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498B1 - 데이타 정합 보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타프로세싱 시스템 - Google Patents

데이타 정합 보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타프로세싱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498B1
KR100188498B1 KR1019950067124A KR19950067124A KR100188498B1 KR 100188498 B1 KR100188498 B1 KR 100188498B1 KR 1019950067124 A KR1019950067124 A KR 1019950067124A KR 19950067124 A KR19950067124 A KR 19950067124A KR 100188498 B1 KR100188498 B1 KR 1001884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ode
data processing
processing system
map t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71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32226A (ko
Inventor
존슨 윌리엄
웨버 오웬
Original Assignee
윌리암 티. 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윌리암 티. 엘리스,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윌리암 티. 엘리스
Publication of KR960032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32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4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4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8/00Arrangements for software enginee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66Editing, e.g. inserting or deleting
    • G06F40/169Annotation, e.g. comment data or footno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 Computer And Data Communication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tored Programme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화를 통한 문서 교정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 사용자는 드라이버로서 간주될 수 있으며 다른 사용자는 패슨저로서 간주될 수 있다. 드라이버는 이후 교정되어질 문서를 결정하며, 이 교정은 분서의 모든 버전에서 반영된다. 또한 드라이버 및 패슨저 모두가 반드시 동일한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할 필요는 없다.

Description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제1도는 본 발명이 유리하게 응용을 발견할 수 있는 일반적인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블록도.
제2도는 전화 네트워크를 통해 접속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쌍의 개략도.
제3도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실행하는데 사용되는 커맨드 맵 테이블의 데이터 구조를 도시한 도면.
제4도는 단일 라인, 단일 세션 실시예에 대한 본 발명의 장치 구조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시작하는 논리 흐름도 및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종료하는 논리 흐름도.
제6도는 송신기(드라이버) 및 수신기(패슨저)에 대한 적절한 동작 모드를 설정하는 논리 흐름도의 초기 부분을 도시한 도면.
제7도는 제6도에서 시작한 논리 흐름도의 나머지 부분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드라이버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논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제9도는 패슨저의 관점에서 본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논리 흐름도를 도시한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12 : 프로세서
14 : CPU 16 : 메모리
18 : 하드 디스크 저장 장치 20 : 플로피 디스크 장치
24 : 마우스 26 : 키보드
30 : 통신 포트 32 : 아날로그 신호 입력 장치
34 : 아날로그 신호 출력 장치 40 : ROLM 폰
46X, 46Y : 워크스테이션 48 : 전화 네트워크
50 : 커맨드 맵 테이블 52 : 원시 커맨드 세트
54 : 커맨드 시퀀스 세트 62 : 음성 인식 소자
64 : 음성 -단어 변환 장치 66 : 도난 키보드 제어기
68 : 통상적인 키보드 제어기 74 : 교환 커맨드 제어기
76 : DTMF 출력 78 : DTMF 청취
80 : 통신 박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문서 편집 방법 및 장치 분야(field of methods and device for editing documents)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전화로 문서를 용이하게 편집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문서는 종종 여러 사람에 의해 주석(comments)되거나 혹은 편집되어 변화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구팀은 하나의 아이디어로서 함께 연구를 수행할 수 있으며, 각 연구원들의 개개의 성과가 조합되어 하나의 연구 결과가 연구팀의 이름으로 발표된다.
이러한 시나리오(scenario)에서, 한 연구원이 특정한 성과논문을 발표할 수 있으며, 모든 연구원들은 이러한 성과 논문을 검토하여 서로 주석을 첨가할 수 있다. 상기 한 연구원이 원격의 거리에 위치해 있고, 상기 논문에 대해 소량의 교정이 필요하다면, 다른 연구원이 수많은 논문의 페이지를 일일이 교정하여 팩시밀리로 전송하는 것은 그다지 바람직한 방법이 될 수 없다. 상기 연구원은 다른 연구원에게 전화를 걸어 본 발명의 전화를 이용하여 에러를 교정할 수 있게 된다. 논문 편집의 기능을 수행하는 연구원은 교정을 수행하기 위해 편집기 응용내의 소프트 카피(soft copy)를 풀업(pull up)한다 다른 연구원은 전화를 통해 이야기함으로써 동료 연구원의 논문에 대한 주석을 첨가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편집기에 대해 교정할 부분의 위치를 설명하는 것은 실제적으로 어려운 작업이다. 문단, 라인 수, 텍스트 스트링 등이 교정할 목표를 인식하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 구두로 전달된다. 목표 위치 선정이 이루어진 후, 교정은 논문의 일 편집부분과 통신되어 이후 교정이 이루어진다.
문서 편집의 다양한 다른 예들이 또한 존재하며, 이 예들에서도 하나 이상의 관계자가 교정을 요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송 사건 적요서(briefs)와 같은 법률 문서에서는 종종 주요 평의(lead counsel) 및 보조 평의(co-counsel) 혹은 지역적인 평의(local counsel)와 같은 여러 변호사의 의견이 개진될 수 있다. 또한 종종 문서를 작성하는 임무를 가지는 위원회는 이러한 책임을 다수의 위원회 멤버로 위임할 것이다. 또한, 일인 이상의 사람이 스프레드시트(spread sheet), 그래픽 문서(graphical document) 혹은 다른 응용의 최종 결과를 승인하는 책임을 가질 수도 있다.
전화로서 이러한 서류를 변경하는 프로세스는, 교정해야하는 문서의 위치를 인식하는데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전화상의 양쪽 당사자에게 많은 실패를 경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문서를 편집하기 위해 좀 더 효율적으로 한 사람에서 다른 사람 혹은 여러 사람으로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접속된 사용자 사이에 이중세션(double-session)으로 칭해지는 두 세션(two session)을 가정한다. 하나의 세션은 음성 통신(voice communication)용이고 다른 하나의 세션은 커맨드 통신(command communication)용으로 사용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하나의 세션을 사용하는데, 이 세션은 동일한 세션을 통하는 음성 통신과 혼합된 이중 톤 다중 주파수(Dual-Tone Multiple Frequency; DTMF)를 활용한다. 이러한 개념을 유념하여 이하 개시되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이해해야 한다.
본 발명은 또한 편집기 응용에 접속된 메카니즘(mechanism)을 모니터하는 전화 제공하여, 원격 호출자가 자동적으로, 편집되는 편집기 응용 내의 커서 위치를 제어하도록 허용한다. 일단, 전화호출이 설정되면, 편집 파티(editing party)는 편집 응용 내에서의 편집을 위한 특정한 문서를 호출하고, 문서 관리 응용 내로부터 본 발명의 서비스를 호출한다. 전화 라인은 스피커 폰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본 발명의 서비스는 사용자와 함께 접속된 파티로부터의 커맨드 혹은 소리를 청취한다.
주석 혹은 편집 파티는 탐색 기준의 한계를 정하기 위해 잘 알려진 DTMF 시퀀스를 사용할 수도 있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주석 파티는 독특한 어구(unique phrase)를 이야기한다. 예를 들면, 서비스는 언급된 어구를 찾기 위해 현 문서를 탐색한다. 어구 탐색을 위해 자동적인 스크롤 동작(scrolling)이 수행된다. 언급된 어구가 발견되면, 주석 파티는 교정 수행을 언급할 수 있다. 어구를 탐색하고 발견하는 데에는 거의 시간이 소모되지 않는다. 문서내의 절대적인 논리 엔티티(예를 들면 페이지 3, 라인 4) 혹은 문서내의 상대적인 논리 엔티티(이하 개시됨)에 의한 제어를 위해 직접적인 DTMF 시퀀스가 제공된다. 문단 9, 라인 4와 같은 잘 알려진 어구는 쉽게 이해될 것이며, 커서는 자동적으로 적절하게 위치된다.
또 다른 실시예는 실제적으로 교정을 수행하는 주석 파티를 지원한다. 커서가 정확하게 위치되는 편집 파티로부터 유효화 될 때, 주석 파티는 현재 커서 위치와 연관된 어구의 대체(substitute), 삽입(insert), 삭제(delete)등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문서 교정에 있어서 전화를 이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하며, 편집 기능을 상기 프로세스로 통합한다. 본 발명은 멀티 파티 회의 호출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으며, 3곳 이상의 파티가 문서에 이러한 편집 교정의 제공을 원할 수도 있다.
문서 교정을 원격적으로 제공하는 이러한 기법은 본 발명에서는 데이터 정함 보존(coordinated maintenance)으로 간주될 수 있다. 왜냐하면, 단일 파티는 드라이버로서 동작하며, 하나이상의 다른 파티는 정함 유형에서 패슨저(Passengers)로서대한 드라이 버의 변화를 수신하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에서, 본 발명의 방법은, 이러한 데이터 정합 보존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1) 적어도 두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와 (2) 키보드 인터럽트 프로그램(keyboard interrupt program)을 실행하는 단계와 (3) 교환 커맨드 제어기 프로그램(interchange command handler program)을 실행하는 단계와 (4) 드라이버 모드 혹은 패슨저 모드 같은 모드를 설정하여, 선택된 모드에 따라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에 커맨드를 정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드라이버 모드는, 스트링 탐색이라 칭해지는 지정된 편집 단계(string search)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하나 이상의 목표 문서의 문자가 편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러한 특징 및 또 다른 특징은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제1도에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data processing system)(10)의 블록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여기서 본 발명은 유용한 응용(useful applications)을 발견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이란 용어는 계산 수행, 워드프로세싱(word processing), 스프레드 쉬트 응용(spread sheet application)등에 사용될 수 있는 주변 장치(peripheral devices)를 포함한 계산 및 프로세싱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널리 사용된다.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10)은 프로세서(12)를 포함하며, 이 프로세서는 중앙 처리 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및 메모리(16)를 포함한다. 하드디스크 파일 저장 장치(18) 및 플로피디스크 장치(20)의 유형으로 부가적인 메모리가 프로세서(12)에 접속된다. 플로피 디스크 장치(20)는,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가 기록된 디스켓(22)을 수용하여,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10)내에 본 발명을 구현한다.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10)은 프로세스(12)에 대한 사용자 액세스를 허용하는 마우스(34) 및 키보드(26)와 사용자에 대한 시각적 데이터를 제공하는 디스플레이(28)를 포함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하드웨어(user interface hardware)를 포함할 수도 있다.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10)은 데이터 프로세싱 장치로 아날로그 신호를 입력하는 아날로그 신호 입력 장치(32) 및 아날로그 신호를 재 발생하는 아날로그 신호 출력 장치(34)를 포함하는 아날로그 신호 장치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단일 라인(sing-line), 단일 세션 스피커 폰 접속(single session speaker phone connection)은 아날로그 음성 폰 호출동안 DTMF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해 지원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또한 ROLM 폰(40)의 쌍, 바람직하게 ROLM244PC 로서, 단일 라인, 이중 세션 전화 환경에 적용된다. 전화(40)에서 관심 있는 일반적인 특성은 단일 라인(42)이며, 이 라인은 전화 잭(phone jack)(도시되지 않음) 및 직렬입력(serial input)(44)을 제2도에 도시된 워크 스테이션(46X) 혹은 (46Y)와 같은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접속한다. 이러한 특성은 동일한 전화 라인을 통한 음성 세션 및 데이터 세션을 허용한다. 단일 라인 전화(40)는 전화 네트워크(48)를 통해 통신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는 두 라인을 요구한다(예를 들면, 이중 세션의 또 다른 유형으로, 하나의 세션은 데이터용이며, 다른 하나의 세션은 음성용).
제2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성을 도시한다. 본 발명은, 워크스테이션(46X) 및 (46Y)가 동일한 편집기를 가지든 혹은 상이한 편집기를 가지든지에 관계없이 동일하게 기능할 수 있다. 제2도에 도시된 내비게이션 커맨드(navigation commands)는 비록 워드프로세싱 편집기의 커맨드이지만, 당업자라면, 본 발명에서 스프레드시트와 같은 다른 편집기에도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스테이션(station)중의 하나는 제어부로서 역할한다. 제어 스테이션은 사용자, 송신자 혹은 드라이버로서 간주될 수 있다. 다른 스테이션은 접속된 사용자, 수신부 혹은 패슨저로서 간주될 수 있다.
시스템 유형 X 및 시스템 유형 Y의 각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3도에 도시된 그들의 커맨드 맵 테이블(command mal)table)(50)을 보존하여, 시스템이 통신할 수 있는 상이한 편집기를 조정한다. 커맨드 맵 테이블은 바람직하게 프로세서(12)의 메모리(16)(제1도)에서 보존된다. 커맨드 맵 테이블(50)은, 특정 응용에 따라 두 필드 세트(two set of fields), 원시 커맨드 세트(a set of native command)(52) 및 커맨드 시퀀스 세트(a set of command sequence)(54)를 포함한다. 바람직한 원시 커맨드(53)는, 시스템 상의 편집기에 의해 정의된, 페이지 업 (page up), 페이지 다운(page down), 다음 문단(next paragraph)등과 같은 논리 내비게이션 엔티티(logical navigation)를 포함한다. 원시 커맨드 세트는 또한 특정 문사 키스트로크(specific character key strokes) 혹은 기능키(function key)를 포함한다. 커맨드 혹은 문자의 부재 및 커맨드 혹은 문자의 존재에 대해 본 발명에 대한 바람직한 동작을 확보할 목적으로 커맨드 맵 테이블(50)이 구성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시스템은 다수의 커맨드 맵 테이블(50)을 포함하며, 이들 각각은 MICROSOFT WORD, WordPerfect, Lotus 1-2-3 등과 같이 잘 알려진 편집기이다. 커맨드 시퀀스(54) 세트는 편집기 A에서 이전 단어를 수행하는 Ctrl-Alt-F5, 혹은 심지어 다중 키스트로코와 같은 원시 커맨드를 수행하기 위해, 실제적인 키스트로크 시퀀스(actual sequence of keystroke)를 포함한다. 원시 커맨드 세트(53) 및 커맨드 시퀀스 세트(54)는 또한, 본 발명에 따라 원격 문서의 편집 및 스트링 탐색을 허용하는 레터(letter)(대문자 및 소문자), 수(number) 및 다른 문자를 포함할 것이다.
커맨드 맵 테이블(50)은 원시 커맨드 및 커맨드 시퀀스를 포함하지만, 이 테이블은 바람직하게 키보드 기반 상에서도 처리한다. 음성 커맨드 인터페이스는 본 발명에 대해, 다수의 음성 제어 시스템은 트레이닝(training)의 필요성을 제거하기 위해 트레이닝 된 음성 필드 혹은 많은 음성의 평균치를 갖는 탬플리트(template)를 구비한다는 사실을 적용한다. 커맨드가 음성 제어 시스템에 의해 인식될 때, 커맨드는 프로세싱을 위해 시스템의 키보드로 특정 키스트로크를 자동적으로 송출한다. 근본적인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은, 키스트로크가 음성 커맨드 혹은 키보드 자체 중 어디서부터 기원하였는지를 인식하지 않고서도 상기 키스트로크를 볼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은 제4도를 참조하면 좀더 쉽게 시각화 될 수 있을 것이다. 제4도의 시스템은 키보드(26)를 포함하며, 이 키보드는 도난 키보드 제어기(stolen keyboard handler)(66)에 키스트로크를 제공한다. 도난 키보드 제어기는 간단히 키스트로크를 인터셉트하고 이로부터 적절한 경로배정(routing)을 설정한다. 운영체제는 하드웨어 인터럽트를 실행하기 위해 종료 및 스테이 상주 프로그램(Terminate and Stay Resident Programs) 및 하위 어드레스 메모리(low address memory)에서 벡터 인터럽트를 포함한다. 각각의 벡터 인터럽트는 예를 들면 세그먼트 및 오프셋(offset)을 포함하는 4바이트 어드레스를 가질 수도 있다. 이 어드레스는 종료 및 스테이 상주 벡터 테이블(즉 큰 점프 테이블), 시스템 메모리로 로드되는 코드를 포함하여, 키보드 상에 키가 눌려졌을 때(혹은 임의의 다른 주변장치에 의해 신호가 전개될 때), 발생된 문자 코드는 자동적으로 시스템 스택(system stack)으로 푸시(push)된다. 이 어드레스는 이후 벡터 테이블에서 기능 호출(function call)로 칭해진다. 코드는 파라메터로서 이 기능으로 전달되며, 이 기능은 이를 실행하고 복귀된다. 종료 및 스테이 상주 장치 드라이버는 점프 테이블을 통해 호출된다. 앞서서 임의의 키보드 입력의 뷰잉(viewing)을 허용한다.
시스템은 또한 음성 인식 소자(62)를 포함하며, 이 소자는 예를 들면, 마이크로폰(60)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수신할 것이다.
마이크로폰으로부터 음성 신호를 인식하는 음성 인식 소자(62)는 시스템에 명백한 방법으로 도난 키보드 제어기(66)에 키스트로크를 송출한다. 음성-단어 변환 소자(64)는 음성 인식 소자(62)로부터 디지털화 된 음성 신호를 수신하여, 이 신호를(커맨드를 포함하여)단어로 변환한다.
시스템은 또한 통상 키보드 제어기(68)를 포함한다. 통상 키보드 제어기(68)는 전술한 바와 같이 도난 키보드 제어기(66)로부터 경로 배정된 키스트로크를 수신하며, 이들 키스트로크를 응용무대(70)에서의 일 응용으로 혹은 이하 상세히 개시되는 변경 가능한 지역 변수(modifiable local variable) MODE(72)로 경로 배정한다. MODE(72)는 교환 커맨드 제어기(74)와 통신할 수 있으며, 이러한 통신은 또한 MODE(72)를 변경할 수 있다. 교환 커맨드 제어기(74)는 논리 흐름도에 대해 이하 개시되는 바와 같이 데이터/음성 세션동안 모든 요구를 처리하는 책임을 진다.
교환 커맨드 제어기(74)는 DTMF 청취 장치(78)로부터 이중 톤 다중 주파수(DTMF) 신호를 수신하며, DTMF 출력 장치(76)로 커맨드를 송출한다. 장치(76) 및 (78)은 각각 통신 박스(80)에 접속되어, 전화 라인을 통해 원격 장치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하며, 스피커(82)에 의해 전파되는 아날로그 신호를 가능하게 한다. 전술한 구조는 단일 세션(single session)동안, 터치 톤 전화(touch-tone phone)에 의해 발생된 것과 같은, 음성 신호 및 DTMF 신호의 동시 통신(simultaneous communication)을 가능하게 한다.
제4도는 본 발명을 이용하는 파티사이의 단일 라인, 단일 세션 접속이 예시되어 있다. DTMF 신호는 전화호출 동안 음성과 혼합된다. 또 다른 실시예(도시되지 않음)는 파티사이에, 음성 통신용세션 및 커맨드 송/수신용의 세션의 두 세션을 요구한다. 도난 키보드 제어기(66)의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 세션을 통해서 접속된 파티에 데이터를 송신한다. 교환 커맨드 제어기(74)의 이러한 실시예는 데이터 라인 세션상의 접속된 파티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전화 호출에서 통상적으로 발생하는, 음성 상호 작용이 아날로그 라인 세션 상에서 발생할 것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을 호출하고 종료하는 논리를 도시한다. 프로세스는 단계(100)에서 시작하며, 이 단계에서 양 사용자는, 이중세션 실시예의 두 세션 혹은 단일 세션 실시예의 단일 세션중의 하나를 사용하여 스피커 폰 통신(speaker phone communication)을 설정한다. 단계(102)에서, 각각의 사용자는 개별적인 편집기 응용을 실행하며, 이 응용은 동일할 수도 있고 혹은 상이할 수도 있다. 단계(104)는, 도난 키보드 제어기로서 전술된, 키보트 인터셉트 종료 및 스테이 상주(keyboard interception terminate and stay-resident; KISTR) 프로그램으로서 언급된 키보드 인터럽트를 설정한다. 이중 세션 구현에서, KISTR 프로그램은 이중 세션 구조로부터 나머지 세션을 차례로 설정한다. 일단, 이 프로그램이 양 사용자에 의해 호출되면, 지역 변수 MODE는 단계(106)에 도시된 것처럼 정규동작으로 초기화된다. 본 발명의 전화 편집의 호출은 단계(108)에서 종료되며, 여기서 양 사용자는 그들이 편집하기를 원하는 문서를 호출한다.
적절한 제어 및 협동동작을 위해, 각 사용자는 자신의 지역 변수 MODE 및 CU_MODE를 유지하여 각기 자신의 동작 모드 및 접속된 사용자의 동작 모드를 묘사한다.
전화에 의한 문서 편집을 종료하기 위해, 단계(110)는 사용자가 완료된 편집 문서를 가지는 것을 나타낸다. 이후, 양 사용자는 단계(112)에서 스피커 폰 통신을 종료하고, 단계(114)에서 키보드 인터셉트 종료 및 스테이 상주 프로그램을 종료한다.
비록 제5도는 문서의 워드 프로세싱 편집에 대해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논리적 내비게이션 및 기능에서 공통점을 갖는 스프레드시트 프로그램, 그래픽 프로그램등의 다른 응용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제6도 및 7도에는 뒤따르는 동작 모드에서 어느 사용자가 드라이버가 되고 어느 사용자가 패슨저가 되는지를 설정하는데 있어서 사용되는 로직이 도시되어 있다. 제6도 및 7도의 방법은 사용자 모드를 지정하는 지역 변수(MODE) 및 사용자의 파트너의 모드를 나타내는 지역 변수(CU_MODE)를 유지함으로써 본 발명의 효과를 증진시킨다.
단계(120)에서, 일 사용자는 음성 커맨드, 마우스 클릭, 키보드 커맨드 혹은 다른 적절한 입력 커맨드를 사용하여 지역 MODE 변수를 설정하거나 변경하는 옵션을 선택한다. MODE 변수는 드라이버, 패슨저 및 정규 동작의 3가지 옵션을 정의한다(단계 106 참조). 드라이버 모드내의 사용자는 자신의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및 패슨저 모드의 수신부의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효과적인 변경을 지시한다. 단계(122)는 이후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결정한다.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를 결정하였다면, 단계(124)로 진행되어 다른 파티(접속된 사용자 흑은 CU)가 또한 드라이버 모드에 있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접속된 사용자가 또한 드라이버 로드에 존재한다면, 단계(136)는 에러 메시지를, 접속된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있는 제1사용자에게 되 송출하고 시스템이 중단된다. 이는 양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있지 않고 이로 인해 관심있는 문서에 대한 편집 교정이 지시되기 때문이다.
단계(122)를 다시 참조하면, 제1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를 선택하지 않으면, 논리는 단계(128)로 진행하여 제1사용자가 패슨저 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결정하게 된다. 제1사용자가 패슨저 모드를 선택하였다면, 로직은 노드(1000)로 진행하여 제7도의 논리흐름으로 진행하게 된다. 패슨저 모드가 선택되지 않았다면, 단계(130)는 정규 동작에 대한 변수 MODE를 설정한다. 단계(132)는 이후 접속된 사용자에게 모드 변경을 통고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이중 세션 실시예에서는, 적절한 데이터 스트림은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송하는 것도 통고한다. 단일 세션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사용자의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의해 해석용 세션(session for interpretation)상에서 DTMF 시퀀스를 적절하게 동작시키는 것도 통고한다.
단계(124)를 다시 참조하면, 이 지점에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은 제1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를 선택한 것을 이미 인식하고, 단계(124)에서 접속된 사용자가 또한 드라이버 모드에 존재하는 지를 결정한다. 접속된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존재하지 않는다면, 단계(134)는 제1사용자의 변수 CU_MODE가 PASSENGER로 설정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접속된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존재한다면, 단계(136)에서 제1사용자의 변수 MODE를 DRIVER로 설정하고, 단계(138)에서 제1사용자에게 접속된 사용자가 준비되었다는 것을 통고한다. 프로세스는 이후 단계(132)로 진행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모드 변경을 통고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134)를 다시 참조하면, 변수 CU_MODE가 PASSENGER로 설정되지 않았다면, 단계(140)에서 변수 MODE를 DRIVER로 설정하고, 단계(142)에서 사용자에게, 접속된 사용자가 정규 동작 모드에 있으며, 패슨저 모드에 대해 사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고한다. 프로세스는 이후 단계(132)로 진행하여 접속된 사용자에게 모드 변경을 통고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128)에서, 사용자가 패슨저로 선택되었다면, 프로세스는 엔트리 노드(100)로 진행하여 제7도의 논리 흐름으로 진행한다. 이후 단계(·144)에서, 변수 CU_MODE가 DRIVER로 설정되었는지를 결정한다. 설정되었다면, 단계(146)에서 변수 MODE를PASSENGER로 설정하고 단계(148)에서 제1사용자에게 접속된 사용자가 현재 드라이버 모드에 있음을 통고한다. 프로세스는 이후 노드(200)에서 제6도로 되 진행하고, 단계(132)에서 접속된 사용자에게 모드 변경을 통고하고 이후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144)를 다시 참조하면, 지역 변수 CU_MODE가 DRIVER로 설정되지 않으면, 단계(150)에서 CU_MODE가 PASSENGER로 설정되었는지를 검사한다. 설정되었다면, 양 사용자는 패슨저 모드로 설정되고, 설정 단계(153)는 접속된 사용자가 패슨저인 제1사용자에게 에러 메시지를 제공한다. 이후 프로세스는 노드(3000)를 통해서 제6도의 논리 흐름으로 복귀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150)에서 CU_MODE가 PASSENGER로 설정되지 않으면, 단계(154)에서 MODE는 PASSENGER로 설정된다. 이후 단계(156)에서 사용자에게 접속된 사용자가 정규 동작중이며, 드라이버 모드로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다는 것을 통고한다. 프로세스는 이후 노드(2000)를 통해서 제6도로 진행된다.
이제 사용자 및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동작 모드가 설정되었으므로, 비록 제8도 및 9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모든 관여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제8도에서는 드라이버의 관점에서 관심 있는 문서 편집 교정 프로세스를 계속 수행하게 된다. 제8도의 개시부에서, 키보드 인터럽트는 도난되고, 제8도의 논리로 대치된다. 단계(160)에서, 사용자 시스템을 비동기 통신 송신에 대해 바인드한다. 즉 송신기 및 접속된 사용자 사이에 유효 세션을 설정한다. 단일 세션 접속 환경에서, 상기 바인드는 스피커 폰 접속이 동작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간결하게 구성된다. 이중 세션 환경에서, 제2라인은 통신 세션을 목표 시스템에 대해 바인드해야 한다. DTMF 보다는 커맨드가 상기 시스템 상으로 전송되거나 혹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8도의 단계(160)는 실제적으로 제9도의 단계(200)에 대해 통신을 바인드할 것이다. 이후, 이하 제9도에 대해 이하 개시되는 바와 같이, 단계(162)에서 교환 커맨드 제어기를 호출한다. 단계(164)에서는 이후 사용자 입력을 대기한다. 종료 및 스테이 상주 키보드 인터럽트, 즉 키보드 인터셉터 프로그램(keyboard intercept program)은 키보드를 훔쳐 키보드 입력이 음성 커맨드, 마우스 등과 같은 임의의 정의된 소오스로부터 나오도록 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이 검출되는 경우, 단계(166)에서는 입력이 종료 신호이었는지를 결정한다. 입력이 종료신호이었다면, 단계(168)에서 비동기 통신 링크를 종료하고, 단계(170)에서는 교환 커맨드 제어기를 종료하며, 단계(172)에서는 정규 키보드 제어기 기능을 저장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166)를 다시 참조하면, 검출된 신호가 종료신호가 아니었다면, 단계(174)에서는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있는지를 검사하게 된다.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있지 않다면, 입력은 단계(176)를 따라 실행을 위해 정규 키보드 제어기로 진행하고, 프로세스는 단계(164)로 복귀되어 사용자 입력을 대비하게 된다.
단계(174)를 다시 참조하면, 사용자가 드라이버 모드에 있다면, 단계(178)에서 제3도의 커맨드 맵 테이블을 액세스하게 된다. 이후 단계(180)에서 커맨드 시퀀스(54)를 사용하여 입력에 대해 테이블을 탐색하게 된다. 단계(182)에서 완전한 매칭(complete match)이 이루어지면, 단계(184)에서 연관된 원시 커맨드(52)가 접속된 사용자에 대해 전송된다. 이중 세션 환경에서는, 접속된 사용자에 대한 적절한 데이터 스트림을 전송하는 것도 통고하게 된다. 단일 세션 환경에서는, 본 발명에 의해 개시된 바와 같이 접속된 사용자의 데이터프로세싱 시스템에 의해 해석용 세션 상에서 TMF 시퀀스를 적절하게 동작시키는 것도 통고한다. 이후 단계(186)에서 커맨드 시퀀스 큐를 소거하고 프로세스는 입력이 정규 키보드 제어기로 전달되는 단계(176)로 진행된다.
단계(182)를 다시 참조하면, 커맨드 맵 테이블(50)에서 입력이 발견되지 않는다면, 단계(188)에서 입력은 커맨드 시퀀스 큐 상에 위치하게 된다. 이후 단계(190)에서 키에 대한 커맨드 시퀀스(54)를 이용하여 FIFO 큐 시퀀스에 대한 테이블을 탐색한다. 단계(193)에서는 완전한 매칭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사하고, 완전한 매칭이 이루어졌다면, 프로세스는 단계(184)로 진행하여, 연관된 원시 커맨드를 접속된 사용자에게 전송하게 된다. 단계(192)에서, 완전한 매칭이 이루어지지 않으면, 프로세스는 단계(194)로 진행하여 부분적인 매칭 (partial match)이 이루어졌는가를 검사하게 된다. 단계(194)에서 부분적인 매칭이 발견되면, 커맨드는 커맨드 시퀀스 큐 상에 남게 되고, 프로세스는 단계(164)로 진행하여 사용자 입력을 대기하게 된다. 단계(194)에서 부분적인 매칭이 발견되지 않으면, 단계(196)에서 커 맨드 시퀀스 큐는 소거되고, 프로세서는 다시 단계(164)로 복귀된다. 커맨드 시퀀스 큐는, 매칭을 위한 커맨드 맵 테이블에 비교될 수 있는 조합 키스트로크(composite keystrokes)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는 사실을 유념해야 한다. 부분적인 매칭은 궁극적으로 커맨드 맵 테이블 엔트리에 대한 후보가 되는 조합 키스트로크를 생성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조합 키스트로크의 생성으로 인해 복잡한 매크로 혹은 기능키 시퀀스가 커맨드 맵 테이블 내에 구성되는 것이 허용된다. 단계(194)에서는 현재 생성된 커맨드 시퀀스가 하나 이상의 커맨드 맵 테이블 엔트리의 서브세트(subset)인가를 확인한다.
비록 제8도 및 9도에 도시된 프로세스는 모든 관여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수 있지만, 제9도는 접속된 사용자의 관점으로부터의 본 발명의 프로세스를 도시한다. 프로세스는 단계(200)에서 비동기 통신 수신에 대한 바인드를 수행함으로써 시작된다. 단일 세션 접속 환경에서, 상기 바인드는 스피컨 폰 접속이 동작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간결하게 구성된다. 이중 세션 환경에서, 제2라인은 통신 세션을 목표 시스템에 대해 바인드해야 한다. DTMF보다는 커맨드가 상기 시스템 상으로 전송되거나 혹은 상기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제9도의 단계(200)는 실제적으로 제9도의 단계(160)에 대해 통신을 바인드할 것이다. 단계(202)는 사용자로부터 복귀되는 커맨드(inbound command)를 대기하거나 혹은 신호가 종료되도록 한다. 단계(204)에서, KISTR 신호가 종료되었는지를 검사하고, 신호가 종료되었다면, 프로세스는 간단히 종료된다. 단계(204)에서 종료된 KISTR 신호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단계(206)에서 사용자로부터의 복귀 신호가 종료되었는지를 모니터한다. 단계9206)에서, 이러한 종료 커맨드를 검출하였다면, 단계(208)에서 데이터를 전송하여 KISTR가 종료된다. 이후, 단계(210)에서 사용자에게 비동기 공신 세션이 종료되었다는 메시지를 제공하고, 프로세스는 종료된다.
단계(206)에서, 비동기 세션을 종료하였다는 커맨드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단계(212)에서는 커맨드가 접속된 사용자모드(CU_MODE)변수를 설정하였는가를 모니터 한다. 이러한 커맨드가 검출되면, 단계(214)에서 변수 CU_MODE는 수신된 커맨드에 의해 지시된 변수로 설정되고, 프로세스는 단계(202)로 복귀하여 다른 복귀 커맨드를 대기하거나 혹은 신호를 종결시킨다. 단계(212)에서 CU_MODE 변수를 설정하는 커맨드를 검출하지 못하였다면, 단계(216)에서 수신자는 자신의 모드를 검사하여 자신이 패슨저 모드에 있는지를 검증한다. 패슨저 모드에 있지 않다면, 프로세스는 단계(203)로 복귀하여 다른 복귀 커맨드를 대기하거나 혹은 신호를 종결시킨다. 수신자가 패슨저 모드에 있다면, 단계(218)는 커맨드 맵 테이블을 액세스하며, 단계(220)는 원시 커맨드(58)를 탐색한다. 원시 커맨드가 발견되면, 결정 지점(decision point)(222)은 프로세스를 단계(224)로 이동시키며, 단계(224)에서 커맨드 시퀀스가 정규 키보드 제어기를 통해 전송된다. 단계(220)에서 원시 커맨드가 발견되지 않으면, 단계(222)는 프로세스를 단계(103)로 복귀시켜 또 다른 커맨드를 대기하게 한다. 단계(202, 306 및 212)는 단계(202)의 해석으로서 동작한다. 단일 세션 실시예에서, 단계(202)에서는 특정 커맨드를 나타내는 DTMF 신호 패턴을 청취한다. 이중 세션 실시예에서, 단계(202)에서는, 특정 커맨드를 나타내는 접속된 사용자의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부터 적절한 데이터 스트림을 수신한다.
이제 본 발명을 구현하는 방법 및 시스템이 완전히 개시되었다. 이하 목표 문서내의 내비게이팅(navigating) 및 이 문서에 대한 교정을 제공하는데 있어서 본 발명의 간단한 동작예가 개시될 것이다.
드라이버 및 패슨저 각각이 그들의 커맨드 맵 테이블에 인스톨(install)되었으며, 이들 각각은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과 같은 여러 응용 프로그램을 사용한다고 가정한다. 또한, 드라이버는 탐색을 원하는 목표 문서에서의 문자 스트링을 인식하였다고 가정한다. 드라이버는 이제, 제2도의 시스템 유형 X에서의 F2와 같은 탐색 시작 커맨드(Start Search command)를 호출함으로써 시작된다. 이 커맨드는 음성 커맨드 혹은 임의의 다른 적절한 수단을 통해서도 호출될 수 있다. 드라이버의 시스템은 커맨드 맵 테이블에서의 커맨드와 매칭하며, 탐색 시작 커맨드인 연관된 원시 커맨드를 검색한다. 이러한 원시 탐색 시작 커맨드는 세션을 통해 패슨저의 시스템과 통신된다. 패슨저의 시스템은 원시 커맨드와의 매칭을 위해 자신의 커맨드 맵 테이블을 액세스하여, 제2도의 시스템 유형 Y에서의 Ctrl-F2와 같은 연관된 응용 시작 커맨드를 검색한다. 드라이버는 이후, 키보드로 스트링을 타이핑하거나 혹은 구두로 스트링을 지시하거나 혹은 다른 임의의 방법을 통해 문자 스트링을 송출한다. 이들 문자는 드라이버의 시스템에 대해 키스트로크로서 송출되며, 전술한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키스트로크로서 패슨저의 시스템에 대해서 제공된다. 키스트로크는 이후 일련의 키스크로크로서 패슨저의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 송출된다. 드라이버는 이후 제3도에서의 F3과 같은 탐색 종료(End Search)커맨드를 송출하며, 이 커맨드는 전술한 탐색 시작 커맨드와 유사하게 프로세스 되어 패슨저로 운반되고 ENTER로서 패슨저의 시스템에 입력되고, 탐색은 완료된다.
어떤 애매함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자는 음성 커맨드로서 문자스트링을 송출하는 동안, 기능키로서 어떠한 커맨드를 송출하기를 원할 수도 있다는 것을 또한 유념해야 한다.
문서의 일 부분을 편집하기 위해, 탐색에 의해서, 일단 서류내의 특정 위치가 설정되면, 전술한 바와 같은 방안이 수행된다. 예를 들면, 드라이버가 인식된 용어(예를 들면 insure)를 가지며, 이 용어를 변경하기를 원할 때는(예를 들면 ensure로) 드라이버는 대치 커맨드(Replace command)를 호출할 수 있다. 드라이버의 커맨드 맵 테이블로부터 검색된 연관된 원시 커맨드는 패슨저의 시스템으로 전송되어 패슨저의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게 되고, 대치를 위한 적절한 키스트로크를 패슨저의 시스템으로 송출하게 된다. 이후, insure를 ensure로 적절하게 대치하는 키스트로크는 드라이버에 의해 입력되고 동일한 방법으로 패슨저의 시스템 상에서도 반향된다.
당업자라면, 워드 프로세싱 프로그램과 같은 일 예의 응용이, 또 다른 이러한 응용에서는 포함되지 않는 옵션 및 기능을 제공할 것이라는 것을 인식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이들 기능의 차이는 각 드라이버 및 패슨저의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원시 커맨드 및 커 맨드 시퀀스를 정의함으로써 쉽게 조정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원리, 바람직한 실시예 및 동작 모드 등은 전술한 내용에서 이미 충분히 설명되었다.
이상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사상 및 범주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함은 물론이다.

Claims (36)

  1.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a data processing system)에서 데이터 정합 보존(coordinated maintenance of data)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과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a partner data processing system)사이의 통신을 설정하는 단계와; 키보드 인터럽트 프로그램(a keyboard Interrupt program)을 실행하는 단계와; 교환 커맨드 제어기 프로그램(an interchange command handler program)을 실 행하는 단계와; 모드(a mode)를 설정하는 단계와 ; 상기 모드에 따라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과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의 커맨드를 정합(coordinating)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설정 단계는 다수의 세션(a plurality of sessions)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인터럽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는,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a standard keyboard handler function)을 위해 설정된 입력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와; 모드에 따라 상기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을 위해 설정된 입력에 대한 커맨드 맵 테이블(a command map table)을 검색하는 단계와; 모드에 따라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와; 상기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에 상기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을 위해 설정된 입력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에 대한 상기 입력의 매칭과 연관되는 원시 커맨드(native command)를 검색하는 단계와,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상기 원시 커맨드를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에서 매칭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복합 커맨드(a complex command)를 형성하는 미정 키스트로크(pending keystroke)의 FIFO 큐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커맨드 시퀀스 필드를 단일 입력(a single input)과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7.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 내의 각 커맨드 시퀀스 필드의 매 서브세트(every subset)를 단일 입력과 비교함으로써 실행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커맨드 시퀀스 필드의 매 서브세트를 시간에 걸쳐 생성되어 입력된 입력의 FIFO 큐와 비교함으로써 실행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커맨드 제어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단계는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모드를 판정하는 단계와; 모드에 따라 원시 커맨드에 대한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와; 모드에 따라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으로 키보드 입력을 송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단계는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원시 커맨드 필드를 원시 커맨드와 비교함으로써 수행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원시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는 모드 변경 커맨드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드라이버 모드인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패슨저 모드(a passenger mode)인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정규 동작 모드(a normal operation mode)인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드는 미정의 스트링 검색(a pending string search)인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드는 미정의 스트링 편집인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8.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에 따른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에 대한 상기 키보드 입력은 매칭이 발견된 이후 커맨드 맵 테이블로부터 연관된 커맨드 시퀀스를 송신하는 것인 데이터 정합 보존 제공 방법.
  19. 데이타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있어서,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과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의 통신을 설정하는 수단과; 키보드 인터럽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과; 교환 커맨드 제어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과; 모드를 설정하는 수단과; 모드에 따라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과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사이의 커맨드를 정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을 설정하는 수단은 다수의 세션을 설정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키보드 인터럽트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은,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을 위해 설정된 입력을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모드를 판정하는 수단과, 모드에 따라 표준 키보드 제어 기능을 위해 설정된 입력에 대한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수단과; 모드에 따라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수단과; 상기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에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을 위해 설정된 입력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에 대한 상기 입력의 매칭과 연관되는 원시 커맨드를 검색하는 수단과;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상기 원시 커맨드를 전송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에 커맨드를 송신하는 수단은,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에서 매칭이 발견되지 않을 경우, 복합 커맨드를 형성하는 미정 키스트로크의 FIFO큐를 생성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4.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수단은,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커맨드 시퀀스 필드를 단일 입력과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5.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수단은,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커맨드 시퀀스 필드의 매 서브세트를 단일 입력과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6.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수단은,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커맨드 시퀀스 필드의 매 서브세트를 시간에 걸쳐 생성되어 입력된 입력의 FIFO 큐와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교환 커맨드 제어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수단은; 상기 파트너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으로부터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과; 상기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의 모드를 판정하는 수단과; 모드에 따라 원시 커맨드에 대한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수단과; 모드에 따라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에 키보드 입력을 송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을 검색하는 수단은 상기 커맨드 맵 테이블내의 각 원시 커맨드 필드를 원시 커맨드와 비교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은 원시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0.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은 모드 변경 커맨드를 수신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드라이버 모드인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2.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패슨저 모드인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는 정규 동작 모드인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4.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드는 스트링 검색인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5.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드라이버 모드는 스트링 편집인 데이터 정합 보존을 제공하는 데이터 프로세싱 시스템.
  36.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에 따른 표준 키보드 제어기 기능에 대한 상기 키보드 입력은 매칭이 발견된 이후 커맨드 맵 테이블로부터 연관된 커맨드 시퀀스를 송신하는 동작인 데이터 정합 보존을 프로세싱 시스템.
KR1019950067124A 1995-02-28 1995-12-29 데이타 정합 보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타프로세싱 시스템 KR1001884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396,296 1995-02-28
US8/396,296 1995-02-28
US08/396,296 US5761420A (en) 1995-02-28 1995-02-28 Method and apparatus for telephone proof of document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32226A KR960032226A (ko) 1996-09-17
KR100188498B1 true KR100188498B1 (ko) 1999-06-01

Family

ID=2356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7124A KR100188498B1 (ko) 1995-02-28 1995-12-29 데이타 정합 보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타프로세싱 시스템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61420A (ko)
EP (1) EP0730239B1 (ko)
JP (1) JP3202915B2 (ko)
KR (1) KR100188498B1 (ko)
CA (1) CA2171482C (ko)
DE (1) DE69628363D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047A (ko) 2019-03-12 2020-09-22 (주)상아프론테크 혈액 클롯 캐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45989A (en) * 1997-03-25 1999-08-31 Premiere Communication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adding and altering content on websites
GB2391134B (en) * 1999-12-23 2004-05-12 Mitel Knowledge Corp Communication system architecture for voice first collaboration
US20030023435A1 (en) * 2000-07-13 2003-01-30 Josephson Daryl Craig Interfacing apparatus and methods
KR100414406B1 (ko) * 2001-08-09 2004-01-14 주식회사 핸디소프트 문서 버전 관리가 가능한 워크플로우 시스템 및 이를이용한 문서 버전 관리 방법
US7284205B2 (en) 2003-11-18 2007-10-16 Microsoft Corporation Providing multiple input bindings across device categories
US7386856B2 (en) * 2003-11-18 2008-06-10 Microsoft Corporation Extension of commanding to control level
US7562305B2 (en) * 2003-11-18 2009-07-14 Microsoft Corporation Dynamically-generated commanding interface
KR100644291B1 (ko) * 2004-12-31 2006-11-10 위니아만도 주식회사 김치저장고의 기계실 차폐구조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0957A (en) * 1980-11-20 1983-10-1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Keystroke queueing system
GB2173613B (en) * 1985-04-10 1988-11-02 Stc Plc Computer interface
US5280583A (en) * 1988-05-13 1994-01-18 Hitachi, Ltd. System and method for performing interlocution at a plurality of terminals connected to communication network
US5157384A (en) * 1989-04-28 1992-10-2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Advanced user interface
JP2865827B2 (ja) * 1990-08-13 1999-03-0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会議システムにおけるデータ蓄積方法
US5241625A (en) * 1990-11-27 1993-08-31 Farallon Computing, Inc. Screen image sharing among heterogeneous computers
US5513323A (en) * 1991-06-14 1996-04-30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stage document format transformation in a data processing system
US5198381A (en) * 1991-09-12 1993-03-30 Vlsi Technology, Inc. Method of making an E2 PROM cell with improved tunneling properties having two implant stages
US5392400A (en) * 1992-07-02 1995-02-21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llaborative computing system using pseudo server process to allow input from different server processes individually and sequence number map for maintaining received data sequence
US5423043A (en) * 1994-01-21 1995-06-0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reating and monitoring logical associations among desktop object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09047A (ko) 2019-03-12 2020-09-22 (주)상아프론테크 혈액 클롯 캐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171482A1 (en) 1996-08-29
CA2171482C (en) 2002-12-10
EP0730239B1 (en) 2003-05-28
EP0730239A3 (en) 2000-08-16
DE69628363D1 (de) 2003-07-03
JP3202915B2 (ja) 2001-08-27
US5761420A (en) 1998-06-02
KR960032226A (ko) 1996-09-17
JPH08263401A (ja) 1996-10-11
EP0730239A2 (en) 1996-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66882B1 (en) Apparatus for converting speech to text
CN100585586C (zh) 翻译系统
KR100374402B1 (ko) 정보 처리 방법, 정보 처리 장치, 및 서버 제어 프로그램을저장한 기록 매체
US7712020B2 (en) Transmitting secondary portions of a webpage as a voice response signal in response to a lack of response by a user
US7450698B2 (en) System and method of utilizing a hybrid semantic model for speech recognition
US11551697B2 (en) Processing system for intelligently linking messages using markers based on language data
US8055713B2 (en) Email application with user voice interface
US8355912B1 (en) Technique for providing continuous speech recognition as an alternate input device to limited processing power devices
KR20100065317A (ko) 개인용 통신 장치를 위한 음성-텍스트 전사
GB2323694A (en) Adaptation in speech to text conversion
JP2002169588A (ja) テキスト表示装置、テキスト表示制御方法、記憶媒体、プログラム伝送装置及び応対支援方法
US7434158B2 (en) Presenting multimodal web page content on sequential multimode devices
KR100188498B1 (ko) 데이타 정합 보존 제공 방법 및 이를 수행하는 데이타프로세싱 시스템
EP0959401A2 (en) Audio control method and audio controlled device
JPH07222248A (ja) 携帯型情報端末における音声情報の利用方式
US7685102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operating on non-text messages
US8726297B2 (en) Search tool that aggregates disparate tools unifying communication
JPH09116616A (ja) 留守番電話システム
JP2000075887A (ja) パターン認識装置、方法及びシステム
KR101251697B1 (ko) 다이얼로그 작성 및 실행 프레임워크
WO2002052831A1 (fr) Systeme de terminal mobile de radiocommunications
US9202467B2 (en) System and method for voice activating web pages
US10847161B2 (en) Processing system using intelligent messaging flow markers based on language data
JP2008216461A (ja) 音声認識・キーワード抽出・知識ベース検索連携装置
JPH0883157A (ja) 情報処理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1110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