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833B1 -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833B1
KR0158833B1 KR1019950045190A KR19950045190A KR0158833B1 KR 0158833 B1 KR0158833 B1 KR 0158833B1 KR 1019950045190 A KR1019950045190 A KR 1019950045190A KR 19950045190 A KR19950045190 A KR 19950045190A KR 0158833 B1 KR0158833 B1 KR 0158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pressing plate
fixing
hole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5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9406A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45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833B1/ko
Publication of KR9700294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94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8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5Details of the moving par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08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 G11B7/09Disposition or mounting of heads or light sources relatively to record carriers with provision for moving the light beam or focus plane for the purpose of maintaining alignment of the light beam relative to the record carrier during transducing operation, e.g. to compensate for surface irregularities of the latter or for track following
    • G11B7/0925Electromechanical actuators for lens positioning
    • G11B7/0933Details of stationary parts

Landscapes

  • Optical Head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고정부재(40)인 고정판의(41) 벽면에 돌설된 고정돌기(45)에 요오크플레이트(33)의 끼움공(39)이 끼워지고,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38)가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된 광픽업 액츄에이터(30)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1)의 상부 절곡된 부분에 다수개 형성된 설치공(42)에 끼워지는 접촉핀(53)이 저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 하로 관통된 관통공(52)이 형성된 누름판(51)과, 상기 누름판(51)의 접촉핀(53)이 상기 고정판(41)의 설치공(42)에 끼워진 상태로 접촉핀(53)의 끝단부가 서스펜션(36)의 납땜부(38)에 접촉되도록 누름판(51)의 관통공(51)을 통해 고정판(41)의 나사공(43)에 체결 고정되어 누름판(43) 및 서스펜션피씨비(36)를 하부로 눌러주는 고정나사(46)와, 상기 누름판(51)의 접촉핀(53) 외주면에 끼워지고, 고정판(41)의 설치공(42)내에 턱이 진 부분에 걸려서 설치되어 누름판(51)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탄성스프링(55)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전달 측정장치인 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작업을 매우 신속하고 편리하게 수행하도록 해준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제1도는 일반적인 와이어 타입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30 : 광픽업 액츄에이터 40 : 고정부재
51 : 누름판 55 : 탄성스프링
60 ; 회전부재 70 : 동력전달부재
80 : 충격흡수 받침판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써, 특히 네개의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어 포커상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동작하는 대물렌즈홀더에 고정 설치된 포커싱 및 트랙킹조정코일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고정시키므로서 주파수 전달 측정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수행하도록 해주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중앙부에 레이저통과공(미도시)이 형성되고 일측 방향 중심선상의 레이저통과공 양쪽에 각각 일정한 간격을 갖는 한쌍의 내외측 요오크(10)(10`)가 수직으로 돌설된 형태의 베이스플레이트(11)와, 상기 각 한쌍의 요오크(10)(10`)중 바깥쪽 요오크(10`)의 내면에 설치된 영구자석(12)과, 상기 베이스플레이트(11)상의 레이저빔 통과공 상방에 설치되고, 상면 중앙에는 레이저빔 통과공을 통하여 입사된 레이저빔을 디스크의 기록층에 조사시키는 대물렌즈(13)가 장착되는 대물렌즈홀더(14)와, 상기 대물렌즈홀더(14)의 외면 소정위치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내측요오크(10)에 끼워져 전류인가시 영구자석(12)과의 상호작용에 의해 전자기력 발생시켜 대물렌즈홀더(14)의 광축방향 움직임과 트랙킹 방향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커싱조정코일(17) 및 트랙킹조정코일(16)과, 상기 대물렌즈홀더(14)의 양측 상하부에 돌설된 고정편(18)에 일단이 돌설되고, 타단은 별도의 고정플레이트(19) 및 PCB(20)에 고정되어 외부로 인가되는 충격을 감쇄시켜주는 서스펜션(21)으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15)의 조립 제작시 상기 서스펜션(21)을 설치하기 위해서는 그 서스펜션(21)의 일단을 상기 대물렌즈홀더(14)상의 고정편(18)에 끼워 고정하고 반대쪽 끝은 상기 요오크(10)의 후방에 위치되는 별도의 고정플레이트(19) 및 PCB(20)에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이와 같이, 외주면에 포커싱조정코일(17)이 적당한 횟수 권취되어 있고, 그 포커싱조정코일(17)의 양측면에 유브이본드에 의해 트랙킹조정코일(16)이 부착되어 있는 대물렌즈 홀더(14)는 서스펜션(21)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포커싱조정코일 및 트랙킹조정코일(16)에 공급하면 그때 발생된 전기력이 외측요오크(10`) 내면에 부설된 영구자석(12)과 로렌츠 구동력인 반발력을 일으키면서 요오크플레이트(11)에 대해 상, 하, 좌, 우 방향 즉 포커싱 및 트랙킹 조정 방향으로 동작하는 것이다.
한편, 대물렌즈홀더(14)의 주위에 포커싱조정코일(17) 및 트랙킹조정코일(16)을 조립시킨 상태에서 대물렌즈홀더(14)가 부공진을 일으키지 않고 제대로 동작하는지 아닌지를 측정하기위해 레이져 바이브로미터(LASER VIBROMETER)라는 장치를 대물렌즈(13)에 조사시키고, 서스펜션(21)에 전원을 공급하여 대물렌즈홀더(14)의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방향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여서 대물렌즈홀더(14)가 떨리는 현상인 부공진 현상이 발생하는지 어떤지를 측정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주파수 전달 측정을 하기 위해서는 대물렌즈홀더가 장착된 요오크플레이를 수직으로 세워진 벽면에 양면 테이프를 사용하여 부착시키고, 그 벽면에 부착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을 통해 트랙킹 및 포커싱조정코일에 전원을 공급하여 대물렌즈홀더를 진동시켜서 그 진동을 바이브로미터로 측정하여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기 때문에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일일이 양면테이프를 사용하여 벽면에 착탈시켜야 하므로 착탈 작업이 번거롭고 측정작업이 정밀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네개의 서스펜션에 의해 지지되어 포커싱방향 및 트랙킹 방향으로 동작하는 대물렌즈홀더에 고정 설치된 포커싱 및 트랙킹조정코일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간단하고 편리하게 고정시키므로서 주파수 전달 측정 작업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고정부재인 고정판의 벽면에 돌설된 고정돌기에 요오크플레이트의 끼움공이 끼워지고, 서스펜션피씨비의 납땜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의 상부 절곡된 부분에 다수개 형성된 설치공에 끼워지는 접촉핀이 저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 하로 관통된 관통공이 형성된 누름판과, 상기 누름판의 접촉핀이 상기 고정판의 설치공에 끼워진 상태로 접촉핀의 끝단부가 서스펜션의 납땜부에 접촉되도록 누름판의 관통공을 통해 고정판의 나사공에 체결 고정되어 누름판 및 서스펜션피씨비를 하부로 눌러주는 고정나사와, 상기 누름판의 접촉핀 외주면에 끼워지고, 고정판의 설치공내에 턱이 진 부분에 걸려져 설치되어 누름판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탄성스프링으로 구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측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본 발명의 구성은 고정부재(40)인 고정판(41)의 벽면에 돌설된 고정돌기(45)에 요오크플레이트(33)의 끼움공(39)이 끼워지고,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가 상부로 향하도록 설치된 광픽업 액츄에이터(30)에 있어서, 상기 고정판(41)의 상부 절곡된 부분에 다수개 형성된 설치공(42)에 끼워지는 접촉핀(53)이 저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 하로 관통된 관통공(52)이 형성된 누름판(51)과, 상기 누름판(51)의 접촉핀(53)이 상기 고정판(41)의 설치공(42)에 끼워진 상태로 접촉핀(53)의 끝단부가 서스펜션(36)의 납땜부에 접촉되도록 누름판(51)의 관통공(551)을 통해 고정판(41)의 나사공(43)에 체결 고정되어 누름판(43)및 서스펜션피씨비(36)를 하부로 눌러주는 고정나사(46)와, 상기 누름판(51)의 접촉핀(53) 외주면에 끼워지고, 고정판(41)의 설치공(42)내에 턱이 진 부분에 걸려져 설치되어 누름판(51)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 개의 탄성 스프링(55)으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누름판(31)의 끝단부에는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38)에 접촉된 접촉핀(53)의 전류 흐름을 도와 주도록 형성된 전선인출공(5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다수 개의 리드선(5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4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도록 해 주는 회전부재(60)는 상기 고정판(41)의 저면을 받쳐주고, 고정부재(60)를 일정각도 회전시키는 상부회전체(61)와, 상기 상부회전체(61)를 지지해주고, 상부회전체(61)가 원활히 회전하도록 상부면에 베어링(62)이 개재 설치된 하부고정체(63)로 구성된 것이다.
한편, 상기 동력전달부재는(70) 상기 회전부재(60)의 하부고정체(63)내에 설치되어 회전동력을 발생시키는 구동모터(70)와, 상기 구동모터(70)의 회전력을 적절한 변속비율로 변환시키는 변속기어부(72)와, 상기 변속기어부(72)의 마지막기어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상부회전체(61)의 저면에 연결되어 상부회전체(61)를 회전시키는 회전축(73)으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부재(60)의 하부고정체(63)는 내부에 충격을 흡수하는 점성물질이 내장된 충격 흡수 받침판(80)에 의해 지지되어진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광픽업 액츄에이터(30)를 본 발명의 장치에 장착시키는 과정을 살펴보면, 광픽업 액츄에이터(30)의 서스펜션피씨비(36)가 상측으로 향하도록 손으로 잡은 상태에서 요오크플레이트(33)의 끼움공(39)을 고정부재(40)인 고정판(41)의 두 고정돌기(45)에 끼우게되면 요오크플레이트(33)의 저면돌출부(27)가 안치홈(44)내에 안치되어진다.
이러한 상태에서, 고정판(41)의 설치공(42)에 누름판(51)의 접촉핀(53)외주부에 탄성스프링(55)을 각각 끼운 상태로 접촉핀(53)을 설치공(42)안으로 끼워서 고정나사(46)를 누름판(51)의 관통공(52)과 고정판(41)의 나사공(43)으로 끼워서 체결시키게 되면, 고정나사(46)가 누름판(51)을 하측으로 눌러서 접촉핀(53)의 끝단부에 설치된 도체(54)가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38)에 각각 접촉되면서 리드선(50)을 통해 네개의 서스펜션(37)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로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나사(46)의 끝단부가 서스펜션피씨비(36)를 하측으로 압압시키게 되면, 요오크플레이트(33)의 끼움공(39)이 고정돌기(45)에 의해 억지로 눌려지게 되어 광픽업 액츄에이터(30)가 고정판(41)의 벽면에 단단히 고정되어진다.
이때, 충격흡수판(80)상에 설치된 레이져 바이브로미터(90)는 레이져광을 대물렌즈(31)에 조사하는 상태로 초점이 맞추어져 있으며, 고정판(41)의 전선인출공(42)으로 끼워진 리드선(50)이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38)에 각각 연결되어져서 전원을 공급하는 상태로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광픽업 액츄에이터(30)의 포커싱조정 방향의 주파수전달 특성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리드선(50)중에 포커싱조정코일(28)을 작동시키는 리드선(50)을 통해 전원을 공급시켜서 누름판(51)의 도체(54)를 거쳐서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38)에 연결지지된 서스펜션(37)을 통해 포커싱조정코일(28)로 전원을 공급시켜 대물렌즈홀더(32)를 포커싱 조정방향으로 동작 시킨상태에서 레이져 바이브로미터(90)로부터 레이져광을 대물렌즈(31)에 조사시켜서 대물렌즈홀더(32)의 포커싱 방향의 주파수 전달 특성을 서보 어낼라이져에서 분석하도록 한다.
한편, 대물렌즈홀더(32)의 포커싱조정 방향의 주파수 특성을 측정한 후에는 하부고정체(63)을 눌러주고 있던 스토퍼(64)를 풀어준 후에 동력전달부재(70)인 구동모터(71)를 구동시켜서 변속기어부(72)의 변속을 거쳐서 회전축(73)을 회전시켜서 회전부재(60)인 상부회전체(61)를 하부고정체(63)에 개재된 베어링(62)에 대해 정확하게 90도 회전시키도록 한다.
그리고, 상부회전체(61)의 회전에 의해 광픽업 액츄에이터(30)를 90도 회전시킨 상태에서 리드선(50)을 통해 접촉핀(53)의 도체(54)를 통해서 서스펜션(37)을 거쳐 트랙킹조정코일(29)에 전원을 공급시키게 되면 대물렌즈홀더(32)가 트랙킹 조정방향으로 동작하게 되고, 그 대물렌즈(32)의 측면부에 레이져 바이브로미터(90)의 레이져광을 조사시켜서 대물렌즈홀더(32)의 트랙킹 조정방향의 주파수 전달 특성을 측정하여 서보 어낼라이져에서 분석하도록 하므로서 광픽업 액츄에이터(30)의 포커싱조정코일(28) 및 트랙킹조정코일(29)의 주파수 전달 특성을 파악해 낼 수 있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측정방법과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측정장치를 사용하게되면,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고정부재인 고정판에 고정나사로 단단히 결합시킴과 동시에 고정나사로 누름판을 하부로 눌러서 접촉핀을 서스펜션피씨비의 납땜부에 접촉시키고, 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동력전달부재인 구동모터 및 변속기어부를 통해 회전부재를 90도 정도 자동으로 회전시켜서 포커싱조정코일 및 트랙킹조정코일의 주파수 전달 특성을 측정하므로서 주파수 측정값이 정확하므로 주파수 전달 특성 측정 작업을 신뢰할 수 있도록 해 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고정부재(40)인 고정판(41)의 벽면에 돌설된 고정돌기(45)에 요오크플레이트(33)의 끼움공(39)이 끼워지고,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가(38)가 상부로 향해돌고 설치된 광픽업 액츄에이터(30)에 있어서,상기 고정판(41)의 상부 절곡된 부분에 다수개 형성된 설치공(42)에 끼워지는 접촉핀(53)이 저면에 다수개 형성되고, 중심부에 상, 하로 관통된 관통공(52)이 형성된 누름판(51)과, 상기 누름판(51)의 접촉핀(53)이 상기 고정판(41)의 설치공(42)에 끼워진 상태로 접촉핀(53)의 끝단부가 서스펜션(36)의 납땜부(38)에 접촉되도록 누름판(51)의 관통공(51)을 통해 고정판(41)의 나사공(43)에 체결 고정되어 누름판(43) 및 서스펜션피씨비(36)를 하부로 눌러주는 고정나사(46)와, 상기 누름판(51)의 접촉핀(53) 외주면에 끼워지고, 고정판(41)의 설치공(42)내에 턱이 진 부분에 걸려서 설치되어 누름판(51)에 탄성력을 발휘하는 다수개의 탄성스프링(55)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판(31)의 끝단부에는 서스펜션피씨비(36)의 납땜부(38)에 접촉된 접촉핀(53)의 전류 흐름을 도와 주도록 형성된 도체(54)와, 상기 도체(54)에 접촉되어 누름판(51)의 내부로 형성된 전선인출공(56)을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다수개의 리드선(5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KR1019950045190A 1995-11-30 1995-11-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KR01588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190A KR0158833B1 (ko) 1995-11-30 1995-11-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45190A KR0158833B1 (ko) 1995-11-30 1995-11-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406A KR970029406A (ko) 1997-06-26
KR0158833B1 true KR0158833B1 (ko) 1999-01-15

Family

ID=19436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5190A KR0158833B1 (ko) 1995-11-30 1995-11-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83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9406A (ko) 1997-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52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5883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KR0158827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KR0181818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주파수 전달 측정장치
KR0174472B1 (ko) 선재 처리용 대물렌즈홀더 고정장치
KR0175809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렌즈홀더 고정장치
KR100491533B1 (ko) 광픽업 구동장치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용 지그
KR100190571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서스펜션 피씨비 및 홀더겔 고정 조립 장치
KR100190569B1 (ko) 광 픽업용 트래킹 조정코일의 가압 조립 장치
KR0175811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자동 압입장치
KR200319199Y1 (ko) 광픽업 구동장치의 서스펜션 와이어 조립용 지그
KR0181824B1 (ko) 균일한 가압구조를 갖는 요오크 플레이트 누름장치
KR0181831B1 (ko) 포커싱 및 트랙킹 조정 코일의 전류방향 검사장치
KR0158849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및 포커싱 조정코일 보정장치
KR100186649B1 (ko) 링크식 포커싱 및 트랙킹 조정 코일의 전류 방향 검사 장치
KR017508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검사지그
KR100192133B1 (ko) 광 픽업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자동 삽입장치
KR10022052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2205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100455834B1 (ko) 액튜에이터에서의자기부상장치
KR01751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홀더겔 고정조립장치
KR018183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감도 측정장치
JPH045055Y2 (ko)
KR0134254B1 (ko) 광픽업엑츄에이터의 서스펜션 위치조정장치
KR015882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