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751B1 -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 Google Patents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751B1
KR100187751B1 KR1019950068407A KR19950068407A KR100187751B1 KR 100187751 B1 KR100187751 B1 KR 100187751B1 KR 1019950068407 A KR1019950068407 A KR 1019950068407A KR 19950068407 A KR19950068407 A KR 19950068407A KR 100187751 B1 KR100187751 B1 KR 1001877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erminal
built
replaceable
receiv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84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54700A (ko
Inventor
첸 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차우-하이 첸
시에스비 배터리 시오. 엘티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차우-하이 첸, 시에스비 배터리 시오. 엘티디. filed Critical 차우-하이 첸
Priority to KR10199500684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751B1/ko
Publication of KR970054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54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7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75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34Gastight accumulators
    • H01M10/345Gastight metal hydrid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onnection Of Batteries Or Terminals (AREA)
  • Battery Mounting, Suspen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에 관한 것으로서, 노출 접촉형의 단자를 구비한 종래 전지가 교환 가능한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전지로 변경되어, 전지 재생이 손쉽고 또한 안전하고 비용도 저렴하며, 전지의 수명이 증대된다.

Description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제1도는 본 발명의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의 상세 투시도이다.
제2도는 중간 커버의 릴리즈 밸브의 평면도이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전지 단자의 투시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가 사용중일때의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축전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자세하게는,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에 관한 것이다.
정보 사회의 다변화에 인해, 컴퓨터의 데이터 처리는 집중적인 처리 이외에 분산되고 있다. 그래서 시스템 구조를 구성하기 위한 주 요소는, 개인용 컴퓨터를 제외하면, 파워 서플라이의 신뢰도이며, 그것은 또한 컴퓨터 센터 및 공동체 시스템의 로컬 영역 전원 공급에 있어서도 중요하다. 그래서 장기간의 정보 및 통신 시스템을 구비하고, 작업을 하는데 안정성 있는 언인터립티드 파워 서플라이가 발명되었다. 그리고 그것은 파워 서플라이의 펄스, 트랩웨이브(trap wave) 및 인터럽션을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컴퓨터 통신 시스템 및 컴퓨터 제어 장치를 안전하게 해준다. 비록 언인터럽티드 파워 서플라이가 전원으로부터의 나쁜 효과를 억제하고 오퍼레이션의 부하 및 안전도를 증가시킬 수 있지만, 언인터럽티드 파워 서플라이의 축전지의 수명은 메인프레임의 수명보다 훨씬 작다. 따라서, 전지의 수명이 다했을 때, 메인프레임은 그 전지와 함께 버려져야 하고, 그 결과 쓰레기 처리에 있어서 그 메인프레임은 분류될 수 없고 전지에 있는 황산은 환경을 오염시킬 것이다.
환경 오염 이외에, 종래의 전지는 전기 장치와 접촉하게 되므로, 한 쌍의 슬라이딩 홈이 전지를 위치시키는 공간의 양면에 설치되고, 상기 슬라이딩 홈에 대해 전지 몸체의 양면에 가이드가 있다. 전지 단자는, 상기 가이드와 슬라이딩 홈 간의 맞물림에 의해 그 전기 장치와 결합된다. 또한, 널리 사용되는 휴대용 컴퓨터의 전지는 적당한 고정 장치(스프링 따위)에 의해 고정되어 컴퓨터와 전지의 접촉이 이루어진다. 그러나 대기 중에 노출된 단자는, 산화에 의해 상기 전기 장치와의 접촉 면적이 감소될 것이다. 다시 말해 접촉이 비효율적이어서 상기 전기 장치의 효율이 나빠진다.
일반적으로 축전지(보조 전지)는, (1) 납축전지와 (2) 알칼라인 축전지로 나누어지고, 상기 두 종류의 전지는 반복적으로 재충전될 수 있다. 수명 품질의 향상으로 인해, 환경 안전에 대한 요건이 더더욱 중요하고, 재충전되는 납축전지 및 알칼라인 축전지는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건전지를 대신한다. 경제성과 신뢰성의 관점에서, 납축전지의 양은 사용되는 축전지의 95%이고, 따라서 납축전지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하 납축전지에 대한 문제만이 설명될 것이고, 거기서 종래의 밸브 제어 납축전지(VRLA 전지)도 또한 반복 사용의 이점을 갖고 있지만, 일반적으로 자체 수명을 연장시키기 위해 설계된 밀폐된 전지는 사용 실수로 인해 많은 개스 압력을 발생시킬 것이다. 비록 제어 밸브가 전지 내부의 개스를 배출한 다음 자동적으로 닫히기는 하지만, 전해질은 오랜 시간 동안에 점차 소진되고, 그에 따라 전지는 버려져야 한다. VRLA 전지를 재생시킬 때, 사용자가 급작스레 전지를 만질 수 있으므로 단락과 같은 위험이 발생할 수 있다.
더욱이, 상기 밸브 제어 납축전지(VRLA 전지)의 전지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단자는 비교적 높은 방전 전력을 로드시킬 수 있지만, 양음극의 단자들은 전지표면으로부터 돌출되어 있고 상기 표면을 통해 비교적 높은 전력이 흐르기 때문에, 단락되기 쉽고 위험성이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일반적으로 밀폐된 배출 구멍을 구비한 전지 내의 개스는, 상기 배출 구멍을 개방함으로써 외부로 배출되지만, 오랜 시간 동안에 전지 내부의 전해질은 소진될 것이고 전지는 재충전할 수 없게 된다. 혼자 힘으로 상기 전지를 재생하는 사용자에게는 단락의 위험이 야기될 수 있고 불편하다. 종래에는, 납축전지의 수명이 다하면, 장치 전체(예를 들면, UPS, 언인터럽티드 파워 서플라이)가 버려질 테고, 이는 자원 낭비 및 환경 오염을 야기시킬 것이다.
또한, 비록 알칼라인 축전지의 플레이닝 접촉(planing contact)을 하는 단2자의 경우 상기 단락의 문제는 발생하지 않지만, 접촉 면적의 감소에 의해 전지는 비교적 높은 방전 전력을 로드시킬 수 없을 것이고, 따라서 그것은 비교적 낮은 전력의 방전에만 적합하고, 전지의 사용이 제한된다.
상기 이유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단자가, 교환 가능한 전지의 내부에 조성되고, 동시에 전지에는 구형의 전선을 접속하기 위해 구비되는 종래의 전지 단자가 갖추어진다. 사용자의 부주위로 생기는 단락의 위험이 방지되고, 전지의 재생이 편리하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단자 리셉터클은, 본 발명은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의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하여, 상기 단자는, 상기 리셉터클 안에 형성된 기설정의 내부 형태와 삽입형의 단자 지지대의 탄성력을 갖춘 홈들에 의해 전지 내부에 감추어진다. 삽입형 단자는 구형의 전선을 접속하기 위한 종래 구종의 전지 단자이고, 그것은 또한 회로 보드에 삽입되는 삽입 접촉형의 구조를 갖는다. 따라서 전지 재생이 편리하고 본 발명에서는 단자의 전체 면적이 증가되므로 비교적 높은 전력과 낮은 전력의 방전 둘다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언인터럽티드 파워 서플라이와 함께 디자인된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에 대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커버 1, 단자 구멍 11 및 회로 보드의 위치 구멍 13, 중간 커버의 릴리즈 밸브 2, 다수의 배출 구멍 21, 한 쌍의 단자 리셉터클 22, 단자 3 및 전지 탱크 4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에 대한 실시예를 보여준다.
제1도에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가 나와 있는데, 중간 커버의 밀폐 배출 밸브 2는, 상기 전지 탱크 4위에 위치하고, 다수의 배출 구멍 21은 그 중간 부분에 세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단자 리셉터클 22는 상기 다수의 배출 구멍에 거의 평행하고, 전지 탱크 4의 한 쪽에 형성되어 있다. 깊이가 다른 두 개의 직사각형 홈 221 및 222는 단자 리셉터클 22이 안쪽에 형성되고, 상기 단자의 탱크와 한몸으로 형성되어 있는 다수의 격리판 223 및 224는 홈 222안에 형성되어, 격리판들은 상기 단자 3을, 접속 가능한 전선 및/또는 단자를 포함하는 이단형(two-stage type)으로 분리시킨다.
제2도는 본 발명의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를 보여주는 것으로, 상기 단자 3은, 상기 전지 탱크 4의 단자 리셉터클 22안에 완전히 결합되어 있다. 제3도에 나와 있는 단자 3은, 도전성 금속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되어 원단자를 형성하고, 그런 다음 상기 원단자는 구부러져 두 쌍의 평행 레그 33 및 33을 형성하고, 그것의 한쪽은 구부러져 다른 섹션과 함께 앞으로 뻗어 있는 돌출 헤드 34를 형성하고, 전지 안쪽과 전기 접속 가능한 구멍 35가 그곳에 설치된다. 그런 다음 상기 두 레그 33과 33 사이의 부분이 구부러져 길이가 다른 한 쌍의 금속면 36 및 37을 형성하고, 그 금속면들은 단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데, 그 결과 금속면 36과 36 사이의 공간은, 속이 빈 단자의 중앙부로부터 바닥까지 세로로 긴 면을 형성하고, 상기 면은 중앙부는 좁고 양쪽은 넓어서, 회로보드가, 리시빙부 31에 의해 상기 두 금속면 사이에 죄어져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면 37의 바닥은 단자 리시빙부 32로 형성되어 삽입형의 단자를 받아들일 수 있다.
단자를 조립할 때, 구형의 전선(도면에는 나와 있지 않음)이 리시빙부 31안에 삽입되어, 커버 1의 구멍들 11 및 11을 통해 중간 커버의 릴리즈 밸브 2의 단자 리셉터클 22와 결합되거나, 또는 회로 보드(도면에는 나와 있지 않음)가, 단자 구멍들 11 및 11을 통해 단자 구멍 11 및 11에 평행한 상기 단자 3의 삽입형 단자 리시빙부 32 및 32안으로 직접 삽입될 수 있다. 커버 1의 중앙 측면에 설치되는 회로 보드의 위치 구멍 13은 단자를 재생시키거나 변경할 때 고정을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에 따르면, 전지 재생의 안정성 및 비용은 전지 내의 빌트-인 단자에 의해 달성되고, 본 발명은 또한 구형의 전선과 접속 가능한 종래의 전지 단자를 구비하여, 부주의로 인한 단락의 위험이 방지된다. 또한, 회로 보드를 삽입 접속시키기 위해 구비되는 접속형 단자의 설치로 인해, 전지 재생이 편리하다. 단자의 접촉 면적 또한 증가되기 때문에, 고전력 및 저전력의 전기 방전 둘 다에 적합하다.

Claims (2)

  1. 노출 접촉형 단자를 구비한 종래 전지를 교환 가능한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전지로 변경한,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에 있어서, 전선이 상기 전지의 단자 리시빙부 안으로 삽입되어 중간 커버의 릴리즈 밸브의 단자 리셉터클의 안쪽에 감추어져 커버의 단자 구멍을 통해 결합되거나, 또는 회로 보드가, 단자 구멍을 통해 단자 구멍과 평행한 금속면들 사이의 리시빙부 안으로 삽입되고, 커버의 중간 측면에 설치된 회로 보드의 위치 구멍은 상기 보드를 위치시키는데 사용되고 그럼으로써, 축전지는 재생이 쉽고 또한 보다 안전하고 보다 비용이 적게 들어, 상기 전지의 수명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빌트-인 단자는 도전성 금속을 용접함으로써 형성되고, 그런 다음 상기 금속은 구부러져 두 쌍의 평행 레그를 형성하고, 그것의 한쪽은 구부러져 다른 섹션을 갖는 돌출 헤드를 형성하고, 상기 전지 안쪽과 전기 접속 가능한 다수의 구멍 그곳에 설치되고, 그런 다음 상기 두 레그 사이의 부분이 구부러져 상기 단자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서로 길이가 다른 한 쌍의 금속면을 형성하고, 상기 금속면들은, 속이 빈 단자의 중앙부로부터 브리지형의 세로면을 형성하고, 그 세로면은 중앙부는 좁고 양측은 넓어서, 회로보드가, 두 금속면 사이의 리시빙부에 의해 죄어져 고정될 수 있고, 또한 상기 금속면의 바닥은 삽입형의 단자를 받아들이는 단자 리시빙부로 형성될 수 있는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KR1019950068407A 1995-12-30 1995-12-30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KR1001877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407A KR100187751B1 (ko) 1995-12-30 1995-12-30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8407A KR100187751B1 (ko) 1995-12-30 1995-12-30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00A KR970054700A (ko) 1997-07-31
KR100187751B1 true KR100187751B1 (ko) 1999-06-01

Family

ID=194480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8407A KR100187751B1 (ko) 1995-12-30 1995-12-30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751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54700A (ko) 1997-07-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6271A (en) Battery pack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2376922B (zh) 具备防水结构的电池组
US4247603A (en) Plug-in rechargeable battery and socket therefor
US5157318A (en) Structure of battery charger for different size and specification batteries
EP1025598B1 (en) Prismatic electrochemical cell and multicell battery
KR20010029822A (ko) 배터리 팩
JPH11297366A (ja) バッテリーパック、バッテリーチャージャーおよびバッテリーパックを使用する電子機器
KR100572178B1 (ko) 전지를 내장한 휴대전기기기
KR100187751B1 (ko) 빌트-인 단자를 구비한 교환 가능한 전지
CN210535719U (zh) 一种新型多面接触、低阻抗接插式电池盒
JP3269048B2 (ja) パック電池とこのパック電池を備える電源装置
JP3196096B2 (ja) 充電端子構造
CN216389635U (zh) 电池组结构
CN110649195A (zh) 一种新型多面接触、低阻抗接插式电池盒
CN218039392U (zh) 电池保护板及供电装置
JP2001291500A (ja) 電池パック
CN1071939C (zh) 端子内藏式可换插型电池
CN210296461U (zh) 一种用于锂离子电池模组的绝缘固定装置
KR101777333B1 (ko) 플러그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전지 팩과 전력 저장 장치
CN210327093U (zh) 一种适用于圆柱锂电池的充电器
CN219067422U (zh) 一种前壳可拆卸更换的充电器
CN212696197U (zh) 无线耳机及无线耳机充电系统
CN219106251U (zh) 一种新型储能装置
CN217507810U (zh) 电瓶桩头保险盒总成
KR0131065Y1 (ko) 1차전지와 겸용할 수 있는 재충전 밧데리 장치 및 휴대용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108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