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624B1 -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 Google Patents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624B1
KR100187624B1 KR1019950015486A KR19950015486A KR100187624B1 KR 100187624 B1 KR100187624 B1 KR 100187624B1 KR 1019950015486 A KR1019950015486 A KR 1019950015486A KR 19950015486 A KR19950015486 A KR 19950015486A KR 100187624 B1 KR100187624 B1 KR 100187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conveyor belt
supply line
buffer cell
line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54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77A (ko
Inventor
전기수
Original Assignee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홍건희, 한국타이어제조주식회사 filed Critical 홍건희
Priority to KR10199500154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624B1/ko
Publication of KR970001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6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73Ti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mmon features for more than one conveyor kind or type
    • B65G2811/06Devices controlling the relative position of articles
    • B65G2811/0647Changing the direction of movement of articles or bulk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yre Mould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공정에 있어서, 타이어를 다른 콘베이어벨트로 타이어를 방향전환시키어 이송시키는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6)위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선형안내부(7)를 갖춘 트랜스퍼부(8)와, 공압실린더(9)에 의해 힌지축(10)을 지지점으로해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지지대(11)를 갖춘 승하강부(12) 및, 타이어(3)의 트레드를 실린더(13)작용에 의해 밀대(14)로 밀어 각각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4)로 투입시키는 푸싱부(15)로 이루어져 있다.

Description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본 발명은 타이어 제조공정에 있어서 타이어를 다른 콘베이어벨트로 투입할 때 이용되는 타이어 이송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타이어를 다수개의 투입위치에 자동으로 정확하게 투입하므로써 자동화와 보수유지의 간편성 뿐만 아니라 성력화가 이루어지도록 된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타이어제조시 제조된 타이어는 타이어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되어, 규격에 맞추어 타이어를 대기시키는 버퍼셀콘베이어벨트(Buffer Cell Conveyor belt)로 투입되는데, 이때 이 버퍼셀콘베이어벨트의 각각의 투입위치에서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들에 맞추어 개별적으로 상하작동하는 승하강장치 및 모우터에 의해 동작되는 V벨트를 매개로 타이어를 버퍼셀콘베이어벨트로 투입하는 방법을 사용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 타이어 방향전환방식은 각 투입구마다 독립적으로 전환장치가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면적(Lay-out)이 크게 필요하게 될 뿐 아니라, 설비투자비가 과다하게 소요되고 보수유지측면에서도 다수개의 전환장치를 각각 정비하는 데에 따른 인력과 비용이 상당히 소요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를 따라 이동된 타이어들을 다수개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에 통합된 투입장치를 매개로 정확하게 자동투입시킴에 따라 장비를 자동화시킬 수 있고 보수유지를 간편하게 할 수 있도록 된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콘베이어벨트상에 적용되는 전체 개략평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타이어 이송방향장치의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공급라인콘베이어벨트 2 : 체인구동로울러
3 : 타이어 4 : 버퍼셀(Buffer Cell)콘베이어벨트
5 : 방향전환장치 6 : 레일
7 : 선형안내부 8 : 트랜스퍼부
9 : 공압실린더 10 : 힌지축
11 : 지지대 12 : 승하강부
13 : 실린더 14 : 밀대
15 : 푸싱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타이어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와 버퍼셀콘베이어벨트사이에 타이어 방향전환장치가 설치되되, 이 방향전환장치는 상기 각각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의 투입위치들 사이를 이동하는 선형안내부를 갖춘 트랜스퍼부와 힌지축을 매개로 상하로 작동하는 승하강 지지대를 갖춘 승하강부 및 타이어의 트레드를 밀어 각각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로 미는 푸싱부로 이루어져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첨부된 예시도면을 의거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전체적인 개략평면도이고, 제2도와 제3도는 본 발명의 요부상태측면도와 작동상태측면도이다.
본 발명은 도면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를 구성하는 체인구동로울러(2)를 타고 이동된 타이어(3)는 다음공정을 위해 다수개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4)들에 각각 투입되는 바, 이때 상기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에는 이의 길이방향을 따라 자유롭게 이동하여 버퍼셀콘베이어벨트(4)의 각각의 투입위치로 타이어를 투입시키는 방향전환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방향전환장치(5)는 제1도에 화살표로 도시된 바와 같이 콘베이어벨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설치된 레일(6) 위를 자유롭게 이동하는 선형안내부(7)를 갖춘 트랜스퍼부(8)와, 이 트랜스퍼부(8)가 소정위치로 이동하여 대기할 수 있도록 레일(6) 위를 따라 설치되어 있는 공지의 위치감지센서(도시안됨)와, 이 트랜스퍼부(8)의 소정위치에 설치되어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를 따라 이동하여 오는 타이어(3)가 트랜스퍼부(8)에 근접되면 이를 감지하여 공압실린더(9)로 제어신호를 인가시키도록 된 타이어감지부(도시안됨), 상기 공압실린더(9)에 의해 힌지축(10)을 지지점으로 해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지지대(11)를 갖춘 승하강부(12) 및, 타이어(3)의 트레드를 실린더(13)작용에 의해 밀대(14)로 밀어 각각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4)로 투입시키는 푸싱부(15)로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의한 작용을 살펴보면, 상기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의 가로방향으로 여러개(본 발명에서는 대략 6개정도)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4)가 설치되어 있는데, 상기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의 체인구동로울러(2)에 의해 타이어(3)들이 일정한 간격으로 이동된다.
그러면 원하는 버퍼셀콘베이어벨트(4)의 입구에 타이어(3)가 도착하기전에 미리 선정된 공지의 데이타를 전달받은 방향전환장치(5)가 상기 전달된 데이타와 일치되는 위치감지센서(도시안됨)에 도달할 때까지 트랜스퍼부(8)의 선형안내부(7)와 레일(6)을 따라 이동하여 타이어(3)를 투입하고자 하는 원하는 버퍼셀콘베이어벨트(4)의 투입위치 반대쪽에 위치하여 대기할 수 있게 된다. 이어 타이어(3)가 체인구동로울러(2)를 타고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를 따라 이동하는 타이어(3)가 투입위치 즉, 푸싱부(15)의 동작으로 버퍼셀콘베이어벨트(4)쪽으로 타이어(3)를 밀어줄 수 있는 위치에 오면 타이어감지부가 이를 감지하여 상기 공압실린더(9)로 소정의 제어신호를 인가시켜 실린더를 신장시키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지지대(11)가 힌지축(10)을 매개로 제2도의 위치에서 제3도의 위치로 승강이동됨에 따라 상기 타이어(3)는 체인구동로울러(2)상에서 제3도의 상태에서와 같이 들어올려지게 된다. 이때 상기 푸싱부(15)의 실린더(13)가 작용하여 밀대(14)로 타이어(3)의 트레드를 버퍼셀콘베이어벨트(4)쪽으로 일정한 가속도로 밀게 됨으로써, 타이어(3)는 버퍼셀콘베이어벨트(4)쪽으로 자동투입되게 되며, 이어 상기 공압실린더(9)의 수축에 따라 지지대(11)가 다시 원위치되게 된다.
한편, 다음번에 이 버퍼셀콘베이어벨트(4)들에 투입되는 타이어들은 상기 방향전환장치(5)가 앞서 설명한 방식에 의해 반복되어 이루어짐에 따라 그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타이어를 방향전환시킬 때 단일의 방향전환장치에 의해 타이어의 방향전환이 정확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짐에 따라 설비의 자동화와 성력화가 이루어지는 장점을 가질 뿐만 아니라, 보수유지에서도 상당한 잇점을 갖게 된다.

Claims (2)

  1.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와 이에 연하여 가로질러 설치되는 다수개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사이에 운반되는 타이어를 방향전환시키는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의 길이방향을 따라 레일(6)위로 자유롭게 이동하는 선형안내부(7)를 갖춘 트랜스퍼부(8)와, 공압실린더(9)에 의해 힌지축(10)을 지지점으로해서 상하로 승하강되는 지지대(11)를 갖춘 승하강부(12) 및, 타이어(3)의 트레드를 실린더(13)작용에 의해 밀대(14)로 밀어 각각의 버퍼셀콘베이어벨트(4)로 투입시키는 푸싱부(1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라인 콘베이어벨트(1)에는 이동되는 타이어(3)의 일정한 간격을 위해 체인구동로울러(2)가 설치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KR1019950015486A 1995-06-13 1995-06-13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KR100187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486A KR100187624B1 (ko) 1995-06-13 1995-06-13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5486A KR100187624B1 (ko) 1995-06-13 1995-06-13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77A KR970001177A (ko) 1997-01-21
KR100187624B1 true KR100187624B1 (ko) 1999-06-01

Family

ID=194169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5486A KR100187624B1 (ko) 1995-06-13 1995-06-13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62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748A (ko) * 1999-05-13 2000-12-05 이광열 발포 및 수지 제품의 열처리 콘베이어
KR100535983B1 (ko) * 2000-12-01 2005-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륜 공급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057B1 (ko) * 1998-07-03 2004-07-30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륜탑재용폴의정지위치편위량검출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3748A (ko) * 1999-05-13 2000-12-05 이광열 발포 및 수지 제품의 열처리 콘베이어
KR100535983B1 (ko) * 2000-12-01 2005-12-09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차륜 공급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77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15264A (en) Assembly line
US5743375A (en) Conveyer transfer apparatus
US5238100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glass sheets
US5318167A (en) Control system for power driven conveyor line
US4718533A (en) Transport installation for a production line having parallel-arranged processing stations
JPH04213512A (ja) コンベヤシステム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4062458A (en) Apparatus for storing objects on a vehicle
US5064330A (en) Belt-shaped member taking-out and transfer apparatus
JP2893222B2 (ja) 包装機への物品の自動整列供給方法と装置
US4671402A (en) Free flow conveyor
KR100187624B1 (ko) 타이어의 이송방향전환장치
US2978237A (en) Heat treating apparatus
US4368822A (en) Material handling method and apparatus
CA2462218A1 (en) Pallet/skid power roll system
EP1300351B1 (en) Method and device for the orderly supply of randomly received products
US6854586B1 (en) Unstable article conveying device with diverter having curved path
EP0689915A2 (en) An apparatus for synchronized supply of ceramic tiles to a rotary glazing and decorating machine
US3339626A (en) Mold part conveying and juxtapositioning apparatus
KR20000059646A (ko) 팔렛트 반전장치
CN113911722A (zh) 一种玻璃瓶夹取装置、使用方法及系统
US5318655A (en) Tread centering device
JP3104393B2 (ja) 兼用型容器ホルダの切替装置
JPS59190104A (ja) コンベヤ−装置
EP4219175B1 (en) Glass-printing machine with continuous transportation of the glass
JP3706405B2 (ja) 縦型ツイストシュート自動型替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