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920B1 -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 Google Patents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920B1
KR100188920B1 KR1019940015700A KR19940015700A KR100188920B1 KR 100188920 B1 KR100188920 B1 KR 100188920B1 KR 1019940015700 A KR1019940015700 A KR 1019940015700A KR 19940015700 A KR19940015700 A KR 19940015700A KR 100188920 B1 KR100188920 B1 KR 1001889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flection yoke
plate member
leakage
shielding
shield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7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415A (ko
Inventor
홍성표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400157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8920B1/ko
Priority to JP7110904A priority patent/JPH0845443A/ja
Priority to US08/442,400 priority patent/US5621268A/en
Priority to CN95106308A priority patent/CN1078424C/zh
Publication of KR9600024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4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9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920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9/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installation, removal, maintenance of electric discharge tubes, discharge lamps, or parts thereof; Recovery of material from discharge tubes or lamps
    • H01J9/236Manufacture of magnetic deflecting devices for cathode-ray tub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16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 H04N9/29Picture reproducers using cathode ray tubes using demagnetisation or compensation of external magnetic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0007Elimination of unwanted or stray electromagnetic effects
    • H01J2229/0015Preventing or cancelling fields leaving the enclosure
    • H01J2229/0023Passive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hielding Devices Or Components To Electric Or Magnetic Field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essels, Lead-In Wires, Accessory Apparatus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편향요크로부터 방사되는 전자파를 차폐시키는 차폐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이 차폐장치는 소정의 투자율을 가지며 편향요크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네크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차단판부재(3)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된다. 이러한 차폐장치는 조립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누설전자파를 차폐시켜 브라운관의 다른 특성에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효과를 가진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제1도는 종래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방지장치가 설치된 편향요크의 측면 구조도.
제2도는 종래의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방지장치가 설치된 편향요크의 단면도.
제3도는 종래의 브라운관의 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가 장착된 브라운관의 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가 장착된 편향요크의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의 구조도.
제7도는 제6도의 정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 : 편향요크 상단부와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간의 거리
5 :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간의 거리
6 :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의 두께
θ :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의 바깥쪽 둘레가 밖으로 젖혀지는 각도
본 발명은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브라운관의 후미에 장착되어서 전자총에서 주사되는 전자빔을 상하좌우로 편향시키는 편향요크에서 발생되는 누설전자파를 차폐시키기 위한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에 관한 것이다.
편향요크는 한쌍의 반나팔체상을 갖는 세퍼레이터의 안쪽에 위치하는 수평 편향코일과, 바깥쪽에 페라이트 코어에 권선된 수직 편향 코일이 구비되어서 전자총의 네크(neck)부에 부착된다.
상기의 편향요크에 톱니파 펄스가 인가되면 플레밍의 왼손법칙에 의하여 전자파가 발생한다. 이 전자파가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적, 녹, 청색의 전자빔을 편향시켜 화면상에 주사위치를 결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편향요크의 수평편향코일이 발생하는 전자파는 전자총밖으로 누설되는데, 이 전자파가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가능성이 있고 상기 전자빔 편향에도 불필요한 것이다.
따라서 누설전자파가 브라운관이 장착되는 세트 밖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누설전자파인 초저주파수가 발생되는 양이 일정치를 초과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예컨대 몬터에 대한 MPR2규격에서의 0.5M 거리에서 ELMF가 250nT이하이다.
상기 누설전자파를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에는 주로 누설전자파 방지용 코일이 감겨진 복수개의 드럼코어로 구성되는 누설전자파 방지장치나 금속편을 코일세퍼레이터상에 납땜하여 장착하거나, 별도의 고정홀더를 코일세퍼레이터에 형성하여 누설전자파 방지장치를 설치하여 왔다.
이러한 종래의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방지장치는 제1도 및 제2도를 참조하면, 세퍼레이터(10)와 프론트 하우징(20)과 수직편향코일(50)이 권선되는 코어(30)와 수직편향코일(50)과 수평편향코일(40)로 이루어지는 편향요크에 누설전자파 방지용 소거코일을 권선한 직사각형의 소거코어(60)(60a)를 장착한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 수평편향코일(40)에 의해 발생되는 누설전자파와 반대방향인 전자파를 발생하도록 소거코일을 권선한 직사각형상의 소거코어(60)(60a)를 편향요크의 프론트 하우징(20)의 Y측상의 상하부에 설치하여 수직편향코일(50)과 연결시켰다.
상기 종래의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방지장치의 작동은, 전자총이 작동되면 수평편향코일(40)에 의해 누설전자파가 발생되고, 이때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방지장치가 이 전자파와 역방향인 감쇄전자파를 발생시켜 누설전자파가 감쇄된다.
그러나 종래의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방지장치는 고정홀더에 설치작업시에는 부품간의 조립편차로 파손 및 이탈이 생겨 생산성이 저하되고 방지효율도 저하된다.
또한 드럼코어를 납땜하여 코일 세퍼레이터상에 장착할 경우에는 조립공정이 복잡해져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동시에 누설전자파 방지장치에 유동이 생겨 장착위치의 변동이 발생되므로 누설전자파 방지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브라운관의 다른 특성에 이상이 발생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브라운관의 다른 특성에 이상이 발생하지 않고 누설전자파의 방지효율이 높으면서 조립공정도 간편하여 생산성면에서도 우수한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음극선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요크로부터 누설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투자율을 가지며 상기 편향요크의 중심측과 동축으로 상기 네크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차단판부재를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가 장착된 브라운관의 측면도이고, 제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가 장착된 편향요크의 단면도이고, 제6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의 구조도이다. 이는 브라운관(1)의 펀넬(funnel)에 전자총에서 방사되는 전자빔에 편향을 주는 편향요크(2)가 결합되어 있다. 편향요크(2)에서 발생되는 누설전자파를 차폐하는 차폐판부재(3)가 브라운관의 축과 동축으로 편향요크(2)에 결합되어 있다. 이 차폐판부재(3)는 브라운관(1)의 네크부에 직접 장착될 수도 있으며, 판 형태로서 그 중심부에 상기 편향요크(2) 또는 브라운관(1)의 네크부에 결합될 수 있는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차폐판부재(3)의 장착시 편향요크(2)의 프론트 하우징축(제4도 참조)에서부터 차폐판부재(3) 부착점 까지의 거리(4)나, 또는 2개 이상의 차폐판부재(3)를 장착시 두 개의 차폐판부재(3)간의 거리가 0-15cm사이의 값으로 한다.
상기 차폐판부재(3)는 그 가장자리가 편향요크(2)의 프론트 하우징축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한 각도(0-80도)로 뒤쪽으로 절곡되도록 형성한다. 여기서 절곡된 각도는 브라운관의 축을 중심으로 해서는 90-170도이다.
제6도 및 제7도를 참조하면, 차폐판부재(3)의 중앙점에서부터 그 관통공의 안쪽 둘레가 시작되는 부분까지의 반지름(7)의 길이를 2cm이상으로 하고, 다시 중앙점에서부터 바깥쪽 둘레까지의 반지름(8)의 길이를 20cm이하로 하고, 자체의 두께(6)를 2cm이하로 한다.
한편, 상기 차폐판부재(3)의 재료로는 초기 DC투자율이 100이상인 물질로서 철산화물(예를들면 일산화철, 삼산화이철, 사산화삼철)이나, 실리콘의 성분이 0.01-10%인 철계합금이나, 알루미늄 성분이 0.01-20%인 철계합금이나, 니켈 성분이 20%이상인 합금, 그리고 철이나 니켈로 이루어진 불규칙적인 격자로 이루어진 금속(Amorphous)들이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브라운관의 편향요크가 작동되면 편향요크(2)내의 수직편향코일(50)과 수평편향코일(40)에서 누설전자파가 발생되고, 이때 상기 차폐판부재(3)가 상기의 누설전자파를 차단한다.
이를 위해서 차폐판부재(3)에는 일정한 크기 이상의 투자율이 요구되는 데 상기 투자율(μIDC)은 다음과 같다.
(식1) μIDC=1/μOLimn-0(B/H)
μIDC; 초기 직류 투자율
μO; 진공에서의 투자율(4π×10-7)
B ; 직류 자속밀도
H ; 직류 자계강도
즉, 위의 식1에서 누설전자파 차폐용 물질의 투자율은 물질내의 자속밀도와 자계의 세기와의 비를 말하며, 자극의 존재하는 공간의 매질에 따라 정해지는 정수이다. 즉, 단위 자계에서 특정한 물질이 흡수할 수 있는 자속밀도의 용량을 의미하므로 차폐판부재93)는 투자율이 클수록 유리하다.
차폐판부재(3)의 장착시 편향요크(2)의 프론트 하우징축에서부터 차폐판부재(3) 부착점까지의 거리94)나, 두 개 이상의 차폐판부재(3)를 설치할시는 두 개의 차폐판부재(3)의 설치점간의 거리(5)의 값에 따라서 누설전자파의 차폐효과가 달라진다.
상기의 식1에서와 같이, 차폐판부재(3)는 설치된 곳의 공기주위에 존재하는 전자파를 차폐하므로 상기 두점간의 거리(4,5)가 짧을수록 편향요크(2) 상단에서 발생하는 누설전자파의 차폐효과는 커진다.
그러나 차폐판부재(3)가 편향요크(2)의 상단에 너무 근접하면 브라운관의 화면 특성상의 변화가 생길 수 있으므로, 상기 편향요크(2)의 프론트 하우징축과의 거리(4)는 차폐효과와 브라운관의 화면특성상의 변화를 고려하여 절충이 필요하다.
제6도를 참조하면, 차폐판부재(3)의 두께(6)가 클수록, 작은 반지름(7)이 작을수록, 큰 반지름(8)이 클수록 차폐효과는 커진다. 그러나 차폐판부재(3)의 두께가 너무 두꺼우면 브라운관의 화질특성이 변화할 염려가 있으므로 차폐효과와 화질 특성 변화와 절충을 해야한다. 또한 차폐판부재(3)의 가장자리가 뒤로 절곡될 때 이루는 각도는 브라운관의 외부 및 내부의 구조와 사용하는 편향요크의 구조에 따라 조절해서 큰 차폐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차폐판부재(3)를 두 개 이상 설치하면, 처음 한 개의 차폐판부재(3)를 장착할때의 차폐효과보자 더 증가된 차폐효과를 가져온다.
상기 차폐효과를 변화시키는 차폐판부재(3) 구조의 주요특성들의 예를 들어 차폐효과를 보면, 차폐판부재(3)의 재료물질로는 투자율이 3200인 페라이트(Ferrite)를 사용하고, 차폐판부재(3)의 가장자리가 뒤로 절곡된 각도는 대략 30°, 두께(6)가 5mm, 큰 반지름(8)이 8.75cm, 작은 반지름(7)이 7.5cm, 편향요크의 프론트 하우징축에서부터의 떨어진 거리(4)가 5cm인 조건을 갖춘 차폐판부재(3)를 한 개 설치한 편향요크를 공업용 14인치 브라운관에 적용시켰더니 누설자기파증의 ELMF의 50%이상을 차폐하는 효과가 있었다. 다시 편향요크의 프론트 하우징축에서부터의 떨어진 거리(4)를 0cm로 조정하고 다른 조건들은 상기와 같게 두었을 때 누설자기 파의 80%가 차폐되는 효과가 있었다.
그러나 종래의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방지장치는 고정홀더에 설치작업 시에는 부품간의 조립편차로 파손 및 이탈이 생겨 생산성이 저하되고, 방지효율도 저하된다. 또 드럼코어를 납땜하여 코일 세퍼레이터상에 장착할 경우에는 조립공정이 복잡해져 작업능률이 저하됨과 동시에 누설전자파 방지장치에 유동이 생겨 장착위치의 변동이 발생되므로 누설전자파 방지에 어려움이 생기거나 효율이 저하될 뿐만 아니라, 브라운관의 다른 특성에 이상이 발생되는 단점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구조적인 특성으로 차폐효과를 변화시킬 수 있고, 조립 공정이 간편하여 생산성을 저하시키지 않고, 누설전자파를 차폐시켜 브라운관의 다른 특성에 변화를 가져오지 않는 효과를 가진 편향요크 누설전자파 차폐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Claims (7)

  1. 브라운관의 네크부에 장착되는 편향요크로부터 누설되는 전자파를 차폐하기 위한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에 있어서, 미리 정해진 투자율을 가지며 상기 편향요크의 중심축과 동축으로 상기 네크부에 설치되는 판 형태의 차단판부재를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하여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재는 칠산화물의 불규칙적인 격자로 구성되는 금속재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재는 실리콘의 성분이 있는 철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재는 알루미늄 성분이 있는 철계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재는 니켈성분이 있는 합금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단판부재의 가장자리는 상기 편향요크의 중심축에 대해 미리 정해진 각도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7. 제1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판부재는 중앙에 관통공이 형성된 환형으로 형성되어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KR1019940015700A 1994-06-30 1994-06-30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KR1001889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700A KR100188920B1 (ko) 1994-06-30 1994-06-30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JP7110904A JPH0845443A (ja) 1994-06-30 1995-05-09 偏向ヨークの漏洩電磁波遮蔽装置
US08/442,400 US5621268A (en) 1994-06-30 1995-05-16 Electromagnetic wave shielding device for deflection yoke
CN95106308A CN1078424C (zh) 1994-06-30 1995-05-17 偏转线圈的电磁波屏蔽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40015700A KR100188920B1 (ko) 1994-06-30 1994-06-30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415A KR960002415A (ko) 1996-01-26
KR100188920B1 true KR100188920B1 (ko) 1999-06-01

Family

ID=193870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700A KR100188920B1 (ko) 1994-06-30 1994-06-30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621268A (ko)
JP (1) JPH0845443A (ko)
KR (1) KR100188920B1 (ko)
CN (1) CN1078424C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29292A (en) * 1972-03-20 1976-03-24 Rca Corp Static convergence device for electron beams
KR930003511Y1 (ko) * 1990-12-31 1993-06-14 삼성전관 주식회사 투사형 음극선관용 포커스 마그네트
GB9119022D0 (en) * 1991-09-05 1991-10-23 Welding Inst Friction forming
SG92590A1 (en) * 1992-03-27 2002-11-19 Thomson Tubes & Displays Permanent magnet focus unit wihh integral astigmatism corrector
US5475282A (en) * 1993-08-18 1995-12-12 Efa Corporation Dual-coil type CRT image tilt correct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45443A (ja) 1996-02-16
KR960002415A (ko) 1996-01-26
CN1078424C (zh) 2002-01-23
US5621268A (en) 1997-04-15
CN1116801A (zh) 1996-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867668A (en) Cathode-ray tube having an internal-external magnetic shield and degaussing combination
KR100188920B1 (ko) 편향요크의 누설전자파 차폐장치
US5350973A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having a reduced leak of magnetic fluxes
KR100310691B1 (ko) 편향장치와이를이용한칼라음극선관
JP2567107B2 (ja) 陰極線管装置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KR20040083011A (ko) 속도변조 코일을 구비한 음극선관 장치
KR100193532B1 (ko) 편향요크
KR920001580Y1 (ko) 편향요크
JP2773295B2 (ja) 偏向ヨーク
US5736914A (en) Demagnetizing device for a cathode ray tube
KR200247694Y1 (ko) 음극선관
KR950000504Y1 (ko) 편향요크의 극초저주파 방지장치
JPH04209449A (ja) 陰極線管装置
JPH06176714A (ja) 偏向ヨーク
JP3159577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930005048B1 (ko) 편향요크의 저불요복사 감쇄장치
KR930007733Y1 (ko) 편향요크의 불요복사 방지용 코일
KR900007716Y1 (ko) 칼라 수상관용 차폐장치
EP0415019A1 (en) Cathode-ray tube apparatus having a reduced leak of magnetic fluxes
KR950006118Y1 (ko) 편향요크
KR100313123B1 (ko) 지자계 차폐용 인너실드 조립체
KR920001581Y1 (ko) 편향요크
KR200153392Y1 (ko) 음극선관의 디가우싱코일 고정장치
JPH03208239A (ja) 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21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