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8072B1 - 수문 개폐기 - Google Patents

수문 개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8072B1
KR100188072B1 KR1019970014901A KR19970014901A KR100188072B1 KR 100188072 B1 KR100188072 B1 KR 100188072B1 KR 1019970014901 A KR1019970014901 A KR 1019970014901A KR 19970014901 A KR19970014901 A KR 19970014901A KR 100188072 B1 KR100188072 B1 KR 1001880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sluice
switch
bolt
gate swit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14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43619A (ko
Inventor
한상관
Original Assignee
한상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관 filed Critical 한상관
Publication of KR9700436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436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80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80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0Vertical-lift gates with guide wheels or rollers for the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28Vertical-lift gates with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BHYDRAULIC ENGINEERING
    • E02B7/00Barrages or weirs; Layout, construction, methods of, or devices for, making same
    • E02B7/20Movable barrages; Lock or dry-dock gates
    • E02B7/26Vertical-lift gates
    • E02B7/36Elevating mechanisms for vertical-lift 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Bar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무게추를 삽입하여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서 상하로 무게추의 위치를 변환함으로써 수압에 의해서 수문 개폐기가 개폐되도록 하는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양측의 회전축을 갖는 수문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다수 개의 무게추를 갖는 지지판체와, 양단에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단에 돌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가 삽입된 볼트와, 상기 구성을 감싸며 상단에 커버가 형성된 사각체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인위적인 힘을 이용하지 않고도 수문을 수압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고 특히, 무게추의 위치에 따라 배수량을 조절하여 저수량의 정확한 수위를 유지 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발명이다.

Description

수문 개폐기
본 발명은 무게 변환이 가능하도록 무게추를 수문 개폐기 내부에 장착한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무게추를 삽입하여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서 상하로 무게추의 위치를 변환함으로써 수압에 의해 수문 개폐기가 개폐되도록 하는 수문 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문을 개폐시에 수문을 개방시킬 경우에 작업자가 수문을 인위적인 힘을 이용하는 데 필요이상의 수문이 개방될 경우가 있기 때문에 수문의 개폐조절이 중요하다.
특히 농번기 또는 추수기를 맞아 저수로의 수위는 일정수위를 유지할 필요가 있어 수문의 정확한 개폐가 요구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문 개폐기는 인위적인 조절이 불가피하여 많은 인력을 필요로 할 뿐더러 정확한 수문의 개폐위치를 조절하기가 어렵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무게추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볼트에 삽입하여 이 볼트의 양단을 수문 개폐기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이를 외부의 돌림구에 의해서 돌림하여 볼트에 삽입된 무게추의 위치를 이동시켜 무게추의 위치에 따라 수문 개폐기의 중량을 다르게함으로써 인위적인 힘을 이용하지 않고도 수문을 수압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는 수문 개폐기를 제공함에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와 볼트의 결합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볼트의 회전에 따른 무게추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을 나타낸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수문 개폐기 2 : 케이스
4 : 커버 6 : 무게추
8 : 볼트 10 : 돌림구
12 : 회전축 14 : 베어링 하우징
18 : 지지판체 20 : 로프
22 : 롤러 24 : 콘크리트
26 : 너트 28 : 홀
30 : 웜휠 32 : 웜
34 : 감속장치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는,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양측의 회전축을 갖는 수문 개폐기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다수개의 무게추를 갖는 지지판체와, 양단에 베어링 하우징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단에 돌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가 삽입된 볼트와, 상기 구성을 감싸며 상단에 커버가 형성된 사각체형상의 케이스로 이루어진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지지판체의 상기 무게추를 다수 개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해서 기우로 인한 강우량이 많아지는 시기에도 많은 저수량을 유지하거나 배출을 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볼트의 외면에 웜과 웜휠에 의해 구성되는 웜기어의 감속장치를 장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감속장치에 의해서 적은 힘으로 육중한 상기 무게추를 수월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상기 무게추(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무게추(6)에 로프(20)나 체인 또는 래크기어를 유압에 의한 롤러(22)에 감기게 한 후, 상기 롤러(22)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수문 개폐기는 개폐작동을 수압에 의해서 수문 개폐기가 열리도록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장착된 상기 볼트에 삽입된 무게추를 상하로 유동시켜 무게중심을 변환함으로써 상기 무게추가 수문 개폐기의 하단에 위차할 경우 수문 개폐기가 폐문되며 또한 수문 개폐기의 상단에 위치할 경우 수문 개폐기가 개방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구성에 더하여, 상기 돌림구를 베어링 하우징에 삽입된 너트에서 착탈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구성에 의한 돌림구를 상기 수문의 케이스에서 착탈되도록 함으로써 취급의 편의성을 더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상기 구성을 이루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1도 내지 제4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내부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무게추와 볼트의 결합구조 및 동작을 나타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볼트의 회전에 따른 무게추의 위치를 나타낸 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나타낸 정면도,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1)는 제1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수문 개폐기(1)의 내부에 다수 개의 무게추(6)를 갖는 지지판체(18)와, 양단에 베어링 하우징(14)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단에 돌림구(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18)가 삽입된 볼트(8)와, 상기 구성을 감싸며 상단에 커버(4)가 형성된 사각체형상의 케이스(2)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케이스(2)의 양측으로 회전축(12)이 돌출형성되어 상기 수문을 고정하기 위한 후술하는 콘크리트(24)의 양측면에 지지된다.
또한, 상기 지지판체(18)의 중앙에 홀(28)이 형성되고 내경면에 암나사가 형성되어 상기 볼트(8)와 맞물림되도록 한다.
상기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의 조립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케이스(2)의 상단과 하단의 베어링 하우징(14)에 지지된 상기 볼트(8)에 내경면에 암나사가 형성된 홀에 삽입을 이루도록 상기 지지판체(18)를 맞물림하여 삽입하고 상기 다수 개의 무게추(6)를 상기 지지판체(18)에 삽입하여 조립을 완료한다.
이후, 상기 볼트(8)에서 상기 케이스(2)의 외부로 까지 연장된 돌림구(10)를 상기 케이스(2)에 형성된 베어링 하우징(14)에 삽입된 너트(26)에 끼워넣어 일측으로 돌림하면 상기 지지판체(18)가 상기 무게추(6)의 중량에 상기 케이스(2)에 안착을 이룬 상태로 상기 볼트(8)를 타고 상측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무게추(6)가 상기 지지판체(18)와 같이 상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상기 무게추(6)가 상기 수문의 케이스(2) 내부에서 하측에서 상측으로 무게의 중심이 이동되면서 상기 수문 하단의 중량이 가벼워지고 이때, 상기 수문의 육중한 무게추(6)에 의해 지탱되던 수문은 저수된 물의 수압에 밀려 수문이 개방되는 데 이때, 적절한 수위조절이 되도록 상기 무게추(6)의 위치를 돌림구(10)로 적절하게 조절한다.
또한, 이와 반대로 상기 무게추(6)를 하단측으로 내려가도록 상기 돌림구(10)를 일측으로 돌림하여 상기 무게추(6)가 상기 수문의 하단으로 내려오면서 무게중심이 케이스(2)의 하단부로 집중되면서 수문은 회전축(12)을 중심으로 천천히 개폐를 이룬다.
즉, 육중한 무게추(6)의 위치에 따라 저수된 물의 배출량이 다르므로 정확한 수위를 유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제4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을 나타낸 요부확대 단면도이다.
제4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로프(20)를 이용하여 상기 무게추(6)에 고정시키고 이를 상기 케이스(2)의 상단에 지지된 롤러(22)에 로프(20)를 감아서 상기 무게추(6)를 올릴 수 있다.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5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무게추(6)를 다수 개로 형성하여 수위량에 따라 상기 무게추(6)를 선택적으로 조절을 할 수 있어 저수량이 많은 때에도 저수지의 큰 수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제6도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볼트의 외면에 웜(32)과 웜휠(30) 의해 구성되는 웜기어의 감속장치(34)를 장착하여 육중한 무게추가 장착된 수문을 수월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문 개폐기는, 수문 개폐기의 내부에 무게추를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볼트에 삽입하여 이 볼트의 양단을 케이스의 상부와 하부에 각각 베어링 하우징에 고정시키고 이를 외부의 돌림구에 의해서 돌림하여 볼트에 삽입된 무게추의 위치를 이동시켜 육중한 무게추의 위치에 따라 수문 개폐기의 중량이 다르므로서 인위적은 힘을 이용하지 않고도 수문을 수압에 의해서 개폐할 수 있고 정확한 수위조절이 필요로 하는 농번기에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수위를 조절하기 위한 양측의 회전축(12)을 갖는 수문 개폐기(1)에 있어서, 상기 수문 개폐기(1)의 내부에 다수 개의 무게추(6)를 갖는 지지판체(18)와, 양단에 베어링 하우징(14)에 의해서 지지되며 일단에 돌림구(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지판체(18)가 삽입된 볼트(8)와, 상기 구성을 감싸며 상단에 커버(4)가 형성된 사각체형상의 케이스(2)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판체(18)의 상기 무게추(6)를 다수 개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8)의 외면에 웜(32)과 웜휠(30)에 의해 구성되는 웜기어의 감속장치(34)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게추(6)를 상하로 이동시키는 수단으로 무게추(6)에 로프(20)나 체인 또는 래크기어를 유압에 의한 롤러(22)에 감기게 한 후, 상기 롤러(22)를 회전시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림구는 상기 케이스의 너트(26)에서 착탈가능하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문 개폐기.
KR1019970014901A 1997-04-11 1997-04-22 수문 개폐기 KR10018807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70013447A KR970043621A (ko) 1997-04-11 1997-04-11 수위 조절장치가 부착된 수문
KR101997013447 1997-04-11
KR97-13447 1997-04-1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619A KR970043619A (ko) 1997-07-26
KR100188072B1 true KR100188072B1 (ko) 1999-06-01

Family

ID=19502575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47A KR970043621A (ko) 1997-04-11 1997-04-11 수위 조절장치가 부착된 수문
KR1019970014901A KR100188072B1 (ko) 1997-04-11 1997-04-22 수문 개폐기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13447A KR970043621A (ko) 1997-04-11 1997-04-11 수위 조절장치가 부착된 수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70043621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95497B1 (ko) * 1998-07-18 2001-09-17 한상관 수문개폐장치
KR100600704B1 (ko) * 2004-07-23 2006-07-14 경기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문 자동회전 장치
KR100908490B1 (ko) * 2008-10-02 2009-07-24 (주)에코원테크놀로지 자외선 살균기용 자동 수위 조절장치
KR101115030B1 (ko) * 2011-04-20 2012-02-27 주식회사 도우엔지니어즈 하천제방용 친환경 돌망태 구조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43621A (ko) 1997-07-26
KR970043619A (ko) 1997-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88072B1 (ko) 수문 개폐기
JP2818123B2 (ja) 給水自動開閉装置
US10053829B2 (en) Flashboard riser system and method for water management
KR100279191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KR102008815B1 (ko) 하수관과 연결되는 맨홀의 역류방지장치
CN209799518U (zh) 一种防潮通信塔
KR102263671B1 (ko) 무동력 자동수문
KR101572048B1 (ko) 논 라이싱 타입 수문 개폐장치
KR200395430Y1 (ko) 인양식 수문
KR200341035Y1 (ko) 자동수문
KR100372179B1 (ko) 수문의 개폐장치 구성방법
KR100296343B1 (ko) 유동식 수문
KR200153478Y1 (ko) 자동수문
KR200215793Y1 (ko) 수문 개폐장치
CN215758870U (zh) 一种水利工程用水闸
KR100233748B1 (ko) 수동겸용 자동 개폐 수문
KR100288778B1 (ko) 수문
KR200364372Y1 (ko) 수압식 수문 구동 장치
KR19990022163U (ko) 하수맨홀용개폐밸브
US4173044A (en) Drain valve operating device for a cistern of flush toilet
KR100279190B1 (ko) 수위의 자동조절이 가능한 수문
KR200171887Y1 (ko) 자동개폐및수위조절이용이한수문
KR200219534Y1 (ko) 수문
KR200192050Y1 (ko) 농수로용 수문 개폐장치
JPS592226Y2 (ja) 水門における浮遊物除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6 Request for trial to confirm the scope of a patent right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CONFIRMATION OF THE SCOPE OF RIGHT_AFFIRMATIVE REQUESTED 19990223

Effective date: 1999083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2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