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5910Y1 -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 Google Patents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5910Y1
KR0135910Y1 KR2019950041727U KR19950041727U KR0135910Y1 KR 0135910 Y1 KR0135910 Y1 KR 0135910Y1 KR 2019950041727 U KR2019950041727 U KR 2019950041727U KR 19950041727 U KR19950041727 U KR 19950041727U KR 0135910 Y1 KR0135910 Y1 KR 013591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il
bobbin
short
optical pickup
pickup actua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417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5987U (ko
Inventor
이관철
Original Assignee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순훈,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배순훈
Priority to KR20199500417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5910Y1/ko
Publication of KR97004598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598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591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5910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7/00Recording or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e.g. recording using a thermal beam of optical radiation by modifying optical properties or the physical structure, reproducing using an optical beam at lower power by sensing optical properties; Record carriers therefor
    • G11B7/12Heads, e.g. forming of the optical beam spot or modulation of the optical beam
    • G11B7/22Apparatus or processes for the manufacture of optical heads, e.g.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에 접착되는 코일 피씨비(110)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 피씨비(110)에 서스펜션 와이어와 트랙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의 극성이 다른 접착부(112) 사이에 쇼트방지 부재(114)를 형성하여 납땜작업시에 쇼트를 방지하여 코일 피씨비(110)에 납땜작업을 정확히 함으로써,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시비
제1도는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평면도이고,
제2도는 코일 피씨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며,
제3도와 제4도는 본 고안에 따른 코일 피씨비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코일 피씨비 20 : 접착부
30 : 쇼트방지 부재 32 : 대각선부
34 : 수평부
본 고안은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에 접착되는 코일 피씨비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코일 피씨비에 서스펜션 와이어와 트랙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의 극성이 다른 접착부 사이에 쇼트방지 부재를 형성하여 납땜작업시에 쇼트를 방지하기 위한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시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미니 디스크 플레이어(MDP)나 콤팩트 디스크 플레이어(CDP) 및 레이저 디스크 플레이어(LDP)와 같은 각종 광학 디스크 플레이어의 광기록 매체인 디스크의 수직하방에 설치되어, 그 디스크의 래디얼 방향으로 직선 이동하면서 디스크상에서 원하는 트랙위치를 검출하고, 검출된 트랙위치의 디스크면상에 기록된 피트에 레이저 광을 입사시킨 다음, 그 반사광을 광학계를 통하여 검출하고 이렇게 검출된 반사광을 신호로 변환시켜서 디스크면상의 기록내용을 재생하게 하는 장치이다.
이러한 광픽업 액츄에이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부에 위치하는 플레이트(10)와, 이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보빈(20)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상세히는 다음과 같다.
상기 플레이트(10)상의 적소에 한 쌍의 내측 요크(12)가 형성되고, 이 내측 요크(12)의 외측에 한 쌍의 외측 요크(14)가 형성되며, 이 외측 요크(14)로부터 소정간격이 이격되어 상기 플레이트(10)의 길이방향 외측에 제2요크(16)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외측 요크(14)의 내면에는 영구자석(15)이 고정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10)에 설치되는 보빈(20)의 레이저 통과공(22) 상방에는 디스크 반사면에 초점을 집속시키기 위한 대물렌즈(24)가 설치되고, 상기 보빈(20)에는 내측 요크(12)에 유동되어 끼워지며 대물렌즈(24)를 광축방향으로 움직임을 제어하는 포커싱 코일(26)이 감겨지며, 상기 포커싱 코일(26)의 양 외측면에 상기 대물렌즈(24)를 래디얼 방향으로 움직임을 제어하는 트랙킹 코일(28)이 설치된다.
또한, 상기 보빈(20)의 양측에는 트랙킹 코일(28)과 포커싱 코일(26)이 접착되는 쇼트방지 부재(30)가 설치되고, 이 쇼트방지 부재(30)에는 포커싱 코일(26)과 트랙킹 코일(28)에 서보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하며 상기 보빈(20)의 요동을 지지해줌과 동시에 외부로부터의 충격작용시에 그 진동을 감쇄하는 서스펜션 와이어(34)가 접착된다.
또, 상기 제2 요크(16)에는 상기 와이어(34)를 지지하는 홀더겔(36)이 설치되고, 상기 홀더겔(36)의 외측에는 서보시스템의 입.출력신호를 전달받는 서스펜션 PCB (38)가 설치된다.
상기의 구성에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구동시에 코일의 구동력 중심점과 보빈(20)의 무게중심이 일치하며, 이에 따라 보빈(20)의 내측에 장착된 하나의 포커싱 코일(26) 및 트랙킹 코일(28)에 상기 영구자석(15)의 로렌츠 구동력으로 보빈(20)이 충분하게 움직이게 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광학계상의 광검출장치(Photo Detector)에서 레이저 빔의 기록 피트에서의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하게 된다. 여기서, 포커싱 및 트랙킹 상태를 검출한 결과 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서보시스템에서 서스펜션 PCB(38)에 전기적인 신호를 전달한다.
그러면, 서스펜션 PCB(38)에서 와이어(34)를 통하여 쇼트방지 부재(30)에 전달된 전기적인 신호에 의하여 보빈(20)의 무게중심에 설치되어 있는 포커싱 코일(26) 및 트랙킹 코일(28)이 영구자석(15)과의 자속으로 인해서 로렌츠 구동력을 받게된다.
그리고, 포커싱 코일(26) 및 트랙킹 코일(28)에 와이어(34)를 통하여 전류가 인가되면 트랙킹 코일(28) 및 포커싱 코일(26)과 외측 요크(14)의 내면에 장착된 영구자석(15)간에 로렌츠 구동력이 발생하여 보빈(20)이 구동하게 된다. 이때 보빈(20)의 무게 중심에 상기 포커싱 코일(26)이 유동되게 끼움 결합되는 내측 요오크가 설치되어 보빈(20)의 구동시 코일의 구동력 중심점과 가동부인 보빈(20)의 무게 중심점이 일치하게 된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보빈(20)의 양측에 부착되는 쇼트방지 부재(30)의 각각에는 포커싱 코일(26) 및 트랙킹 코일(28)에 연결되는 전선을 4개의 서스펜션 와이어(34)와 연결시키기 위해 납땜으로 융착시키기 위한 접착부(32)가 4군데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쇼트방지 부재(30)에 트랙킹 코일(28)과 포커싱 코일(26) 및 서스펜션 와이어(34)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지그를 사용하여 보빈(20)을 고정한 다음, 납땜 인두기를 사용하여 납땜작업을 하게 된다.
이때, 쇼트방지 부재(30)는 매우 작고 정밀하여 코일 접착부(32)에 코일을 정확히 납땜하여 접착시키기가 대단히 어렵다. 따라서 극성이 다른 접착부(32)에 납땜 도중 쇼트가 발생하기 쉽다.
그런데, 쇼트방지 부재(30)에 쇼트가 발생하면, 코일에 인가되는 전류가 정상적인 코스로 이동하지 않게 되어, 대물렌즈(24)가 광축 방향과 래디얼 방향으로 제대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광학계에서 디스크의 정확한 위치를 검출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쇼트방지 부재(30)에 납땜작업이 정확히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불량품 생산에 원인이 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코일 피씨비에 극성이 다른 접착부 사이에 쇼트방지 부재를 설치하여 납땜작업시에 발생하는 쇼트를 방지하여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불량품 생산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은 코일 피씨비의 서스펜션 와이어와 트래킹 코일 접착부 및 포커싱 코일 접착부와 극성이 다른 접착부와의 사이에 쇼트방지 부재를 코일 피씨비와 일체로 형성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부재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어 진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도면 제3도에 의해 설명한다.
본 고안은 보빈의 양측에 접착된 코일 피씨비(110)에 형성된 극성이 다른 코일 접착부(112) 사이에 코일 피씨비(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납땜작업시에 쇼트를 방지하는 쇼트방지 부재(114)로 구성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상세한 구성과 작용을 실시예에 따라 설명하기로 한다.
제1실시예의 구성은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쇼트방지 부재(114)는 극성이 다른 코일 접착부(12) 사이에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쇼트방지 부재(114)가 형성된 코일 피씨비(110)를 간단한 금형물로서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코일 피씨비(110)에 납땜 작업을 하게 되면, 쇼트방지 부재(114)가 액체상태의 납액이 극성이 다른 접착부(112)에 잘못 접착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제2실시예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쇼트방지 부재(114)는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대각선부(116)와, 상기 대각선부(116)의 양측단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의 구성에서는 대각선부(116)의 양측단에 수평부(118)가 형성되어 있어서, 접착부(112)의 접착공간을 넓게 유지해주므로 납땜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의 코일 피씨비(110)에 납땜을 하게되면, 액체상태의 납액이 쇼트방지 부재(114)에 의해 극성이 다른 접착부(112)에 잘못 접착되는 것이 방지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코일 피씨비(110)에 서스펜션 와이어와 트랙킹 코일 및 포커싱 코일의 극성이 다른 접착부(112) 사이에 쇼트방지 부재(114)를 설치하여 납땜작업시에 쇼트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코일 피씨비(110)에 납땜작업을 정확히 하여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3)

  1.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보빈에 접착되어 트랙킹 코일과 포커싱 코일 및 서스펜션 와이어가 접착되는 코일 피씨비(110)에 있어서, 상기 보빈의 양측에 접착된 코일 피씨비(110)에 형성된 극성이 다른 코일 접착부(112) 사이에 코일 피씨비(110)와 일체로 형성되어 납땜작업시에 쇼트를 방지하는 쇼트방지 부재(114)를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시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방지 부재(114)는 극성이 다른 코일 접착부(112) 사이에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시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쇼트방지 부재(114)는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대각선부(116)와, 상기 대각선부(116)의 양측단에 수평으로 절곡되는 수평부(118)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시비.
KR2019950041727U 1995-12-15 1995-12-15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KR013591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727U KR0135910Y1 (ko) 1995-12-15 1995-12-15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41727U KR0135910Y1 (ko) 1995-12-15 1995-12-15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987U KR970045987U (ko) 1997-07-31
KR0135910Y1 true KR0135910Y1 (ko) 1999-04-15

Family

ID=19434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41727U KR0135910Y1 (ko) 1995-12-15 1995-12-15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5910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89B1 (ko) * 2012-06-13 2014-0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대물렌즈 구동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하는 광 픽업 장치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0989B1 (ko) * 2012-06-13 2014-01-15 도시바삼성스토리지테크놀러지코리아 주식회사 대물렌즈 구동 유니트 및, 이를 적용하는 광 픽업 장치 및 광 디스크 드라이브
US8984546B2 (en) 2012-06-13 2015-03-17 Toshiba Samsung Storage Technology Korea Corporation Wire holder and wiring layers included in an objective lens driving uni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5987U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68601B2 (en) Position control unit for lens of optical pickup device
EP0902423B1 (en) Objective lens driving device for an optical pick-up unit
JP3319481B2 (ja) 対物レンズ駆動装置及びこれを利用した光ディスク装置
KR20040037893A (ko) 광픽업용 액츄에이터와 광픽업장치 및 이를 채용한광기록재생장치
KR0135910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 보빈의 쇼트방지 코일 피씨비
JPH10283649A (ja) 光ピックアップ装置
US7376962B2 (en) Driving device for objective lens and optical pick up using the same
US6996039B2 (en) Optical pick-up actuator
KR100284692B1 (ko) 광픽업장치
KR200159904Y1 (ko) 액츄에이터 픽업 커버의 자속 인도 구조
KR100403928B1 (ko) 일체형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588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와이어 조립장치
KR0181822B1 (ko)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US20040264310A1 (en) Optical head device
JP3440461B2 (ja) 二軸アクチュエータ
KR0181816B1 (ko) 단순구조를 갖는 광픽업 액츄에이터
KR0158823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저항 측정장치
KR200254787Y1 (ko) 디브이디용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트랙킹 구조
KR200150919Y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코일 피씨비 배선구조
KR0181819B1 (ko) 모터 구동방식 광픽업 구동장치
KR0175122B1 (ko) 광픽업 액츄에이터의 홀더겔 고정조립장치
KR0167933B1 (ko) 광픽업 액추에이터의 픽업구조
KR0181813B1 (ko) 구동력 중심을 보정한 액츄에이터
KR100201311B1 (ko) 광 픽업 구동장치
KR0174472B1 (ko) 선재 처리용 대물렌즈홀더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