 1∼4와 비교예 1∼2의 난연 수지 조성물의 난연성과 물성
단위 실시예1 비교예1 비교예2 실시예2 실시예3 실시예4
산소지수 % O2 33.1 27.5 27.7 32.9 33.5 33.5
연기밀도 77 79 54 78 78 77
인강강도 kg/cm2 107 102 91 101 110 119
신율 % 600 595 103 555 610 665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표면처리된 금속수산화물과 표면 처리된 적린의 복합 난연제 및 난연 상승제를 동시에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사용함으로써 난연제를 사용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우수한 난연성과 기계적 물성을 갖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었다.

Claims (11)

  1. (A) 폴리올레핀,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 싱글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한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이하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라 칭함)과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의 일종 이상의 혼합물 31.5 내지 68.9 중량%,
    (B) 난연제로서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과 적린을 포함하는 복합 난연제 26 내지 55 중량%,
    (C) 난연상승제 1 내지 8 중량%,
    (D) 커플링제 0.1 내지 0.5 중량%,
    (E) 상용화제, 표면처리제, 가공 조제, 카본 블랙, 산화 방지제 등이 각 0.1 내지 5 중량%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가 극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저밀도 폴리에틸렌,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중밀도 폴리에틸렌,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폴리올레핀 및 폴리올레핀 알파 공중합체가 190℃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했을 때 0.1 내지 15 g/10분의 용융 지수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가 싱글사이트 촉매를 사용하여 에틸렌, 탄소수 3 내지 40 개 이하의 알파 올레핀을 고압공법, 용매공법, 슬러리공법, 기상/슬러리 공법 등으로 공중합함으로써 제조된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싱글사이트 폴리올레핀 공중합체가 0.870 내지 0.960 g/cm3의 밀도를 가지며, 용융지수가 190℃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했을 때 0.01 내지 40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가 에틸렌 단량체와 비닐아세테이트, 비닐에타아크릴레이트, 비닐 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을 공중합시킨 폴리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 폴리에틸렌 에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티렌 메타아크릴레이트와 에틸렌 비닐아세테이트를 알콜기로 치환시킨 폴리에틸렌 비닐알콜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극성 폴리올레핀 공중합체가 공중합체내 에틸렌을 제외한 공중합체 단량체의 함량이5 내지 50 중량%이며, 용융 지수가 190℃에서 2.16 kg의 하중을 가했을 때 0.1 내지 15 g/1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표면 처리된 금속 수산화물이 붕산염계 화합물, 금속 스테릭산 화합물을 표면처리제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금속 수산화물이며, 표면 처리된 적린이 페놀계 수지, 금속 수산화물, 혹은 티타늄 2산화물을 표면 처리제로 사용하여 표면처리된 적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난연 상승제가 이산화규소(SiO2), 마그네슘 옥사이드(MgO), 알루미나(Al2O3), 삼산화이철(Fe2O3), 칼슘 옥사이드(CaO), 칼륨 옥사이드(K2O), 나트륨 옥사이드(Na2O)으로 구성되는 혼합물, 알루미늄실리케이트, 수산화알루미늄실리케이트, 또는 수산화실리케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커플링제가 모노알콕시 티타네이트, 킬레이트계 티타네이트, 코티네이트계 티타네이트, 퀴트계 티타네이트, 테트라이소프릴 티타네이트, 네오알콕시 티타네이트, 사이클로헤테로원자 티타네이트, 파이로포스페이트 티타네이트로 구성되는 군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성물.
  11. 통신선 및 전력선 피복에 사용되는 제 1 항에 따른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1019970009861A 1997-03-21 1997-03-21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KR1001916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61A KR100191657B1 (ko) 1997-03-21 1997-03-21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09861A KR100191657B1 (ko) 1997-03-21 1997-03-21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76A KR19980074176A (ko) 1998-11-05
KR100191657B1 true KR100191657B1 (ko) 1999-06-15

Family

ID=195004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09861A KR100191657B1 (ko) 1997-03-21 1997-03-21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6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60208B1 (ko) * 2000-10-05 2002-11-11 주식회사 사나테크 유기인계 난연제 및 이를 함유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KR100374258B1 (ko) * 2000-10-04 2003-03-04 주식회사 나노코 나노클레이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54015B1 (ko) * 2005-01-28 2006-12-05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압출성이 개선된 비할로겐계 난연성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74258B1 (ko) * 2000-10-04 2003-03-04 주식회사 나노코 나노클레이 함유 난연제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360208B1 (ko) * 2000-10-05 2002-11-11 주식회사 사나테크 유기인계 난연제 및 이를 함유하는 난연 열가소성 수지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4176A (ko) 1998-11-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3959B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US8173255B2 (en) Clean flame retardant insulation composition to enhance mechanical properties and flame retardancy for wire and cable
CN102952316B (zh) 核用电缆无卤阻燃绝缘料、电缆绝缘层,制备方法和应用
AU778421B2 (en) Flame-proof polyolefin compositions
KR101357170B1 (ko) 개선된 기계적 특성을 갖는 난연성 폴리머 조성물
AU740250B2 (en) Flame retardant polyolefin compositions
EP2532707B1 (en) Flame retardant polymer composition
KR102286151B1 (ko) 저독성 난연 폴리올레핀계 절연 수지 조성물, 절연전선 및 절연전선의 제조방법
KR100191657B1 (ko) 비할로겐계 열가소성 난연 수지 조성물
CA1147088A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materials
KR19980058711A (ko) 전선 케이블 피복용 난연 수지 조성물
JP3460666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S6356544A (ja) 難燃性電気絶縁電線
JP2007070483A (ja) 電線・ケーブル被覆用難燃性組成物および難燃電線・ケーブル
KR100688643B1 (ko) 난연성 비할로겐계 절연재 제조용 조성물
JP3063759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JP2003183456A (ja) 難燃性エチレン系樹脂組成物、それを用いた被覆電線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79742A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2869809B2 (ja) 難燃性樹脂組成物
JP3055551B2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樹脂組成物
KR100473564B1 (ko) 열가소성 난연재료 조성물
JPH04189855A (ja) 難燃性組成物
JP2001151950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JP2002327095A (ja) 難燃性ポリオレフィン系テープ基材用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製造される難燃性テープ基材
JP2001151949A (ja) 難燃性樹脂組成物およびその成形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116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