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7285B1 -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 Google Patents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7285B1
KR100187285B1 KR1019960051545A KR19960051545A KR100187285B1 KR 100187285 B1 KR100187285 B1 KR 100187285B1 KR 1019960051545 A KR1019960051545 A KR 1019960051545A KR 19960051545 A KR19960051545 A KR 19960051545A KR 100187285 B1 KR100187285 B1 KR 1001872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oltage
compressor
phase
invert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5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3780A (ko
Inventor
최광수
Original Assignee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호,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광호
Priority to KR10199600515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7285B1/ko
Publication of KR199800337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37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72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7285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88Electrical aspects, e.g. circui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3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for purposes related to the operation of the system, e.g. for safety or monitoring
    • F24F11/32Responding to malfunctions or emerg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 Conditioning Control Device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 Inverter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조확의 압축기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교류전원단(1)으로부터 공급되는 AC입력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수단(15)과, 상기 컨버터수단(15)에서 변환된 DC전원을 3상 A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수단(35)과,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3상 AC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압축기(31)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1)의 회전방향왁 회전상태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상간 출력되는 전압순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40)과, 상기 압축기(31)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3상출력의 상간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수단(45)과, 상기 회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상간 출력전압의 입력순서에 따라 상기 압축기(31)의 이상회전발생을 판단하는 제어수단(25)으로 이루어져,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3상의 상간 전압 및 상간 출력되는 전압순서를 감지하여 압축기(31)의 회전상태와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판단하므로 압축기(31)의 파손을 방지하고 인버터를 보호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기조화기의 압축제어장치
본 발명은 주파수를 가변하여 압축기를 구동하는 인버터 공기조화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압축기의 회전상태와 압축기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감지하여 압축기와 인버터를 보호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공기조화기는 제1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교류전원단(1)으로부터 공급되는 AC입력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부(3)와, 상기 컨버터부(3)에서 변환된 DC전원을 입력받아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DC 5V의 마이컴 구동전원, DC 12V의 부하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전원부(5)와, 상기 전원부(5)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실외조건 및 실내기의 지시에 따라 압축기(13)의 회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인버터구동용 PWM신호를 출력하는 제어부(7)와, 상기 제어부(7)에서 결정된 회전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13)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어부(7)로부터 출력되는 PWM신호를 인버터구동용 신호로 증폭하는 인버터구동부(9)와 상기 인버터구동부(9)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파워-트랜지스터를 교번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동작시켜 상기 컨버터부(3)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을 3상 A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부(11)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AC입력전원이 공급되면, AC입력전원이 컨버터부(3)에서 DC전원으로 변환되고, 이 변환된 DC전원은 전원부(5)에 입력되어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DC 5V의 마이컴 구동전원과, DC 12V의 부하구동전원으로 변환되어 제어부(7)와 인버터구동부(9)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부(7)에서는 전원부(5)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마이컴 구동전원)을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실내기의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된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운전모드와 설정온도를 입력한 다음 운전키를 온시키면, 제어부(7)에서는 실외조건 및 실내기의 지시에 따라 압축기(13)의 회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인버터구동용 PWM신호를 인버터구동부(9)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구동부(9)에서는 제어부(7)로부터 출력되는 PWM신호를 증폭시켜 인버터부(11)의 도시되지 않은 6개의 파워-트랜지스터를 교번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동작시켜 컨버터부(3)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을 3상 AC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면, 인버터부(11)로부터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 AC전원에 의해 압축기(13)가 회전한다.
즉, 인버터부(11)는 공기조화기의 운전에 필요한 냉방 또는 난방능력에 대응하여 압축기(13)의 회전주파수와 그에 따른 전압을 압축기(13)에 공급하여 원하는 회전주파수로 압축기(13)를 회전시킨다.
그런데, 이와같은 종래의 공기조화기에서는, 작업자의 실수로 인버터구동부(9)에서 인버터부(11)로 연결되는 10개의 라인중 1개를 미결선하거나 두 개의 라인을 바꾸어 연결하면, 압축기(13)의 회전각도(60°×6 = 360°)가운데 1개의 각도(60°)를 잃어버려 압축기(13)의 회전상태가 불량하므로 장시간 운전시 압축기(13)가 과열되어 파손되거나 심한 진동에 의해 인버터부(11)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인버터부(11)에서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을 압축기(13)에 연결시 임의의 2상을 바꾸어 연결하면, 압축기(13)가 반대로 회전하여 장시간 운전시 압축시(13)가 과열되거나 압축기(13)로킹으로 인해 압축기(13)와 인버터부(11)가 파손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3상의 상간 전압 및 상간 출력되는 전압순서를 감지하여 압축기의 회전상태와 압축기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판단하므로 압축기의 파손을 방지하고 인버터를 보호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압축기의 회전방향과 회전상태를 판단하여 이상회전 발생시에는 압축기와 인버터를 보호하고 이를 표시하므로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는 교류전원단으로부터 공급되는 AC입력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수단과, 상기 컨버터수단에서 변환된 DC전원을 입력받아 원하는 주파수의 3상 A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수단과, 상기 인버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 AC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압축기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의 회전방향과 회전상태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에서 출력되는 3상의 전압순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과, 상기 압축기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의 상간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수단과, 상기 회전감지수단에 의해 감지된 상간 출력전압의 입력순서에 따라 상기 압축기의 이상회전발생을 판단하는 제어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는 종래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추기 제어블럭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의 제어블럭도.
제3도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주요구성 부분의 상세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5 : 컨버터수단 20 : 전원수단
25 : 제어수단 30 : 인버터구동수단
31 : 압축기 35 : 인버터수단
40 : 회전감지수단 45 : 전압감지수단
50 : 표시수단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컨버터수단(15)은 교류전원단(1)으로부터 공급되는 AC입력전원을 정류 및 평활시켜 DC전원으로 변환하고, 전원수단(20)은 상기 컨버터수단(15)에 의해 변환된 DC전원을 입력받아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소정의 직류전압(DC 5V의 마이컴 구동전원, DC 13V의 부하구동전원)으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SMPS(Switching Mode Power Supply)이다.
제어수단(25)은 상기 전원수단(20)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을 인가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킴은 물론, 실외기의 상황과 실내기에 지시하는 주파수 또는 실내기 상태를 기준으로 최적의 압축기(31) 회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인버터구동용 PWM신호(PWM1~PWM6)를 출력하는 마이컴이고, 인버터구동수단(30)은 상기 제어수단(25)에서 결정된 회전주파수에 따라 상기 압축기(31)를 회전시키도록 상기 제어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PWM신호를 인버터구동용 신호로 증폭하는 파워-트랜지스터 드라이버회로(PTR DRIVER)이다.
그리고, 인버터수단(35)은 상기 인버터구동수단(30)으로부터 출력되는 구동신호에 따라 6개의 파워-트랜지스터(TR1~TR6)를 교번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동작시켜 상기 컨버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을 상기 압축기(31)의 회전주파수에 맞는 가변주파수 및 가변전압의 3상(u상, v상, w상) AC전원으로 변환시켜 상기 압축기(31)에 출력한다.
회전감지수단(40)은 상기 인버터수단(35)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 AC전원에 의해 압축기(31)가 회전할 때, 상기 압축기(31)의 회전방향과 회전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의 전압순서를 감지하는 것으로써, 이 회전감지수단(40)은 상기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6) 턴온/턴오프신호를 저항(R7,R9,R11,R13,R15,R17)을 통해 입력받아 온/오프동작하는 포토커플러(PC1~PC6)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전원수단(2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Vcc)을 상기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1~P6)에 입력하는 저항(R8,R10,R12,R14,R16,R18)으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압감지수단(45)은 상기 인버터수단(35)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 AC전원에 의해 압축기(31)가 회전할 때, 상기 압축기(31)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이 정상인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의 상간 전압을 감지하는 것으로써, 이 전압감지수단(45)은 상기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6) 턴온/턴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u상과 v상간에 형성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1,R2)과, 상기 분압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다이오드(D1)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평활용 캐패시터(C1)와, 상기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6) 턴온/턴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u상과 w상간에 형성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5,R6)과, 상기 분압저항(R5,R6)에 의해 분압된 전압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3)와, 상기 다이오드(D3)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평활용 캐패시터(C3)와, 상기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6) 턴온/턴오프동작에 따라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v상과 w상간에 형성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과, 상기 분압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전압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2)와, 상기 다이오드(D2)에 의해 정류된 전압에 포함되어 있는 노이즈성분을 필터링하는 평활용 캐패시터(C2)로 구성되어 있다.
또, 표시수단(50)은 상기 회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상기 압축기(31)의 회전방향 및 회전상태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제어신호를 입력받아 상기 인버터구동수단(30)에서 인버터수단(35)으로 연결되는 라인이 단선되거나 압축기(31)에 연결되는 3상(u상, v상, w상)중 임의의 2상을 바꾸어 연결하여 발생하는 이상회전여부를 표시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공기조화기에 전원이 인가되면, 교류전원단(1)으로부터 공급되는 AC입력전원을 컨버터수단(15)에서 정류 및 평활시켜 DC전원으로 변환하고, 상기 컨버터수단(15)에 의해 변환된 DC전원을 전원수단(20)에서 입력받아 공기조화기의 구동에 필요한 DC 5V의 망컴 구동전원과, DC 12V의 부하구동전원으로 변환시켜 제어수단(25)과 인버터구동수단(30)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25)에서는 전원수단(20)으로부터 출력되는 직류전압(마이컴 구동전원)을 입력받아 공기조화기를 초기화시킨다.
이때, 사용자가 리모콘이나 실내기의 콘트롤판넬상에 구비된 키조작부를 조작하여 원하는 운전모드를 입력한다음 운전키를 온시키면, 제어수단(25)에서는 실외조건 및 실내기의 지시에 따라 압축기(31)의 회전주파수를 결정하여 인버터구동용 PWM신호(PWM1~PWM6)를 인버터구동수단(30)에 출력한다.
이에 따라, 상기 인버터구동수단(30)에서는 제어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PWM신호를 증폭시켜 인버터수단(35)의 6개의 파워-트랜지스터(TR1~TR6)를 교번으로 턴온 또는 턴오프동작시켜 컨버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을 3상 AC전원으로 변환시켜 출력하면, 인버터수단(35)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 AC전원에 의해 압축기(31)가 회전한다.
상기 압축기(31)가 회전을 시작하면, 회전감지수단(40)에서는 상기 압축기(31)의 회전방향과 회전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3상(u상, v상, w상)의 전압순서를 감지하여 제어수단(25)에 출력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25)에서는 회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상간출력전압의 순서를 출력되는 PWM신호와 비교하여 상기 압축기(31)의 회전방향과 회전상태가 정상인지를 판단한다.
만약, 상기 제어수단(25)에서 PWM1과 PWM4신호를 출력하면, 제어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PWM1과 PWM4신호는 인버터구동수단(30)을 통해 증폭되어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4)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R1,TR4)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TR4)가 턴온되면, 컨버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은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u상으로 흘러 압축기(31)에 입력되고, 다시 압축기(31)의 권선을 통해 v상으로 들어와 트랜지스터(TR4)를 통해 DC전원(-)으로 흐르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압축기(31)가 회전되고, 이때 포토커플러(PC1)가 온되어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1)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정상이다.
그리고, PWM1과 PWM4가 출력될 때, 인버터수단(35)의 출력 u상과 v상간에는 전압이 형성되고, 이 전압은 분압저항(R1,R2)에 의해 분압되고 다이오드(D1)를 통해 정류되어 제어수단(25)에 입력되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7)에는 u-v상간 전압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에서는 입력된 u-v상간 전압을 PWM1과 PWM4를 출력하여 얻고자 하는 u-v상간 전압과 비교하여 현재 출력되는 u-v상간 전압의 차만큼을 증감하여 PWM1과 PWM4의 출력을 조절한다.
다음으로, 상기 제어수단(25)에서 PWM1과 PWM4신호를 출력한다음 PWM1과 PWM6신호를 출력하면, 제어수단(25)으로부터 출력되는 PWM1과 PWM6신호는 인버터구동수단(30)을 통해 증폭되어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6)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므로 상기 트랜지스터(TR1,TR6)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1,TR6)가 턴온되면, 컨버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은 트랜지스터(TR1)를 통해 u상으로 흘러 압축기(31)에 입력되고, 다시 압축기(31)의 권선을 통해 w상으로 들어와 트랜지스터(TR6)를 통해 DC전원(-)으로 흐르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압축기(31)가 회전되고, 이때 포토커플러(PC2)가 온되어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2)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정상이다.
그리고, PWM1과 PWM6가 출력될 때, 인버터수단(35)의 출력 u상과 w상간에는 전압이 형성되고, 이 전압은 분압저항(R5,56)에 의해 분압되고 다이오드(D3)를 통해 정류되어 제어수단(25)에 입력되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8)에는 u-w상간 전압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에서는 입력된 u-w상간 전압을 PWM1과 PWM6를 출력하여 얻고자 하는 u-w상간 전압과 비교하여 현재 출력된는 u-w상간 전압의 차만큼을 증감하여 PWM1과 PWM6의 출력을 조절한다.
다음, 상기 제어수단(25)에서 PWM1과 PWM6신호를 출력한다음 PWM3과 PWM6신호를 출력하면, 트랜지스터(TR3,TR6)가 턴온된다.
상기 트랜지스터(TR3,TR6)가 턴온되면, 컨버터수단(15)으로부터 출력되는 DC전원(+)은 트랜지스터(TR3)를 통해 v상으로 흘러 압축기(31)에 입력되고, 다시 압축기(31)의 권선을 통해 w상으로 들어와 트랜지스터(TR6)를 통해 DC전원(-)으로 흐르는 폐루프를 형성하여 상기 압축기(31)가 회전되고, 이때 포토커플러(PC3)가 온되어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3)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정상이다.
그리고, PWM3과 PWM6가 출력될 때, 인버터수단(35)의 출력 v상과 w상간에는 전압이 형성되고, 이 전압은 분압저항(R3,R4)에 의해 분압되고 다이오드(D2)를 통해 정류되어 제어수단(25)에 입력되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9)에는 v-w상간 전압이 입력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어수단(25)에서는 입력된 v-w상간 전압을 PWM3과 PWM6를 출력하여 얻고자 하는 v-w상간 전압과 비교하여 현재 출력되는 v-w상간 전압의 차만큼을 증감하여 PWM3과 PWM6의 출력을 조절한다.
다음, 상기 제어수단(25)에서 PWM3과 PWM6신호를 출력한다음 PWM3과 PWM2신호를 출력하면, 트랜지스터(TR3,TR2)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TR3,TR2)가 턴온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4)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단자(P7)에는 u-w상간 전압이 입력된다.
다음, 상기 제어수단(25)에서 PWM3과 PWM2신호를 출력한다음 PWM5와 PWM4신호를 출력하면, 트랜지스터(TR5,TR4)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TR5,TR4)가 턴온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5)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단자(P9)에는 v-w상간 전압이 입력된다.
다음, 상기 제어수단(25)에서 PWM5과 PWM4신호를 출력한 다음 PWM5과 PWM2 신호를 출력하면, 트랜지스터(TR5,TR2)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TR5,TR2)가 턴온되면, 상기와 마찬가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6)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며, 입력단자(P8)에는 u-w상간 전압이 입력된다.
상기와 같이, 제어수단(25)에서 PWM파형을 출력하여 입력단자(P1~P6)에 PWM출력 순서대로 로우신호가 입력되면, 인버터구동수단(30)과 인버터수단(35)의 연결상태가 정상이고, 압축기(31)에 연결되는 인버터수단(35)의 3상(u상, v상, w상)이 정상이며, 압축기(310의 회전방향이 정상이라고 판단한다.
한편, 인버터구동수단(30)에서 인버터수단(35)으로 연결되는 We의 연결이 단선되면, 압축기(31)는 회전을 하지만, PWM5와 PWM2, PWM5와 PWM4의 출력시 트랜지스터(TR5)가 턴온되지 않아 압축기(31)의 회전각도(60°×6 = 360°)에서 2개의 각도가 빠져 회전상태가 불량하게 되는데, 이때, 포토커플러(PC5,PC6)가 온되지 않으므로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5,P6)에 로우신호가 입력되지 않는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25)에서는 PWM신호를 출력하였는데 입력단자(P5,P6)에 로우신호가 입력되지 않으므로 인버터구동수단(30)에서 인버터수단(35)으로 연결되는 We가 단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압축기(31)에 연결되는 3상(u상, v상, w상)중 v와 w를 바꾸어 연결하면, PWM1과 PWM4출력시 포토커플러(PC1)가 온이 아니고 포토커플러(PC2)가 온되고, PWM1과 PWM6출력시 포토커플러(PC2)가 온이 아니고 포토커플러(PC1)가 온되고, PWM3과 PWM2출력시 포토커플러(PC3)가 온이 아니고 포토커플러(PC4)가 온되고, PWM3과 PWM2출력시 포토커플러(PC4)가 온이 아니고 포토커플러(PC3)가 온되고, PWM5과 PWM4출력시 포토커플러(PC5)가 온이 아니고 포토커플러(PC6)가 온되고, PWM5과 PWM2출력시 포토커플러(PC6)가 온이 아니고 포토커플러(PC5)가 온된다.
따라서, 상기 제어수단(25)의 입력단자(P1)에 로우신호가 입력될때에 입력단자(P2)에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P2)에 로우신호가 입력될때에 입력단자(P1)에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P3)에 로우신호가 입력될때에 입력단자(P4)에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P4)에 로우신호가 입력될때에 입력단자(P3)에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P5)에 로우신호가 입력될때에 입력단자(P6)에 로우신호가 입력되고, 입력단자(6)에 로우신호가 입력될때에 입력단자(P5)에 로우신호가 입력되므로 제어수단(25)에서는 압축기(31)가 반대로회전하고 있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25)은 압축기(31)가 반대로 회전한다고 판단되면, 표시수단(50)을 통해 이상회전발생을 표시한다.
상기의 설명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에 의하면, 인버터에서 출력되는 3상의 상간 전압 및 상간 출력되는 전압순서를 감지하여 압축기(31)의 회전상태와 압축기(31)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판단하므로 압축기(31)의 파손을 방지함은 물론, 인버터를 보호하고, 이상회전 발생시에는 이를 표시하여 제품에 대한 사용자의 만족도를 충족시킬 수 있다.

Claims (5)

  1. 교류전원단(1)으로부터 공급되는 AC입력전원을 DC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수단(15)과, 상기 컨버터수단(15)에서 변환된 DC전원을 입력받아 원하는 주파수의 3상 AC전원으로 변환시키는 인버터수단(35)과, 상기 인버터수단(35)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 AC전원에 의해 회전하는 압축기(31)로 구성된 공기조화기에 있어서, 상기 압축기(31)의 회전방향과 회전상태를 판단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3상의 전압순서를 감지하는 회전감지수단(40)과, 상기 압축기(31)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조절하도록 상기 인버터수단(35)으로부터 출력되는 3상의 상간 전압을 감지하는 전압감지수단(45)과, 상기 회전감지수단(40)에 의해 감지된 상간 출력전압의 입력순서에 따라 상기 압축기(31)의 이상회전발생을 판단하는 제어수단(25)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감지수단(40)은 상기 인버터수단(35)의 트랜지스터(TR1~TR6) 턴온/턴오프동작에 따라 온/오프동작하는 포토커플러(PC1~PC6)와, 상기 포토커플러(PC1~PC6)의 온/오프동작에 따라 전원수단(20)으로부터 인가되는 전압(Vcc)을 상기 제어수단(25)에 입력되는 저항(R8,R10,R12,R14,R16,R18)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압감지수단(45)은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u상과 v상간에 형성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1,R2)과, 상기 분압저항(R1,R2)에 의해 분압된 전압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1)와,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u상과 w상간에 형성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5,R6)과, 상기 분압저항(R5,R6)에 의해 분압된 전압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3)와, 상기 인버터수단(35)에서 출력되는 v상과 w상간에 형성된 전압을 분압하는 분압저항(R3,R4)과, 상기 분압저항(R3,R4)에 의해 분압된 전압신호를 정류하는 다이오드(D2)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5)은 상기 전압감지수단(45)에 의해 감지된 3상출력의 상간 전압에 따라 인버터구동용 PWM신호를 가변시켜 상기 압축기(31)에 입력되는 주파수대전압을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25)의 제어에 따라 이상회전발생을 표시하는 표시수단(50)을 추가로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KR1019960051545A 1996-11-01 1996-11-01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KR1001872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545A KR100187285B1 (ko) 1996-11-01 1996-11-01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545A KR100187285B1 (ko) 1996-11-01 1996-11-01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780A KR19980033780A (ko) 1998-08-05
KR100187285B1 true KR100187285B1 (ko) 1999-05-01

Family

ID=194805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545A KR100187285B1 (ko) 1996-11-01 1996-11-01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8728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893A (ko) * 2017-12-18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보호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2893A (ko) * 2017-12-18 2019-06-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보호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KR102036115B1 (ko) * 2017-12-18 2019-10-24 엘지전자 주식회사 압축기 보호 기능을 가지는 공기 조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3780A (ko) 1998-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90004935B1 (ko) 인버터 부착 공기조화기의 제어회로
US6952088B2 (en) PSC motor system for use in HVAC applications with improved start-up
KR100202120B1 (ko) 전력변환장치 및 이를 이용한 공기조화장치
EP2072923B1 (en) Motor controller of air conditioner
US6801013B2 (en) PSC motor system for use in HVAC applications
US7272302B2 (en) PSC motor system for use in HVAC applications with field adjustment and fail-safe capabilities
US5712551A (en) Starting circuit protec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brushless DC motor compressor
JP3442203B2 (ja) 室外送風機の駆動装置
KR100259128B1 (ko) 계통연계발전기
KR100323931B1 (ko) 전동기제어장치및이제어장치를이용한공기조화기
KR100187285B1 (ko) 공기조화기의 압축기제어장치
KR20170036506A (ko) 칠러
JP2000002188A (ja) 空気調和機の制御装置
EP2134967B1 (en) Electro-compressor and air conditioner having the same
JPH1169861A (ja) 電動機制御装置、この電動機制御装置を用いた冷凍サイクル装置及び空気調和機
KR20040076789A (ko) 모터 제어 장치 및 모터의 제어 방법
KR100504857B1 (ko) 멀티 에어컨의 인버터 구동장치
JP2006136167A (ja) 電力変換装置、電力変換装置の制御方法及び空気調和装置
TW463454B (en) Electric motor driving apparatus, control conversion device and air conditioner
WO2016170633A1 (ja) 空気調和機
JPH09322586A (ja) 空気調和機
KR100540924B1 (ko) 공기조화기의제어장치
KR100239530B1 (ko) 공기조화기의 인버터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2011830B1 (ko) 압축기 구동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공기조화기
JP2003319690A (ja) 空気調和機のファン用ブラシレスモータの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9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2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