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1014B1 -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 Google Patents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1014B1
KR100191014B1 KR1019960008454A KR19960008454A KR100191014B1 KR 100191014 B1 KR100191014 B1 KR 100191014B1 KR 1019960008454 A KR1019960008454 A KR 1019960008454A KR 19960008454 A KR19960008454 A KR 19960008454A KR 100191014 B1 KR100191014 B1 KR 1001910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
slider member
slider
safet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08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65087A (ko
Inventor
권오민
Original Assignee
권오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민 filed Critical 권오민
Priority to KR1019960008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1014B1/ko
Publication of KR970065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65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10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101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B60K26/02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of initiating means o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8/00Safety devices for propulsion-unit control,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in, vehicles, e.g. preventing fuel supply or ignition in the event of potentially dangerous condi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가속폐달 안전장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가속폐달(287)과 스로틀레버(250)사이에 케이블(82,171)들을 매개로 상기 스로틀레버(250)의 회전을 변화시켜 주어 엔진출력을 제어하는 안전장치(1)가 대략 양쪽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하우징(2)과, 이 하우징(2)내부로 삽입되어 스로틀 밸브(249)를 조작하는 톱니기어부재(3),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속폐달(287)에 의해 조작되는 제1/2/3슬라이더부재(4,5,6),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삽입되어 연관부들과 함께 작동하되는 제1/2/3/4/5캠부재(7,8,9,10,11) 및, 상기 하우징(2)의 각 측면들을 밀폐시켜 주는 케이스(12,13,14,15,16)들로 구성 되어져, 운전자가 가속폐달을 급속히 밟더라도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것과 같이 출력을 낮추면서 제동시켜줄 수가 있게됨은 물론, 필요시에는 안전장치의 기능을 중지시켜 가속폐달을 종래처럼 작동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할 수 있도록 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 가속폐달 안전장치 시스템
본 발명은 자동차 가속폐달 안전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운전자가 급제동을 하고자 하는 경우 착각이나 실수로 가속폐달을 급조작하더라도 브레이크페달을 조작할 때와 동일한 효과를 가져오도록 함으로써 예기치 못한 위험상황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가속폐달 안전장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와 자동차의 운전능력은 현대 생활에 있어서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추세이며, 이러한 자동차는 통상, 좌석의자에 착석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발을 이용하여 운행속도를 줄이거나 증가시킴은 물론 변속레버와 함께 적절한 변속을 할 수 있도록 브레이크 페달과 가속폐달 및 클러치페달들이 운전석의 하부로 서로 인접되게 구비되어, 주행중 운전자가 전방의 상황에 따라 상기 페달들을 적절히 조작하면서 자동차를 운행하게 된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주행상태를 적절히 제어하게 되는 각각의 페달들이 자체의 구조에 따른 안전성 결여 측면 즉, 운전자의 시야로 확인할 수 없이 발의 감각만으로 조작할 수 밖에 없도록 운전석을 이루는 대쉬보드의 하부에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전자 특히 상황 대처능력이 미숙한 초보운전자가 주행 중 돌발 상황으로 인하여 자동차를 급제동 시킬 위기에 처했을 때, 운전자가 자동차를 급 제동시키기 위하여 브레이크페달을 급속히 밟는다는 것이 착각이나 실수로 가속폐달을 밟아서 오히려 주행속도를 증가시키게 되어 물적 손실을 초래하는 것은 물론, 대형사고로 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근본적인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운전자나 상황 대처능력이 미숙한 초보운전자가 예기치 못한 돌발 상황으로 자동차를 급제동시켜야 할 때, 운전자의 실수로 브레이크페달 대신 가속폐달을 밟더라도 자동차의 주행속도가 일정속도 이상일 경우에는 가속폐달이 브레이크페달 기능을 하여 자동차의 주행속도를 감속함은 물론, 일정속도 이하에서는 가속폐달로서의 고유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자동차의 구조적인 안전성 결여문제를 해소할 뿐만 아니라 오조작으로 인한 치명적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도록 된 자동차 가속폐달 안전장치시스템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폐달 안전장치 시스템을 자동차에 적합하게 구성한 개략적인 구성도.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안전장치시스템의 분리사시도.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
제4도는 제2도에 따른 톱니기어부재의 사시도.
제5도는 제2도에 따른 제1/2/3슬라이더부재의 사시도.
제6도는 제5도에 따른 제1슬라이더 부재의 분리 사시도.
제6a도는 제6도에 따른 연동부재의 변형례.
제6b도는 제6도에 따른 리턴스프링의 위치를 나타낸 확대단면도.
제6c도는 제6도에 따른 안전핀의 작동원리도.
제7도는 제5도에 따른 슬라이더부재들중 후방부위로 위치되는 제2슬라이더부재의 분리사시도.
제8도는 제5도에 따른 슬라이더부재들중 상부부위로 위치되는 제3슬라이더부재의 분리사시도.
제8a도는 제8도에 따른 3슬라이더부재의 배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
제8b도는 제8도에 따른 제3슬라이더부재에 핀이 체결된 종단면도.
제9a, b, c도는 제2도에 따른 제 1/2/3/4/5 캠부재의 사시도.
제10도는 제1도에 따른 가 -가'선의 부분단면으로서, 안전장치의 각 구성부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
제11도는 제6도에 따른 제1슬라이더부재의 포크작동 상태도.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암/수집게고리 및 캠부재의 작동상태도,
제13도는 보조레버가 결합된 스로틀레버의 부분사시도.
제14도는 스로틀레버의 회전각을 도표로서 도시한 선도.
제15도는 푸쉬레버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부분사시도.
제16도는 스텝모터에 체결된 푸쉬레버의 작동상태도.
제17도는 브레이크페달에 결합된 억튜에이터의 작동상태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와 함께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도감지기의 외형도.
제19도는 제18도에 따른 각도 감지기의 분리사시도.
제20a,b도는 제18도에 따른 각도감지기의 서로 다른 변형례의 단면도.
제21도는 제18도에 따른 자동차 각도 감지기의 작동상태도.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와 함께 구성되는 전자회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전장치 2 : 하우징
3 : 톱니기어부재 4,5,6 : 제1/2/3슬라이더부재
7,-,11 : 제1/2/3/4/5캠부재 12,-,16 : 케이스
12'.13' : 안착플랜지 12 : 나사홀
17,18 : 푸쉬레버 브라켓트 19,-,21,23,24,26,27 : 캠포스트홀
22,25 : 캠로드홀 28,20 : 공기 유동경로
30,-,33 : 캠장착홈 34,35 : 톱니기어부재장착홈
36,37 : 리턴스프링내장홀
38,-,41,57,-60,90,91,105,119,-,128,235,236 : 나사홀
42,-,44 : 푸쉬레버 45,-,47 : 케이블
48,-,50 : 케이블케이스 51,-,53 : 힌지핀
54,-,56,114 : 고정단
61,-,64,61(1),-,64(1),94,-99,107,149,-,156,172,-175,241,-,243 : 스크류
65 : 톱니기어부재케이블
65,67,83,84,92,93,100,104,144,169,183,184,193,194,205,206,217,218,227,228,248,266,267,282,284 : 리턴스프링
68, 69 : 톱니기어부재날 70,73,74,77 : 캠포스트경로홈
71,75 : 캠로드삽입홀 72,76,86 : 경사면
78 : 수집게고리 79,80 : 로드
81 : 연동부재 82 : 연동부재케이블
85 : 안전핀삽입홀 87,88 : 캠로드경로홀
89 : 암집게고리로드 101 : 안전핀
102 : 안전핀경사면 103 : 안전핀고리
106 : 제 1슬라이더부재결속판 115 :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
116 : 포크내장홈 117,118 : 포크축하단삽입홈
129 : 안전핀통과홀 130,131 : 포크
132,133 : 포크축
134,135 :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
136,137 : 포크기어이 138,139 : 리턴스프링결속홀
140,141 : 포크후방축 142,143 : 포크측방축
145 : 캡 146 : 캡돌출부
147,148 : 제 3슬라이더부재핀통과홀
157,158 : 암집게고리축하단삽입홀
159,160 : 암집게고리 161,162 : 축
163,164 : 돌출부 165,166 : 리턴스프링결속홀
167,168 : 수집게고리결속홈 170 :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
171 : 제2슬라이더 부재결속판케이블
176 : 리턴스프링통과홀 177 : 제 4캠부재속날
178 : 제 4캠부재겉날 179 : 판스프링
180,181,190,19,201,202,213,214,224,225 : 캠포스트
182,192,203,215,226 : 캠로드
185,186,195,196,207,208,219,220,229,230 : 와셔
187,188,197,198,209,210,221,222,231,232 : 너트
189 :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 199 : 제 1캠부재날
200 : 제 1캠부재돌출부 204,216 : 캠로드경사면
211 : 제 2캠부재날 212 : 제 2캠부재돌출부
223 : 제 3캠부재날 233 : 안전스프링홈
234 : 캡돌출부위치홈 237 : 안전핀고리통과홈
238,239,240 : 플런저(Plunger) 244 : 안전스프링
245,246 : 제 3슬라이더부재핀 247 : 제3슬라이더부재돌출부
249 : 스로틀레버축 250 : 스로틀레버
251 : 스로틀보조레버 259 : 연결고리
260 : 모터축 261 : 푸쉬레버
262,263 : 저크레버(Jerk Lever),264,265,268,269,283 : 스프링고정축
270 : 브레이크페달 271,277,-,279,288,306 : 축
272 : 후크 273 : 엑튜에이터
274 : 이동홀 275 : 브라켓트
276 : 레버 280,289 : 케이블
281 : 케이블케이스 285 : 고정축
286 : 마스터진공부 287 : 가속폐달
290,291,292 : 스텝모터 293 : 축전지
294 : 통합제어기(ECU : Electronic Control Unit)
295,-,299 : 각도감지기 300,300-1 : 부력체(孚力體)
301 : 액상체 302,302-1 : 센서부
302-2 : 접촉센서부 303,304 : 감지부
305 : 감지부재 307 : 로드
308,309 : 전선 310 : 보호케이스
311 : 메인스위치 312 : 모터제어스위치
313 : 안전스프링제어스위치 314 : 스테핑릴레이
315 : 가속폐달스위치 316 : 브레이크페달스위치
317 : 충격 및 진동감지기 318 : 오르막감지기
319 : 내리막감지기
320,321,324,325,330 : 난트 게이트(NAND Gate.)
322,323,326,327,328,329,331,332,333,334 : 엔드 게이트(AND Gate)
335 - 338 : 익스클루시브 오어 게이트(Exclusive OR Gate)
339 - 350 : 트랜지스터 351 - 382 : 저항(R)
383 - 398 : 순방향다이오드(Diod)
399 - 412 : 발광다이오드(LED: Light Emission Diode)
D : 스로틀레버의 회전각도선도 a : 스로틀레버의 작동전 위치
b : 스로틀레버의 1차회전각 c : 스로틀레버의 2차회전각
d : 스로틀레버의 3차회전각 (엔진 최대 출력 회전각)
e : 스로틀레버의 4차회전각 f : 스로틀레버의 최대회전각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자동차의 가속폐달과 스로틀레버사이에 케비블들을 매개로 구비되어져, 운전자가 상기 가속폐달을 조작함에 따라 케이블이 연결된 안전장치가 조작되어져 스로틀레버에 연결된 케이블을 매개로 스로틀레버의 회전을 변화시켜 엔진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된 안전장치가 구성되되, 이 안전장치가 대략 양쪽으로 개구된 4각형상의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부로 삽입되어 스로틀밸브 및 스위치로 연결되는 각 케이블이 구비된 톱니기어부재, 상기 하우징 내부로 삽입되어 가속폐달로 연결되는 케이블이 연결된 제1/2/3슬라이더부재, 상기 하우징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제1/2/3/4/5캠부재 및, 상기 하우징의 앞/ 뒤 개방측면을 폐쇄하고 외부상단면과 좌/우측면 및 외부로 노출된 일부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에 스크류를 매개로 결합되는 케이스들로 구성되어있다.
따라서, 안전장치에 구비된 케이블들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가속폐달의 작동에 따라 엔진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됨은 물론, 통합 제어기를 매개로 브레이크페달을 제어하도록 구성하여 운전자가 실수로 가속폐달을 밟더라도 브레이크페달을 밟는 것과 동일하게 자동차의 출력을 낮추면서 제동시킬 수 있게 될 뿐만 아리나, 통합제어기에 의해 부가된 각도감지기등과 같은 장치에 따라 감지된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및 충격과 진동조건간에 의해 자동차를 자동으로 제어하도록 되어 운전자에게 여러 가지 편의를 제공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속폐달 안전장치시스템을 자동차에 적합하게 구성한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것인 바, 기본적으로 안전장치(1)가 자동차의 전자제어기등과 같은 제어수단과 연계 없이 단순히 기구학적으로 작동되도록 가속폐달(287)과 스로틀레버(250)사이에 케이블(82, 171)들을 매개로 구비되어져, 운전자가 가속폐달(287)을 조작함에 따라 상기 케이블(82)이 연결된 안전장치(1)를 조작하게 되어, 스로틀레버(250)에 연결된 케이블(171)에 의해 스로틀레버(250)의 회전을 변화시켜 주므로 결과적으로 엔진출력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케이블(82.171)들로 종속된 안전장치(1)는 엔진의 위치에 따른 케이블(82, 171)들의 부착위치에 상응하여 그 길이와 규모가 결정되므로,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케이블(82, 171)들의 길이를 짧게 하여 가속폐달(287)뭉치를 부위로 안전장치(1)를 직접 결합시켜 안전장치(1)와 가속폐달(287)뭉치를 하나로 일체화시키거나, 또는 스로틀레버(250, 251)뭉치 부위로 안전장치(1)를 직접 결합시켜 안전장치(1)와 스로틀레버(250, 251)뭉치를 하나로 일체화 되게 구성하여 자동차에 설치시 편리성을 갖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안전장치(1)의 작동에 의해 필요에 따라 브레이크페달(270)도 함께 제어하도록 자동차의 전자제어기등과 함께 구성할 수도 있도록 되어 있는 바, 이러한 기능을 갖는 시스템은 상기 안전장치(1)에 전술한 스로틀레버(250, 251)의 케이블(171)과 별도의 케이블(65)에 연결된 스위치(312) 와, 상기 안전장치(1)에 연결된 가속폐달(287)에 구비된 스위치(315), 이 스위치(312, 315)들의 신호를 전달받아 내장된 알고리즘에 따라 처리하는 통합제어기(294) 및, 이 통합제어기(294)의 신호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92)와 케이블(280)을 매개로 연결되어져 상기 통합제어기(294)의 신호에 의해 조작되는 스위치(316)가 연결된 브레이크페달(270)을 조작하는 엑튜에이터(273)로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312, 315, 316)들은 각각 내부에 구비된 엑튜에이터에 종속된 각 케이블이 당겨지면 그 접점이 폐쇄(OFF)되는 한편, 케이블이 작동 전처럼 복원되면 내부에 구비된 엑튜에이터의 리턴스프링에 의하여 접점이 복원되어 다시 개방(ON)되어지게 된다.
따라서, 운전자가 운행중 돌발적인 원인으로 인하여 안전운전에 위험을 느끼고 급제동을 하고자 브레이크 페달(270)을 밟으려다 착각이나 실수로 가속폐달(287)을 급하게 밟는 상황이 발생되는 경우에도. 상기 안전장치(1)에 연결된 케이블(65)이 스위치(312)를 작동시켜 이로 인해 통합제어기(294)의 신호에 따라 제어되는 모터(292)의 케이블(280)이 엑튜에이터(273)를 작동하여 브레이크 페달(270)도 함께 작동되어져, 비록 가속폐달(287)을 밟더라도 운전자의 원래 의도대로 브레이크 페달(270)을 밟는 효과를 가져와 결과적으로 자동차의 엔진출력을 낮추면서 자동차를 제동시켜 안전사고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경우와 반대로 도로의 상태에 따라 즉,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그리고 충격과 진동 등에 따라 안전장치(1)의 기능중 일부를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바, 이러한 시스템은 상기 안전장치(1)에 연결된 케이블(46, 47)을 조작하는 모터(290, 291)와, 이 모터(290, 291)를 제어하는 신호를 보내는 통합제어기(294), 이 통합제어기(294)로 도로의 상태를 감지하여 신호를 보내도록 자동차의 적절한 부위에 장착된 각 센서(317, 318, 319)들로 구성되어, 이 센서(317, 318, 319)들로부터 전달된 도로의 상황신호를 받은 통합제어기(294)가 모터(290, 291)를 제어하고, 이와 같이 작동되는 모터(290, 291)에 연관되어 작동되는 케이블(46, 47)에 의해 도로의 상황에 따라 상기 안전장치(1)가 자동차의 상태를 적절히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통합제어기(294)에는 운전석부위에서도 안전장치(1)의 기능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바, 즉 운전석 부위에 상기 통합제어기(294)의 전자회로기능 전체를 제어하는 메인스위치(311)와, 상기 통합제어기(294)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90)를 조작하는 스위치(313)로 구성되어져, 운전자가 필요에 따라 상기 스위치(311, 313)들을 조작하여 상기 안전장치(1)의 작동을 중지시켜 가속폐달(287)의 고유기능 즉, 주행속도를 증가시키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도 있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1)의 작동에 필요한 모든 전기적 기능은 상기 통합제어기(294)에 의하여 제어되어지도록 구성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도는 제1도에 따른 안전장치시스템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안전장치(1)가 대략 양쪽으로 개구된 사각형상의 하우징(2)과, 이 하우징(2)내부로 삽입되어 스로틀밸브(249) 및 스위치(312)로 연결되는 각 케이블(171, 65)이 구비된 톱니기어부재(3),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삽입되어 가속폐달(287)로 연결되는 케이블(82)이 연결된 제1/2/3슬라이더부재(4, 5, 6),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제1/2/3/4/5캠부재(7, 8, 9, 10, 11) 및, 상기 하우징(2)의 앞/뒤 개방된 면을 폐쇄하고 외부상단면과 좌/우측면과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일부 부품들을 보호하기 위해 하우징(2)에 스크류를 매개로 결합되는 케이스(12, 13, 14, 15, 16)들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제3도는 제2도에 따른 하우징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 바, 하우징(2)의 내부는 가속폐달(287)의 케이블(82)에 의해 이동되는 제1/2/3슬라이더부재(4, 5, 6)가 자유롭게 왕복으로 전/후진할 수 있도록 이 슬라이더부재(4, 5, 6)와 상응되는 개구된 통로가 형성되는 한편, 이 개구된 통로의 내부 측면으로는 톱니기어부재(3)가 삽입됨과 더불어 이 톱니기어부재(3)의 리턴스프링(66, 67)이 안착되도록 원형의 리턴스프링내장홀(36, 37)이 형성된 대략 T자 형상의 톱니기어부재장착홈(34, 35)과, 이 톱니기어부재장착홈(34, 35)부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제 1/2/4/5캠부재(7, 8, 9, 10, 11)가 안참됨과 더불어 이 캠부재(7, 8, 10, 11)들의 각 캠포스트(180, 181, 190, 191, 201, 202, 213, 214)와 캠로드(182, 192, 203, 215)가 삽입되어 돌출되도록 각각 상응되는 위치로 캠포스트홀(19, 20, 21, 23)과 캠로드홀(22)들이 대칭되게 관통되어진 캠장착홈(30, 31, 32, 3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내부 상단면으로는 제3캠부재(9)의 캠포스트(224, 225)와 캠로드(226)가 삽입되어 돌출 되도록 각각 상응되는 위치로 캠포스트홀(24, 26)과 캠로드홀(25)들이 관통되어짐과 더불어, 삽입된 제 3슬라이더부재(6)의 후진과 리턴에 따라 영향을 받는 공기압력이나 또는 접촉면과의 마찰력을 완화시켜 주도록 내부 상단면을 따라 다수개의 가로방향의 공기유동경로(28, 2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의 외부면의 상단 중앙부위로는 케이블케이스(49)에 내장된 케이블(46)과 연결된 푸쉬레버(43)가 힌지축(52)을 매개로 결합되는 푸쉬레버브라켓트(18)가 형성됨과 더불어, 측면 부위로도 한쪽 측면이 도시되지 않았지만 양 측면으로 각각 케이블케이스(48, 50)에 내장된 케이블(45, 47)이 연결된 푸쉬레버(42, 4)가 힌지축(51, 53)을 매개로 결합되는 푸쉬레버브라켓트(17)가 형성되는 한편, 상기 하우징(2)의 앞/뒷면으로는 각 케이스(12, 13, 14, 15, 16)가 결합됨과 더불어 앞/뒤 통로 공간을 폐쇄하도록 스크류(61, 62, 63 , 64, 61(1), 62(1), 63(1), 64(1))를 나사체결하는 나사홀(38, 39, 40, 41)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2)은 철금속이나 비철금속 또는 기타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특히 내구성이 뛰어난 니하드주철이나 펄라이트주철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함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한쪽 측면을 가려주는 케이스(13)는 도면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장치(1)가 슬로틀레버(250, 251)부위로 일체화 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그 하단부위로 하우징(2)의 밑면이 안착되도록 직각으로 절곡된 안착플랜지(13')가 형성되어져, 전체적으로 ㄴ자 단면을 이루도록 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4도는 제2도에 따른 톱니기어부재(3)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 바, 톱니기어본체(3)는 전체적으로 ㄷ 형상으로 이루어져 그 양측부위의 안쪽으로 서로 대칭됨과 더불어 추후 설명될 포크기어이(136, 137)와 양쪽에서 한쪽 방면쪽으로만 걸리도록 톱니기어부재날(68, 69)이 형성되는 한편, 이 톱니기어부재날(68, 69)이 형성된 양측면은 그 단면이 ㄱ자형상으로 되어 케이스(13)의 고정단(55, 56)에 결합되어 톱니기어본체(3)가 하우징(2)에 장치된 상태에서 후진되었다가 다시 복귀시켜줄 수 있도록 리턴스프링(66, 67)이 구비됨과 더불어, 양 측면의 중앙부위로는 캠로드(203, 215)가 삽입되어 기능을 발휘할 수 있도록 대칭되면서 그 일측면으로 경사면(72, 76)을 형성한 캠로드삽입홀(71, 75)이 형성되되, 이 캠로드삽입홀(71, 75)은 캠로드(203, 215)의 삽입시 경사면(72, 76)에 의하여 캠로드경사면(204, 216)이 밀리면서 캠로드(203, 215)를 하우징(2)의 안쪽 내면으로 진입시켜 주는 기능을 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캠로드삽입홀(71, 75)의 양쪽 부위로는 하우징(2)에 장착된 캠포스트(201, 202, 213, 214)에 의하여 이동되는 톱니기어본체(3)에 간섭을 주지 않도록 각 측면에 캠포스트경로홈(70, 73, 74, 77)이 형성됨과 더불어, 후방부위로 형성된 상기 캠포스트경로홈(70, 74)부위쪽으로는 스위치(312)를 조작하여 통합제어기(294)로 하여금 브레이크페달(270)를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블(65)이 구비되되, 이 케이블(65)은 전술한 바와같이 브레이크페달(270)의 제어 목적으로 사용되므로 설치시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안전장치(1)로 하여금 브레이크(270)를 제어하지 않아도 무방한 자동차는 상기 톱니기어본체(3)와 통합제어기(294)사이에 상기 케이블(65)과 스위치(312)를 구성하지 않아도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5도는 제2도에 따른 제1/2/3슬라이더부재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포크(130, 131)가 내장된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가 캡(145)을 매개로 결합된 제 1슬라이더부재(4)와, 이 제 1슬라이더부재(4)의 후방부위로 위치되어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케이블(171)이 연결된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170)이 구비되어 암집게고리(159, 160)가 결합되어 개방과 폐쇄가 용이하도록 된 제 2슬라이더부재(5) 및, 이 제 1/2슬라이더부재(4, 5)의 상부로 결합된 제 3슬라이더부재(6)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2슬라이더부재(4, 5)는 집게고리(78, 159, 160)로서 서로 양자간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됨은 물론, 이 제 1/2슬라이더부재(4, 5)의 상단부위로 구비된 제 3슬라이더부재(6)는 그 중앙상부부위에서 안전핀고리(103)와 안전스프링(244)이 제 1슬라이더부재결속판(106)에 결속된 상태로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각기 제어하게 되는 바, 즉 이 안전스프링(244)이 제 3캠부재(9)의 제 3캠부재날(223)에 의하여 가압되면, 이로 인해 안전스프링(244)이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걸어 주므로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이동을 구속하게 되는 한편, 상기 제 3캠부재(9)가 다시 복원되면 안전스프링(244)이 자체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전 위치로 복원되어, 걸고 있던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개방시킴으로써 독립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1/2/3슬라이더부재(4, 5, 6)들은 전술한 하우징(2)과 동일하게 철금속이나 비철금속 또는 기타 재질로 이루어지지만, 바람직하게는 가속폐달(287)의 조작에 따라 케이블(82, 171)을 매개로 이동되는 상기 제 1/2슬라이더부재(4, 5)의 기계적 마찰력과 중량에 의하여 발생되는 순발력과 인장력등을 고려하여, 내구성과 인장력이 탁월하면서도 기계적 성질이 양호한 가벼운 비철금속 재질로 제조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하우징(2)의 한쪽 측면을 가려주는 케이스(12)는 도면에 2점쇄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안전장치(1)가 가속폐달(287)부위로 일체화 되도록 구성하기 위해 그 하단부위로 하우징(2)의 밑면이 안착됨과 더불어 가속폐달(287)이 장착된 판넬(도시되어 있지 않음)에 스크류를 매개로 장착되도록 나사홀(12)을 형성하여 ㄱ자 단면으로 절곡된 안착플랜지(12')가 형성됨은 물론, 이 안착플랜지(12')의 형상에 따라 케이스(12)가 전체적으로 ㅓ자 단면을 이루게 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6도는 제5도에 따른 제 1슬라이더부재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인바, 제 1슬라이더부재(4)와, 이 제1슬라이더부재(4)의 상부로 결합되는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 이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의 상부로 결합되는 캡(145) 및 이 들의 측면에서 서로 결합시켜주는 제 1슬라이더부재결속판(106)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중앙하부 부위에는 삽입된 리턴스프링(100)이 스크류(54)와 고정단(114)에 결합된 상태에서 팽창하였다 복귀하는데 지장이 없도록 개구된 홀이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상부 부위에는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에 구비된 암집게고리(159, 160)와 결합과 분리가 용이하도록 전면부위로 유선형상의 고리모양으로 성형된 수집게고리(78)가 구비되되, 이 수집게고리(78)의 후미 중앙부위로는 대략 T자 형상의 연동부재(81)가 삽입되어 이동 가능 하도록 홈이 형성되는 한편, 이 홈의 좌/우측면으로는 리턴스프링(83, 84)이 삽입되어 압축하였다 복귀하는데 용이하면서도 이탈을 방지하도록 2개의 캠로드(79, 80)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에 구비된 수집게고리(78)의 양 측면으로는 수집게고리(78)가 암집게고리(159, 160)에 결합되기 위해 접근할 때 암집게고리(159, 160)가 제 1슬라이더부재(4)에 의해 방해받지 않고 신속하고 정확하면서도 유연하게 수집게고리(78)에 결합되도록 암집게고리의 로드(89) 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이 로드(89)공간의 부위로는 제 1/2슬라이더부재(4, 5)의 결합에 따른 충격을 완화함과 더불어, 결속시 이 제 1/2슬라이더부재(4, 5)사이에 발생된 틈에 따른 불규칙하고 불합리한 접촉으로 인한 제 1/2슬라이더부재(4, 5)와 집게고리(78, 159, 16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도록 그 일부분이 돌출되게 2개의 스프링(또는 스프링플런저; 92, 93)이 결합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상부로 구비된 연동부재(81)의 중앙부위로는 안전핀(101)이 삽입되도록 개구된 안전핀 삽입홀(85)이 형성되고, 이 안전핀 삽입홀(85)내의 한쪽 측면부위로 연동부재(81)의 후진과 복귀시 삽입된 안전핀(101)이 자동적으로 상/하이동 되도록 경사면(86)이 형성됨과 더불어, 후사면에는 연동부재(81)를 제어하는 연동부재캐이블(82)이 구비되는 한편, 측면부위로는 서로 대칭되면서 그 중앙부위로 형성된 2개의 캠로드경로홀(87, 88)에 삽입된 로드(79, 80)에 의해 연동부재(81)의 이탈을 방지하고 일정한 위치로 후진과 복귀작동만이 가능 하도록 돌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전면부위로도 수집게고리(78)의 중앙중심부에 형성된 홈에 정확하게 삽입되어 안착되도록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본 제6a도는 본 발명에 따른 연동부재의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 것인 바, 전술한 T자 형상과 기능이 모두 동일한 +자 형상 연동부재(81)로서, 본 발명의 경우 이와 같은 T자 형상이나 도는 +자 형상의 연동부재(81)를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6b도는 제1슬라이더부재(4)에 장착된 리턴스프링(92, 93)이 슬라이더(4)에 일부분이 돌출된 채로 결속되어 있는 위치를 도시한 것인 바, 이와같이 위치되어져 제 1슬라이더부재(4)와 제2슬라이더부재(5)가 작동시 서로 견제가 잘 이루어지게 되며, 이러한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한 상기 스프링(92, 93)은 본 발명에서는 그 기능이 동일한 공지된 스프링플런저로도 구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4)에 구비된 수집게고리(78)의 나사홀(90, 91)에 스크류(152, 153)를 매개로 체결되는 제1슬라이더부재헤드(115)는 2개의 포크(130, 131)가 내장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측면으로 대칭되게 포크내장홈(116)이 형성되되, 이 홈(116)의 내면에는 상기 포크(130, 131)의 포크축(132, 133)이 삽입될 수 있도록 포크축하단삽입홈(117, 118)과 안전핀(101)이 삽입되어 작동될 수 있도록 안전핀통과홀(129)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포크(130, 131)에 구비된 각 포크축(132, 133)의 측면부위로는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이 삽입되어 작동되도록 제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134, 135)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외측면부에는 포크기어이(136, 137)가 형성되고, 그 중앙부위로는 리턴스프링(144)이 결속되어 팽창과 복귀작용이 용이하도록 리턴스프링결속홀(138, 139)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포크(130)가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의 포크내장홈(116)에 삽입되어 개폐작동시 포크기어이(136)가 톱니기어부재날(68)에 걸려서 톱니기어부재(3)를 견인하여도 상기 포크(130)가 구조상 안전하도록 포크(130, 131)의 형상과 포크내장홈(116)의 공간형상이 일치되도록 성형되어짐은 물론, 상기 포크기어이(136, 137)와 리턴스프링결속홀(138, 139) 사이에는 돌출부가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포크축(132, 133)과 포크기어이(136, 137) 사이에도 포크후방축(140, 141)과 포크측방축(142, 143)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115)의 상부로 결합되는 캡(145)은 중앙부위 윗면으로는 안전스프링(244)의 작동에 지장이 없도록 그 중앙위치로 홈이 구비된 캡돌출부(146)가 형성됨과 더불어, 그 밑면으로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포크축(132, 133)이 삽입되어 작동할 수 있도록 2개의 홈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이 삽입되어 통과한 상태에서 작동할 수 있도록 제 3슬라이더부재핀통과홀(147, 148)이 형성됨은 물론, 상기 안전핀(101)이 삽입된 상태에서 자유롭게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안전핀통과홀(129)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안전핀(101)은 그 상단부위로 안전핀삽입홀(85)에 삽입된 후 연동부재(81)가 후진하면, 경사면(86)에 의하여 안전핀에 형성된 안전핀경사면(102)이 밀리게 되어 안전핀(101)이 상승할 수 있도록 안전핀고리(103)가 결합됨과 더불어, 하단부위로는 상기 연동부재(81)의 안전핀삽입홀(85)에 삽입된 후 후진시 경사면(86)과 서로 밀리면서 상기 안전핀(101)이 자동적으로 상승할 수 있도록 경사면(102)이 형성되는 한편, 이와같은 작용으로 상승된 상기 안전핀(101)도 연동부재(81)가 작동전위치로 복귀되면 리턴스프링(104)을 매개로 다시 하강되어 작동전 위치로 복귀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상기 제 1슬라이더결속판(106)은 한 쪽 측면부위에서 스크류(108, 109, 110, 111, 112, 113, 114)를 매개로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와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및 캡(145)을 서로 결합시켜줌과 더불어, 각 리턴 스프링(83, 84)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에 삽입된 리턴스프링(100)을 고정함은 물론 상기 안전핀 고리(103)의 리턴스프링(104)과 안전스프링(244)을 서로 결속시켜주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6c도는 제6도에 따른 안전핀(101)의 작동원리도를 도시한 것인 바, 연동부재(81)가 연동부재케이블(82)에 의하여 당겨짐에 따라 상기 연동부재(81)의 안전핀삽입홀(85)에 형성된 경사면(86)을 매개로 안전핀경사면(102)이 밀러올려지게 되어 안전핀(101)이 도면에 표기된 103(1)의 위치까지 위로 상승함과 더불어 이 안전핀(101)에 결합된 안전핀고리(103)도 상승하게 되지만, 만약 상기 연동부재(81)가 작동하기 이전 이라면 상기 안전핀고리(103)가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걸고 있으므로, 결국 상기 안전핀(101)이 상승하지 않고는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유동이 불가능 즉,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유동은 상기 안전핀고리(103)가 위로 상승하여 안전핀고리(103)가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개방시키는 경우에만 자유롭게 된다.
이어 상기 연동부재(81)가 다시 작동전의 상태로 복귀되어지면, 리턴스프링(104)의 복원력에 의하여 안전핀고리(103)도 하강되면서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걸어 주므로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유동이 불가능하도록 구속시켜주게 된다.
그리고, 제7도는 제5도에 따른 슬라이더부재들중 후방부위로 위치되는 제 2슬라이더부재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인 바, 제 2슬라이더부재(5)와, 이 제 2슬라이더부재(5)에 결합되는 2개의 암집게고리(159, 160) 및, 상기 제 2슬라이더부재(5)에 결합되어 제 1슬라이더부재(4)부위로 위치되도록 대략 ㄱ자 단면형상인 제2슬라이더부재결속판(170)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슬라이더부재(5)는 그 중앙하단부로 제 1슬라이더부재(4)에 삽입된 리턴스프링(100)이 통과되어 팽창과 복귀가 용이하도록 횡으로 개구된 리턴스프링통과홀(176)이 관통되게 형성됨과 더불어, 그 상단면부위로는 상기 암집게고리(159, 160)의 힌지이동이 가능하도록 축(161, 162)이 삽입되는 암집게고리축하단삽입홀(157, 158)이 형성되는 한편, 상기 2개의 암집게 고리(159, 160)에는 각각 축(161, 162)이 형성됨과 더불어 팽창과 복귀되는 리턴스프링(169)을 고정하는 리턴스프링결속홀(165, 166)이 형성되고, 상기 암집게고리(159, 160)의 각 전면부위에는 상기 제1슬라이더부재(4)의 수집게고리(78)가 걸리도록 수집게고리결속홈(167, 168)이 형성됨과 더불어, 그 후미부위에는 제1/2캠부재날(199, 211)에 의하여 가압되거나 제1/2캠부재돌출부(200, 212)에 의하여 걸려 자체적으로 개방될 수 있도록 돌출부(163, 164)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170)은 그 후방부위로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케이블(171)이 구비됨과 더불어, 이 제2슬라이더부재결속판케이블(171)의 상단면 내측 윗부분으로는, 도면에서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암집게고리(159, 160)의 축(161, 162)이 삽입되도록 이에 상응하는 2개의 홈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2슬라이더부재(5)와 암집게고리(159, 160)는, 특히 암집게고리(159, 160)가 리턴스프링(169)과 함계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스크류(172, 173, 174, 175)를 매개로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170)과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제8도는 제5도 따른 슬라이더부재들중 상부부위로 위치되는 제 3슬라이더부재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인 바, 대략 ㅍ자 형상의 제 3슬라이더부재(6)와,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에 결합된 3개의 스프링플런저(238, 239, 240) 및, 대략 ㄷ자 형상의 안전스프링(244)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는 그 중앙부위로 안전스프링(244)이 상/하로 작동되도록 상방향으로 개구된 안전스프링홈(233)이 형성됨과 더불어, 중앙부위에는 캡(145)의 돌출부(146)가 돌출된 채로 슬라이더(6)에 간섭받지 않고 후진과 리턴이 용이하도록 캡돌출부위치홈(234)이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편, 상기 안전스프링홈(233)의 일면으로는 제 1슬라이더부재(4)에 구비된 안전핀고리(103)가 삽입되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안전핀고리통과홈(237)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일측면으로는 안전스프링(244)에 의하여 걸려지도록 모자형상으로 상/하부위를 따라 관통되게 절취됨과 더불어 대칭되는 부위로는 ㄷ자 형상으로 상/하부위를 따라 관통되게 절취되어져, 상기 안전핀(101)이 장착될 수 있는 공간과 2개의 스크류(241, 242)가 결합되어 조정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는 한편,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중앙부위에 형성된 캡돌출부위치홈(234)과 안전스프링(244)에 제 3슬라이더부재(6)가 걸리는 홈 사이에는 2개의 핀(245, 246)이 견고하게 체결되도록 이에 상응하는 나사홀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에 구비된 3개의 스프링플런저(238, 239, 240)는 캡(145)의 캡돌출부(146)가 제 3슬라이더부재(6)와의 접촉을 견제하여 제 1슬라이더부재(4)의 후진과 복귀시 상기 캡돌출부(146)의 의해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가 받아야 할 압력을 이용할 수 있도록 즉, 상기 캡돌출부(146)와 제 3슬라이더부재(6)가 서로 주고 받는 압력을 이용하므로,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의 관성과 캡돌출부(146)가 서로 밀어내려는 힘에 서로 대응하면서도 그 힘을 조절하여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에 적절하게 전달하는 매개체 역할을 하도록 되어 있다.
즉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가 급작스럽게 후진하게 되면, 캡돌출부(146)가 플런저(238, 239)에 가하는 압력이 순간적으로 상승하게 되어 가해진 압력을 내장된 리턴스프링(248)에 전달함과 동시에 가압력을 가해주게 되고, 이어 가압력을 받은 리턴스프링(248)에 의해 가압력을 받지만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자체 관성력으로 가압력이 흡수되게 되므로, 상기 리턴스프링(248)이 제 3슬라이더부재(6)에 압력을 전달하지 못하고 순간적으로 압축되면서 플런저(238, 239)의 압력을 흡수하므로 제 3슬라이더부재(6)는 이동하지 않게 된다.
한편,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에 의하여 캡돌출부(146)가 유연하게 후진하게 되면 캡돌출부(146)에 의해 약한 가압력을 받는 플런저(238, 239)가 리턴스프링(248)을 약하게 가압하게 되므로, 이 리턴스프링(248)에 전달된 가압력이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로 전달되어져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와 캡돌출부(146)가 동일하게 작동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캡돌출부(146)가 제 3슬라이더부재(6)에 가하는 압력의 강/약조절은 제 3슬라이더부재(6)에 결합되는 스크류(241, 242)의 결속을 적절하게 조절하여, 즉 스크류(241, 242)를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내부쪽으로 전진시켜 결속하여 주면 캡돌출부(146)와 대립하는 압력이 높아지게 되는 반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외부쪽으로 후진시켜 결속하여 주면 캡돌출부(146)와 대립하는 압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필요한 압력만큼 간단히 압력조정을 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일측면에는 필요시에 제 5캠부재(11)를 매개로 제 3슬라이더부재(6)를 제어하도록 스프링플런저(240)가 구비되어 있는데, 이 스프링플런저(240)는 제 5캠부재(11)가 접촉될 때 발생되는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충격이나 기타 여러요인에서 발생하는 손상등을 자체적으로 흡수하여 안전장치(1)자체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즉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플런저(240)에 제 5캠부재(11)의 제 5캠부재톱니기어(189)가 접촉되어 걸리게 되면, 즉시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작동(유동)이 정지되면서 포크(130, 131)가 열려짐과 동시에 제 1슬라이더부재(4)와 제 3슬라이더부재(6)도 후진하게 되므로, 상기 스프링플런저(240)가 비록 제 5캠부재톱니기어(189)에 의하여 제지 당하더라도 이 스프링플런저(240)가 자체적으로 그 내부로 후진하게 되고, 이어 자체적으로 후진된 내부의 스프링 복원력에 의하여 스프링플런저(240)가 작동전 상태로 복원되도록 여러번 반복작용되면서 제 5캠부재톱니기어(189)의 접촉에 대응하게 됨은 물론, 가압력이나 또는 기타 여러 조건에서 발생되어 불리한 힘들을 흡수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 플런저(238)는 외주면에 나사가 형성된 스크류(241)와 이 스크류(241)의 내부로 구비된 리턴스프링(248)등과 같이 일반적인 구조를 갖춘것으로서, 상기 캡(145)의 캡돌출부(146)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스크류(241) 내로 리턴스프링(248)을 압축시키며 후진하였다 복귀시에는 압축되었던 리턴스프링(248)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원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8a도에는 제 3슬라이더부재의 배면도와 측면도 및 평면도를 도시한 것인 바,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에는 전술한 구성에 하우징(2) 내에서 전/후진시 제 3슬라이더부재(6)의 균형을 완벽하게 유지하도록 제 3슬라이더부재돌출부(247)가 추가로 형성되어 있고, 제 1슬라이더부재(4)의 포크(130, 131)를 제어할 수 있도록 2개의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이 구비되어 있는 바, 이는 하우징(2)내에 장착될 때 정교한 작동을 유지하면서도 제 1/2슬라이더부재(4, 5)와도 효율적인 호환성을 갖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전술한 제 1/2/3슬라이더부재(4, 5, 6)들은 서로 일체화되도록 결합되어져 1개의 부분처럼 동시에 작동됨은 물론, 조작이나 작동상황에 따라서는 각각 독립된 작동을 한 후 작동전 상태로 복귀되면 다시 서로 일치된 작동을 하도록 되어 있는데, 이러한 독립된 작동을 위하여 제 3슬라이더부재(6)를 하우징(2)내에 장착할 때 캡(145)과 일정한 공간이 형성되도록 간극을 유지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가 필요시 독립된 작동을 하게되는 경우, 스프링플런저(238, 239)를 매개로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캡돌출부(146)에 의해 전/후로 견제되면서 유도되도록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8b도는 제8도에 따른 제 3슬라이더부재에 핀이 체결된 종단면도를 도시한 것인 바,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은 포크(130, 131)의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134, 135)에 삽입된 채로 상기 포크(130, 131)에 의하여 전/후로 압력을 받을 경우 이 압력으로 인하여 상/하로 이탈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볼트식으로 견고하게 체결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포크(130, 131)를 작동시키는 경우 측면으로 받게되는 가압력은 작동원리상 리턴스프링(144)이 팽창되는 압력만큼만 힘을 받고 그 이상은 받지 않게 된다.
즉 이러한 원리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이 포크(130, 131)의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134, 135)에 삽입된 후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에 걸려서 포크(130, 131)가 밀려지게 되면, 이 포크(130, 131)가 포크축(132, 133)을 중심으로 외곽쪽으로 회전하려는 경향에 따라 회전함과 동시에,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이 삽입된 상태로 포크(130, 131)의 회전각도에 상응하도록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134, 135)도 회전하게 된다.
또한 이때 이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134, 135)의 중심점은 회전각도만큼 포크축(132, 133)에서 외곽쪽 측면으로 이동하며 회전하므로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이 악영향을 받게 되지만, 상기 포크(130, 131)에 형성된 제 3슬라이더부재핀 삽입홀(134, 135)이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과 회전에 지장이 없는 적절한 크기를 갖추면서 그 형상이 일방면(포크(130, 131)의 개방시 핀 (245, 246)에 걸리는 방면)쪽으로는 평면형상을 이루는 반면, 이와 대칭되는 일면쪽으로는 곡면을 형성시켜 전체적인 단면형상을 반 타원형상을 이루게 하여, 상기 포크(130, 131)의 작동시나 복귀시에 포크(130, 131)의 개방작동은 만족하게 되면서도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에는 아무런 영향을 받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에 결합된 상태에서 포크(130, 131)의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134, 135)에 삽입된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과,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에 구비된 포크(130, 131)의 포크내장홈(116)의 바닥면사이에 상호 접촉이 방지되도록 공간이 형성되므로, 상기 상기 제 2슬라이더부재핀(245, 246)과 포크(130, 131)의 상호 작동시에도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와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은 서로 간섭이 불가능하여 작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게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9도a,b,c는 제2도에 따른 제 1/2/3/4/5캠부재(7, 8, 9, 10, 11)의 사시도를 도시한 것인 바, 캠부재들은 결속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리시켜주는 제 1/2캠부재(7, 8)와, 안전스프링(244)를 제어하기 위한 제 3캠부재(9) 및, 제 3슬라이더부재(6)를 제어하기 위한 제 4/5캠부재(10, 11)들로 구성되는 한편, 이 제1/2/3/4/5캠부재(7, 8, 9, 10, 11)들은 푸쉬레버(42, 43, 44)와 톱니기어부재(3)에 의하여 하우징(2) 내면으로 밀리는 경우, 밀리는 간극이 각 리턴스프링(183, 184, 193, 194, 205, 206, 217, 218, 227, 228)의 압축된 폭에 따른 필요 길이만큼 진입하는 반면, 적당한 길이 이상으로는 진입되지 않게 된다.
또한, 상기 제1/2/3/4/5캠부재(7, 8, 9, 10, 11)들은 하우징(2)내에 장착된 상태로 각각 평형상태를 유지하면서도 원할한 작동이 되도록 캠포스트(180, 181, 190, 191, 201, 202, 213, 214, 224, 225)가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제9a도에 도시된 상기 제 1/2캠부재(7, 8)는 결합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리시켜 주도록 톱니기어부재(3)에 의하여 가압되는 캠로드(203, 215)와, 이 캠로드(203, 215)에 의해 하우징(2)내로 진입하며 암집게고리(159, 160)의 돌출부(163, 164)에 압력을 가해 이 암집게고리(159, 160) 앞부분을 개방시켜 서로 결합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리시켜 주는 제 1/2캠부재날(199, 211)이 각각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이 제1/2캠부재날(199, 211)에는 캠로드경사면(204, 216)이 형성되어 발생된 조건에 따라 제 1/2캠부재(7, 8)가 작동을 하지 않은 상태에서 서로 결합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리할 수 있도록 수/암집게고리(78, 159, 160)의 후진시, 이 캠로드경사면(204, 216)에 암집게고리(159, 160)의 각 돌출부(163, 164)가 도달하여 접촉할 때 걸려지면서 암집게고리(159, 160)가 개방되어 수집게고리(78)와 결합된 상태가 분리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암집게고리(159, 160)가 개방되면 스로틀레버(250)에 종속된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케이블(171)을 매개로 제 2슬라이더부재(5)가 견인됨과 동시에 작동전 위치로 복귀되므로 엔진출력이 작동전 상태로 낮아지게 되지만, 상기와 같은 작용을 수반하는 구성은 구성하지 않아도 본 발명의 안전장치(1)의 작동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사용자가 필요에 따라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9b도에 도시된 상기 제 3캠부재(9)는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상단내부로 진입하여 독립된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안전스프링(244)을 걸어주는 제 3캠부재날(223)과, 이 제 3캠부재날(233)의 양쪽 끝부위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캠포스트(224, 225) 및, 이 캠포스트(224, 225)사이의 중앙부위로 구비된 캠로드(226)로 구성됨과 더불어, 오르막감지기(318)와 안전스프링제어스위치(313)의 신호에 따라 통합제어기(294)에 의하여 제어되는데, 이러한 제어기능은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작동을 중지시켜 본 발명의 안전장치(1)를 장착하기 전처럼 종래 가속폐달의 기능을 회복하여 주행중 주위상황에 다라 운전자가 대처할 수 있도록 편의를 도모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제9c도에 도시된 제 4캠부재(10)는 양쪽 끝부위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캠포스트(180, 181) 및 캐로드(182)로 구성된 제 4캠부재속날(177)과, 이 제 4캠부재속날(177)을 감싸는 제 4캠부재겉날(178) 및, 이 날들(177, 178) 사이에 내장되어 간극을 적당하게 유지하는 판스프링(179)으로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상기 판스프링(179)이 속날과 겉날(177, 178)사이에 구비되면 이 속날(177)에서 받은 압력을 흡수한 채로 완화시켜 겉날(178)에 미약하게 전달하게 되는데, 상기 판스프링(179)는 하우징(2)에 형성되어 상기 제 4캠부재(10)가 삽입되는 캠장착홈(32)에 밀폐된 상태를 유지하므로 외부로의 이탈이 규제됨은 물론, 도면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제 4캠부재겉날(178)이 제 4캠부재속날(177)의 양 측면에 걸려져 앞쪽으로 이탈되는 것도 금지되면서 하우징(2)내에서도 전술한 바와같이 상기 제 4캠부재(10)가 삽입되는 캠장착홈(32)에 폐쇄된 채로 유지되므로, 그 구조상 상기 제 4캠부재겉날(178)이 상/하로 이탈할 수 없게 되어 이 제 4캠부재겉날(178)이 제 3슬라이더부재(6)에 접촉되는 경우에도 상기 판스프링(179)이 갖는 약한 압력만이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에 미치게 되어 압력을 받기전보다 다소 민감한 제어를 할 수가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제 4캠부재(10)는 이후 기술될 본 발명의 자동차 각도감지기(299)의 신호에 따라 통합제어기(294)로 하여금 제어되도록 구성하였지만, 본 발명의 안전장치(1)가 장착될 자동차의 여건에 따라서 구성하지 않아도 무방하다.
그리고, 제9c도에 도시된 제 5캠부재(11)는 톱니기어형상의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과, 이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의 양쪽 끝부위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캠포스트(190, 191) 및, 이 캠포스트(190, 191)의 중앙부위로 구비된 캠로드(182)로 구성되어져, 상기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이 제 2슬라이더부재(5)에 진입하여 제 3슬라이더부재(6)에 구비된 스프링플런저(24)와 접촉할 때 이 플런저(240)가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의 한쪽방면으로만 걸리게 되고 반대쪽방면(역방향)으로는 걸리지 않아 후진시에는 제어가 되는 반면 복귀시에는 제어가 되지 않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제 5캠부재(11)도 전술한 캠부재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각도 감지기에서 감지하는 충격이나 진동신호에 의하여 통합제어기(294)로 하여금 제어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 제10도는 제1도에 따른 가 - 가'선의 부분단면으로서 안전장치의 각 구성부들이 서로 결합된 상태를 나타낸 결합단면도를 도시한 것인 바, 하우징(2)의 내부중앙하단부위로는 제 1슬라이더부재(4)가 위치함과 더불어, 이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상부부위로는 이 제 1슬라이더부재(4)에 체결된 제 1슬라이드부재헤드(115)가 위치되되, 이 헤드(115) 내부로는 이탈을 방지하기 위한 캡(145)과 함께 체결된 포크(130, 131)가 양측면으로 대칭되도록 내장되는 한편,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중앙하단부위로는 이 제 1슬라이더부재(4)가 후진될 때 복귀되도록 리턴스프링(100)이 구비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는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좌/우로 대칭되어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유동이 제어되도록 제 4캠부재(10)의 제 4캠부재겉/속날(178, 177)과 제 5캠부재(11)의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이 삽입되어 있는 한편, 상기 제 1/3슬라이더부재(4, 6)가 하우징(2) 내부에서 작동할 때 편향되게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적이면서 정교한 유동을 유지시킴은 물론, 인접된 다른 부품들과 호환성을 갖고 작동하면서 작동이 불확실하게 일어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이 제 1/3슬라이더부재(4, 6)가 상/하 및 좌/우에서 각을 형성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작동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1도는 제6도에 따른 제 1슬라이더부재의 포크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인바, 제 1/2슬라이더부재(4,5)가 수/암집게고리(78, 159, 160)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로 유지함과 더불어 제 슬라이더부재(6)가 결합되어 함께 일체를 이루게 되므로, 하우징(2)내에서 연동부재케이블(82)에 결속된 가속폐달(287)에 의하여 후진과 리턴작용이 이루어지다가 갑자기 가속폐달(287)을 급격하게 눌러주면 케이블(82)에 결속된 제 1/2슬라이더부재(4, 5)도 급속하게 후진하게 되는 바, 이때 상기 연동부재(81)가 작동되면서 동시에 안전핀(101)도 작동을 하여 제 3슬라이더부재(6)를 걸고 있는 안전핀고리(103)도 개방되어 진다.
이어, 상기 제3슬라이더부재(6)가 구속력을 잃게 되면서 독립되므로 자체의 관성에 의하여 현 위치에 머무르려는 경향이 갖게 되지만, 상기 제 1/2슬라이더부재(4, 5)가 후진을 계속하게 되어 이와함께 캡(145)도 후진을 하므로 캡돌출부(146)에 의해 제 3슬라이더부재(6)에 체결된 스프링플런저(238, 239)가 밀려지게 되고, 이와같이 밀리는 플런저(238, 239)가 가압력에 의해 압축되는 자체의 스프링(248)을 매개로 캡(145)의 캡돌출부(146)가 주는 압력을 흡수하여 제 3슬라이더부재(6)에는 압력이 미치지 않게 된다.
이에 따라 자체의 관성에 의해 정지하려는 제 3슬라이더부재(6)가 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을 매개로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에 내장된 포크(130, 131)를 걸어주어 이 포크기어이(136, 137)가 도면에서 도면번호 136(1), 137(1)로 표시된 위치까지 열리게 된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열려진 포크(130, 131)는 도면번호 136(1), 137(1)위치로 이동된 포크기어이(136, 137)를 매개로 이 포크기어이(136, 137)에 걸려진 톱니기어부재(3)의 톱니기어부재날(68, 69)에 의해 톱니기어부재(3)를 견인하게 되고, 이때,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포크(130, 131)가 열렸을 때 받는 힘은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의 포크내장홈(116)과 포크축(132, 133)을 중심으로 포크측방축(142, 143)과 포크후방축(140, 141)이 일치되도록 접촉되므로, 결국 상기 포크(130, 131)가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와 밀착되어 포크(130, 131)가 받는 압력 자체가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에 의하 차단되어 포크(130, 131)와 도면번호 245(1), 246(1)의 위치까지 이동된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에는 무리가 가지 않게 된다.
이어 모든 작동이 다시 복귀되면 캡(145)의 캡돌출부(146)에 의하여 밀려지고 이에 따라 압축되었던 스프링(248)의 복원력에 의해 다시 작동전 상태로 플런저(238, 239)가 복원됨과 더불어 캡돌출부(146)도 작동전 상태처럼 복원되므로,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제 3슬라이더부재핀(245, 246)에 의하여 간섭받지 않는 포크(130, 131)도 리턴스프링(144)에 의하여 작동전 위치로 복원되게 되는 바, 이때 도면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포크기어이(136, 137)와 기타 요철된 형상들이 포크내장홈(116)의 요철된 형상과 구조적으로 일치되어 안착 되므로 결국 포크(130, 131)들이 서로 접촉하지는 못하지만 안정된 자세로 복원되어 다음 작동에 대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제1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의 암/수집게고리 및 캠부재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인 바, 암집게고리(159, 160)에 수집게고리(78)가 수집게고리결속홈(167, 168)에 의하여 결합된 상태에서 톱니기어부재(3)의 톱니기어날(68, 69)이 작동된 포크기어이(136(1),137(1); 제11도 참고)에 걸려 톱니기어부재(3)가 견인될 때, 경사면(72, 76)에 의하여 제 1/2캠부재의 캠로드경사면(204, 216)이 밀리게 되므로 캠로드(203, 215)도 하우징(2)의 내면쪽으로 밀려 하우징(2)의 내면쪽으로 전진하게되고, 이어 제 1/2캠부재날(199, 211)에 의하여 압력을 받아 암집게고리(159, 160)의 돌출부(163, 164)가 밀려, 결국 이 암집게고리(159, 160)가 축(161, 162)을 중심으로 앞부분이 서로 제 1/2캠부재날(199, 211)쪽으로 회전하면서 개방이 되어 수집게고리(78)와 분리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 1/2슬라이더부재(4, 5)가 서로 분리됨과 동시에 제 1슬라이더부재(4)는 케이블(82)에 견인되어 뒤로 후진하게 되는 반면, 제 2슬라이더부재(5)는 케이블(171)에 견인되어 복귀되는데, 도면의 도면번호 203(1), 215(1)은 작동된 캠로드(203, 215)의 위치이고, 159(1), 160(1)은 작동된 암집게고리 (159, 160)위치이며, 199(1), 211(1)은 작동된 캠날(199, 211)의 위치를 표시한다.
그리고, 톱니기어부재(3)가 리턴스프링(66, 67)에 의하여 작동전 위치로 복원되면 제 1/2캠부재의 캠로드(203, 215)와 제 1/2캠부재날(199, 211)은 캠포스트(201, 202, 213, 214)에 장착된 리턴스프링(205, 206, 217, 218)에 의하여 작동전 위치로 복원되므로, 암집게고리(159, 160)의 앞부분도 리턴스프링(169)에 의하여 작동전 위치로 복원되어서 폐쇄되어지는 한편, 가속폐달(287)이 작동전 상태로 복원되는 경우 리턴스프링(100)에 의하여 제 1슬라이더부재(4)가 견인되어 복원 되므로 폐쇄된 암집게고리(158, 160)와 수집게고리(78)가 다시 분리전 상태로 결합되게 된다.
또한,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연동부재(81)는 그 후방부위에 구비된 케이블(82)이 가속폐달(287)에 의하여 급속하게 당겨지는 상태가 발생되면 리턴스프링(83, 84)이 수축되면서 연동부재(81)를 후진시켜 주게 되고, 이와 같이 후진된 연동부재(81)는 T 형상일 경우에 리턴스프링(83, 84)의 수축상태가 연동부재(81)와 결속판(106)사이의 접촉을 막아주므로 연동부재(81)가 일정한 거리 이상을 후진하는 것을 막아주게 되는 한편, 연동부재(81)가 + 형상일 경우에는 후사면부가 돌출되어 있어서 결속판(106)에 접촉되므로 도면의 도면번호 81(1)로 표기된 것과 같이 일정거리 이상으로 후진이 제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가속폐달(287)이 작동전 상태로 복귀되었을 때는 상기 연동부재(81)도 리턴스프링(83, 84)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전 상태로 복원되어 지므로, 상기 스프링(83, 84)의 수축력은 케이블(82)이 급작스럽게 당겨질 때만 수축되도록 수축력이 안배된 것이기 때문에, 케이블(82)이 유연하면서도 보편적으로 당겨질 때에는 스프링(83, 84)은 수축되지 않아 연동부재(81)도 작동되지 않게 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속폐달(287)을 급속하게 밟았을 때만 연동부재(81)가 작동되어 연동부재(81)의 안전핀 삽입홀(85)에 삽입된 안전핀(101)도 작동을 하면서 동시에 상부로 상승하여 안전핀 고리(103)에 의해 걸려진 제 3슬라이더부재(6)을 개방시키게 되지만, 이와같은 상황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면 상기 연동부재(81)도 작동하지 않게 되므로 안전핀(101)도 작동을 하지 않아 안전핀고리(103)에 의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유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연동부재(81)와 상기 스프링(83, 84)의 작동원리를 제1도와 제13도를 참조로 상세히 설명하면, 스로틀레버(250)의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케이블(171)과 가속폐달(287)의 연동부재케이블(82)에 함께 결합된 제 1/2슬라이더부재(4, 5)가 상기 가속폐달(287)의 작동에 따라 이끌린 후, 다시 상기 스로틀레버(250)에 구비된 리턴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복귀시 발생되는 인장력과 관성이 연동부재(81)에 영향을 주므로 그 인장력과 관성세기의 강/약을 이용하도록 된 것이다.
여기서, 상기 가속폐달(287)의 작동이 완만하게 진행되면 연동부재케이블(82)를 통하여 연동부재(81)에 미치는 인장력과 관성도 약해지게 되어 스프링(83, 84)이 수축되지 않지만, 만약 급속하게 진행되면 연동부재케이블(82)을 통해 연동부재(81)에 미치는 인장력과 관성도 강하게 되어 스프링(83, 84)도 수축되므로 결국 연동부재(81)가 작동되어 진다.
또한, 만약 상기 가속폐달(287)의 작동에 의하여 제 1/2슬라이더부재(4, 5)가 견인되는 도중에 상기 가속폐달(287)의 작동을 일시 정지시키게 되면, 이로인해 제 1/2슬라이더부재(4, 5)도 이동 도중에 정지하게 되는데, 이때 상기 스로틀레버(250)의 리턴스프링의 복원력과 가속폐달(287)의 인장력이 상호 균형을 이루게 되므로, 스프링(83, 84)에 미치는 인장력은 증가하게 됨에도 불구하고 스로틀레버(250)가 당기는 인장력과 가속폐달(287)이 당기는 인장력의 두 힘(인장력)사이에서 균형을 유지하면서 수축되지 않고 힘이 적절히 안배된다. 따라서 연동부재(81)의 작동도 불가능 하므로 안전핀(101)이 작동되지 않아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유동이 불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이와 같이 제 3슬라이더부재(6)의 독립된 유동을 방지시키는 이유는 자동차 운행중 자동차의 속력이나 진동 등과 같이, 의도하지 않는 경우에 안전핀(101)이 작동되지 않도록 함으로써 제 3슬라이더부재(6)가 독립적으로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제13도는 보조레버가 결합된 스로틀레버를 도시한 것인 바, 이러한 보조레버(251)는 형상과 관계없이 스로틀레버(250)가 갖는 일반적인 기능을 보조레버(251)로 하여금 동일하게 재현시키기 위한 목적이며, 또한 종래 일부 자동차에 장착한 자동속도 조정케이블에 연결된 스로틀레버(2모드스로틀링크)장치에 본 발명의 보조레버(251)장치 대신 상호 호환성 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제1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스로틀레버의 회전각을 도표로 나타낸 선도(D)를 도시한 것인 바, b지점은 스로틀레버(250, 251)가 케이블(289)에 의하여 a지점에서 1차적으로 회전하여 정지하는 지점인데, 스로틀레버(250, 251)의 이러한 작동 회전시점은 자동차의 각도감지기(제18도 참조)의 센서부(302)와 오르막감지기(318)로 부터 발생된 신호를 받은 통합제어기(294)에 의해 제어되는 모터(291)와 케이블(289)을 매개로 스로틀보조레버(251)를 회전시켜 엔진출력을 높이게 되므로, 이는 자동차가 가파르지 않는 언덕길을 진행중 일단 정지했다 다시 진행하려고 할 때 엔진출력을 높여 순조롭게 출발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c지점은 스로틀레버(250, 251)가 케이블(289)에 의하여 회전하는 각도가 b지점에서 c지점까지 회전하여 b지점보다 좀 더 엔진출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며, 따라서 전술한 b지점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상기 b지점의 엔진출력이 다소 부족한 가파른 오르막길에 적용하기 위하여, 각도 감지기의 센서부(302)와 오르막감지기(318)를 추가로 설치하여 더 가파른 오르막각도를 감지하여 엔진출력을 더 높이려고 할 때 적용하여 가파른 오르막길에서 정지했다가 발진시 엔진출력을 좀 더 상승시켜 무리없이 순조롭게 진행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c지점에 대한 2차 오르막 감지기를 초보자가 운행하는 차량에 설치하게 되면 안전사고를 예방함과 동시에 효율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e지점은 자동차 엔진출력이 최대의 한계지점을 넘은 시점이며, 이 시점에 도달하면 암집게고리(159, 160)의 돌출부(163, 164)가 제 1/2캠부재날(199, 211)의 제 1/2캠부재돌출부(200, 212)에 의하여 암집게고리(159, 160)가 개방되어 수집게고리(78)와의 결합이 분리되게 되는 싯점인데, 이러한 싯점은 종래의 자동차 칵다운스위치(Kick down switch)가 작동되는 싯점보다 직후에는 나타나게 되는 바, 이러한 점은 운전자가 위급시 브레이크페달(270)을 밟는다는 것이 가속폐달(287)을 밟을때 상황을 고려하여 구성한 것으로서, 1차적으로 안전장치(1)가 작동되지 않았을시(이러한 상황은 본 발명에서 가속폐달(287)을 급속하게 밟지 않았을 때 발생됨) 2차적인 안전수단으로서 엔진출력만이라도 작동전 수준으로 낮추어 자동차의 충돌시 충격을 감소시키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제15도는 푸쉬레버(43)가 하우징(2)의 푸쉬레버브라케트(18)에 힌지핀(52)으로 결합시킨 상태를 도시한 것인 바, 푸쉬레버(43)에 결합된 케이블(46)이 모터(290)에 의하여 견인되면 힌지핀(52)을 중심으로 한 회전운동에 의해 작동되면서 캠로드(226)에 압력을 가해, 이 캠로드(226)가 하우징(2)의 내면으로 밀려들어 가게 되는데, 이러한 작동상태가 유지되어 있다가 필요에 따라 작동이 해제 되면 캠포스트(224, 225)의 리턴스프링(227, 228)의 복원력에 의하여 캠로드(226)가 작동전 상태로 복원되며 푸쉬레버(43)을 밀어올려 푸쉬레버(43)도 작동전 상태로 복귀되게 된다.
또한, 제16도는 스텝모터의 축(260)에 결합된 일례의 푸쉬레버(261) 작동원리도를 도시한 것인 바, 모터축(260)에 장치된 푸쉬레버(261)가 통합제어기(294)의 신호에 의하여 모터의 로터스텝이 필요한 방향으로 1스텝 회전되면, 이때 푸쉬러베(261)가 져크레버(262, 263)를 밀어 후미부위의 케이블(46, 45)이 견인된 상태로 유지 되고, 이때 도면에 표기된 도면번호 261(1), 261(2)은 작동된 푸쉬레버(261)의 위치이며 도면번호 262(1), 263(1)은 작동된 져크레버(262, 263)의 위치이다.
이어, 통합제어기(294)의 신호에 의하여 스텝모터의 로터가 작동전 위치로 다시 복원되면 푸쉬레버(261)도 작동전 상태로 복원되므로, 져크레버(262, 263)도 리턴스프링(266, 267)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이전 위치로 복원됨과 더불어 케이블(46, 45)도 함께 작동이전 상태로 복원되어 진다.
그리고, 제17도는 브레이크페달(270)에 결합된 엑튜에이터(273)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인 바, 브레이크 페달(270)에는 엑튜에이터(273)가 구비되되, 이 액튜에이터(273)에는 이동홀(274)을 매개로 후크(272)가 장착되므로, 브레이크 페달(270)을 도면에 표기된 도면번호 270(1)의 위치로 조작하게 되면, 상기 후크(272)가 액튜에이터(273)의 이동홀(274)안에서만 후진과 복귀되므로 이 엑튜에이터(273)에 의해서는 브레이크페달(270)의 작동이 아무런 제지를 받지 않는 반면, 케이블(280)에 의해 레버(276)를 매개로 엑튜에이터(273)가 도면에 표기된 도면번호273(1)의 위치로 당겨지게 되면 후크(272)를 견인하게 되므로, 이로 인해 브레이크페달(270)이 도면에 표기된 도면번호 270(1)의 위치로 당겨져 자동차가 제동되어 진다.
여기서, 상기 레버(276)는 자동차 차체에 고정된 브라케트(275)에 고정되어 엑튜에이터(273)를 작동시킨 후 리턴스프링(282)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전 상태로 복귀 되므로, 상기 엑튜에이터(273)에 의하여 제지를 받지 않게 되는 브레이크페달(270)도 리턴스프링(284)의 복원력에 의하여 작동전 위치로 복귀되게 되어 자동차의 제동도 풀리게 된다.
이때, 도면에 표기된 도면번호 272(1)은 작동된 후크(272)의 위치이고, 273(1)은 작동된 엑튜에이터(273)의 위치이며, 276(1)은 작동된 레버(276)의 위치이다.
또한,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와 함께 자동차에 사용되는 각도감지기의 외형도를 도시한 것인 바, 자동차가 주행시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에 도달했을때 도로의 오르막과 내리막 각도를 감지하게 되는 각도감지기(295, -, 299)는 자동차가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운행할 때 자동차가 기울어지는 각도를 감지할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안전장치(1)의 기능이나 기타 종래의 자동차 일부 기능을 보완하거나 보조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며, 원형이나 다각형과 같은 여러형태인 경우에도 그 효과가 동일하고 차체의 적당한 위치에 부착하여 사용하게 된다.
그리고, 제19도는 제18도에 따른 각도감지기의 분리사시도를 도시한 것인 바, 각도감지기(299)가 축(306)을 중심으로 죄/우로 적당한 각도만큼 자유롭게 회전되는 부력체(300)와, 양쪽으로 필요한 각도만큼의 위치에 취부되어 각도감지기(299)가 기울 때 상기 부력체(300)에 부착된 감지부재(305)를 감지하도록 된 센서부/오르막감지기(302, 318) 및 감지부/내리막감지기(303, 319)로 구성된다.
이때, 상기와 같은 기능을 갖는 오르막감지기(318)를 추가로 설치할 때는 전술한 바와같이 이 감지기(318)의 외쪽 측면쪽으로 필요한 각도위치에 취부하여 구성하게 됨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20a,b도는 제18도에 따른 각도감지기의 서로 다른 변형례를 도시한것인 바, 로드(307)를 매개로 축(306)에 결속되어 각도에 따라 좌/우로 자유롭게 기울도록 된 부력체(300)에는 감지부재(305, 예를 들어 영구자석 등)가 부착됨과 더불어 그 주위를 밀폐시키도록 용기로 이루어지되, 이 용기 내에는 변질되지 않고 결빙이나 응고되지 않거나 또는 점도가 적당한 액상체(301)로 충만되어 있어 부력체(300)가 상부로 적극 상승되지만, 상기 로드(307)에 의하여 축(306)에 결속되었기 때문에 부력에 제약을 받게 되는 한편, 외측면에는 비접촉감지인 센서부(302)가 양 측면으로 감지부(303)가 취부되어 부력체(300)의 기우는 각도를 감지하게 된다.
한편, 각도감지기(298)는 양측에 센서부(302-1)와 감지부(304)가 대칭되게 2쌍(즉, 오르막감지기와 내리막감지기)내지 4쌍(즉, 1차회전각 감지기와 2차회전각 감지기)이 구성 되지만, 예를 들어 광센서의 경우는 투광기인 센서부(302-1)와 수광기인 감지부(304)가 분리되어 발광과 수광의 광로가 정확하도록 대칭되게 함은 물론, 상기 투광기와 수광기가 일체형으로 결합된 것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대칭되는 어느 일면쪽에는 광반사판이 구비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부력체(300, 300-1)는 널리 공지된 물체로서 부력의 효과를 극대회시키기 위한 방편으로 예컨대, 공기나 혹은 공기보다 가벼운 가스(일례:수소가스)등으로 충만된 극히 가벼운 부레나 또는 물체 자체가 부력의 효과가 있는 물체(일례:비닐종류(PP, PE의 발포제))나 기타 부력효과가 양호한 물질등 부력이 좋은 재질로서 선별하여 구성하되, 각도감지기(299)의 규모 및 센서부(302, 302-1, 303, 304)와 접촉센서부(302-2)의 종류에 따라 부력체(300, 300-1)를 각기 다른 물질로서 적당하게 선택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구성되는 액상체(301)는 센서부(302, 302-1, 303, 304)와 감지부(302-2)및 부력체(300, 300-1)에 따라서 용도에 적당하게 각기 다른 물질로 선택하여 구성하지만 콜로이드성 물질은 사용하지 않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상기 센서부와 같은 비접촉센서(일례로:광센서)에 구성되는 액상체(301)는 특히 투명알콜과 같은 고도로 투명한 것으로 광선이 발광에서 입광까지 과정에 있어 굴절이나 기타 광로 사항에 지장을 받지 않고서 투광기인 센서부(302-1)에서 투사하는 광선을 수광기인 감지부(304)로 감지할 수 있게 되므로, 특히, 이러한 비접촉센서인 광센서를 구성할 때는 부력체(300-1)는 광선만 차단되는 주로 로드(307)처럼 막대기형으로만 가늘게 하여 구성하여야 하지만, 비접촉센서나 접촉센서에서도 부력체(300, 300-1)를 꼭 원형으로만 구성하는 것이 아니라 타원형이나 기타 다른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접촉성센서인 접촉센서부(302-2)는 오르막감지기(318)와 내리막감지기(319)쪽으로 2개가 구성되는 바, 이러한 접촉성센서인 접촉센서부(302-2)는 부력에 효과를 극대화시켜 부력체(300-1)를 정확하게 감지할 수 있도록 액상체(301)를 유체(油體)성 물질로 구성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한 바와 같이 액상체(301)를 구성시키는 이유는, 자동차가 발진시나 제동시 또는 회전시 발생하는 관성이 물체(부력체)에 미치는 영향과, 자동차 주행시 진동이나 충격에서 오는 물체(부력체)의 흔들림이나 기우는 작동을 유체(油體)의 점성저항이나 난류저항을 이용하여 상기한 문제점을 완화시켜, 불필요한 물체(부력체)의 기울기나 흔들림을 억제하여 자동차가 오르막길과 내리막길을 주행할 때 정확하면서도 신속하게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각도만을 오차없게 감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제21도는 제18도에 따른 각도감지기의 작동상태도를 도시한 것인 바, 자동차가 어느 한쪽으로 기울 때 각도감지기(299)도 따라서 도면의 도면번호 200(1)의 위치로 기울게 되면, 이때 각도 감지기(299)내의 부력체(300)가 부력에 의해 수직으로만 상승하려 하므로 각도기본체(299)의 경사에 관계없이 부력체(300)만 수직으로 상승된 채로 유지됨과 더불어, 감지부(303)도 함께 도면의 도면번호 303(1)의 위치로 기울게 되는데 이와 같이 기우는 감지부(303)가 수직하게 위치된 감지부재(305)를 감지하여 펄스신호를 발생하면, 이 펄스신호를 전선(308)을 매개로 전달받은 통합제어기(294)가 자동차의 기우는 각도를 감지하여 연관된 장치를 제어하게 된다.
한편 전술한 경우와 도면의 도면번호(299(2))와 같이 반대로 자동차가 기울게 되면, 반대쪽 부위에 위치된 센서부(302)가 감지부재(305)를 감지하여 동일하게 통합제어기(294)에게 신호를 주고, 이어 신호를 전달받은 통합제어기(294)가 연관된 장치를 제어할 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참고로, 도면의 도면번호 303(1)은 각도 감지기(299)가 기울 때 감지부(303)가 감지부재(305)와 일치되게 되는 상태도이다.
이어, 전술한 바와같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었던 자동차가 정상으로 평형이 되면 부력체(300)가 그대로 수직을 유지하는 반면 각도감지기(299)와 센서부(302)와 감지부(303)도 기울어지기 이전 상태로 복귀되므로, 센서부(302)와 감지부(303)가 부력체(300)와 감지부재(305)를 벗어나 작동을 중지하게 됨과 더불어 통합제어기(294)도 연관된 장치들의 제어를 해제시키게 된다.
그리고 제2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와 함께 구성되는 전자회로도를 도시한 것인 바, 운전석에 구비된 메인스위치(311)를 개방(ON)시키면 각 스텝모터(290, 291, 292)의 코일이 여자된 상태가 되고, 전류와 전압은 각 회로에 구성된 저항들(351, 352, 353, 354, 355, 356, 357, 358, 359, 362, 363, 365, 366, 367)을 거쳐, 각 게이트(320, 321, 322, 323, 324, 325, 326, 327, 330, 331, 332, 333, 334)의 입력단자를 통하여 유입된다.
이때, 본 회로에 구성된 일부 저항들은 앤드게이트(322, 323, 326, 327, 328, 329, 331, 332, 333, 334)나 난드게이트(320, 321, 324, 325, 330)의 유입전류 제한 저항으로서, 출력측이 단락(short) 되었을 경우나 과부하가 걸리지 않도록 하여 집적회로(IC)를 보호하기 위한 것이고, 기타 저항들은 발광다이오드를 보호하기 위하여 구성된다.
또한, 다이오드(383, 384, 385, 386, 387, 388, 389, 390, 391, 392, 393, 394, 395, 396, 397, 398)는 순방향 다이오드로서, 이는 전류의 역류를 방지하여 종속된 각 게이트나 트랜지스터에 불필요한 전류의 흐름으로 인하여 지장을 주거나 받지않으면서도 이상없이 작동하게 되고, 또한, 발광 다이오드(LED)(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412)는 작동자가 램프(LED)를 통하여 각 회로의 작동이나 모터의 작동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전압이 유입된 앤드게이트(322, 323, 326, 327, 331)는 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전입이 낮아(Low)지고 난드게이트(302, 321, 324, 325, 330)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전압이 높아져(High), 일부는 다음 2차게이트(335, 336, 337, 338)의 입력단자를 통하여 게이트에 유입되기도 하고 일부는 트랜지스터(343, 345)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43, 345)를 작동시키기도 하며, 각 게이트에 유입되거나 출력되는 전류나 전압도 클록펄스(Clock Pulse:CP)로 전환되어 입력단자와 출력단자를 통하여 입력과 출력이 된다.
이후, 2차게이트(335, 336, 337, 338)에 유입된 펄스신호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출력전압이 높아져서, 다시 출력단자를 통하여 트랜지스터(339, 341)에 베이스 전류로서 유입되므로 트랜지스터(339, 341)는 작동을 하게된다.
이때, 스텝모터(290, 291, 292)의 스테이터코일 단자는 모터(290)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0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39, 341)와, 모터(290)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우방향 1스텝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39, 342), 모터(290)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좌방향 1스텝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40, 341), 모터(291)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0 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 (343, 345), 모터(291)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우방향 1스텝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44, 345), 모터(291)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좌방향 1스텝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43, 346), 모터(292)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0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47, 349), 모터(292)의 로터스텝포지션(step positon) 우방향 1스텝위치에 대한 트랜지스터(348, 350)등과 같이 트랜지스터에 종속되어 진다.
따라서, 도면을 참조로 전술한 바와 같이 작동되는 트랜지스터(339, 341)와 연결된 모터(290)의 로터스텝 포지션은 0의 위치에 정지되어 있는 상태가 되며, 상기 스텝모터(290, 291, 292)는, 용도에 따라 규격이나 기타 사항이 다소 다르지만 작동원리는 동일하거나 유사할 뿐 아니라 모두가 일반적으로 공지된 것들이므로 로터의 스텝작동원리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어, 센서즉, 센서부(302, 302-1)와 감지부(302-2)및 오르막 감지기(318)과 안전스프링(244)제어 감지기가 작동하면, 상기 오르막감지기(318)에서 발생된 펄스신호가 1차게이트(324, 325, 326, 327)에 입력단자를 통하여 유입되되, 펄스신호가 유입된 일부 1차게이트(324, 325)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낮아지게 되므로 2차게이트(337, 338)에도 회로논리상 게이트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낮아져 종속된 트랜지스터(339, 341)는 작동이 중지되고 모터(290)의 로터스텝은 포지션 0이 해제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1차게이트(326, 327)에 유입된 펄스신호가 게이트회로 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높아져 일부는 2차게이트(335, 336) 단자에 클록펄스로 유입되므로, 이 2차게이트 (335, 336)는 게이트 회로 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낮아져 역시 종속된 트랜지스터(339, 341)의 작동을 해제시키게 된다.
이어, 게이트(326, 327)에서 출력된 클록펄스 일부는 트랜지스터(339, 342)에 베이스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39, 342)를 작동시키므로 모터(290)의 로터스텝은 포지션 0에서 우방향 1스텝 위치에서 정지되는 바, 이는 오르막에서는 모터(290)로 하여금 안전스프링(244)을 제어하여 가속폐달(287)의 작동기능을 종래처럼 회복시켜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한 것임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오르막 감지기(318)의 펄스신호중 그 일부가 게이트(331)에도 유입단자를 통하여 유입되지만 이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높아져 일부는 2차게이트(330)에 입력단자를 통하여 유입되므로, 펄스신호가 유입된 게이트(330)는 게이트 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풀력이 낮아져 종속된 트랜지스터(343, 345)의 작동을 해제시켜 모터(291)의 로터스텝포지션 0위치에서 해제됨과 동시에, 상기 클록펄스신호의 일부는 종속된 트랜지스터(344, 345)에 직접 베이스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44, 345)를 작동시키므로 모터(291)의 로터스텝 포지션은 우방향 1스텝 위치로 된다.
이때, 스위치(315, 316)중에서 어느 하나만이라도 오프(off)되는 상태가 되었다면, 게이트(331)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작동되지 않는 상태가 유지되기 때문에 모터(291)의 로터스텝포지션은 0위치에서 변동이 없게 되는 바, 이러한 스위치(315, 316)는 자동차가 오르막길에서 운행중 감지기(318)가 오르막을 감지하여 작동을 시작하게 된다.
여기서, 가속폐달(287)이나 또는 브레이크페달(270)를 밟지 않아 스위치(315, 316)가 모두 온(On)상태가 되면 모터(291)의 로터스텝포지션이 전술한 바와 같이 1스텝 우방향으로 회전한 상태로 정지되어 유지되는 상태가 되기 때문에 제16도를 참조로 설명하면, 모터(291)의 축(260)에 장치된 푸쉬레버(261)가 작동하여 져크레버(262)를 도면번호 (262(1))의 위치로 밀게 되면, 이 져크레버(262)의 케이블(289)을 당겨 스로틀보조레버(251)를 1차회전각(제14도 참조)내지 2차회전각만큼 회전시키게 되므로, 결국 엔진출력은 스로틀 보조레버(251)의 회전각만큼 높아지게 되어서 자동차가 오르막에서 정지했다가 다시 출발하는데 있어서 자동차에 무리가 가지 않게 되고, 한편으로는 운행하는 운전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상황이 발생되는 시기는 운전자가 오르막길에서 자동차를 운행중 어떤 원인에 의하여 일시적으로 정지(브레이크페달을 밟아서 자동차를 정지시키는 행위)했다가 다시 출발하려고 시도하는 순각 즉, 브레이크를 풀고 가속폐달을 작동(Push)하려는 순간 자칫 자동차는 뒤로 밀리거나 엔진이 꺼지게 될 상황이 발생될 우려가 있으므로 초보자는 당황하여 위험하고 , 숙련자는 자동차의 출력에 무리가 가도록 가속폐달(287)을 밟거나 반클러치를 사용하여, 클러치 마모나 기타 기어등에 조기마모가 발생되어 자동차에 무리가 가는 경향이 있게된다.
따라서 전술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서는 각도감지기와 감지부를 구성하여 오르막에서 운행중 자동차를 일시 정지했다가 전진하기 위해 브레이크를 풀었을 때 엔진의 출력이 자동적으로 높아져 마치 운전자가 가속폐달을 밟는 효과가 발생되는 것처럼 되기 때문에, 차에 무리가 없고 위험하지 않으면서 자동차가 오르막길을 자연스럽게 전진하여 클리핑현상과 같이 용히하게 발진할 수 있는 것이다.
이후, 가속폐달(287)이나 브레이크페달(270)중에 어느 하나만이라도 작동을 하게 되면 스위치(315, 316)도 어느 것 하나라도 오프(Off)되는 원리기 때문에 상기한 바대로 모터(291)는 로터스텝 포지션 0의 위치로 작동이 변환되므로 작동전과 동일한 상황이 됨은 물론이다.
한편, 오르막 감지기(318)의 작동이 중지되면, 각 게이트 1차(324, 325, 326, 327, 331)와 2차게이트(335, 336, 330)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작동전 상태로 변환되기 때문에 모터(290, 291)의 로터스텝 포지션 0위치로 환원되며, 이어 자동차가 내리막을 주행하여 내리막 감지기(319)가 작동하면, 오르막 감지기(318)의 작동과 동일하게 발생된 펄스신호가 게이트(320, 321, 322, 323)의 입력단자를 통하여 각 게이트에 입력되고, 이 펄스 신호가 유입된 일부 1차 게이트(320, 321)는, 게이트 회로 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낮아져 2차게이트(335, 336)도 역시 펄스 신호 유입이 중지되어 이 2차게이트(335, 336)도 게이트 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낮아져 종속된 트랜지스터(339, 341)의 작동은 중지 되므로 결국 모터(290)의 로터스텝은 0포지션을 해제시키게된다.
그리고, 이와 동시에 1차게이트(322, 323)에 유입된 펄스신호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높아져 일부는 2차게이트(337, 338)의 입력단자에 클록펄스로 입력되고, 이 신호가 유입된 2차게이트(337, 338)는 게이트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낮아져 종속된 트랜지스터(339, 341)의 작동은 해제되며, 이어 게이트(322, 323)에서 출력된 클록펄스신호 일부는 트랜지스터(340, 341)에 베이스 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40, 341)를 작동시켜 모터(290)의 로터스텝 포지션 0에서 좌방향 1스텝 위치로 이동해서 정지된다.
여기서, 상기 내리막 감지기(319)의 기능은 자동차가 내리막길을 전진할 때 제 4캠부재(10)을 작동시켜 제 3슬라이더부재(6)를 민감하게 제어하여 안전사고의 예방에 민감하게 되는바, 즉, 자동차가 내리막길을 진행할 때는 안전을 위하여 속력을 줄여야하는 반면 제동은 오히려 반복하여야 하므로 운전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자주 밟아야 하는 상황에서 실수나 기타 사항으로 인하여 가속폐달을 밟는다면 매우 위험한 상황에 처하게 되므로, 결국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상황에서는 가속폐달의 작동을 예민하게 감지하여 위험에 좀 더 안전하게 대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내리막 감지기(319)는 본 발명의 안전장치(1)만 제어하는 목적으로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종래 자동차가 내리막길을 진행할 때 프리휠(Free Wheel)현상이 발생되면 운전자가 인위적으로 조정레버를 조작하여 운행하여야 하는 불편을 초래하는 경우에도. 상기 내리막감지기(319)가 내리막 비탈길을 감지하여 액튜에이터로 하여금 조정레버를 자동으로 작동시켜 줄 수 있으므로 이와 같은 사항에 사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후, 상기 내리막 감지기(319)의 작동이 중지되면, 1차게이트(320, 321, 322, 323)와 2차게이트(337, 338)는 게이트회로 논리상 작동전 상태로 변환되므로 모터(290)의 로터스텝 포지션도 다시 0위치로 환원된다.
그리고, 충격 및 진동감지기(317)가 작동하면, 펄스신호가 스테핑릴레이(314)에 유입되어 릴레이(314)를 작동시키게 되고, 이어 작동된 릴레이(314)에 의해 접속단자를 통하여 전원이 공급되던 단자에 접점을 끊어 전원을 차단하면서 다음접속단자로 접점을 연결하여 다음단자에 전원을 유입하게 되므로, 결국 전원 공급이 중단된 회로의 게이트(320, -, 331, 335, -, 338)는 모두 작동이 정지되어 모터(290, 291)의 로터스텝은 포지션 0이 해제되는 반면, 전원을 공급받는 회로의 게이트(332)는 입력단자를 통하여 신호가 유입된다.
이어, 신호를 유입받은 게이트(332)는 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높아져 트랜지스터(343, 346)에 베이스 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43, 346)을 작동시키면 모터(291)의 로터스텝은 0포지션에서 좌방향 1스텝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된다.
한편, 상기 충격 및 진동감지기(317)가 작동을 중지하면, 스테핑릴레이(314)의 접속단자는 작동전 상태로 변환되어 작동하던 회로에 전원공급은 중지되고 다시 작동전회로에 전원을 공급하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상기한 바와 같이 모터(290, 291)의 로터스텝 포지션은 작동된 상태처럼 다시 0의 위치로 모두 환원되게 된다.
그리고, 안전스프링제어스위치(313)는 각 감지기(317, 318, 319)에 공급하던 전원의 접속단자를 다음회로 접속단자로 변환시키는 바, 변환전의 회로는 전원공급이 중지되어 회로의 모든 작동이 중지되는 반면 전원을 공급받은 회로의 게이트(328, 329)는 저항(360, 361)을 거친 전원이 클록펄스신호가 되어 게이트(328, 329)의 유입단자를 통하여 유입되고, 이 신호를 받은 게이트(328, 329)는 회로 논리상 게이트의 출력단자에는 출력이 높아져서 종속된 트랜지스터(339, 342)에 베이스 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39, 342)를 작동시키므로, 결국 모터(290)의 로터스텝 포지션은 우방향 1스텝 위치로 이동하여 정지하게 된다.
한편, 다시 상기 스위치(313)를 역으로, 즉 전원의 진로를 변환시키면 전원은 작동전처럼 게이트(328, 329)의 종속회로에는 전원공급을 중단하는 반면 각 센서(317, 318, 319)의 종속회로에는 전원이 공급되기 때문에 모터(290)의 로터스텝 포지션은 작동전과 동일하게 0위 위치로 환원되어 정지되게 된다.
이어, 모터(292)의 로터를 제어하는 모터제어스위치(312)스위치가 메인전원에서 저항(365, 366)을 거친 전원이 게이트(333)의 유입단자를 통하여 클록펄스 신호로서 게이트(333)에 유입시켜 주면, 이 신호를 받은 게이트(333)는 회로논리상출력단자에는 고출력이 되어 종속된 트랜지스터(347, 349)에 베이스 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49, 349)를 작동시켜 결국, 상기 모터(292)의 로터스텝 포지션은 0에 기본적으로 위치해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 모터제어스위치(312)의 접속단자가 다음회로로 변환되면 회로에는 전원공급이 중지되기 때문에 게이트(333)는 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저출력이 되어 종속된 트랜지스터(347, 349)에 보내던 베이스 전류가 공급정지되고, 이에 따라 트랜지스터(347, 349)의 작동은 중지되어 로터의 스텝포지션 0은 해제되지만, 반면 변환된 회로로 전류가 유입되어 유입단자를 매개로 클록펄스신호가 유입된 게이트(334)가 게이트 회로논리상 출력단자에는 고출력이 되어 트랜지스터(348, 350)에 베이스전류로 유입되어 트랜지스터(348, 350)를 작동하므로, 결국 상기 모터(292)의 로터스텝포지션은 1스텝 우방향으로 이동하여 정지하여 있게 된다.
이어, 상기 모터제어스위치(312)가 역으로 전원진로가 변환되면, 전원은 작동전처럼 게이트(334)의 회로에는 전원공급이 중단되므로 종속된 게이트(334)의 출력단자에는 게이트회로 논리상 저출력이 되어, 이에 종속된 트랜지스터(348, 350)도 작동이 중지되면서 로터의 스텝포지션은 해제되는 반면, 상기 게이트(333)는 작동전처럼 작동되어 모터(292)의 로터스텝포지션은 0의 위치로 환원되어 정지되게 된다.
한편 제22도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 구성된 전자회로는 하나의 예시도로서, 본 발명은 구성하는데 있어서 차종에 따라 회로가 다르게도 구성되기도 하는데, 모두가 본 발명을 작동시키는 데는 이상이 없으므로, 설령 또 다른 회로로 구성을 시켜, 본 발명을 작동시키는데 지장이 없으면 다른 회로로 구성하여도 무방하며, 전술한 모터(292)의 작동 회로도에서는 로터스텝이 1스텝만 작동되는 것을 일례로 도시한 것이다.
그러나, 전술한 경우와는 달리 모터제어스위치(312)를 다수의 접점을 갖춘 스테핑릴레이식 스위치로 구성함과 더불어 게이트와 트랜지스터(TR)를 추가로 부가하여 모터(292)의 로터스텝을 다수의 스텝으로 작동되도록 구성하게 되면, 상기 모터제어스위치(312)가 브레이크페달(270)에 의하여 신축성있게 스위치(312)의 접점이 다음 스텝으로 점차 단계적으로 이동접점되게 하여, 모터(292)의 로터스텝도 따라서 점차 다수의 간극으로 신축성있게 회전시키게 하여, 결과적으로 브레이크 작동을 신축성있게 하여 신축성 있는 제동을 이룰수 있게 됨은 물론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안전장치에 구비된 케이블들을 매개로 서로 연결되어 가속폐달의 작동에 따라 본 발명의 안전장치가 작동되어 이에 따라 스로틀레버의 회전에 영향을 주게 되어 엔진출력을 제어할 수 있게 됨음 물론, 또한 상기 안전장치에 구비된 다른 케이블에 연결된 모터제어스위치에 따라 작동되는 통합제어기를 매개로 모터를 제어하여 케이블과 역튜에이터로써 브레이크페달을 제어하여, 운전자가 급제동을 하기위해 가속폐달을 급속히 밟더라도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효과와 같이 자동차의 출력을 낮추면서 제동시켜줄 수 가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안전장치에 각도 감지기등과 같은 장치를 부가하여 오르막길과 내리막길 그리고 충격과 진동을 감지하여 통합제어기를 매개로 제어되는 모터에 의하여 일부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은 물론, 운전석으로 스위치들을 구비하여 필요시에는 안전장치의 기능을 중지시켜 가속폐달을 종래처럼 작동되도록 할 수 있게 하여 안전사고 예방과 운전자의 편의를 도모하게 되는 효과가 있게 된다.

Claims (1)

  1. 자동차를 구성하는 가속폐달(287)과 스로틀레버(250)사이에 구비되어 하우징(2)과 이 하우징(2)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스로틀밸브(249)에 케이블(171)을 매개로 연결된 톱니기어부재(3),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가속폐달(287)에 케이블(82)을 매개로 연결된 제 1/2/3슬라이더부재(4, 5, 6), 상기 하우징(2)의 내부로 각각 삽입되는 제 1/2/3/4/5캠부재(7, 8, 9, 10, 11) 및, 상기 하우징(2)의 앞/뒤 개방된 면을 폐쇄하고 외부상단면과 좌/우측면과 그리고 외부로 노출된 일부 부품들을 보호하기위해 하우징(2)에 스크류를 매개로 결합되는 케이스(12, 13, 14, 15, 16)들로 구성되되; 상기 하우징(2)에는 양 쪽으로 개구된 내부의 측면부위로 서로 대칭되면서 상기 톱니기어부재(3) 삽입되도록 대략 + 형상을 이룬 톱니기어부재장착홈(34, 35)과, 이 톱니기어부재장착홈(34, 35)부위로 일정 간격을 두고 상기 캠부재(7, 8, 10, 11)의 안착위치에서 상응되도록 캠포스트홀(19, 20, 21, 23, 24, 26)과 캠로드홀(22, 25)들이 대칭되도록 관통된 캠장착홈(30, 31, 32, 33) 및, 양 측면과 상단 중앙부위의 외면으로 푸쉬레버(42, 43, 44)가 힌지축(51, 52, 53)을 매개로 결합되는 푸쉬레버브라켓트(17, 18)가 구비되고; 상기 톱니기어부재(3)는 전체적으로 ㄷ형상으로 이루면서 그 양측 안쪽으로 서로 대칭되면서 작동시 한쪽 방면쪽으로만 걸리도록 일 방향으로 이루어진 톱니기어부재날(68, 69)과, 이 톱니기어부재날(68, 69)이 형성되어 ㄱ자형상으로 이루어진 양측면의 단면에 상기 케이스(13)의 고정단(55, 56)을 매개로 결합된 복귀스프링(66, 67) 및, 양 측면의 중앙부위로 대칭되면서 그 일측면으로 경사면(72, 76)과 캠포스트경로홈(70, 73, 74, 77)이 형성된 캠로드 삽입홀(71, 75)이 형성되며; 상기 슬라이더부재(4, 5, 6)는 안전핀통과홀(129)이 형성됨과 더불어 대칭되게 측면으로 형성된 포크내장홈(116)에 구비되어 포크기어이(136, 137)를 형성한 1쌍의 포크(130, 131)가 구비된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와 캡(145) 및 제 1슬라이더부재결속판(106)으로 구성된 제 1슬라이더부재(4)와, 2개의 암집게고리(159, 160)와 이 암집게고리(159, 160)의 축(161, 162)이 삽입되는 홈구멍과 그 중앙하단부로 개구된 복귀스프링통과홀(176) 및, 그 상단면부위로 암집게고리축하단삽입홀(157, 158)이 형성된 제 2슬라이더부재결속판(170)로 구성되어,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의 후방부위로 위치된 제2슬라이더부재(5) 및 대략ㅍ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3개의 스프링플런저(238, 239, 240)와 대략 ㄷ자 형상의 안전스프링(244)으로 구성되어 상기 제1/2슬라이더부재(4, 5)의 상부로 결합된 제 3슬라이더부재(6)로 구성되되,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는 그 중앙하부 부위로 복귀스프링(100)삽입용 개구홀이 형성되면서 전면부위로 유선형상의 고리모양으로 성형된 수집게고리(78)와, 이 수집게고리(78)의 후미 중앙부위로 형성된 2개의 캠로드(79, 80)가 그 측면부위로 구비된 홈에 결합됨과 더불어, 후사면으로 연동부재케이블(82)과 한쪽 측면부위로 경사면(86)을 형성한 개구된 안전삽입홀(85) 및 측면과 전면부위로 형성된 돌출부로 이루어진 연동부재(81), 상기 수집게고리(78)의 양 측면으로 이 수집게고리(78)에 결합되는 암집게고리(159, 160)의 로드(89) 공간부위로 그 일부분이 돌출되게 구비된 2개의 스프링(92, 93)및, 상기 연동부재(81)의 안전핀삽입홀(85)부위로 삽입됨과 더불어 상단부위로 구비된 안전핀고리(103)와 하단부위로 상기 안전핀삽입홀(85)의 경사면(86)과 서로 대응되는 경사면(102)이 형성된 안전핀(101)으로 구성되는 한편,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헤드(115)에 구비된 포크(129, 130)의 포크축(132, 133)의 부위로는 제 3슬라이더부재핀삽입홀(134, 135)과 복귀스프링(144)이 결속을 위한 복귀스프링결속홀(138, 139)이 형성되고, 이 포크기어이(136, 137)와 복귀스프링결속홀(138, 139)사이에 돌출부가 구비되면서 포크축(132, 133)과 포크기어이(136, 137) 사이에도 포크후방축(140, 141)과 포크측방축(142, 143)이 형성됨과 더불어, 상기 캡(145)에는 중앙부위 윗면에서 그 중앙위치로 홈이 구비된 캡돌출부(146)와 포크축(132, 133)이 삽입되는 2개의 홈구멍과 제 3슬라이더부재핀통과홀(147, 148)과 안전핀 통과홀(129)이 형성되고, 상기 제 2슬라이더부재(5)의 암집게고리(159, 160)에는 각각 축(161, 162)과 복귀스프링(169)을 고정하는 복귀스프링결속홀(165, 166)과 전면부위로 상기 제 1슬라이더부재(4)의 수집게고리(78)가 걸리도록 수집게고리결속홈(167, 168)및 그 후미부위로 돌출부(163, 164)가 형성되며, 상기 제 3슬라이더부재(6)는 그 중앙부위로 안전스프링(244)이 상/하 작동되도록 상방향으로 개구된 안전스프링홈(233)과, 캡(145)의 돌출부(146)가 위치되도록 상/하로 관통됨과 더불어 측면으로는 안전핀고리(103)가 상/하로 작동되도록 안전핀고리통과홈(237)이 형성된 캡돌출부위치홈(234) 및, 일측면으로 상기 안전스프링(244)에 의하여 걸려지도록 모자형상으로 형성 되면서 상/하부위를 따라 관통되어 ㄷ자 형상을 이루는 공간과 상기 캡돌출부위치홈(234)에서 안전스프링(244)에 제 3슬라이더부재(6)가 걸리는 홈 사이로 나사홀이 형성되고, 상기 캠부재(7, 8, 9, 10, 11)들은 결속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시리켜주는 제 1/2캠부재(7, 8)와, 안전스프링(244)를 제어하기 위한 제 3캠부재(9) 및 제 3슬라이더부재(6)를 제어하기 위한 제 4/5캠부재(10, 11)들로 구성되되, 상기 제 1/2캠부재(7, 8)는 결합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리시켜 주도록 톱니기어부재(3)에 의하여 가압되는 캠로드(203, 215)와, 이 캠로드(203, 215)에 의해 하우징(2)내로 진입하며 암집게고리(159, 160)의 돌출부(163, 164)에 압력을 가해 이 암집게고리(159, 160) 앞부분을 개방시켜 서로 결합된 수/암집게고리(78, 159, 160)를 분리시켜주는 제 1/2캠부재날(199, 211)이 각각 형성되고, 상기 제 3캠부재(9)는 제 3슬라이더부재(6)의 상단 내부로 진입하여 독립된 작동이 불가능하도록 안전스프링(244)을 걸어주는 제 3캠부재날(233)과, 이 제 3캠부재날(223)의 양쪽 끝부위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캠포스트(224, 225)및, 이 캠포스트(224, 225)사이에 중앙부위로 구비된 캠로드(226)로 구성되며, 상기 제 5캠부재(11)는 톱니기어형상의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과, 이 제 5캠부재톱니기어날(189)의 양쪽 끝부위에서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 2개의 캠포스트(190, 191) 및, 이 캠포스트(190, 191)의 중앙부위로 구비된 캠로드(182)로 구성되어 이루어진 자동차 가속폐달 안전장치 시스템.
KR1019960008454A 1996-03-27 1996-03-27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KR1001910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454A KR100191014B1 (ko) 1996-03-27 1996-03-27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08454A KR100191014B1 (ko) 1996-03-27 1996-03-27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087A KR970065087A (ko) 1997-10-13
KR100191014B1 true KR100191014B1 (ko) 1999-06-15

Family

ID=194540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08454A KR100191014B1 (ko) 1996-03-27 1996-03-27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101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264B1 (ko) 2011-03-23 2013-08-01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클러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2264B1 (ko) 2011-03-23 2013-08-01 주식회사 광진 차량용 클러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65087A (ko) 1997-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167322C (en) A device for preventing an accelerator of a vehicle from being erroneously operated
US6415216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run of a car, and car using the apparatus
US6889791B2 (en) Normal travel securing device for automobile equipped with accelerator mal-operation preventer
US7124874B2 (en) Shift lever device
KR100191014B1 (ko) 자동차 가속 페달 안전장치 시스템
US7240757B2 (en) Control system of self propelled industrial machine
JPS6347658B2 (ko)
US5758754A (en) System for sensing a malfunction of a drive train and initiating automatic braking of a vehicle
GB1476185A (en) Automobile having a locking device for selector lever of automatic transmission to prevent driving without wearing safety belt
JP3934146B2 (ja) 自動車の暴走防止装置
JPS6215149A (ja) 車両の走行制御装置
JP4671495B2 (ja) キャブチルト装置
EP1203689A1 (en) Multiple-position lock for vehicle backseats
AU765578B2 (en) Automobile power supply system for preventing uncontrolled acceleration
KR0131687Y1 (ko) 제동 겸용 가속 페달장치
JPH0242920Y2 (ko)
KR200150712Y1 (ko) 높이 조절이 용이한 자동차용 페달
KR100534942B1 (ko) 자동차의 시트트랙장치용 안전장치
JPH06156279A (ja) 軌道走行車の非常停止装置
KR0116175Y1 (ko) 자동차의 파킹 브레이크 자동 동작장치
JPH0757609B2 (ja) 単軌条運搬車の非常停止装置
JPH05278507A (ja) 車両用シート
JPS58500058A (ja) 車輌エンジン用動力制御部材の定位着保持装置
JPH05324069A (ja) 無人走行可能車両の制動制御機構
JPH044176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118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