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9592B1 - 선택 호출 수신기 - Google Patents

선택 호출 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9592B1
KR100189592B1 KR1019960011541A KR19960011541A KR100189592B1 KR 100189592 B1 KR100189592 B1 KR 100189592B1 KR 1019960011541 A KR1019960011541 A KR 1019960011541A KR 19960011541 A KR19960011541 A KR 19960011541A KR 100189592 B1 KR100189592 B1 KR 100189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ata
display
data group
call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9702A (ko
Inventor
이찌로 오자끼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9600397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97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9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959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5/00Near-field transmission systems, e.g. inductive or capacitive transmission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22Selective call receiver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5/00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 G08B5/22Visible signalling systems, e.g. personal calling systems, remote indication of seats occupied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G08B5/222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 G08B5/223Personal calling arrangements or devices, i.e. paging systems using wireless transmission
    • G08B5/224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 G08B5/227Paging receivers with visible signalling details with call or message storag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서비스 영역 선택기 이외에 관련 데이타 메모리 및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를 포함하고 있다. 관련 데이타 메모리는 상이한 서비스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데이타 그룹을 저장한다.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관련 데이타 메모리로부터 데이타 그룹을 선택한다. 선택된 데이타 그룹의 호출 번호 및 서비스 영역 이름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수신 채널은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와 무관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메모리로부터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서비스 영역 선택기에 의해 결정된다.

Description

선택 호출 수신기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선택 호출 수신기를 도시한 블럭도.
제2도는 선택 호출 수신기에 제공되는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타 테이블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3a도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3b도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된 정보의 다른 예를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제어를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수신기 102 : 호출 처리기
103 : 디스플레이 제어기 104 : 디스플레이
105 : 채널 선택기 106 :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
107 : 영역 선택 키 108 : 메모리
109 : 메모리 제어기 110 :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
111 : 디스플레이 선택 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선택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다수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 가능한 선택 호출 수신기에 관한 것이다.
선택 호출 수신기의 광범위한 이용에 따라, 상이한 서비스 영역에서 이의 사용 요구가 더 증대되고 있다. 이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다수의 서비스 영역에서 이용 가능한 선택 호출 수신기가 제안되어 왔다. 이러한 선택 호출 수신기는 각 서비스 영역에서 선택 호출 수신기에 할당되는 다수의 수신 주파수들 중 한 주파수를 선택하는 주파수 선택기를 구비하고 있다. 단일 수신 주파수가 선택될 때, 선택 수신 주파수에 대응하는 채널 번호 및 서비스 영역 이름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어 그 사용자는 선택된 채널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선택 호출 수신기는 일본국 특허 공개 제64-68036호에 기술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선택 호출 수신기에서는 스크린 상의 채널 번호 및 서비스 영역 이름이 선택 수신 주파수와 관련되어 있다. 그러므로, 디스플레이된 정보는 주파수 선택기에 의해 선택되는 채널에 따라 변화된다. 각각의 수신 주파수가 서비스 영역 내에서 미리 결정되기 때문에 사용자는 주파수의 변화없이 다른 서비를 영역의 정보를 볼 수 없다.
또한, 다수의 서비스 영역을 커버하는 선택 호출 시스템에서, 상이한 호출 번호 또는 ID(식별) 번호가 각각의 서비스 영역의 선택 호출 수신기에 미리 할당된다. 종래의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선택 수신 주파수와 관련된 채널 번호 및 서비스 영역 이름만을 디스플레이하도록 할당되기 대문에, 서비스 영역의 각 호출 번호를 암기하고 있기 않은 다른 서비스 영역에 대응하는 호출 번호의 다른 사람, 예를 들어 상기 다른 서비스 영역에 있는 고객에게 통보할 수 없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호출 번호 및 상기 호출 번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서비스 영역 이름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다수의 호출 번호 및 채널 선택과 무관한 호출 번호에 대응하는 각각의 서비스 영역 이름을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사용자가 다른 서비스 영역에서 선정된 호출 번호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선택 호출 수신기는 서비스 영역 선택기 이외에 관련 데이타 메모리 및 디스플레이 데이타 선택기를 구비하고 있다. 관련 데이타 메모리는 상이한 서비스 영역에 각각 대응하는 다수의 데이타 그룹을 저장하고 있다. 디스플레이 데이타 선택기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관련 데이타 메모리로 부터 하나의 데이타 그룹을 선택한다. 선택된 데이타 그룹의 호출 번호 및 서비스 영역 이름과 같은 속성 데이타(attribute data)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그러므로, 각 서비스 영역의 호출 번호가 사용자의 명령에 의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수신 채널이 디스플레이 데이타 선택기와 무관한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서비스 영역 선택기에 의해 결정될 수 있기 때문에, 선택 수신 채널을 변경시키기 않고 사용자에 의해 호출 번호가 확인된다. 먼저 디스플레이 데이타 선택기가 서비스 영역 선택기에 의해 선택된 것과 동일한 데이타 그룹을 선택한다.
특히, 데이타 그룹은 단일 서비스 영역과 모두 관련된 서비스 영역 이름, 호출 번호 또는 식별 번호, 및 채널 데이타를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영역 선택기가 제1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고, 채널 데이타를 수신기로, 그리고 호출 번호를 디코더를 포함하는 호출 처리기로 전송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수신기(101)은 안테나로부터 무선 신호를 수신하고 복조된 수신 신호를 호출 처리기(102)로 출력한다. 호출 처리기(102)는 수신된 신호의 호출 번호를 선택 호출 번호 CALLs와 비교하고, 그들이 동일한 경우에 호출 처리기(102)는 수신 데이타를 디스플레이 제어기(103)으로 출력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103)은 수신 데이타가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액정 디스플레이와 같은 디스플레이(104)를 제어한다.
수신기(101)의 수신 채널 또는 수신 주파수가 채널 선택기(105)로부터 수신된 국부 주파수에 의해 결정된다. 본 실시예에서 주파수 합성기인 채널 선택기(105)는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으로부터 수신된 채널 지정 신호에 따라 국부 주파수를 발생한다. 사용자가 영역 선택 키(107)을 누르는 경우에,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은 관련 데이타 그룹을 메모리(108)로부터 메모리 제어기(109)를 통해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선택 채널 지정 신호를 채널 선택기(105)로, 선택 호출 번호 CALLs를 호출 처리기(102)로, 그리고 선택 영역 번호 AREAs를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으로 출력한다. 영역 선택 키(107)을 누를 때마다 자동적으로 또는 순차적으로 채널 선택이 행해진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관련 데이타 그룹은 단일 서비스 영역 하에서 그룹되어지는 영역 번호 AREAi, 영역 이름 NAMEi, 호출 번호 CALLi 및 채널 데이타 CHi를 포함하고 있다.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을 누른 사용자에 의해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동작을 수행한다.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이 눌려질 때,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으로부터 수신된 선택 영역 번호 AREAs에 관할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호출 번호 CALLi 및 관련 영역 이름 NAMEi를 메모리(108)로부터 메모리 제어기(109)를 통해 판독하고 그들을 디스플레이 제어기(103)을 통해 디스플레이(104) 상에 디스플레이한다.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동작은 차후에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일 서비스 영역 하에서 그룹지워진 영역 번호 AREAi, 영역 이름 NAMEi, 호출 번호 CALLi, 및 채널 데이타 CHi를 각각이 포함하는 관련 데이타 그룹들을 포함하는 관련 테이블을 저장한다. 예를 들어, 제1 관련 데이타 그룹 REC1은 영역 번호 AREA1, 영역 이름 도꾜, 호출 번호 03-0000-1111 및 채널 데이타 CH1로 이루어지는 도꾜 서비스 영역에 관한 것이다. 이와 유사하게, 제2 관련 데이타 그룹 REC2는 영역 번호 AREA2영역 이름 오사까, 호출 번호 06-222-3333, 및 채널 데이타 CH2로 이루어지는 오사까 서비스 영역에 관한 것이다. 제j 관련 데이타 그룹 RECj는 호출 번호 aa-bbb-cccc 및 채널 데이타 CHj로 이루어지는 비등록 서비스 영역에 관한 것이다. 영역 번호 및 영역 이름은 제j 관련 데이타 그룹 RECi 내에 등록되지 않았다.
(서비스 영역 선택 제어)
사용자가 영역 번호가 AREAi인 서비스 영역 내에 있다고 가정하면, 사용자는 영역 선택 키(107)을 눌러 적당한 수신 채널을 선택한다. 특히, 사용자가 영역 선택 키(107)을 누를 때,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이 메모리(108)로부터 1개의 관련 데이타 그룹 REC1을 판독하고, 채널 데이타 CHi에 대응하는 채널 지정 신호를 채널 선택기(105)에, 호출 번호 CALLi를 호출 처리기(102)에, 및 영역 번호 AREAi를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으로 전송한다.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은 적당한 수신 채널이 발견될 때까지 자동적으로 이러한 데이타 판독 동작을 반복한다. 사용자가 영역 선택 키(107)를 누를 때마다 이 데이타 판독 동작이 행해질 수 있다. 적당한 수신 채널이 결정된 후,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은 호출 처리기(102) 및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 각각에 적당한 수신 채널과 관련된 선택 호출 번호 CALLs 및 선택 영역 번호 AREAs를 제공한다. 호출 처리기(102)는 선택 호출 번호 CALLs를 사용하여 수신 신호로부터 자신의 데이타를 추출한다. 각각의 호출 번호가 서비스 영역 내에서 특별히 선정되기 때문에, 상술된 바와 같이 적당한 수신 채널을 선택함으로써 모든 서비스 영역에서 선택 호출을 달성할 수 있다.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제어)
제3a도 및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i 관련 데이타 그룹 RECi 및 제(i+1) 관련 데이타 그룹 RECi+1과 같은 전체 데이타 그룹이 메모리(108)로부터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로 판독되는 경우에, 호출 번호 및 영역 이름 모두는 제3a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영역 번호가 제j 관련 데이타 그룹 RECj 내에서와 같이 등록되지 않을 때, 그 호출 번호만이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된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를 누름으로써 수신 채널의 변경없이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를 행한다. 이것을 차후에 상세히 설명하겠다.
제4도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단계 S201에서 예)을 누를 때,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메모리(108)로부터 영역 번호 AREAi, 영역 이름 NAMEi 및 호출 번호 CALLi를 포함하는 하나의 관련 데이타 그룹 RECi를 판독하고(단계 S202), 그 다음 영역 번호 AREAi가 이미 등록되었는지를 체크한다(S203).
영역 번호 AREAi가 관련 데이타 그룹 RECj로서 등록되지 않았을 때(단계 S203에서 아니오),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호출 번호 CALLi만 디스플레이 처리기(103)으로 전송하여 디스플레이(104)상에서 그것을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04). 이어서,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타임아웃(time-out)이 발생할 때까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의 다음 누름 동안 대기한다(단계 S205 및 S206).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을 눌렀을 때(단계 S205에서 예),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메모리(108)로부터 영역 번호 AREAi+1, 영역 이름 NAMEi+1및 호출 번호 CALLi+1을 포함하는 후속 관련 데이타 그룹 RECi+1을 판독한 다음(단계 S207) 단계 S203으로 복귀한다.
영역 번호 AREAi가 관련 데이타 그룹 그룹 REC1및 REC2로서 등록될 때(단계 S203에서 예),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판독 영역 번호 AREAi를 서비스 영역 전환 제어기(106)으로부터 수신된 선택 영역 번호 AREAs와 비교한다(단계 S208). 그들이 상이할 때(단계 S209에서 아니오),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메모리(108)로부터 영역 번호 AREAi+1, 영역 이름 NAMEi+1, CALLi+1을 포함하는 후속 관련 데이타 그룹 RECi+1을 판독한(단계 S207) 다음 판독 영역 번호가 선택 영역 번호 AREAs와 동일하게 될 때까지 단계 S203-S209를 자동적으로 반복한다.
판독 영역 번호 AREAi가 선택 영역 번호 AREAi와 동일할 때(단계 S209에서 예),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영역 이름 AREAi 및 호출 번호 CALLi를 디스플레이 제어기(103)으로 전송하여 그들을 디스플레이(104) 상에서 디스플레이한다(단계 S210). 이어서,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타임아웃이 발생할 때까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의 다음 누름 동안 대기한다(단계 S211 및 S212).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선택 키(111)을 누를 때(단계 S211에서 예),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메모리(108)로부터 영역 번호 AREAi+1, 영역 이름 NAMEi+1, 및 호출 번호 CALLi+1을 포함하는 후속 관련 데이타 그룹RECi+1을 판독한 다음, 단계 S203으로 복귀한다. 타임아웃이 발생할 때(단계 S206 및 S212에서 예), 호출 번호 디스플레이 처리기(110)은 디스플레이 제어기(103)에 명령하여 디스플레이 동작을 종료한다(단계 S214).

Claims (12)

  1. 다수의 서비스 영역에 미리 할당되는 소정의 무선 채널들 중 한 무선 채널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 수단, 상기 서비스 영역과 각각 관련되고, 각각이 영역 채널 데이타 및 영역 속성 데이타(area attribute data)를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타 그룹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 그룹으로부터 제1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제1 선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제1 데이타 그룹 내에 포함된 상기 영역 채널 데이타에 기초하여 소정의 무선 채널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저장 수단 내에 저장된 상기 데이타 그룹으로부터 제2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제2 선택 수단을 포함하되, 지정 정보가(specifying information)가 상기 제2 데이타 그룹에 포함된 상기 속성 데이타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택 수단은 처음에 상기 제1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선택 수단은 상기 제2 선택 수단과 무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 각각과 관련된 상기 속성 데이타가 서비스 영역 이름, 및 상기 선택 호출 수신기에 미리 할당되는 호출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5. 제4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호출 번호가 상기 제2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상기 제2 데이타 그룹에 포함되는 상기 속성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소정의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택 수단은,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상기 저장 수단으로부터 상기 제2 데이타 그룹을 판독하는 판독 수단, 및 상기 지정 정보가 상기 제2 데이타 그룹 내에 포함된 상기 속성 데이타에 기초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를 제어하는 디스플레이 제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
  7. 다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에 미리 할당되는 소정의 무선 채널들 중 한 무선 채널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회로에 있어서, 서비스 영역 이름 및 호출 번호의 다수의 세트들을 저장하는 저장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세트들은 각각 상기 서비스 영역들과 관련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세트로부터 제1 세트를 선택하는 제1 선택 수단을 포함하되,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제1 세트에 기초하여 소정의 무선 채널들로부터 선택되고, 상기 저장 수단에 저장된 상기 세트로부터 제2 세트를 선택하는 제2 세트 수단, 및 상기 제2 세트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영역 이름 및 상기 호출 번호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호출 신호 수신 회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선택 수단은 처음에 상기 제1 세트를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호출 신호 수신 회로.
  9. 다수의 서비스 영역 각각에 미리 할당되는 소정의 무선 채널들 중 한 무선 채널의 호출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를 갖고 있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상에 지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에 있어서, 서비스 영역과 각각 관련되고, 각각의 영역 채널 데이타 및 속성 데이타를 포함하는 다수의 데이타 그룹을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의 영역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타 그룹으로부터 제1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무선 채널은 상기 제1 데이타 그룹 내에 포함된 영역 채널 데이타에 기초하여 소정의 무선 채널로부터 선택되고,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선택 명령에 따라 상기 데이타 그룹으로부터 제2 데이타 그룹을 선택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데이타 그룹 내에 포함된 속성 데이타로부터 추출된 지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지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데이타 그룹이 제1 사용자의 디스플레이 선택 명령시 상기 제1 데이타 그룹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지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1. 제9항 또는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영역 각각과 관련된 상기 속성 데이타가 서비스 영역 이름, 및 상기 선택 호출 수신기에 미리 할당되는 호출 번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지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호출 번호가 상기 제2 데이타 그룹 내에 포함되는 속성 데이타로부터 추출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의 디스플레이 상에 지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방법.
KR1019960011541A 1995-04-17 1996-04-17 선택 호출 수신기 KR10018959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7090597A JP2693925B2 (ja) 1995-04-17 1995-04-17 無線選択呼び出し受信機
JP95-090597 1995-04-1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9702A KR960039702A (ko) 1996-11-25
KR100189592B1 true KR100189592B1 (ko) 1999-06-01

Family

ID=140028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541A KR100189592B1 (ko) 1995-04-17 1996-04-17 선택 호출 수신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01638A (ko)
JP (1) JP2693925B2 (ko)
KR (1) KR100189592B1 (ko)
CN (1) CN1135860C (ko)
AU (1) AU704981B2 (ko)
GB (1) GB23000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73354B2 (ja) * 1996-04-15 2003-02-04 シャープ株式会社 携帯情報端末
JP2954018B2 (ja) * 1996-06-12 1999-09-27 静岡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選択呼出受信機
WO1998057506A1 (en) * 1997-06-12 1998-12-17 Northern Telecom Limited Directory service based on geographic location of a mobile telecommunications unit
US6108533A (en) * 1997-08-22 2000-08-22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Geographical database for radio system
US7016992B2 (en) * 2000-08-17 2006-03-21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Electronic mail system
CN2719043Y (zh) 2004-04-14 2005-08-24 韩力 雾化电子烟
CN201067079Y (zh) 2006-05-16 2008-06-04 韩力 仿真气溶胶吸入器
CN201379072Y (zh) 2009-02-11 2010-01-13 韩力 一种改进的雾化电子烟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44347A (en) * 1983-08-10 1987-02-17 Motorola, Inc. Multiple frequency message system
US5187470A (en) * 1985-11-27 1993-02-16 Seiko Corp. Paging system with local channel lists
JPS63226123A (ja) * 1987-03-16 1988-09-2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チヤネル表示装置
JPH0671227B2 (ja) * 1987-09-08 1994-09-07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個別呼出受信機
US4891638A (en) * 1987-10-30 1990-01-02 Motorola, Inc. Nationwide display pager with location readout
JP2999771B2 (ja) * 1988-07-22 2000-01-17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選択無線呼出用受信機
US5254986A (en) * 1989-10-23 1993-10-19 Motorola, Inc. Nation-wide paging with local modes of operation
JP2758684B2 (ja) * 1990-02-09 1998-05-28 日本電気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無線選択呼び出し信号受信機
US5182553A (en) * 1990-09-04 1993-01-26 Motorola, Inc. Communication receiver providing displayed operating instructions
US5196842A (en) * 1991-07-22 1993-03-23 Motorola, Inc. Pager capable of operating in multiple paging systems
US5379030A (en) * 1992-07-27 1995-01-03 Motorola, Inc. User friendly channel selection in a selective call receiver and method theref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693925B2 (ja) 1997-12-24
GB2300057B (en) 1998-11-04
GB9607954D0 (en) 1996-06-19
US5801638A (en) 1998-09-01
CN1135860C (zh) 2004-01-21
GB2300057A (en) 1996-10-23
CN1144440A (zh) 1997-03-05
AU704981B2 (en) 1999-05-13
KR960039702A (ko) 1996-11-25
AU5072896A (en) 1996-10-31
JPH08289341A (ja) 1996-11-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39414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programmed call-back-number-determined alert
EP0435052B1 (en) Automatic new system registration notification
CA1314076C (en) Nationwide display pager with location readout
CA2017876C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a television receiver
KR100219104B1 (ko) 다수의 통지 모드를 구비한 무선 페이징 수신기
JPH08298440A (ja) ラジオ受信装置
KR100189592B1 (ko) 선택 호출 수신기
JPH07298327A (ja) 無線選択呼出受信機およびその表示方法
KR100231500B1 (ko) 선택 호출 수신기
US20020052189A1 (en) Mobile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KR960013419B1 (ko) 수신된 매세지 인디케이터를 구비하는 선택 호출 수신기 및 기억된 메세지의 우선순위 방법
US6148180A (en) Radio communication apparatus
US6041218A (en) Device and method for facilitating selection of a selective calling receiver radio area
KR100434475B1 (ko) 휴대폰의 무선 정보 서비스 수신장치와 방법
KR100245440B1 (ko) 메시지표시기능을갖는무선페이징수신기및그제어방법
US5905481A (en) Radio paging receiver with dot matrix display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0170004B1 (ko) 무선 선택 호출 수신기
KR0145776B1 (ko) 무선호출수신기의 기준채널 주파수 탐색 방법
KR20010017386A (ko)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통화 대기 상태 제어 방법
KR0173902B1 (ko) 지역 인식을 이용한 광역 무선 호출 서비스 방법
JP2000115323A (ja) 携帯型電話機
KR100260339B1 (ko) 광역무선호출기의 서비스 가능지역 탐색방법
KR0159662B1 (ko) 광역 무선호출수신기에서 지역 이동신고시 다이얼링이 자동적으로 수행되도록 하는 방법 및 그 장치
KR970000663B1 (ko) 셀룰라 이동전화 시스템에서의 이동국의 억세스채널 선택방법
KR100263422B1 (ko) 페이징 단말기의 특정코드 및 특정일 인지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