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659B1 -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659B1
KR100190659B1 KR1019960036367A KR19960036367A KR100190659B1 KR 100190659 B1 KR100190659 B1 KR 100190659B1 KR 1019960036367 A KR1019960036367 A KR 1019960036367A KR 19960036367 A KR19960036367 A KR 19960036367A KR 100190659 B1 KR100190659 B1 KR 100190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bbin
coil
magnetic force
terminal pin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63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16691A (ko
Inventor
윤상기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600363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659B1/ko
Publication of KR199800166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66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6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Landscapes

  • Testing Of Short-Circuits, Discontinuities, Leakage, Or Incorrect Line Connec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장을 검지하는 홀센서(Hall Sensor)를 자동으로 코일측으로 근접시켜서 정확한 자기장의 방향성검사가 가능하고, 포커싱방향과 트랙킹방향의 검사가 일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빈홀더의 가이드 블록에서 이동가능한 한쌍의 가이드 봉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봉의 선단에는 다수개의 단자핀을 장착한 단자핀 블록이 연결되며, 후단에는 고정블록이 형성된 단자핀 이송부; 상기 단자핀 이송부의 고정 블록에 작동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핀 이송부를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상기 보빈홀더의 양측으로 배치된 가이드 봉에서 이동가능하고, 보빈의 트랙킹 코일 자기력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홀 센서를 각각 장착한 제1 및 제2 센서고정대를 갖추며, 그중 어느하나에 포커싱 코일의 자기력을 측정하는 홀 센서를 장착한 자기력 측정부; 상기 자기력측정부의 제1 및 제2 센서고정대를 전,후진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및, 상기 자기력 측정부에서 제공된 홀 센서의 전기력이 외부로 출력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본 발명은 광픽업 액튜에이터의 보빈에서 포커싱(Focusing)방향과 트랙킹(Tracking)방향의 코일감김상태를 자기장을 이용하여 검사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코일에서 발생되는 자장을 검지하여 전기력을 발생시키는 홀센서(Hall Sensor)를 자동으로 코일측으로 근접시켜서 정확한 방향성 검사가 가능하고, 포커싱방향과 트랙킹방향의 검사가 일시에 이루어질 수 있으며, 보빈에 접촉되는 단자핀을 기계적인 작동으로 구동시킴으로서 정확한 전원공급작동을 이루고, 작업자의 부하도 크게 경감시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츄에이터(Actuator)(1)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보빈(20)의 중심부에 렌즈안치공(21)를 형성하여 디스크의 반사면에 촛점을 집속시키는 대물렌즈(10)가 접착되며, 상기 보빈(20)의 둘레에는 포커싱 코일(Focusing Coil)(22)을 권선하여 전원인가시 광축방향으로의 이동을 수행하는 한편, 권선된 상기 포커싱 코일(22)의 양측에는 트랙킹 코일(Tracking Coil)(23)을 권선하여 전원인가시 래디얼(Radial)방향으로의 이동을 상기 플레이트(30)의 상부에서 가능하도록 갖춘다.
그리고, 상기 보빈(20)의 양측에는 상기 포커싱코일(22)과 트랙킹코일(23)의 각 일단과 접속되는 코일인쇄회로기판(이하, 코일PCB라고 한다.)(24)을 갖추고, 상기 코일PCB(24)에는 상기 코일부재(22),(23)에 서보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하여 상기 보빈(20)의 일정요동을 지지하는 한편, 외부충격으로부터의 진동을 감쇄시킬 수 있는 서스펜션 와이어(Suspension Wire)(이하, 와이어라고 한다.)(25)가 복수개 납땜 접착되어 갖추어진다.
또한, 상기 보빈(20)의 하부에 설치되는 플레이트(30)의 상부면에는 상기 보빈(20)의 양측면과 권선된 상기 포커싱코일(22)사이에 간섭없이 끼워지는 한쌍의 외측요크(33)를 갖추고, 상기 외측요크(33)의 내측에는 자성체(32)를 부착하고 있으며, 상기 플레이트(30)의 일측에는 외측에 서프펜션 인쇄회로기판(이하, 서프펜션PCB라고 한다.)(34)을 장착한 제2요크(35)를 갖추며, 상기 제2요크(35)의 내측에는 점성이 강한 댐핑젤(37)을 일정량 주입시킬 수 있는 젤홀더(36)를 갖추고, 상기 코일PCB(24)에 일측이 용접연결된 상기 와이어(25)의 타측을 상기 젤홀더(36)에 연결 구성한다.
이러한 액튜에이터(1)에서 상기 포커싱 코일(22)과 트랙킹 코일(23)을 장착하고 있는 보빈(20)은 이러한 코일(22)(23)들이 정확하게 감기어 있는지를 검사하여야 하는 바, 이와 관련된 종래의 검사장치(50)가 제2도 내지 제4도에 도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의 검사장치(50)는 중앙에 보빈(20)이 놓여지는 보빈 홀더(52)가 위치되고, 보빈홀더(52)의 좌,우측으로는 보빈(20)의 PCB(24)상의 단자부(24a)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단자핀(54)을 구비한 전원공급장치(60)가 갖춰지며, 보빈홀더(52)의 상,하측으로는 트랙킹코일(23)의 방향성을 검사하기 위한 장치(70)가 갖춰지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검사장치(50)에서 상기 전원인가장치(60)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홀더(52)의 양측으로 각각 ㄴ형 단면의 가이드 블록(62)이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블록(62)의 수평으로 형성된 복수개의 구멍(62a)상에 복수개의 가이드 봉(63)이 끼워지며, 상기 가이드봉(63)의 선단에는 각각 다수개의 단자핀 블록(64)이 고정되고 상기 단자핀(54)에는 전선(54a)이 연결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봉(63)의 후단부에는 수직으로 형성된 손잡이(66)가 각각 형성되며, 상기 손잡이(66)와 가이드 블록(62)사이에는 가이드 봉(63)상에 탄성 스프링(68)이 각각 끼워져서 가이드 블록(62)에 대하여 상기 가이드봉(63)을 후방측으로 탄력지지함으로서 상기 가이드봉(63)에 연결된 단자핀(54)이 보빈 블럭(52)으로 부터 멀어지도록 위치시키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전원공급장치(60)로부터 보빈(2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해서는 전선(54a)을 통하여 전류가 공급되는 단자핀(54)이 보빈(20)의 단자부(24)에 접촉되어야 하고, 이러한 전원공급을 위하여 작업자는 양측 손잡이(66)를 동시에 보빈(20)측으로 밀착시킴으로서 탄성스프링(68)을 압축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원하는 전원공급이 이루어져서 보빈(20)의 검사가 완료되면, 작업자가 손잡이(66)를 개방시킴으로서 스프링(68)의 탄발력으로서 단자핀(54)이 보빈(20)으로부터 멀어져서 원위치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종래의 전원공급장치(60)는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항상 손잡이(66)를 보빈(20)측으로 이동시켜야 하기 때문에 그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고, 특히 반복되는 손잡이(66)이동작업으로 인하여 작업부하가 누적되어 피로감을 느끼는 것이며, 손잡이(66)의 이동중에서 단자핀(54)이 보빈(20)의 단자부(24)에 접촉하지 않는 경우가 빈번하게 발생됨으로서 작업자는 정확한 보빈(20)의 성능검사를 이룰 수가 없게 되는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종래의 검사장치(50)에서 코일 자기장의 방향성검사 장치(70)는 받침대(72)상에 직립하여 위치된 한쌍의 포스트(Post)(74)를 갖추고, 상기 포스트(74)에는 절연재료로 이루어진 지지대(76)가 회전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상기 지지대(76)의 선단측에는 보빈홀더(52)를 향하여 한쌍의 영구자석(78)이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각의 포스트(72)의 양측으로는 지지대(76)의 과도한 회전을 방지하는 스토퍼(80)가 한쌍씩 장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검사장치(50)는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의 방향성을 검사하기 위한 것으로서 검사하고자 하는 보빈(20)을 보빈홀더(52)에 올려놓고, 전원공급장치(60)를 이용하여 보빈(20)의 단자부(24a)로 전원을 공급하게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영구자석(78)이 부착된 지지대(76)를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에 마주하도록 위치시키면, 상기 트랙킹 코일(23)에서 발생한 자계와 동일극성의 자극을 유지하는 영구자석(78)을 장착한 지지대(76)가 자기력에 의해서 좌,우측으로 회동되는 것이고, 작업자는 이러한 지지대(76)의 회전을 이용하여 트랙킹 코일(23)이 적절하게 감기었는 지를 육안으로 판단하는 것이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방향성 검사장치(70)는 보빈(20)의 포커싱방향의 검출이 불가능하고 트랙킹 방향만이 검출가능한 것으로서 별도의 장치를 이용하여 포커싱측을 검사하는 것이기 때문에 작업이 매우 번거로운 것이다. 또한, 육안검사에 의한 측정이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검사작업의 정확도가 낮은 것이며, 보빈(20)의 코일(22)(23)에서 자기력의 세기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을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포스트(74)에 회전가능하도록 끼워지는 지지대(76)의 구멍(76a)이 장시간 사용으로 인하여 마모가 발생하게 되며, 따라서 지지대(76)의 선단에 장착된 영구자석(78)의 높이가 제4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변동하게 됨으로서 코일(23)의 자기력을 정확하게 측정할 수 없는 문제점도 갖는 것이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포커싱방향과 트랙킹방향의 코일검사가 일시에 이루어질 수 있고, 정확한 자기장의 방향성 검사 및, 전원공급작동을 이루며, 자동화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자의 부하도 크게 경감시킴으로서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도1은 일반적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성을 도시한 6사시도,
도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의 전체 구성도,
도3은 제2도에서 A-A' 선을 따른 단면도,
도4는 제2도에서 B-B' 선을 따른 단면도,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의 전체구성도,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에 갖춰진 전원인가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7은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인가장치에 갖춰진 가이드 블록의 상세 구조도,
도8은 도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전원인가장치에 갖춰진 단자핀의 결합단면도,
도9는 도6에 도시된 전원인가장치의 단자핀이 보빈의 단자부에 결합되는 상태를 도시한 확대도,
도10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에서 홀센서(Hall Senser)장착부의 구성을 도시한 측면도,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에서 홀센서 장착부의 상세구조를 도시한 확대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보빈 22 : 트랙킹 코일
23 : 포커싱 코일 52 : 보빈 홀더
105 : 전원공급장치 110 : 가이드 블록
124 : 단자핀 블록 135 : 실린더
160 : 가이드 봉 175a, 175b : 제 1 및 제2센서 장착대
195 : 램프 200 : 표시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광픽업 액튜에이터의 보빈에서 포커싱(Focusing)방향과 트랙킹(Tracking)방향의 코일의 자기장 방향성을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보빈홀더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 가이드 블록에 각각 끼워져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쌍의 가이드 봉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봉의 선단에는 보빈의 PCB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단자핀을 장착한 단자핀 블로기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봉의 후단에는 이를 서로 연결시키는 고정 블록이 형성된 단자핀 이송부; 상기 단자핀 이송부의 고정 블록에 작동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핀 이송부를 보빈 블록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상기 보빈홀더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봉에 각각 끼워져서 보빈홀더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선단부에는 보빈의 트랙킹 코일에 접하여 자기력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홀 센서를 각각 장착한 제1및 제2센서고정대를 갖추며, 상기 제1및 제2센서고정대중의 어느하나에 보빈의 포커싱 코일에 접하여 자기력을 측정하는 홀 센서를 장착한 자기력 측정부; 상기 자기력측정부의 제1및 제2센서고정대에 작동로드가 연결되어 상기 보빈홀더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한쌍의 실린더; 및, 상기 자기력 측정부에서 제공된 홀 센서의 전기력이 각각의 센서별로 외부로 출력되는 표시장치;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를 마련함에 의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에 따라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100)는 제5도에 전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 홀더(52)에 장착된 보빈(20)의 PCB(2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장치(105)를 갖추는 바, 상기 전원공급장치(105)는 보빈홀더(52)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 한쌍의 가이드 블록(110)이 장착되는 바, 상기 가이드 블록(110)은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2)의 상부면 중앙에 요홈(114)이 형성되어 다수개의 단자핀(54)이 이동가능한 통로를 형성하고, 몸체(112)의 상부측으로 복수개의 수평방향의 구멍(116)이 형성되어 이후에 설명될 복수개의 가이드 봉(122)이 각각 끼워지며, 모체(112)의 양측으로는 받침판(117)에 장착되기 위하여 고정 볼트(118)가 끼워지는 구멍(119)이 형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 블록(110)에 각각 끼워져서 수평방향을 이동가능한 한쌍의 가이드 봉(122)을 갖는 단자핀 이송부(120)는 상기 가이드 봉(122)의 선단에 다수개의 단자핀(54)을 장착한 단자핀 블록(124)이 연결되고, 상기 단자핀(54)의 후단부에는 전선(54a)이 연결되어 단자핀(54)으로 전원이 공급되며, 상기 가이드 봉(122)의 후단에는 상기 가이드봉(122)을 서로 연결시키는 고정블록(126)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자핀 블록(124)에 장착되는 단자핀(54)은 제9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의 PCB(24)단자부(24a)의 형상과 동일한 마름모형으로 배치되며, 이는 절연체로 이루어지는 단자핀 블록(124)을 관통하여 고정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단자핀 이송부(120)를 보빈 블록(52)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키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단자핀 블록(124)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단자핀(54)은 각각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뾰쪽한 선단부를 갖는 제1부재(55a)와, 후단부에 전선(54a)이 연결되는 제2부재(55b)를 갖추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55a)(55b)는 단자핀 블록(124)의 내부에서 전도성재료의 스프링(55c)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즉, 상기 제1부재(55a)단자핀 블록(124)에 마련된 구멍(124a)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헐거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부재(55b)는 상기 구멍(124a)내에 압입상태로 끼워져서 고정되는 구조를 갖는다.
이와 같은 상기 단자핀(54)은 제1부재(55a)가 스프링(55c)을 통하여 제2부재(55b)에 연결됨으로서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탄력적으로 지지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단자핀(54)은 보빈(20)의 단자부(24a)에 뾰쪽한 선단이 접촉되는 경우, 효과적인 완충효과를 스프링(55c)에 의해서 얻음으로서 단자핀(54)의 파손을 방지함과 동시에 스프링(55c)의 탄성력으로 인하여 효과적인 접촉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보빈 코일의 자기장을 검사하는 장치(150)는 보빈홀더(52)의 양측으로 각각 한쌍의 가이드 봉(160)이 돌출 형성되며, 이러한 한쌍의 가이드 봉(160)에 끼워지는 자기력 측정부(170)는 보빈홀더(5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선단부에는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에 접하여 자기력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홀세서(172)를 각각 장착한 제1 및 제2 센서고정대(175a)(175b)중의 어느하나에는 보빈(20)의 포커싱 코일(22)에 접하여 자기력을 측정하는 홀 센서(172a)를 장착하고 있다. 상기 자기력 측정부(170)의 제1 및 제2 센서 고정대(175a)(175b)는 제11도에서 단면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센서 고정대(175a)는 ㄱ 형의 단면을 갖추고, 이에 대향하는 제2센서 고정대(175b)는 사각형의 단면을 갖추며, 상기 제1센서 고정대(175a)의 내측면에는 수직면(177)상에 복수개의 트랙킹 코일용 홀 센서(172)가 장착되고, 수평면(178)상에는 하부측을 향하여 포커싱 코일용 하나의 홀 센서(172a)가 부착되는 구조를 갖는 것이다. 또한 상기 제2센서 고정대(175b)에는 상기 제1센서 고정대(175a)의 복수개의 홀 센서(172)에 대향하도록 복수개의 홀 센서(172)가 장착되어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의 자기력을 측정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자기력측정부(170)이 제1 및 제2 센서고정대(175a)(175b)를 상기 보빈홀더(52)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한쌍의 실린더(185)는 그 작동로드(185a)가 상기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의 후방측면에 연결되어 고정됨으로서 상기 각각의 실린더(185)의 작동은 가이드 봉(160)에서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끼워진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를 전,후진시키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자기력 측정부(170)에서 제공된 홀 센서(172)(172a)의 전기력이 각각의 센서별로 외부로 출력되는 표시장치(200)는 각각의 홀 센서(172a)(172b)가 도선(192)을 통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각 센서(172a)(172b)에 해당하는 표시램프(195)를 구비하며, 이러한 표시램프(195)는 상기 각각의 홀 센서(172a)(172b)에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서 홀 센서(172a)(172b)에서 전기력이 발생하면 점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100)는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과 포커싱 코일(22)의 방향성검사를 일시에 수행할 수 있는 것이다. 이는 검사하고자 하는 보빈(20)을 보빈 홀더(52)에 올려놓고, 전원공급장치(105)를 이용하여 보빈(20)의 PCB(24)로 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전원인가장치(105)는 실린더(135)를 작동시키면 작동로드(135a)가 인출되며, 상기 작동로드(135a)에 연결된 단자핀 이송부(120)는 한쌍의 가이드 봉(122)이 가이드 블록(110)의 구멍(116)내에서 수평으로 이동됨으로서 단자핀 블록(124)에 고정된 다수개의 단자핀(54)을 보빈(20)의 단자부(24)에 밀착시킨다. 그리고, 전선(54a)을 통하여 단자핀(54)에 전류를 공급함으로서 상기 보빈(20)의 코일(22)(23)로 전류가 공급되어 자기력이 발생되는 것이다. 이러한 작업과정에서 단자핀 이송부(120)의 가이드 봉(122)은 각각 가이드 블록(110)상에서 수평으로 이동하게 되고, 실린더(135)의 작동로드(135a)가 전,후진하는 행정(Stroke)만큼 정확하게 단자핀(54)이 이동함으로서 항상 안정되고 정확한 단자핀(54)의 이동작업을 이룰수가 있는 것이다. 또한, 상기 단자핀(54)은 보빈(20)의 단자부(24a)와 접촉되는 과정에서 제1부재(55a)가 제2부재(55b)에 대하여 탄력적으로 지지되기 때문에 안정적인 접촉이 이루어짐으로서 단자핀(54)의 파손을 방지함을 물론, 정확한 전기공급작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전기공급작동으로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과 포커싱 코일(22)에서 자장이 발생되며, 이러한 자장을 검사하기 위해서는 상기 장치(150)를 각각 작동시키게 된다. 상기 장치(150)는 실린더(185)의 작동로드(185a)가 인출되고 이는 제1 및 제2센서고정대(175a)(175b)를 전방측으로 밀어서 보빈 홀더(52)측으로 전진시킨다. 이러한 경우,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의 이동은 상기 가이드 봉(160)으로 인하여 수평으로 이루어지며, 상기와 같이 전진이동하면 제1센서 고정대(175a)는 제10도에서 실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과 보빈홀더(52)를 상부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제2센서 고정대(175b)는 제10도에서 점선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보빈(20)과 보빈 홀더(52)에 근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배치되는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는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에 대향하여 배치되는 4개의 홀 센서(172)에서 상기 트랙킹 코일(23)의 전자기력을 측정하여 이에 해당하는 전기력을 표시장치(200)로 출력하게 되고, 상기 보빈(20)의 포커싱 코일(22)에 대향하는 홀 센서(172a)가 전기 적신호를 표시장치(200)로 송신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표시장치(200)에서는 각각의 홀 센서(172)(172a)가 제공하는 전기적인 신호가 표시램프(195)를 점등시키게 되며, 작업자는 이러한 신호에 기초하여 보빈(20)의 코일(22)(23)등이 정상적으로 감기었는지를 검사하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보빈(20)의 코일검사가 완료되면 상기와는 반대의 방향으로 실린더(185)를 작동시킴으로서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를 보빈홀더(52)로 부터 멀어지도록 위치시키고 전원공급장치(105)의 전원을 차단하며, 검사가 완료된 보빈(20)을 보빈홀더(52)에서 취외하면 모든 작업이 완료되는 것이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보빈(20)에 접촉되는 단자핀(54)이 실린더(135)에 의한 기계적인 작동으로서 항상 정확한 거리를 이동함으로서 안정된 전원공급작동을 이루고, 작업자가 실린더(135)를 동작시키는 단순한 스위치조작만으로도 보빈(20)에 전원을 쉽게 인가시킬 수 있기 때문에 작업자의 부하도 크게 경감시킬수 있으며, 포커싱방향과 트랙킹방향의 코일(22)(23)검사가 일시에 이루어질수 있고, 홀 센서(172)(172a)를 이용하여 자기력을 전기력으로 출력시킴으로서 정확한 방향성검사가 가능함은 물론, 실린더(185)를 이용하여 홀 센서(172)(172a)를 이동시킴으로서 자동화작업이 가능하여 작업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지는 것이다.

Claims (2)

  1. 광픽업 액튜에이터의 보빈(20)에서 포커싱(Focusing)방향과 트랙킹(Tracking)방향의 코일(22)(23)의 방향성을 검사하는 장치에 있어서, 보빈홀더(52)의 양측에 일정간격을 유지하면서 고정된 가이드 블록(110)에 각각 끼워져서 수평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한쌍의 가이드 봉(122)을 갖추고, 상기 가이드 봉(122)의 선단에는 보빈(20)의 PCB(24)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다수개의 단자핀(54)을 장착한 단자핀 블록(124)이 연결되며, 상기 가이드 봉(122)의 후단에는 이를 서로 연결시키는 고정블록(126)이 형성된 단자핀 이송부(120); 상기 단자핀 이송부(120)의 고정 블록(126)에 작동로드(135a)가 연결되어 상기 단자핀 이송부(120)를 보빈 블록(52)에 대하여 전,후로 이동시키는 한쌍의 실린더(135); 상기 보빈홀더(52)의 양측으로 각각 배치된 한쌍의 가이드 봉(160)에 각각 끼워져서 보빈홀더(52)에 대하여 수평으로 이동가능하고, 선단부에는 보빈(20)의 트랙킹 코일(23)에 접하여 자기력을 측정하는 복수개의 홀 센서(172)를 각각 장착한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중의 어느하나에 보빈(20)의 포커싱 코일(22)에 접하여 자기력을 측정하는 홀 센서(172a)를 장착한 자기력 측정부(170);상기 자기력측정부(170)의 제1 및 제2센서 고정대(175a)(175b)에 작동로드(185a)가 연결되어 상기 보빈홀더(52)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한쌍의 실린더(185); 및, 상기 자기력 측정부(170)에서 제공된 홀센서(172)(172a)의 전기력이 각각의 센서별로 외부로 출력되는 표시장치(200);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핀 블록(124)에 장착되는 다수개의 단자핀(54)은 각각 뾰쪽한 선단부를 갖는 제1부재(55a)와, 후단부에 전선(54a)이 연결되는 제2부재(55b)를 갖추고, 상기 제1 및 제2부재(55a)(55b)는 단자핀 블록(124)의 내부에서 전도성재료의 스프링(55c)에 의하여 연결되며, 상기 제1부재(55a)는 단자핀 블록(124)에 마련된 구멍(124a)내에서 전,후로 이동가능하도록 헐거운 상태로 장착되고, 상기 제2부재(55b)는 상기 구멍(124a)내에 압입상태로 끼워져서 제1부재(55a)는 제2부재(55b)에 대하여 탄력지지됨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KR1019960036367A 1996-08-29 1996-08-29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KR1001906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67A KR100190659B1 (ko) 1996-08-29 1996-08-29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36367A KR100190659B1 (ko) 1996-08-29 1996-08-29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91A KR19980016691A (ko) 1998-06-05
KR100190659B1 true KR100190659B1 (ko) 1999-06-01

Family

ID=19471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6367A KR100190659B1 (ko) 1996-08-29 1996-08-29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65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6691A (ko) 1998-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133429B (zh) 裸露式触点插头的多线程探针接触式检测装置
CN106502039B (zh) 光学检测设备
MY112288A (en) Objective lens dr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e
KR100190659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CN214377241U (zh) 一种电磁感应实验装置
KR100190644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 코일 방향성 검사장치
KR100190658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코일방향성 검사용 전원 인가장치
EP1022573A2 (en) Scan test machine for densely spaced test sites
CN110715785A (zh) 一种用于射频同轴电缆连接器组件的三向振动试验装置
US2457113A (en) Scanning unit
KR10022775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특성 검사장치
CN219178724U (zh) 一种光组件测试工装
CN110673018A (zh) 一种无外引出线芯片级器件测试平台及其使用方法
CN210741797U (zh) 一种用于射频同轴电缆连接器组件的三向振动试验装置
KR015883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CN219348679U (zh) 一种电芯极柱的检测设备
JPH082590Y2 (ja) 円筒光学素子の光点位置検出装置
KR19980077775A (ko) 보빈조립체의 코일방향성 검사용 보빈누름장치
CN220960549U (zh) 一种镜片检测装置
CN220568924U (zh) 一种变压器接线端子测量机构
CN218496577U (zh) 一种视频引伸计及试验机
CN217931720U (zh) 高速线材测试装置
CN114252150B (zh) 芯片偏振测试系统
KR960010317Y1 (ko) 새들새들타입 편향요크의 크로스토크 조정치구
CN217442579U (zh) 一种用于倾角仪校准的夹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