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0483B1 -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 - Google Patents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0483B1
KR100190483B1 KR1019950037951A KR19950037951A KR100190483B1 KR 100190483 B1 KR100190483 B1 KR 100190483B1 KR 1019950037951 A KR1019950037951 A KR 1019950037951A KR 19950037951 A KR19950037951 A KR 19950037951A KR 100190483 B1 KR100190483 B1 KR 10019048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aying
thermal spraying
thermal
workpiece
spray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37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17899A (ko
Inventor
이마이슈이치
이토우히로시
Original Assignee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무라히로까즈, 미쯔비시 지도샤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무라히로까즈
Publication of KR9600178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78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048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048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3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CHEMICAL SURFACE TREATMENT; DIFFUSION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INHIBITING CORROSION OF METALLIC MATERIAL OR INCRUSTATION IN GENERAL
    • C23CCOATING METALLIC MATERIAL; COATING MATERIAL WITH METALLIC MATERIAL; SURFACE TREATMENT OF METALLIC MATERIAL BY DIFFUSION INTO THE SURFACE, BY CHEMICAL CONVERSION OR SUBSTITUTION; COATING BY VACUUM EVAPORATION, BY SPUTTERING, BY ION IMPLANTATION OR BY CHEMICAL VAPOUR DEPOSITION, IN GENERAL
    • C23C4/00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 C23C4/12Coating by spraying the coating material in the molten state, e.g. by flame, plasma or electric discharge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spraying
    • C23C4/129Flame spray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16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 B05B7/2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by flame or combustion
    • B05B7/201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by flame or combustion downstream of the nozzle
    • B05B7/2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material to be sprayed by flame or combustion downstream of the nozzle the material to be sprayed having originally the shape of a wire, rod or the lik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ating By Spraying Or Casting (AREA)
  • Nozzles (AREA)

Abstract

가격의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하는 용사재의 용사벙법 및 용사장치를 제공한다.
싱크로링(11)을 공작물 유지판(74)위에 위치 결정 유지하여 회전시키는 한편, 용사건(93)에서 용융된 몰리브덴을 고압가스로 분사하여 예비용사 후, 용사건(93)을 주 용사위치로 이동하여 싱크로링(11)에 용사하여 일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고, 그후 용사건(93)을 예비 용사 위치로 이동하여 소화하며, 몰리브덴 와이어(M)를 돌출하여 냉각 가스에 의해 냉각하고 일정의 용사 돌출 길이로 설정한다.

Description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부품이나 생산기계 등에 사용되는 내구성을 필요로 하는 부품에 몰리브덴 등의 용사재를 용사하여 내구성을 향상시키는 용사재(溶射材)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최근, 승용차나 화물차용의 엔진은 그 고출력화에 따라서 예를들면, 변속기의 싱크로나이저 부품에 대한 내구성의 향상 및 시프트(變速) 감각의 향상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종래의 싱크로나이저 부품으로서의 싱크로나이저 센터콘이나 싱크로나이저 링에는 그 미끄럼 운동면에 몰리브덴 등의 경도가 높은 재료를 용사하여 용사막을 형성하는 것으로써 내구성의 향상을 도모하고 있다.
제 12A 도에 싱크로나이저 센터콘을, 제 12B 도에 싱크로나이저 링을 각각 도시하며, 제 13 도에 종래의 몰리브덴 용사장치 및 그 용사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와 제 14 도에 용사후의 용사막의 단면을 나타낸다.
제 12A 도에 도시하듯이 싱크로나이저 센터콘(11)은 링 형상을 이루고 6개의 고리부(1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주면(13)과 내주면(14)이 용사면이고, 고리부(12)와 상단면(15), 하단면(16)이 비용사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제 12B도에 도시하듯이 싱크로나이저 링(21)은 링 형상을 이루어 외주에 기어(22)가 일체로 형성되어 내주면(24)이 용사면이며, 외주면(23)과 상단면(25), 하단면(26)이 비용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와같은 싱크로나이저 센터콘(11) 혹은 싱크로나이저 링(21)의 각 용사면에 몰리브덴을 용사하는 종래의 몰리브덴 용사장치는 제 13 도에 도시하듯이 용사건(001)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 용사건(001)은 도시하지 않은 안내기구에 의해 동일 도면에서 화살표(X)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사건(001)에는 선 형상의 몰리브덴 와이어(002)를 유지하여 송출하기 자유로우며 동시에 가연성가스, 예를들면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공급배관(003, 004)이 접속되어 양자의 혼합 가스를 공급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한편, 싱크로나이저 센터콘(이하 싱크로링이라고 칭함)(11)은 다수 겹쳐진 상태로 치구(005)에 셋트되며 동일 도면에서 화살표(Y)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치구(005)에 셋트된 다수의 싱크로링(11)을 회전시키는 한편, 용사건(001)에서 몰리브덴 와이어(002)를 송출함과 함께 공급배관(003, 004)에서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를 공급하여 그 혼합가스에 점화하는 것으로 몰리브덴 와이어(002)를 용융하여 고압에어에 의해 이것을 분사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용사건(001)을 이동시키면 싱크로링(11)의 내면에 몰리브덴이 용사된다.
제 14 도에 도시하듯이 이와같이 싱크로링(11)의 내면에 용사된 몰리브덴의 용사막 두께는 T1이며, 기계가공에 의해 막두께는 T2까지 절삭 가공되어 나사 모양의 오일홈(S)을 형성하고 있다.
그런데, 싱크로링(11)의 내면에 용사되는 몰리브덴은 경도가 높으며 충분한 내구성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고가인 재료로 되어 있다. 상기한 종래 용사재의 용사방법에 있어서는 싱크로링(11)의 내면에 막두께(T1)까지 몰리브덴을 용사하며, 기계가공에 의해 막두께(T2)까지 절삭 가공하고 있으며 깍여 나온 몰리브덴은 폐기 처분되고 있다. 그 때문에 낭비가 많고 싱크로링(11)의 제조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싱크로링(11)의 내면에 몰리브덴 용사막을 기계가공에 의해 절삭 가공하는 경우 몰리브덴은 경도가 높기 때문에 그것을 고려하여 다이아몬드 공구가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장기적으로 사용함에 의해 다이아몬드 공구의 마모는 현저하며, 이 다이아몬드 공구의 조기 마모에 의해서도 싱크로링(11)의 제조 가격이 높아진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는 것으로서, 가격의 저감을 도모함과 함께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한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용사재의 용사방법은 공작물의 소정개소에 용사재를 용사하는 용사방법에 있어서, 공작물을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한편, 예비용사 위치에 대기한 용사건에서 분사된 가연성 가스 및 산소의 혼합가스에 점화하여 소정 속도로 송출된 가늘은 선(wire) 형상의 유사재를 용융하고, 예비 용사건을 주 용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공작물에 대하여 상기 용융한 용사재를 용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써 상기 공작물의 소정위치에 소정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며, 그 후 상기 용사건을 예비 용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혼합가스의 공급을 정지하는 것으로 소화시킨 후 상기 용사건에서 용사재를 용사시의 송출 속도보다 고속으로 소정길이 송출하여, 송출된 용사재에 냉각가스를 분사하여 냉각하며, 냉각된 용사재를 끌어 넣어 소정의 용사 돌출 길이로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 용사방법은,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을 회전하고, 그 회전하는 공작물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용사하여 주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공작물의 소정위치에 소정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방법은 용사건에 의한 공작물의 주 용사작업전에 상기 공작물의 비 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방법은 용사건에 의한 공작물의 예비 용사 작업시 및 주 용사 작업시의 용사건에서 용사된 공작물에 부착되지 않고 비산된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는 공작물의 소정개소에 용사재를 용사하는 용사장치에 있어서, 공작물을 소정위치에 위치 결정되어 유지하는 공작물 유지기구와, 상기 공작물 유지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에 대하여 비 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는 공작물 마스킹기구와, 상기 공작물 유지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공작물 회전기구와, 분사된 가연성 가스 및 산소의 혼합가스에 점화되어 소정 속도로서 송출된 가늘은 선 형상의 용사재를 용융하여 상기 공작물에 상기 용융된 용사재를 고압가스에서 용사하는 용사건과, 상기 용사건에서의 용사재의 송출 및 끌어당겨 넣기를 구동 제어하는 용사재 구동 제어기구와 상기 용사건을 예비 용사면에 대향하는 예비 용사 위치와 상기 공작물에 대향하는 주 용사 위치등에 이동 자유로이 지지되는 용사건 이동 기구등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는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의 비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부재를 가지며, 상기 마스킹 부재에는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를 공작물에 부착시키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달아나는 달아나는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는 공작물 유지 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의 근방에 예비 용사 위치에 위치하는 용사건에서 용사된 용사재를 받는 예비 용사 받이 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예비 용사 받이 부재에는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를 공작물에 부착시키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달아나는 달아나는 면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는 용사건에서 용사되어 공작물에 부착시키지 않고 비산되는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집진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는 용사건에 의한 주 용사작업이후에 상기 용사건에서 돌출된 용사재를 냉각하는 냉각기구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제 1 도는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용사재의 용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
제 2 도는 본 실시예의 용사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제 3 도는 공작물의 외부면 용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4 도는 공작물의 내부면 용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5 도는 공작물의 내부면 용사장치의 용사건(thermal spraying gun) 이동 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6 도는 용사건의 배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
제 7 도는 용사건의 단면도.
제 8 도는 용사건의 평면도.
제 9 도는 내부면 용사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
제 10 도는 내부면 용사시에 용사재의 용사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
제 11 도는 공작물의 내부면 용사작업의 흐름도.
제 12A도 및 제 12B 도는 싱크로나이저 센터콘 및 싱크로나이저 링의 사시도.
제 13 도는 종래의 몰리브덴의 용사장치 및 용사방법을 나타내는 개략도.
제 14 도는 용사부의 용사막의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싱크로나이저 센터콘(싱크로링) 12 : 고리부
13 : 외주면(피용사 개소) 14 : 내주면(피용사 개소)
15 : 상단면(피용사 개소) 16 : 하단면(피용사 개소)
31 : 반입 컨베이어 33 : 외부면 용사장치
34 : 내부면 용사장치 36 : 반출 컨베이어
37 : 반송용 로보트 38, 39 : 집진 덕트
43, 67 : 구동모터(공작물 회전기구) 50, 74 : 공작물 유지판(공작물 유지기구)
74b : 피용사면(달아나는 면) 50a, 74b : 외주벽(공작물 마스킹 기구)
59a, 88a : 외주고리(공작물 마스킹 기구) 88b : 피용사면(달아나는 면)
60 : 회전축(예비용사 받이부재) 89 : 돌출판(예비용사 받이부재)
89a : 달아나는 면 91, 92 : 용사건
92, 94 : 용사건 이동기구 122 : 몰리브덴 와이어 공급 장치
123 : 아세틸렌 가스 용기 124 : 산소 용기
125, 126, 129 : 배관 127 : 유량 제어반
128 : 에어 컴프레서(냉각기구) M : 몰리브덴(용사재)
133, 134 : 송출 롤러 138 : 구동모터(용사재 구동 제어기구)
본 발명 용사재의 용사방법에 의해 공작물에 용사재를 용사할 경우 공작물을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 유지하는 한편, 에비 용사위치의 용사건에서 분사된 혼합가스를 점화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고압가스로써 분사하여 예비용사를 행하는 용사재의 용융입자가 안정된 후 이 용사건을 주 용사위치로 이동하여 공작물에 대해 용융된 용사재를 분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공작물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한다. 소정막 두께의 용사막 형성후 용사건을 예비 용사위치로 이동한다. 한편, 혼합가스의 공급을 정지하여 소화시킨 후 용사재를 보내는 속도보다 고속으로 송출하여 냉각가스에 의해 냉각하고 용사재를 되돌린 다음 용사작업을 개시하는 소정의 용사 돌출 길이로 설정하는 것으로 용사작업을 완료한다. 이와같이 1개의 공작물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분사하여 소정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는 것에 의해 용사재의 낭비가 없게 된다. 또한, 공작물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한 후에 용사재를 송출하여 냉각 가스에 의해 냉각하는 것에 의해 용사건 분사구에의 용사재의 용착이 방지된다.
또한,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을 회전하여 이 회전하는 공작물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용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공작물의 소정 위치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며, 거기에다 이 용사막은 공작물의 회전 방향으로 균일한 막 두께로 된다.
또한, 용사건에 의한 공작물의 주 용사 작업전에 공작물의 비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는 것으로 용사되어지는 개소만을 용사할 수 있다.
또한, 용사건에 의한 공작물의 예비용사 작업 및 주 용사작업시에 용사건에서 용사되어 공작물에 부착되지 않는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것으로 장치 주변으로의 용사재 입자의 비산이 방지된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의해 공작물에 용사재를 용사하는 경우 공작물 유지기구에 의해 공작물을 소정위치로 위치결정 유지함과 함께 공작물 마스킹 기구에 의해 공작물의 비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며, 공작물 회전기구에 의해 공작물을 회전시킨다. 한편, 예비용사 위치에서 용사재 구동 제어기구에 의해 용사재 구동 제어기구에 의해 용사건에서 용사재를 소정속도로 송출함과 함께 분사된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혼합가스에 점화하여 용사재를 용융하며 이 용융된 용사재를 고압가스로 분사하여 예비용사를 행하며, 그 후 용사전 이동 기구에 의해 용사건을 주 용사위치로 이동하여 회전하는 공작물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분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공작무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한다. 소정 두께의 용사막 형성후 용사건을 예비 용사위치로 이동하여 공작물의 회전을 정지한다. 한편, 용사재 구동 제어기구에 의해 용사재의 송출을 정지함과 함께 혼합가스의 공급을 정지하여 화염을 소화시키고 용사작업을 완료한다.
또한 공작물 마스킹 기구의 마스킹 부재에 달아나는 면이 형성된 것으로 용사건에서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는 공작물의 비용사 개소 및 마스킹 부재에는 부착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달아나게 된다.
또한, 에비 용사위치에 위치하는 요건에서 용사된 용사재를 받는 예비 용사 받이 부재에 달아남 면이 형성되어진 것으로써 용사건에서 예비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는 이 예비용사 받이 부재에는 부착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달아나게 된다.
또한, 용사건에서 용사되어 공작물에 부착되지 않고 비산된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집진기구가 설치된 것으로써, 장치 주변으로의 용사재 입자의 비산 및 부착이 방지된다.
또한, 용사건에 의한 주 용사 작업부에 용사건에서 돌출된 용사재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가 설치된 것으로써, 용사건의 분사구에 용사재 용착이 방지된다.
(실시예)
이하 도면에 근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에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봉사재의 용사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용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정면도를, 제 2 도에 본 실시예의 용사장치의 전체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를, 제 3 도에 공작물의 외부면 용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제 4 도에 공작물의 내부면 용사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제 5 도에 공작물의 내면 용사장치의 용사건 이동기구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제 6 도에 용사건의 배관 구성을 나타내는 구성도를, 제 7 도에 용사건의 단면도와 제 8 도에 용사건의 평면도를, 제 9 도에 내부면 용사의 작용을 나타내는 개요도를, 제 10 도에 내부면 용사시 용사재의 용사상태를 나타내는 개요도를, 제 11 도에 공작물의 내부면 용사작업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거기에다, 종래의 기술에서 설명한 것과 같은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의 부호를 붙여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아래에 나타내는 본 실시에인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있어서는 용사재로 몰리브덴을 이용하며, 이 몰리브덴을 공작물로써의 변속기 싱크로나이저 부품의 싱크로나이저 센터콘(이하, 싱크로링이라고 칭함)에 용사하는 경우에 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있어서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하듯이 싱크로링(11)이 반입되는 반입 컨베이어(31)에 인접하여 블라스트 장치(32) 및 외부면 용사장치(33), 내부면 용사장치(34), 위치 맞춤장치(35)가 나란히 설치되어 있으며 위치 맞춤장치(35)에 인접하여 반출 컨베이어(36)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것들의 각 장치에 따라서 싱크로링(11)의 반송을 행하는 1쌍의 반송용 로보트(37)가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또한, 외부면 용사장치(33)와 내부면 용사장치(34)와의 사이에는 집진덕트(38, 39)가 설치되어 있다.
블라스트 장치(32)는, 블라스트 부재를 불어 붙여서 표면을 거칠게 하는 것이다. 외부면 용사장치(33)는 싱크로링(11)의 외주면에 몰리브덴을 용사하는 것이며, 내부면 용사장치(34)는 싱크로링(11)의 내주면에 몰리브덴을 용사하는 것이다. 그리고, 위치 맞춤 장치(35)는 맞추어지는 것에 의해 싱크로링(11) 용사면의 오목·블록을 제거하는 것이다.
이하 외부면 용사장치(33) 및 내부면 용사장치(34)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3 도에 도시하듯이 외부면 용사장치(33)에 있어서, 틀 모양의 프레임(41)의 중앙부의 지지반(42)에는 공작물 회전기구로써의 구동모터(43)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모터(43)에는 출력축(44)이 지지반(42)의 윗쪽으로 돌출되어 설치되어 있다. 지지반(42)의 윗면에는 지지통(45)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통(45)내에는 베어링(46)을 끼어서 회전통(47)이 회전 자유로이 지지되며 이 회전통(47)은 구동모터(43)의 출력축(44)과 키(48)에 의해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회전통(47)의 상부에는 연결판(49)이 장착되어 이 연결판(49) 위에는 공작물 유지기구로써의 공작물 유지판(50)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작물 유지판(50)의 외주면에는 공작물로써의 싱크로링(11) 비 용사개소(고리부(12), 하단면(16))를 마스킹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로써의 외주벽(50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 모양의 프레임(41)의 윗벽(52)에는 지지통(53)에 의해 이동축(54)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이동축(54)의 상단부는 에어실린더(55)의 구동로드가 연결부재(56)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동축(54)의 하단부는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을 끼어서 회전체(57)가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이 회전체(57)의 아랫면에는 앞이 가늘을 연결통(58)을 낀 공작물 유지기구로써의 누름 원판(59)이 고정되며, 외주부에는 싱크로링(11)의 비용사 개소(상단면(15))를 마스킹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로써의 외주 고리(59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결통(58)의 외주부에는 예비 용사 받이 부재로써의 회전통(60)이 아랫쪽으로 평행하게 내려서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싱크로링(11)은 공작물 유지판(50)위에 위치결정 유지되며 이 상태에서 구동모터(43)를 구동하여 출력축(44)을 회전 구동하면 회전통(47) 및 연결판(49)을 거쳐서 공작물 유지판(50)이 회전되는 것으로 이 공작물 유지판(50)위에 유지된 싱크로링(11)를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에어실린더(55)를 구동하여 연결부재(56)를 거쳐서 이동축(54)을 축방향 아랫쪽으로 이동하며, 회전체(57) 및 연결통(58)을 거쳐서 누름원판(59)이 싱크로링(11)에 밀려 늘려지게 되며, 누름원판(59)은 싱크로링(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거기에다 용사건(91)은 지지반(42)의 윗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늘은 선형상의 몰리브덴 와이어(M)를 소정속도로 송출함과 함께, 가연성, 가스인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혼합 가스를 공급하며, 이 혼합 가스에 점화로 몰리브덴 와이어(M)를 용융하여 고압가스에 의해 용사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몰리브덴 와이어(M)의 송출 및 끌어당겨넣기는 후술하는 구동제어기구에 의해 그 송출 속도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사건(91)은 후술하는 용사건 이동기구(92)에 의해 소정위치로 유지된 싱크로링(11)에서 후퇴된 후퇴 위치와 예비 용사위치와, 주 용사 위치등으로 이동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용사건(91)의 용사방향 전방에는 싱크로링(11)에 부착되지 않고 비산된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집진덕트(38)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내면 용사장치(34)에 있어서, 제 1 도 및 제 4 도 에 도시하듯이 틀모양의 프레임(61)의 중앙부 지지판(62)의 윗면에는 지지통(63)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지지통(63)에는 베어링(64)를 거쳐서 회전통(65)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이 회전통(65)에는 외부기어인 링 기어(66)가 고정되어 있다. 또한 이 회전통(65)에 인접하여 지지반(62)에는 공작물 회전 기구로써의 구동 모터(67)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 모터(67)의 도시하지 않은 출력축에는 출력기어(68)가 일체로 회전 가능하게 고정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이 출력기어(68)는 제 1 연결 기어(69)를 거쳐서 회전축(70)의 하단부에 고정 결합된 제 2 연결기어(71)와 끼워맞추며 이 회전축(70)의 상단부에 고정 결합된 제 3 연결 기어(72)는 회전통(65)의 링 기어(66)와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회전통(65)에는 연결판(73)이 장착되며, 이 연결판(73)에는 공작물 유지기구로써의 공작물 유지판(74)이 고정 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공작물 유지판(74)의 외주부에는 공작물로써의 싱크로링(11)의 비 용사 개소(고리부(12), 하단면(16))을 마스킹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로써의 외주벽(74a)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틀 모먕의 프레임(61)의 윗벽(77)에는 지지통(78)에 의해 이동축(79)이 승강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이동축(79)의 상단부는 에어실린더(80)의 구동 로드가 연결 부재(81)를 거쳐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이동축(79)의 하단부에는 지지축(82)이 고정 연결되며, 이 지지축(82)에는 베어링(83)을 거쳐서 회전체(84)가 회전 자유로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회전체(84)의 하부에는 회전판(85)이 고정되며 회전판(85)에는 복수의 연결로드(86)를 거쳐서 장착판(87)이 고정되어 있고, 이 장착판(87)에는 공작물 유지 기구로써의 누름 원판(88)이 고정되며 외주부에는 싱크로링(11)이 비 용사 개소(상단면(15))을 마스킹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로써 외주 고리(88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지지반(62)에는 예비 용사 받이 부재로써 돌출판(89)이 경사진 윗쪽 방향으로 향하여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싱크로링(11)은 공작물 유지판(74)위에 위치 결정 유지되며, 이 상태로 구동 모터(67)를 구동하여 출력기어(68)를 회전 구동하면, 각 연결 기어(69, 71, 72)를 거쳐서 링기어(66)가 회전되며, 회전통(65) 및 연결판(73)을 거쳐서 공작물 유지판(74)이 회전되는 것으로 이 공작물 유지판(74) 위에 유지된 싱크로링(11)을 회전할 수 있다. 이때, 에어 실린더(80)를 구동하여 연결 부재(81)를 거쳐서 이동축(79)을 축 방향 아랫쪽으로 이동하면 회전체(84) 및 회전판(85) 등을 거쳐서 누름 원판(88)이 싱크로링(11)을 밀어누르게 되어 밀어 누름 원판(88)은 싱크로링(11)과 함께 회전할 수 있게 된다.
뿐만아니라, 용사건(93)은 지지반(62)의 아랫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가늘은선 형상의 몰리브덴 와이어(M)를 소정속도로써 송출함과 함께 가연성 가스로서의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혼합가스를 공급하여 이 혼합가스에 점화로 몰리브덴 와이어(M)를 용융하여 고압 가스에 의해 용사할 수 있다. 뿐만아니라 몰리브덴 와이어(M)의 송출 및 끌어당겨 넣기는 후술하는 구동 제어 기구에 의해 그 송출 속도가 제어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용사건(93)은 후술하는 용사건 이동기구(94)에 의해 소정위치에 유지된 싱크로링(11)에서 후퇴된 후퇴 위치와 예비 용사 위치와 주 용사 위치 등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어 있다. 또한, 용사건(93)의 용사 방향 전방에는 싱크로링(11)에 부착되지 않고 비산된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집진덕트(39)가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한 외부면 용사장치(33) 및 내부면 용사장치(34)의 각 용사건(91, 93) 및 그 이동기구(92, 94), 몰리브덴 와이어(M)의 구동 제어 기구등에 관하여 설명하지만 이것들은 외부면 용사장치(33)와 내부면 용사장치(34) 등에서 거의 마찬가기의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하에서는 내부면 용사장치(34)에 관하여서만 설명한다.
내부면 용사장치(34)의 용사건(93) 및 그 이동기구(94)에 있어서 제 1 도 및 제 5 도에 도시하듯이 프레임(61)의 기반(101, 基盤)에는 장착 브라켓(102)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장착 브라켓(102)에는 구동 모터(103)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이 구동모터(103)의 아랫쪽을 향하는 출력축(104)에는 출력기어(105)가 고정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장착 브라켓(102)에는 직립하는 나사축(106)이 회전자유로이 지지되어 있으며 이 나사축(106)의 하단부에는 종동기어(107)가 고정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출력기어(105)와 종동기어(107), 연결기어(108)를 거쳐서 구동 연결되어 있다. 상기한 나사축(106)에는 이동체(109)가 결합되어 있으며, 이 이동체(109)는 나사축(106)의 회전에 대하여 회전 불가능하며, 나사축(106)의 회전에 의해 축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나사축(106)의 회전에 의해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이동체(109)에는 이동판(110)이 고정되어 있으며, 이 이동판(110)에는 같은 길이로 1쌍의 평행을 이루는 링(111, 112)의 기단부(基端)가 회전축(113, 1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각 링(111, 112)의 선단부에는 연결축(115, 116)에 의해 장착판(117)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이동판(110)에는 구동모터(118)가 장착되며 구동축이 링(112)의 기단부에 고정 연결되어 있다. 또한 장착판(117)에는 장착 브라켓(119)를 거쳐서 용사건(93)이 장착되어 있다. 뿐만아니라, 나사축(106)의 외주부에는 방진용의 벨로우즈(120)가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03)에 의해 출력축(104)을 회전구동하면 출력기어(105) 및 연결기어(108), 종동기어(107)를 거쳐 나사축(106)이 회전되고, 이 나사축(106)의 회전에 이해 이동체(109) 및 이동판(110)이 상하 운동하며, 각 링(111, 112) 및 장착판(117)을 거쳐 용사건(93)을 제 5 도에 각각 2 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예비 용사위치와 주 용사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구동 모터(118)를 구동하면 1쌍의 링(111, 112)이 요동함으로써 장착판(117)을 거쳐서 용사건(93)을 제 5 도에 2 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예비 용사위치와 실선으로 도시하는 후퇴 위치와의 사이에서 이동할 수 있다.
제 6 도에 도시하듯이 용사건(93)에 인접하여 몰리브덴 와이어(M)가 감겨진 릴(121)이 회전 자유로이 지지된 몰리브덴 와이어 공급장치(122)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용사에 필요한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가 저장된 용기(123, 124)가 설치되어 있으며, 배관(125, 126)에 의해 압력 유량 제어판(127)을 거쳐서 용사건(93)에 접속되어 있다. 거기에다, 용사에 필요한 에어 컴프레서(에어 드라이어)(128)가 배관용기(129)에 의해 용사건(93)에 접속되어 있다. 뿐만아니라, 배관(125, 126)의 도중에는 불씨용(種火用) 및 용사용(主溶射用)의 밸브(125a, 125b 및 126a, 126b)가 각각 끼어 장착되는 한편, 배관(129)에는 주 용사 및 불씨, 냉각용의 밸브(129a, 129b, 129c)가 각각 끼워 장착되어 있다.
또한, 용사건(93)은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하듯이 하우징(131)에 몰리브덴 와이어(M)의 삽통구멍(13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삽통구멍(132)의 양측에는 외주면에 세레이션 가공된 1 쌍의 송출롤러(133, 134)가 회전 자유로이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한쪽 송출롤러(133)는 자유 회전 가능하며, 다른 쪽의 송출롤러(134)의 회전축에는 제 1 베벨기어(135)가 고정 연결되어 있고, 이 제 1 베벨기어(135)에는 제 2 베벨기어(136)가 끼워 맞추어져 있으며 이 제 2 베벨기어(136)의 회전축에는 종동기어(137)가 고정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하우징(131)에는 구동모터(138)가 장착되어 있으며, 이 구동모터(138)의 출력축에 고정 연결된 구동기어(139)가 종동기어(137)에 끼워 맞추어져 있다. 또한 하우징(131)의 선단부에는 노즐(140)이 장착되어 있고, 이 노즐(140)에는 삽통구멍(132)과 동일 직선상에 가스 분사구멍(141)이 형성되어 있고, 이 가스 분사구멍(141)에는 가스 연통구멍(142)을 거쳐서 각 배관(125, 126, 129)이 연결되어 있다. 거기에다, 하우징(131)에는 점화 플러그(143)이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모터(138)에 의해 구동기어(139)를 회전구동하면 종동기어(137) 및 제 2 베벨기어(136), 제 1 베벨기어(135)에 거쳐서 송출롤러(134)가 회전되며, 이 송출롤러(134)와 몰리브덴 와이어(M)를 대하여 접하는 송출롤러(133)가 함께 회전되는 것으로 몰리브덴 와이어(M)의 송출, 혹은 끌어당겨 넣기를 행할 수 있다. 또한, 밸브(125a, 125b, 126a, 126b, 129a, 129b)를 개방하여 용기(123, 124)내의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 고압가스를 배관(125, 126, 129)을 거쳐서 용사건(93)에 공급하면,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혼합가스는 고압가스에 의해 연통구멍(142)을 거쳐 노즐(140)의 가스 분사구멍(141)에서 분사할 수 있다. 그리고, 이때에 점화 플러그(143)에 의해 불꽃을 스파크시키면, 혼합가스가 점화되어 몰리브덴 와이어(M)를 용융하며, 이 용융된 몰리브덴 와이어를 분출하여 용사를 행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본 실시예의 용사 장치에 의한 싱크로링(11)의 용사 작업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 1 도 및 제 2 도에 도시하듯이 용사를 행하는 싱크로링(11)은 반입 컨베이어(31)에 의해 반입되며, 반송용 로보트(37)에 의해 인접한 블라스트 장치(32)로 반송된다. 그리고, 싱크로링(11)은 이 블라스트 장치(32)에 의해 블라스트재가 뿜어져 표면이 거친면(相面)으로 되어진다. 이어서, 싱크로링(11)은 반송용 로보트(37)에 의해 외부면 용사장치(33)로 반송되며, 여기에서 싱크로링(11)의 외주면으로 몰리브덴이 용사된다. 이어서, 싱크로링(11)은 반송용 로보트(37)에 의해 내부면 용사장치(34)에 반송되고, 여기에서 싱크로링(11)의 내주면이 몰리브덴이 용사된다. 외주면 및 내주면에 몰리브덴 용사가 완료된 싱크로링(11)은 반송용 로보트(37)에 의해 위치 맞춤장치(35)로 반송되며, 여기에서 싱크로링(11) 용사면의 오목, 볼록이 제거된다. 그리고 작업이 완료된 싱크로링(11)은 반출용 컨베이어(36)에 의해 반출된다.
여기에서, 내부면 용사장치(34)에 의한 싱크로링(11)의 몰리브덴 내주 용사작업에 관하여 제 11 도의 흐름도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거기에다. 외부면 용사장치(33)에 의한 싱크로링(11)의 몰리브덴 외주 용사작업도 거의 마찬가지이며, 설명은 생략한다.
스텝 S1 (제 1 도, 제 4 도)
반송용 로보트(37)에 의해 싱크로링(11)이 내부면 용사장치(34)에 반입되며, 이 싱크로링(11)은 공작물 유지판(74)위에 위치결정 유지된다.
스텝 S2 (제 1 도, 제 4 도)
이 상태에서 에어 실린더(80)를 구동하여 연결부재(81)를 거쳐 이동축(79)을 축방향 아랫쪽으로 이동하면 회전체(84) 및 회전판(85)등을 거쳐서 누름원판(88)이 하강하며, 싱크로링(11)을 밀어 누른다. 따라서, 싱크로링(11)은 누름 원판(88)과 공작물 유지판(74)으로 유지된 클램핑 상태로 된다.
스텝 S3 (제 4 도)
싱크로링(11)의 유지상태에서 구동모터(67)를 구동하면, 각 기어(68, 69, 71, 72)를 거쳐서 링 기어(66) 및 회전통(65)이 회전된다. 그러면 공작물 유지판(74)이 회전하게되며 이 공작물 유지판(74)위의 싱크로링(11)이 회전한다.
스텝 S4 (제 5도, 제 6 도)
용사건(93)은 구동모터(118)를 구동하여 1 쌍의 링(111, 112)을 요동시키는 것으로 후퇴 위치에서 예비 용사위치로 이동되고 있다. 여기에서 배관(125, 126)의 불씨용 밸브(125a, 126a)를 개방하여 용기(123, 124)내의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를 배관(125)을 거쳐 용사건(93)에 공급한다. 그러면 용사건(93)은 노즐(140)의 가스 분사구멍(141)에서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혼합 가스를 미소량 분사한다.
스텝 S5 (제 5 도, 제 6 도)
그리고, 이때에 점화 플러그(143)에 의해 불꽃을 점화시키면, 용사건(93)에서 분사된 아세틸렌 가스 및 혼합 가스에 점화되어 용사건(93)의 불씨점화(種火点火)로 된다.
스텝 S6 (제 5 도, 제 6 도)
이어서, 배관(125, 126)의 주 용사용 밸브(125b, 126b)를 개방하여 용기(123, 124)내의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를 배관(125, 126)을 거쳐서 용사건(93)에 공급함과 함께 배관(129)의 주 용사용 밸브(129b)를 개방하여 용기(128)내의 고압가스를 배관(129)을 거쳐서 용사건(93)에 공급한다. 그러면, 용사건(93)은 노즐(140)의 가스 분사구멍(141)에서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의 혼합 가스를 소정량 분사하게되며, 화염이 크게된다.
스텝 S7 (제 5 도, 제 7 도, 제 9 도)
그리고, 이 상태에서 용사건(93)의 구동모터(138)에 의해 구동기어(139)를 회전구동하면, 각 기어(137, 136, 135)을 거쳐 송출롤러(134)가 회전하여 몰리브덴 와이어(M)를 송출한다. 그러면, 연소된 혼합가스의 화염에 의해 송출된 몰리브덴 와이어(M)가 용융되며, 이 용융된 몰리브덴이 분출되어 예비 용사를 행한다. 이때, 용사건(93)에서의 몰리브덴은 돌출판(89)에 향하여 분사되지만, 돌출판(89)에 용사된 몰리브덴은 작은 입자모양으로 된다. 그리고, 돌출판(89)의 피 용사면이 몰리브덴의 분사방향에 대하여 둔각(鈍角)을 이루는 달아나는 면(89a)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이 몰리브덴 입자는 돌출판(89)의 표면에 부착시키지 않고 소정방향으로 튕켜날아가며, 비산된 몰리브덴 입자는 집진덕트(39)에서 흡인 수집된다.
스텝 S8 (제 5 도, 제 9 도, 제 10 도)
그리고, 예비 용사에 의해 몰리브덴의 용사 상태가 안정된 후 구동모터(103)를 구동하면, 각 기어(105, 108, 107)를 거쳐 나사축(106)이 회전되며 이동체(109) 및 이동판(11), 각 링(111, 112)을 거쳐서 용사건(93)을 상승시킨다. 즉, 용사건(93)을 예비 용사위치에서 주 용사위치로 이동시킨다. 그러면, 용사건(93)에서 분사된 용융된 몰리브덴이 회전하는 싱크로링(11)의 내주면(14)에 용사되어 주 용사를 행한다. 이때, 싱크로링(11)의 회전수를 카운트함으로써 싱크로링(11)의 내주면(14)으로의 몰리브덴 용사량을 규제하며, 그 용사층(T)의 두께를 제어하고 있다.
또한, 이때 몰리브덴은 싱크로링(11)의 내주면(14)에 대하여 용사건(93)에서 분사되어 그 용사된 몰리브덴은 작은 입자 형상으로 되며, 그 분사각 θ는 싱크로링(11)의 내주면(14)의 높이보다도 넓은 범위로 되어있다. 그 때문에, 몰리브덴의 싱크로링(11)의 비 용사면인 고리부(12)와 상단면(15), 하단면(16)에 용사되지 않도록 싱크로링(11)은 공작물 유지판(74)의 외주벽(74a) 및 누름원판(88)의 외주고리(88a) 에 의해 비 용사면이 마스킹되어 있다. 따라서, 용사건(93)에서 용사된 몰리브덴은 외주벽(74a) 및 외주고리(88a)에 가려져 싱크로링(11)의 고리부(12)와 상단부(15), 하단부(16)에는 부착되지 않는다.
그리고, 공작물 유지판(74)의 외주벽(74) 선단과 싱크로링(11)의 상단면(15)과의 사이에는 틈이 있으며, 또한, 외주벽(74a)의 피 용사면(74b)이 몰리브덴의 분사방향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달아나는 면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이 몰리브덴 입자는 피 용사면(74b)에 부착되지 않고 소정방향으로 튕겨날아서 틈을 통해 비산되고, 이 비산된 몰리브덴 입자는 집진덕트(39)에 흡인 수집된다. 또한, 누름원판(88)의 외주고리(88a) 선단과 싱크로링(11)의 내주면(14)과의 사이에도 틈이 있으며, 또한, 외주고리(88a)의 피 용사면(88b)이 몰리브덴의 분사방향에 대하여 둔각을 이루는 달아나는 면으로 되어 있는 것으로 이 몰리브덴 입자는 피 용사면(88b)에 부착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튕겨 날아가며, 비산된 몰리브덴 입자는 집진덕트(39)에 흡인 수집된다.
스텝 S9 (제 5 도, 제 9 도)
이와같이 해서 싱크로링(11)의 내주면(14)에 대하여 몰리브덴의 주 용사가 행하여지며, 소정 두께의 용사층(T)이 형성되면, 구동모터(103)을 전술한 것과 반대로 구동하여 나사축(106)의 회전에 의해 용사건(93)을 하강시킨다. 즉, 용사건(93)을 주 용사위치에서 예비 용사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으로 주 용사가 완료된다.
스텝 S10 (제 5 도, 제 6 도)
그리고, 배관(125, 126, 129)의 주 용사용 밸브(125b, 126b, 129b)를 닫으며, 용기(123, 124, 128)내에서 배관(125, 126, 129)을 거쳐 용사건(93)으로의 아세틸렌 가스 및 산소 고압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그러면, 용사건(93)의 용 불꽃은 소화된다.
스텝 S11(제 5 도, 제 7 도)
한편, 용사건(93)의 구동모터(138)를 정지함으로써 송출롤러(134)의 회전도 정지하고 몰리브덴 와이어(M) 송출이 정지되어 이 몰리브덴 와이어(M)의 용융도 정지된다.
스텝 S12 (제 5 도, 제 7 도)
이와같이 해서 용사불꽃의 소화후, 다시 용사건(93)의 구동모터(138)를 구동하는 것으로 송출롤러(134)를 회전하여 몰리브덴 와이어(M)를 빨리보내서 소정 길이를 돌출한다. 이때에 용사건(93)에서 이 몰리브덴 와이어(M)를 돌출로 내보내는 길이는 몰리브덴 와이어(M)의 선단의 가열된 적열부(赤熱部)가 용사건(93)에서 전방으로 돌출로 내보내진 길이로서, 예를 들면, 20mm 정도로 된다. 그리고, 이때에 잔류가스를 연소시켜 역화(back fire)를 방지한다.
스텝 S13 (제 5 도, 제 6 도, 제 7 도)
용사건(93)에서 몰리브덴 와이어(M)가 소정량만 돌출되어 나오면, 배관(129)의 냉각용 밸브(129c)를 개방하여 에어 컴프레서(128) 내의 고압 공기를 배관(129)을 거쳐서 용사건(93)에 공급한다. 그러면, 용사건(93)은 노즐(140)의 가스 분사구멍(141)에서 대용량 가스를 분사하게 되며 몰리브덴 와이어(M)을 냉각한다.
스텝 S14(제 5 도, 제 7 도)
몰리브덴 와이어(M)를 냉각후 용사건(93)의 구동모터 (138)를 상술할 것과는 반대로 구동함으로써 송출롤러(134)를 역회전하고, 몰리브덴 와이어(M)를 끌어당겨 넣으며, 다음으로 공작물에 대하여 용사작업을 행할 수 있도록 용사건(93)은 노즐(140)로 부터의 몰리브덴 와이어(M)의 돌출길이를 조정한다. 이때에 용사건(93)에서 이 몰리브덴 와이어(M)를 돌출로 밀어내는 길이는 점화의 용이성을 고려한 길이로서 예를들면, 5mm 정도로 한다.
스텝 S15 (제 5 도, 제 6 도)
그리고, 배관(129)의 냉각용 밸브(129c)를 닫아서 용기(128)에서 용사건(93)으로 고압 가스의 공급을 정지한다.
스텝 S16 (제 4 도)
한편, 스텝 S9 에 주 용사가 완료되면 구동 모터(67)를 정지하며, 공작물 유지판(74)의 회전을 정지함으로써 이 공작물 유지판(74)위의 싱크로링(11)의 회전도 정지된다.
스텝 S17 (제 4 도)
그리고, 유압 실린더(80)를 구동하여 연결 부재(81)을 거쳐 이동체(79)를 축 방향 윗쪽으로 이동하여 회전체(84) 및 회전판(85)등을 거쳐서 누름 원판(88)을 상승시킴으로써 누름 원판(88)에 의한 싱크로링(11)의 클램핑을 해제한다.
스텝 S18 (제 1 도, 제 4 도)
클램핑이 해제되며, 공작물 유지판(74)위의 싱크로링(11)은 반송용 로보트(37)에 의해 반출되어서 다음 공정으로 보내진다.
이와 같이해서 싱크로링(11)의 내주면 용사 작업이 완료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용사제로 몰리브덴(M)을 이용하며 또한, 공작물로는 변속기의 싱크로링(11)을 적용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 방법 및 용사 장치는 이것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 실시예를 열거하여 상세히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 방법에 의하면 공작물을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 유지하는 한편, 예비 위치의 용사건에서 용융된 용사재를 고압 가스로 분사하여 예비 용사를 행한 후 이 용사건을 주 용사 위치로 이동하여 공작물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분사하여 주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공작물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고, 그 후 용사건을 예비 용사 위치로 이동하는 한편, 혼합 가스의 공급을 정지하여 소화시킨 후 용사재를 송출로 내보내는 속도보다 고속으로 소정길이를 송출하여 냉각 가스에 의해 냉각하고, 용사재를 되돌려 소정의 용사 돌출 길이로서 설정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점화 및 소화를 조작 반복하는 연속 용사가 가능하게 되어 적절한 용사 상태에서 공작물의 소정 위치로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예를 들면, 싱크로링등으로 요구되는 공작물 표면의 기름 홈을 형성하는 경우에 용사 작업의 이전 공정(前工程)에서 공작물 재료 표면에 미리 기름 홈을 형성하여 둘 수 있으며, 용사이후에 고경도의 용사면에 대한 기계 가공이 불필요하게 되며, 제조 가격을 저감하여 용사재의 낭비가 없이 제조 가격도 낮출수 있다. 또한, 용사 완료후에 용사재를 냉각하여 용사재 분사구의 용사재의 용착을 방지하고, 작업을 양호한 상태로 행하는 것으로써 작업성의 향상을 이룰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 방법에 의하면 소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을 회전하여 이 회전하는 공작물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용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공작물의 소정 위치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이 용사막은 공작물의 회전 방향으로 균일한 두께로 되어 용사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방법에 의하면, 용사건에 의한 공작물의 주 용사작업전에 공작물의 비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용사되어지는 개소에만 용사 할 수 있으며 로보트에 의한 자동화가 가능하게 되어 용사후의 공작물의 기계 가공등도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거기에다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방법에 의하면 용사건에 의한 공작물의 예비 용사 작업 및 주 용사 작업시에 용사건에서 용사되어 공작물에 부착되지 않는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장치 주변으로의 용사재 입자의 비산을 방지하여 공작물 및 주변기기에의 부착을 억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의하면 공작물을 소정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하는 공작물 유지기구와,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의 비 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와, 공작물을 회전시키는 공작물 회전 기구와, 분사된 에어 가스 및 산소의 혼합 가스에 점화되어 소정 속도로 송출된 가늘은 선 모양의 용사재를 용융하여 그 용사재를 고압가스로 공작물에 용사하는 용사건과, 용사재의 송출 및 고압가스로 공작물에 용사하는 용사건과, 용사재의 송출 및 끌어당겨 넣기를 구동제어하는 용사재 구동제어 기구와, 용사건을 예비 용사 위치와 주 용사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사건 이동 기구등의 설치 하였기 때문에 예비 용사에 의해 용사 상태를 양호하게 하여 주 용사위치로 이동하여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써 공작물에 소정 두께의 용사막을 적정으로 형성할 수 있으며, 제품의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음과 함께, 용사재의 송출 속도를 제어하는 것으로 용사재의 낭비를 없애고 가격을 낮출수 있으며, 또한, 비 용사 개소를 마스킹하는 것으로 용사후 공작물의 기계 가공등을 불필요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의하면, 공작물 마스킹 기구의 마스킹 부재에 달아남 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사건에서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는 공작물의 비 용사 개소 및 마스킹 부재에는 부착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달아나게 되며, 마스킹 부재의 용사재 제거 작업등의 후처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의하면, 예비 용사 위치에 위치되는 용사건에서 용사된 용사재를 받는 예비 용사 받이 부재에 달아남면을 형성하였기 때문에 용사건에서 예비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는 이 예비 용사받이 부재에는 부착되지 않고 소정 방향으로 달아나게 되며, 예비 용사받이 부재의 용사재 제거 작업등의 후처리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용사재의 용사장치에 의하면, 용사건에 의한 주 용사작업후에 용사건에서 돌출된 용사재를 냉각하는 냉각 기구를 설치하였기 때문에 용사건의 분사구에 용사재의 용착을 방지하여 작업을 양호한 상태로 행하는 것으로 작업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Claims (9)

  1. 공작물의 일정 개소에 용사재를 용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사방법에 있어서,
    공작물(11)을 일정위치에 위치 결정 유지하는 한편, 예비 용사 위치에 대기한 용사건(93)에서 분사된 가연성 가스와 산소의 혼합 가스에 점화되어 일정속도로 송출된 가늘은 선 모양의 용사재(M)를 용융하며, 예비 용사면(60, 89)에 상기 용융된 용사재를 고압가스로 용사하여 예비용사를 실행한후, 상기 용사건(93)을 주 용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공작물(11)에 대하여 상기 용융된 용사재를 용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써 상기 공작물의 일정위치에 일정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며, 그 후, 상기 용사건을 예비 용사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혼합 가스의 공급을 정지함으로써 소화시킨 후, 상기 용사건에서 용사재를 용사시의 송출 속도보다 고속으로 일정 길이 송출하여 상기 송출된 용사재(M)에 냉각가스를 분사하여 냉각하며, 상기 냉각된 용사재를 끌어당겨 넣어 상기 용사건에서 용사재의 돌출량을 일정 길이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일정 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11)을 회전하며, 상기 회전하는 공작물(11)에 대하여 용융된 용사재를 용사하여 주 용사를 행하는 것으로 상기 공작물(11)의 일정 위치에 두께의 용사막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용사건(93)에 의한 공작물(11)의 주 용사 작업이전에 상기 공작물(11)의 비 용사 개소를 마스킹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용사건(93)에 의한 공작물의 예비 용사 작업시 및 주 용사 작업시에 용사건에서 용사되어 공작물(11)에 부착되지 않고 비산되는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방법.
  5. 공작물(11)의 일정 개소(13, 14, 24)에 용사재를 용사하는 용사장치에 있어서,
    공작물(11)을 일정위치로 위치 결정되어 유지하는 공작물 유지 기구(50, 59, 74, 84)와, 상기 공작물 유지기구(50, 59, 74, 84)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11)에 대하여 비 용사 위치(12, 15, 16)를 마스킹 하는 공작물 마스킹 기구(50a, 59a, 74a, 88a)와, 상기 유지기구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11)을 회전시키는 공작물 회전기구(43, 44, 47, 67, 68, 69, 71, 70, 72, 66, 65)와, 분사된 가연성 가스 및 산소의 혼합가스에 점화되어 일정속도로 송출된 가늘은 선 모양의 용사재(M)를 용융하여 상기 공작물(11)에 상기 용융된 용사재를 고압가스로 용사하는 용사건(93)과, 상기 용사건에서의 용사재 송출 및 끌어 당겨 넣기를 구동 제어하는 용사재 구동 제어기구(138)와, 상기 용사건을 예비 용사면에 대향되는 예비 용사 위치와 상기 공작물에 대향하는 주 용사 위치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하는 용사건 이동기구(9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마스킹기구(74a, 88a)는 위치 결정된 공작물의 비 용사 개소((12, 15, 16)를 마스킹하는 마스킹 부재(74a, 88a)를 구비하며,
    상기 마스킹 부재에는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를 공작물에 부착시키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달아나는 달아나는 면(74b, 88b)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작물 유지기구(50, 59, 74, 84)에 의해 위치 결정되어 유지된 공작물(11)의 근방에, 예비 용사 위치에 위치하는 용사건(93)에서 용사된 용사재의 입자를 공작물에 부착시키지 않고 일정 방향으로 달아나는 달아나는 면이 형성됨과 함께, 예비 용사 받이 부재(60, 8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사건(93)에서 용사되어 공작물(11)에 부착되지 않고 비산되는 용사재의 입자를 수집하는 집진기구(38, 3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하는 용사재의 용사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용사건(93)에 의한 주 용사 작업 이후에 상기 용사건(93)에서 돌출된 용사재(M)를 냉각하는 냉각기구(128)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사재의 용사장치.
KR1019950037951A 1994-11-04 1995-10-30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 KR10019048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70920A JP2943631B2 (ja) 1994-11-04 1994-11-04 溶射材の溶射方法及び溶射装置
JP94-270920 1994-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7899A KR960017899A (ko) 1996-06-17
KR100190483B1 true KR100190483B1 (ko) 1999-06-01

Family

ID=17492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37951A KR100190483B1 (ko) 1994-11-04 1995-10-30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943631B2 (ko)
KR (1) KR10019048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5389B1 (ko) * 2002-05-06 2004-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마찰계수가 큰 싱크로나이저 링 코팅방법
CN111054614A (zh) * 2019-12-19 2020-04-24 上海骋润高分子材料有限公司 一种工件表面的热喷涂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134619A (ja) 1996-05-28
JP2943631B2 (ja) 1999-08-30
KR960017899A (ko) 1996-06-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87101C (zh) 热喷镀预处理方法和热喷镀预处理设备
US6863931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product having sprayed coating film
EP0377452A2 (en) Thermal spray method for producing glass mold plungers
EP1837081B1 (en) Powder port blow-off for thermal spray processes
KR100190483B1 (ko) 용사재의 용사방법 및 용사장치
CN1078412A (zh) 金属丝热喷枪和方法
CA10865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metal coating to a metal substrate
US20130040538A1 (en) Method and equipment for removal of ceramic coatings by co2 coatings
US3841858A (en) Apparatus for producing a ribbon-like glass having a metal oxide coating formed thereon
CN113106375A (zh) 一种基于超音速激光沉积技术修复管道内壁腐蚀的设备及工艺方法
SE442175B (sv) Sett att forse ett metallforemal, som har cirkuler tversektion, med ett ytskikt
CN114717550A (zh) 一种激光熔覆加工处理用设备
CN106011725A (zh) 一种用于不锈钢材料的超音速喷涂工艺
US4570568A (en) Shroud for thermally sprayed workpiece
JP4111072B2 (ja) 円筒内面の溶射方法および溶射装置
JP4039255B2 (ja) 溶射方法及び溶射ガン装置
JPH04175239A (ja) 光ファイバ用ガラス母材の製造装置
JP2018508644A (ja) 粒子の選択的除去を一体化する溶射方法
KR20180130678A (ko) 보온재 투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보온재 투입 방법
CN114904706B (zh) 一种橡皮布压延滚筒复合涂层加工装置及加工方法
CN118142764A (zh) 一种喷涂设备的控制方法
CN116372374B (zh) 一种双工位激光焊接机及带涂层薄板激光焊接方法
JP2001181817A (ja) 溶射方法及び溶射装置
JPS61117210A (ja) 浸漬管の耐火ライニング補修方法
CN116356245A (zh) 一种电极加工用喷涂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10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