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8823B1 -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8823B1
KR0158823B1 KR1019950037979A KR19950037979A KR0158823B1 KR 0158823 B1 KR0158823 B1 KR 0158823B1 KR 1019950037979 A KR1019950037979 A KR 1019950037979A KR 19950037979 A KR19950037979 A KR 19950037979A KR 0158823 B1 KR0158823 B1 KR 015882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focusing
tracking
resistance
resistance meas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9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22329A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10199500379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8823B1/ko
Publication of KR9700223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223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88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88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7/00Magnets
    • H01F7/06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 H01F7/08Electromagnets; Actuators including electromagnets with armatures
    • H01F7/18Circuit 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operating characteristics, e.g. for slow operation, for sequential energisation of windings, for high-speed energisation of windings
    • H01F7/1844Monitoring or fail-safe circu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27/00Arrangements for measuring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electric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 G01R27/02Measuring real or complex resistance, reactance, impedance, or other two-pole characteristics derived therefrom, e.g. time constant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Optical Hea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포커싱 조정코일(43)과 트랙킹 조정코일(44)의 사각홈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부에 포커싱 코일 납땜부(45) 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42)가 형성된 코일 PCB(41)를 포함한 대물렌즈 홀더(40)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홀더(40)가 상부에 안치되고, 포커싱 코일 납땜부(45)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를 통해서 트랙킹 조정코일(44) 및 포커싱 조정코일(43)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재(50)와, 상기 저항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저항값을 서로 비교 판단하고, 비교 판단된 저항값을 외부에서 알아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저항값 표시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인바, 트랙킹 조정코일 및 포커싱 조정코일의 저항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 하도록 해주는 것이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제1도는 종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종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외관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저항 측정장치 분해사시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저항 측정장치의 평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저항 측정장치의 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0 : 저항 측정부재 51 : 포커싱 이동체
52 : 트랙킹 이동체 57 : 저항 측정지그
60 : 포커싱 전선 70 : 트랙킹 전선
80 :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
본 발명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홀더 측면부에 납땜 연결되는 트랙킹 조정코일 및 포커싱 조정코일의 저항을 간편하게 측정하도록 해주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저항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나 레이져 디스크 플레이어(LDP)와 같은 각종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기록 매체인 디스크 수직하방에 설치되어 그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디스크상에서 원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트랙위치에서는 디스크면상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져 광을 입사시킨 다음 그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반사광을 신호로 변환시켜서 디스크면상의 기록내용을 재생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제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액츄에이터의 하부에 위치하여 레이져 통과공(1)이 형성된 플레이트(20)와 상기 플레이트(20)의 소정위치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ㄷ자 형상의 내.외측 요오크(21)(22)와 소정간격이 이격되어 상기 플레이트(20)의 길이방향 외측에 고정설치된 제2 요오크(23)와, 상기 외측요오크(22)의 내면에 고정 설치되어 있는 영구자석(24)과, 상기 플레이트(20)에 설치되어 있는 레이져 통과공(1) 상방에 설치되어 디스크 반사면에 촛점을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25)와, 상기 대물렌즈(25)를 외측으로 지지하게 형성된 사각형과 같은 구조를 갖는 대물렌즈 홀더(26)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내면에 설치되어 상기 내측 요오크(21)에 유동되어 끼워지며 대물렌즈(25)의 광축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커싱 조정코일(27)과,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내면에 설치되고 상기 포커싱 조정코일(27)의 외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대물렌즈(25)의 레디얼 방향으로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트랙킹 조정코일(28)과,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내면에 위치한 포커싱 조정코일(27)과 트랙킹 조정코일(28)에 서보 시스템에서 입.출력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요동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외부로 부터의 충격작용시 그 진동을 감쇄하는 서스펜션의 역할을 수행하는 4개의 와이어(29)와, 상기 제2요오크(23)에 고정되어 상기 와이어(29)를 지지하는 홀더겔(30)과, 상기 홀더겔(30)의 외측에 부착되고 서보 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받는 PCB(31)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양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와이어(29)와 상기 포커싱 조정코일(27) 및 트랙킹 조정코일(28)을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코일 PCB(32)와,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밸랜서(33)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액츄에이터의 대물렌즈 홀더(26)는 정사각형과 같은 형상을 갖으며, 정사각형의 외측으로 대물렌즈(25)가 설치되는 구조를 갖는다. 즉, 대물렌즈 홀더(26)의 무게중심에 상기 내측 요오크(21)에 유동가능하게 끼워질 수 있도록 포커싱 조정코일(27) 및 트랙킹 조정코일(28)이 설치되어,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시, 코일의 구동력 중심점과 대물렌즈 홀더(26)의 무게중심이 일치하며 이에 따라 대물렌즈 홀더(26)의 내측에 장착된 하나의 포커싱 조정코일(27) 및 트랙킹 조정코일(28)에 상기 영구자석(24)의 로렌츠 구동력으로 대물렌즈 홀더(26)가 충분하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소정위치에는 구동시 무게중심을 보정하는 밸랜서(33)가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도면에 미도시된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상의 광검출장치(Photo Deteector)에서 레이져빔의 기록피트에서의 포커싱 및 트랙킹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한 결과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보시스템에서는 PCB(31)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PCB(31)에서 와이어(29)를 통하여 코일PCB(32)에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대물렌즈 홀더(26)내의 무게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포커싱 조정코일(27) 및 트랙킹 조정코일(28)이 영구자석(24)과의 자속으로 인해서 로렌츠 구동력을 받게된다.
그리고, 포커싱 조정코일(27) 및 트랙킹 조정코일(28)에 와이어(29)를 통하여 전류가 인가되면 트랙킹 조정코일(28) 및 포커싱 조정코일(27)과 외측 요오크(22)의 내면에 장착된 영구자석(24)간에 로렌츠 구동력이 발생하여 대물렌즈 홀더(26)가 구동하게 된다. 이때 대물렌즈 홀더(26)의 무게중심에 상기 포커싱 조정코일(27)이 유동되게 끼움 결합되는 내측 요오크(21)가 설치되어 대물렌즈 홀더(26)의 구동시 코일의 구동력 중심점과 가동부인 대물렌즈 홀더(26)의 무게중심점이 일치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대물렌즈 홀더(26)의 측면부에 부착되는 코일PCB(32)에는 포커싱 조정코일(27) 및 트랙킹 조정코일(28)에 연결되는 전선을 4개의 와이어(29)와 연결시키기 위해 납땜으로 융착시킨 부분이 4군데 형성되어 있다.
한편, 광픽업 액츄에이터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트랙킹 조정코일(28)과 포커싱 조정코일(27)의 저항을 측정하여서 트랙킹 조정코일(28)과 포커싱 조정코일(27)에 전기의 흐름이 적절하게 작용하는지의 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즉, 종래에는 트랙킹 조정코일(28)과 포커싱 조정코일(27)의 저항을 측정하기 위해 디지털 테스터기의 탐침 장치를 이용하여 탐침 바늘을 신호 전달편(32)에 형성된 납땜 부분에 대고서 트랙킹 조정코일(28)과 포커싱 조정코일(27)의 저항을 측정 하도록 하였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종래의 디지털 테스터 기를 이용하여 트랙킹 조정코일및 포커싱 조정코일의 저항을 측정하는 방법은 신호전달편의 납땜부위에 정확하게 탐침 바늘을 같다 대어야 하는데, 납땜 부위의 간격이 매우 좁기 때문에 쇼트가 발생하기 쉽고, 저항값이 정확하게 측정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광픽업 액츄에이터 트랙킹 조정코일 및 포커싱 조정코일의 저항값을 대물렌즈 홀더가 상부면에 안치되는 저항 측정지그를 사용하여 쇼트없이 간단하고 편리하게 측정하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러한 목적은 포커싱 조정코일과 트랙킹 조정코일의 사각홈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부에 포커싱 코일 납땜부 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가 형성된 코일 PCB를 포함한 대물렌즈 홀더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홀더가 상부에 안치되고, 포커싱 코일 납땜부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를 통해서 트랙킹 조정코일 및 포커싱 조정코일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재와, 상기 저항측정부재에서 측정된 저항값을 서로 비교 판단하고, 비교 판단된 저항값을 외부에서 알아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로 구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저항측정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살펴보도록 한다.
제3도 내지 제5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구성은 포커싱 조정코일(43)과 트랙킹 조정코일(44)의 사각홈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부에 포커싱 코일 납땜부(45) 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42)가 형성된 코일PCB(41)를 포함한 대물렌즈 홀더(40)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홀더(40)가 상부에 안치되고, 포커싱 코일 납땜부(45)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를 통해서 트랙킹 조정코일(44) 및 포커싱 조정코일(43)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재(50)와, 상기 저항 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저항값을 서로 비교 판단하고, 비교 판단된 저항값을 외부에서 알아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저항값 표시부(80)로 구성된 것이다.
그리고, 상기 저항 측정부재(50)는 코일PCB(41)가 안치되는 안치홈(54)이 형성되고, 코일PCB(41)의 후방부를 잡아주는 고정홈(52)이 형성된 저항측정지그(57)와, 상기 안치홈(54)의 양측 벽면으로 돌출되는 포커싱 이동접점(51a)및 트랙킹 이동접점(52a)이 상기 코일PCB(41)의 포커싱 코일 납땜부(45)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42)에 접촉되도록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와 상기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를 수평으로 밀어주기 위해 포커싱 트랙킹 이동체(51)(52)의 배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 스프링(55)(56)과, 상기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저항측정지그(51)의 전선 인출공(53)으로 인출되어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80)로 연결되는 포커싱 전선(60) 및 트랙킹 전선(70)으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포커싱 이동접점(51a)및 트랙킹 이동접점(52a)의 끝단부는 코일PCB(41)의 포커싱 코일 납땜부(45)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42)에 접촉되기 용이하도록 둥근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대물렌즈 홀더(40)의 사각홈에 트랙킹 조정코일(44) 및 포커싱 조정코일(43)을 부착시킨후, 트랙킹 조정코일(44) 및 포커싱 조정코일(43)의 코일선을 코일PCB(41)의 포커싱 코일 납땜부(45)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42)에서 납땜을 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조립된 대물렌즈 홀더(40)에서 포커싱 조정코일(43) 및 트랙킹 조정코일(44)의 저항값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대물렌즈 홀더(40)을 잡고서 저항측정지그(57)상에 형성된 안치홈(54)과 고정홈(52)에 대물렌즈 홀더(40)를 끼우게 되면 탄성 스프링(55)에 의해 전방으로 이동되는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의 포커싱 이동접점(51a)및 트랙킹 이동접점(52a)이 코일PCB(41)에 형성된 포커싱 코일 납땜부(45) 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42)에 각각 접촉되어진다.
이때, 포커싱 조정코일(43)과 트랙킹 조정코일(44)에 전류가 각각 도전되면서 포커싱 이동체(51)와 트랙킹 이동체(52)의 배면에 각각 연결되어 있는 포커싱 전선(60)및 트랙킹 전선(70)을 통해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80)로 전류가 통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80)에서 저항값을 적절하게 비교 판단하여서 사용자가 외부에서 판독할 수 있도록 적당한 수치로 표시해주게 되며, 검사자는 그 수치를 읽고서 포커싱 조정코일(43) 및 트랙킹 조정코일(44)의 저항값을 알아낼 수 있다.
이와 같이, 저항값을 측정하고 난후, 대물렌즈 홀더(40)를 상부로 당겨서 저항측정지그(57)의 고정홈(52) 및 안치홈(54)에서 이탈시키도록 하고, 다른 대물렌즈 홀더(40)의 저항값을 상기한 방법을 거쳐서 계속해서 연속적으로 측정하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종래의 디지털 테스터기를 사용하여 트랙킹 조정코일 및 포커싱 조정코일의 저항 측정방법이 쇼트가 발생하여 부정확하던 것과는 다르게 본 발명에 따른 코일 저항 측정장치는 대물렌즈 홀더(40)를 저항측정지그(57)상에 형성된 고정홈(52) 및 안치홈(54)에 안치고정시키게 되면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의 포커싱 이동접점(51a) 및 트랙킹 이동접점(52a)이 코일PCB(41)의 코일 납땜부(42)(45)에 각각 접촉되면서 전류를 도전시켜서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80)에서 적절하게 비교 판단하고, 비교 판단된 저항값을 사용자가 판독할 수 있도록 표시하여서 트랙킹 조정코일(44)및 포커싱 조정코일(43)의 저항값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측정하므로써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조립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키도록 해주는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3)

  1. 포커싱 조정코일(43)과 트랙킹 조정코일(44)의 사각홈 내부에 설치되고, 측면부에 포커싱 코일 납땜부(45) 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42)가 형성된 코일PCB(41)를 포함한 대물렌즈 홀더(40)에 있어서, 상기 대물렌즈 홀더(40)가 상부에 안치되고, 포커싱 코일 납땜부(45)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를 통해서 트랙킹 조정코일(44) 및 포커싱 조정코일(43)의 저항을 측정하는 저항 측정부재(50)와, 상기 저항 측정부재(50)에서 측정된 저항값을 서로 비교 판단하고, 비교 판단된 저항값을 외부에서 알아 볼 수 있도록 표시해주는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80)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저항 측정부재(50)는 코일PCB(41)가 안치홈(54)이 형성되고, 코일PCB(41)의 후방부를 잡아주는 고정홈(52)이 형성된 저항측정지그(57)와 상기 저항측정지그(57)의 안치홈(54) 양측 벽면으로 돌출되는 포커싱 이동접점(51a)및 트랙킹 이동접점(52a)이 상기 코일PCB(41)의 포커싱 코일 납땜부(45)와 트랙킹 코일 납땜부(42)에 접촉되도록 수평으로 슬라이딩 되는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와, 상기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를 수평으로 밀어주기 위해 포커싱 트랙킹 이동체(51)(52)의 배면에 설치된 복수개의 탄성 스프링(55)(56)과, 상기 포커싱 이동체(51) 및 트랙킹 이동체(52)의 배면에 결합되어 있고, 상기 저항측정지그(57)의 전선 인출공(53)으로 인출되어 저항값 비교판단표시부(80)로 연결되는 포커싱 전선(60) 및 트랙킹 전선(70)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커싱 이동접점(51a)및 트랙킹 이동접점(52a)의 끝단부는 코일PCB(41)의 포커싱 코일 납땜부(45) 및 트랙킹 코일 납땜부(42)에 접촉되기 용이하도록 둥근 형상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KR1019950037979A 1995-10-30 1995-10-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KR015882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979A KR0158823B1 (ko) 1995-10-30 1995-10-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37979A KR0158823B1 (ko) 1995-10-30 1995-10-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29A KR970022329A (ko) 1997-05-28
KR0158823B1 true KR0158823B1 (ko) 1999-03-20

Family

ID=194318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979A KR0158823B1 (ko) 1995-10-30 1995-10-30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882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22329A (ko) 1997-05-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028318B2 (en) Optical head with lens holder supported by suspension wires at central and end portions
KR10022052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0750526B2 (ja) デイスクプレ−ヤの光学ヘツド装置
KR015882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KR10022775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특성 검사장치
KR0175080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검사지그
KR0175810B1 (ko) 픽업 베이스의 측정구
KR0135910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KR01588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와이어 조립장치
KR100403928B1 (ko) 일체형 광픽업 액츄에이터
JPH0628698A (ja) 光学ピックアップ装置
KR0173003B1 (ko) 액츄에이터의 보빈 고정지그
KR100220521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62567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용 요오크 플레이트의 평탄도 측정장치
KR0181816B1 (ko) 단순구조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159904Y1 (ko) 액츄에이터 픽업 커버의 자속 인도 구조
KR1002205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KR200144866Y1 (ko) 액츄에이터 보호 케이스
KR018183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감도 측정장치
JP3441517B2 (ja) 光学式情報記録再生装置
JP2005018837A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
KR970000644B1 (ko) 광디스크플레이어용 광픽업엑츄에이터의 서스펜션
KR01751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홀더겔 고정조립장치
KR19980086174A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특성 검사장치
KR100640565B1 (ko) 광픽업 조립체 및 그 조립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73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