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545B1 -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545B1
KR100190545B1 KR1019970011346A KR19970011346A KR100190545B1 KR 100190545 B1 KR100190545 B1 KR 100190545B1 KR 1019970011346 A KR1019970011346 A KR 1019970011346A KR 19970011346 A KR19970011346 A KR 19970011346A KR 100190545 B1 KR100190545 B1 KR 100190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water
hot water
water tank
way connector
ion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1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75198A (ko
Inventor
조철제
Original Assignee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범, 대우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전주범
Priority to KR10199700113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0545B1/ko
Publication of KR199800751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751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ion-exchang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5/00Use of specific compounds during water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Treatment Of Water By Ion Exchan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수 있도록 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효과를 증대시키는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은 온수탱크(10)의 입수구(11)와 출수구(12)사이에 연결된 배관상에 순서대로 설치된 3방향 연결구(13), 제1온수개폐밸브(14), 3방향 연결구(15), 제2온수개폐밸브(16), 4방향 연결구(17); 상기 제1온수개폐밸브(14)와 제2온수개폐밸브(16)사이의 3방향 연결구(15)에 연결된 온수공급관(18), 상기 제2온수개폐밸브(16)와 출수구(12)사이의 4방향 연결구(17)에 연결된 온수배출관(19), 상기 온수배출관(19)상에 설치된 제3온수개폐밸브(20); 냉수탱크(30)의 입수구(31)와 출수구(32)사이의 배관상에 순서대로 설치된 3방향 연결구(33), 제1냉수개폐밸브(34), 3방향 연결구(35), 제2냉수개폐밸브(36), 4방향 연결구(37); 상기 제1냉수개폐밸브(34)와 제2냉수개폐밸브(36)사이의 3방향 연결구(35)에 연결된 냉수공급관(38), 상기 제2냉수개폐밸브(36)와 출수구(32)사이의 4방향 연결구(37)에 연결된 냉수배출관(39), 상기 냉수배출관(39)상에 설치된 제3냉수개폐밸브(40);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와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에 각각 연결된 소금물공급관(50); 상기 온수탱크(10)의 입수구(11)와 제1온수개폐밸브(14)사이의 3방향 연결구(13)와,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와 제2온수개폐밸브(16)사이의 4방향 연결구(17)와, 냉수탱크(30)의 입수구(31)와 제1냉수개폐밸브(34)사이의 3방향 연결구(33)와, 그리고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와 제2냉수개폐밸브(36)사이의 4방향 연결구(37)에 각각 연결된 드레인관(51); 그리고 상기 드레인관(51)상에 각각 설치된 제4온수개폐밸브(21), 제5온수개폐밸브(22), 제4냉수개폐밸브(41), 제5냉수개폐밸브(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은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온수 또는 냉수를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는 백 워싱과정,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정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린스하는 린스과정,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소금물을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소금물주입 및 순환과정,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온수 또는 냉수를 다시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는 클리어 백 워싱과정, 그리고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다시 온수 또는 냉수를 정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린스하는 린스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수돗물 등의 원수에 대하여 이온교환작용을 하여 목욕 및 세면시 피부노폐물을 제거하는 데 적합한 연수로 만드는 연수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구체적으로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전자식으로 제어하여 사용자가 편리하게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수 있도록 하고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효과를 증대시키는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연수기는 수돗물 등의 원수에 대하여 이온교환작용을 행하여 피부미용을 좋은 연수로 만들어 토출하는 것으로 종래 널리 알려져 있는 기기이다.
원수의 이온교환작용은 연수기내의 이온교환수지가 수행하는데, 이온교환수지의 합성수지와 이온결합으로 결합하고 있는 이온이 원수속의 같은 부호의 이온과 교환된다. 상기와 같은 연수기에 냉수가 공급되도록 배관이 연결된 것이 냉연수기이고, 온수가 공급되도록 배관이 연결된 것이 온연수기이다.
종래의 연수기는 도 1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상부에 입수구가 형성되어 있고 하부에 출수구가 형성되어 있는 탱크(1), 상기 탱크(1)내부의 하측에 설치된 금속망(2), 상기 금속망(2)위에 재치된 이온교환수지(3)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 탱크(1)는 상측의 탱크캡(1a)과 하측의 본체(1b)로 이루어져 있으며, 입수구에 원수공급관(4)이 연결되어 있고 출수구에 연수토출관(5)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연수배출관(5)에는 토출코크(6)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연수기는 별개의 2개를 구비하여 한 개의 연수기에는 냉수관을 연결하고 다른 한 개의 연수기에는 온수관을 연결하여 사용된다.
사용자가 토출코크(6)를 열면 원수가 탱크(1)의 상부의 입수구를 통하여 탱크(1)내부에 들어가서 이온교환수지(3)와 반응하여 원수의 이온이 이온교환수지(3)의 같은 부호의 이온과 교환되어 연수화된후 토출코크(6)를 통하여 토출된다.
연수기는 일정기간 사용하게 되면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여야 하는데 종래에는 탱크캡(1a)을 열고 소금을 탱크내부에 주입한후 이온교환수지(3)와 잘 반응하도록 혼합하고 흔들어 주는 수동재생방식으로 재생을 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연수기는 수동으로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도록 되어 있기 때문에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업이 불편하고 또한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효과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연수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안출된 것으로서, 연수기를 일정기간 사용하여 연수화성능이 떨어져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할 때 전자식으로 제어하도록 하여 이온교환수지를 재생하는 작업을 편리하게 수행할수 있도록 하고 또한 재생효과를 향상시키도록 한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이온교환수지의 재생효과를 향상시키는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은 는 이온교환수지가 내장되어 있는 온수탱크와 냉수탱크를 구비한 연수기에 있어서, 온수탱크의 입수구와 출수구사이에 연결된 배관상에 순서대로 설치된 3방향 연결구, 제1온수개폐밸브, 3방향 연결구, 제2온수개폐밸브, 4방향 연결구; 상기 제1온수개폐밸브와 제2온수개폐밸브사이의 3방향 연결구에 연결된 온수공급관, 상기 제2온수개폐밸브와 출수구사이의 4방향 연결구에 연결된 온수배출관, 상기 온수배출관상에 설치된 제3온수개폐밸브; 냉수탱크의 입수구와 출수구사이에 연결된 배관상에 순서대로 설치된 3방향 연결구, 제1냉수개폐밸브, 3방향 연결구, 제2냉수개폐밸브, 4방향 연결구; 상기 제1냉수개폐밸브와 제2냉수개폐밸브사이의 3방향 연결구에 연결된 냉수공급관, 상기 제2냉수개폐밸브와 출수구사이의 4방향 연결구에 연결된 냉수배출관, 상기 냉수배출관상에 설치된 제3냉수개폐밸브; 온수탱크의 출수구와 냉수탱크의 출수구에 각각 연결된 소금물공급관; 온수탱크의 입수구와 제1온수개폐밸브사이의 3방향 연결구와, 온수탱크의 출수구와 제2온수개폐밸브사이의 4방향 연결구와, 냉수탱크의 입수구와 제1냉수개폐밸브사이의 3방향 연결구와, 그리고 냉수탱크의 출수구와 제2냉수개폐밸브사이의 4방향 연결구에 각각 연결된 드레인관; 상기 드레인관상에 각각 설치된 제4온수개폐밸브, 제5온수개폐밸브, 제4냉수개폐밸브, 제5냉수개폐밸브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은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온수 또는 냉수를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는 백 워싱과정,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정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린스하는 린스과정,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소금물을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소금물주입 및 순환과정,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온수 또는 냉수를 다시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는 클리어 백 워싱과정, 그리고 온수탱크 및 냉수탱크에 다시 온수 또는 냉수를 정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린스하는 린스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연수기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배관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정면에 설치되는 디스플레이판넬의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을 나타내는 계통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탱크 1a: 탱크캡
1b: 본체 2: 금속망
3: 이온교환수지 4: 원수공급관
5: 연수배출관 6: 토출코크
10: 온수탱크 11, 31: 입수구
12, 32: 출수구 13, 33: 3방향 연결구
14: 제1온수개폐밸브 15, 35: 3방향 연결구
16: 제2온수개폐밸브 17, 37: 4방향 연결구
18: 온수공급관 19: 온수배출관
20: 제3온수개폐밸브 21: 제4온수개폐밸브
22: 제5온수개폐밸브 30: 온수탱크
34: 제1냉수개폐밸브 36: 제2냉수개폐밸브
38: 냉수공급관 39: 냉수배출관
40: 제3냉수개폐밸브 41: 제4냉수개폐밸브
42: 제5냉수개폐밸브 50: 소금물주입관
51: 드레인관 60: 디스플레이판넬
60a: 시간표시부 60b: 시작버튼
60c: 재생버튼 60d: 시간설정버튼
60e: 시기설정버튼 60f: 업버튼
60g: 다운버튼 60h: 재생중 표시등
60i: 소금물주입 표시등 60j: 시작표시등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의 구조를 나타내는 배관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의 정면에 설치된 디스플레이판넬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는 온수탱크(10)의 입수구(11)와 출수구(12)사이의 배관상에 3방향 연결구(13), 제1온수개폐밸브(14), 3방향 연결구(15), 제2온수개폐밸브(16), 4방향 연결구(17)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온수개폐밸브(14)와 제2온수개폐밸브(16)사이의 3방향 연결구(15)에는 온수공급관(18)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온수개폐밸브(16)와 출수구(12)사이의 4방향 연결구(17)에는 온수배출관(19)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온수배출관(19)상에는 제3온수개폐밸브(2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냉수탱크(30)의 입수구(31)와 출수구(32)사이의 배관상에 3방향 연결구(33), 제1냉수개폐밸브(34), 3방향 연결구(35), 제2냉수개폐밸브(36), 4방향 연결구(37)가 순서대로 설치되어 있다.
상기 제1냉수개폐밸브(34)와 제2냉수개폐밸브(36)사이의 3방향 연결구(35)에는 냉수공급관(38)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제2냉수개폐밸브(36)와 출수구(32)사이의 4방향 연결구(37)에는 냉수배출관(39)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냉수배출관(39)상에는 제3냉수개폐밸브(40)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와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에는 각각 소금물공급관(50)이 연결되어 있다. 또한 온수탱크(10)의 입수구(11)와 제1온수개폐밸브사이(14)의 3방향 연결구(13)와,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와 제2온수개폐밸브(16)사이의 4방향 연결구(17)와, 냉수탱크(30)의 입수구(31)와 제1냉수개폐밸브(34)사이의 3방향 연결구(33)와, 그리고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와 제2냉수개폐밸브(36)사이의 4방향 연결구(37)에는 각각 드레인관(51)이 연결되어 있다.
상기 드레인관(51)상에는 각각 제4온수개폐밸브(21), 제5온수개폐밸브(22), 제4냉수개폐밸브(41), 제5냉수개폐밸브(42)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의 개폐밸브들은 모두 마이콤에 의해서 제어되는 전자식 개폐밸브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연수기에는 각종 조작버튼이 집중 설치되고 연수기의 작동상태와 시간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판넬(60)이 정면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판넬(60)에는 도 3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시간표시부(60a), 연수화를 시작시키는 시작버튼(60b),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을 실행하는 재생버튼(60c), 시간을 설정하는 시간설정버튼(60d),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를 설정하는 시기설정버튼(60e), 시간설정시 또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의 설정시에 시간표시부(60a)의 숫자를 업(up)시키는 업버튼(60f), 시간설정시 또는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시기의 설정시에 시간표시부(60a)의 숫자를 다운(down)시키는 다운버튼(60g),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작용시 점등되는 재생중 표시등(60h),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중 소금물을 공급할 때 점등되는 소금물주입 표시등(60i), 그리고 시작버튼(60a)을 눌렀을 때 점등되는 시작표시등(60j)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을 이용한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은 다음과 같이 실행된다.
먼저 연수화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시작버튼(60a)을 누르면 디스플레이판넬(60)의 시작표시등(60j)이 점등되고, 제1온수개폐밸브(14), 제3온수개폐밸브(20), 제1냉수개폐밸브(34), 제3온수개폐밸브(40)이 작동되어 개방된다.
그러면 온수는 온수공급관(18)을 통하여 유입되는데 제1온수개폐밸브(14)와 입수구(11)를 통하여 온수탱크(10)의 상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온수는 온수탱크(10)내의 이온교환수지에 의하여 연수화된후 출수구(12)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3온수개폐밸브(20)을 거쳐서 온수배출관(19)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냉수는 냉수공급관(38)을 통하여 유입되는데 제1냉수개폐밸브(34)와 입수구(31)를 통하여 냉수탱크(30)의 상부로 유입된다. 그리고 냉수는 냉수탱크(30)내의 이온교환수지에 의하여 연수화된후 출수구(32)를 통하여 배출되어 제3냉수개폐밸브(40)을 거쳐서 냉수배출관(39)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이 사용자가 연수를 공급받고자 할 때 디스플레이판넬(60)의 시작버튼(60a)을 누르면 시작표시등(60j)이 점등되고 연수화된 온수와 냉수가 공급된다.
연수기는 일정기간 사용하면 이온교환수지의 성능이 저하되므로 재생을 하여야 하는데 다음에 이온교환수지의 재생과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온교환수지의 재생은 3분 동안의 백 워싱(back washing), 1분 동안의 린스(rince), 7분 동안의 소금물주입 및 순환, 2분 동안의 클리어 백 워싱(clear back washing), 2분 동안의 린스(rince)과정을 거쳐서 행해지는데 이들 각각의 동작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 백 워싱(back washing)
사용자가 재생버튼(60c)을 누르면 재생중 표시등(60h)이 점등되고, 제2온수개폐밸브(16), 제4온수개폐밸브(21), 제2냉수개폐밸브(36), 제4냉수개폐밸브(41)가 작동되어 개방된다.
그러면 온수는 온수공급관(18), 제2온수개폐밸브(16), 출수구(12)를 통하여 온수탱크(10)의 하부로 유입되어 온수탱크(10)내의 이온교환수지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세척한후에 입수구(11), 제4온수개폐밸브(21)를 거쳐서 드레인관(51)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냉수는 냉수공급관(38), 제2냉수개폐밸브(36), 출수구(32)를 통하여 냉수탱크(30)의 하부로 유입되어 냉수탱크(30)내의 이온교환수지를 역방향으로 통과하면서 세척한후에 입수구(31), 제4냉수개폐밸브(41)를 거쳐서 드레인관(51)을 통하여 배출된다.
이와 같은 백 워싱의 작용은 3분동안 행한다.
- 린스(rince)
상기의 백 워싱의 작용이 끝나면 자동으로 린스작용이 행해지는데, 제1온수개폐밸브(14), 제5온수개폐밸브(22), 제1냉수개폐밸브(34), 제5냉수개폐밸브(42)가 작동하여 개방된다.
이 때 온수는 온수공급관(18), 제1온수개폐밸브(14), 입수구(11)를 통하여 온수탱크(10)의 상부로 유입되어 온수탱크(10)내의 이온교환수지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린스작용을 한후에 출수구(12), 제5온수개폐밸브(22)를 거쳐서 드레인관(51)을 통하여 배출된다.
그리고 냉수는 냉수공급관(38), 제1냉수개폐밸브(34), 입수구(31)를 통하여 냉수탱크(30)의 상부로 유입되어 냉수탱크(30)내의 이온교환수지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린스작용을 한후에 출수구(32), 제5냉수개폐밸브(42)를 거쳐서 드레인관(51)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린스작용은 1분동안 행해진다.
- 소금물주입 및 순환
상기의 백 워싱작용과 린스작용이 끝나면 소금물주입알람이 울린다. 이 때 사용자는 소금물주입관(50)에 펌프를 연결하여 소금물이 공급되도록 한후에 다시 재생버튼(60c)을 누르면 재생중 표시등(60h)과 소금물주입 표시등(60i)이 동시에 점등되고, 제4온수개폐밸브(21)와 제4냉수개폐밸브(41)가 작동하여 개방된다.
그러면 소금물이 소금물주입관(50),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를 통하여 온수탱크(10)의 하부로 유입된후 상부의 입수구(11)를 통하여 온수탱크(10)를 빠져 나온후 드레인관(51)을 통하여 배출되고, 또한 소금물은 소금물주입관(50),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를 통하여 냉수탱크(30)의 하부로 유입된후 상부의 입수구(31)를 통하여 냉수탱크(30)를 빠져 나온후 드레인관(51)을 통하여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소금물주입 및 순환과정은 7분 동안 계속된다.
- 클리어 백 워싱(clear back washing)
상기의 소금물주입 및 순환과정이 끝나면 클리어 백 워싱과정이 2분 동안 행해지는데 클리어 백 워싱작용은 전술한 백 워싱작용과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즉 온수 또는 냉수가 각각 온수탱크(10)와 냉수탱크(30)를 역방향으로 흐르면서 이온교환수지에 대하여 세척작용을 행한다.
- 린스(rince)
상기 클리어 백 워싱 작용이 끝나면 이어서 린스작용이 2분 동안 행해지는데 전술한 린스작용과 동일한 방식으로 행해진다. 즉 온수와 냉수가 이온교환수지를 정방향으로 통과하면서 린스작용을 행한다.
상기와 같은 온수 또는 냉수의 연수화과정과 이온교환수지의 재생과정은 마이컴에 의하여 전자식으로 제어된다. 마이컴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밸브를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은 소금물을 주입하기 전과 후에 각각 백 워싱작용과 린스작용을 행하므로 재생효과가 우수하게 되고 또한 전자식 제어로 행해지므로 사용자게 편리하게 재생작업을 할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해서만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수정할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변경예나 수정예는 첨부한 본발명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Claims (2)

  1. 온수탱크(10)의 입수구(11)와 출수구(12)사이에 연결된 배관상에 순서대로 설치된 3방향 연결구(13), 제1온수개폐밸브(14), 3방향 연결구(15), 제2온수개폐밸브(16), 4방향 연결구(17);
    상기 제1온수개폐밸브(14)와 제2온수개폐밸브(16)사이의 3방향 연결구(15)에 연결된 온수공급관(18), 상기 제2온수개폐밸브(16)와 출수구(12)사이의 4방향 연결구(17)에 연결된 온수배출관(19), 상기 온수배출관(19)상에 설치된 제3온수개폐밸브(20);
    냉수탱크(30)의 입수구(31)와 출수구(32)사이의 배관상에 순서대로 설치된 3방향 연결구(33), 제1냉수개폐밸브(34), 3방향 연결구(35), 제2냉수개폐밸브(36), 4방향 연결구(37);
    상기 제1냉수개폐밸브(34)와 제2냉수개폐밸브(36)사이의 3방향 연결구(35)에 연결된 냉수공급관(38), 상기 제2냉수개폐밸브(36)와 출수구(32)사이의 4방향 연결구(37)에 연결된 냉수배출관(39), 상기 냉수배출관(39)상에 설치된 제3냉수개폐밸브(40);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와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에 각각 연결된 소금물공급관(50);
    상기 온수탱크(10)의 입수구(11)와 제1온수개폐밸브(14)사이의 3방향 연결구(13)와, 온수탱크(10)의 출수구(12)와 제2온수개폐밸브(16)사이의 4방향 연결구(17)와, 냉수탱크(30)의 입수구(31)와 제1냉수개폐밸브(34)사이의 3방향 연결구(33)와, 그리고 냉수탱크(30)의 출수구(32)와 제2냉수개폐밸브(36)사이의 4방향 연결구(37)에 각각 연결된 드레인관(51); 그리고
    상기 드레인관(51)상에 각각 설치된 제4온수개폐밸브(21), 제5온수개폐밸브(22), 제4냉수개폐밸브(41), 제5냉수개폐밸브(4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2.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온수 또는 냉수를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는 백 워싱과정,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온수 또는 냉수를 정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린스하는 린스과정,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소금물을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는 소금물주입 및 순환과정,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온수 또는 냉수를 다시 역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세척하는 클리어 백 워싱과정, 그리고
    온수탱크(10) 및 냉수탱크(30)에 다시 온수 또는 냉수를 정방향으로 흐르게 하여 내부의 이온교환수지를 린스하는 린스과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
KR1019970011346A 1997-03-29 1997-03-29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190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346A KR100190545B1 (ko) 1997-03-29 1997-03-29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1346A KR100190545B1 (ko) 1997-03-29 1997-03-29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198A KR19980075198A (ko) 1998-11-16
KR100190545B1 true KR100190545B1 (ko) 1999-06-01

Family

ID=195012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1346A KR100190545B1 (ko) 1997-03-29 1997-03-29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054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70B1 (ko) * 2002-03-20 2004-05-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용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0070B1 (ko) * 2002-03-20 2004-05-03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연수기용 이온교환 수지의 재생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75198A (ko) 1998-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0545B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193957B1 (ko) 연수기의 배관 시스템
KR100190546B1 (ko) 연수기의 전자동이온교환수지재생시스템
KR100193046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CN104990253A (zh) 热水器
KR100193048B1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20080103128A (ko) 냉온 혼합형 하향식 자동화 연수기
JP2003117550A (ja) 水道水軟水化装置
KR200143166Y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 재생시스템
KR200143164Y1 (ko) 연수기의 개폐밸브설치구조
KR100214227B1 (ko) 연수기용 이온교환수지 재생시스템의 제어방법
KR200143603Y1 (ko) 연수기의 이온교환수지재생키트
JP3146968B2 (ja) 軟水器
KR200143165Y1 (ko) 냉온 연수기
KR100193047B1 (ko) 순간온수장치내장형 연수기
KR19980077112A (ko) 연수기의 연수 및 재생 시스템
KR100214228B1 (ko) 연수기의 자동보호방법
CN204787199U (zh) 热水器
KR19980077109A (ko) 연수기의 전자동 이온교환수지재생방법
KR100232117B1 (ko) 솔레노이드 밸브를 이용한 자동세척식 연수기
KR100527387B1 (ko) 이온교환수지 자동재생 연수기 및 자동재생 방법
JPH08155448A (ja) 軟水器の制御方法
KR19990003666A (ko) 연수기의 이온교화수지 재생방법
JP3446940B2 (ja) 軟水器
KR200317451Y1 (ko) 이온교환수지 자동재생 연수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03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