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932B1 -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0186932B1 KR100186932B1 KR1019960029698A KR19960029698A KR100186932B1 KR 100186932 B1 KR100186932 B1 KR 100186932B1 KR 1019960029698 A KR1019960029698 A KR 1019960029698A KR 19960029698 A KR19960029698 A KR 19960029698A KR 100186932 B1 KR100186932 B1 KR 100186932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adsorption
- adsorbent
- composition
- weight
- exchange resin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2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free carbon; comprising carbon obtained by carbonising process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5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surface properties or porosity
- B01J20/28057—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 B01J20/28066—Surface area, e.g. B.E.T specific surface area being more than 1000 m2/g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43/00—Amphoteric ion-exchange, i.e. using ion-exchangers having cationic and anionic groups; Use of material as amphoteric ion-exchangers; Treatment of material for improving their amphoteric ion-exchange propert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분해제로서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과 흡착제로서 BET 비표면적 2000㎡/g인 고성능 활성탄을 유효성분으로서 함유하는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종래의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보다 우수한 성능을 가지면서도 피부 자극성 및 안점막 자극성 등의 인체 안전성 측면에서도 보다 안전하다.
Description
도 1 은 유기인 화합물 제독을 위한 탈착 실험 장치도를 예시한 도면임.
도 2 는 유기인 화합물의 피부오염 증가도에 대한 여러가지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의 제독성능을 비교한 도면임.
도 3 은 토끼를 대상으로 한 수포 유발물질에 대한 본 발명 조성물의 제독 효과를 도시한 사진 도면임.
[발명의 목적]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기술]
본 발명은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분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은 기체 또는 액체 상태의 고독성 농약 또는 살충제 등의 유기인 화합물을 효과적으로 흡착시킨 후 분해시킴으로써 이러한 유기인 화합물에 의한 오염을 제거할 수 있는 새로운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분말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유기인 화합물을 비롯한 각종 독성 화합물에 대한 흡착제로는 활성탄이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그 중에서도 최근 미국의 Rohm and Haas사가 개발한 고분자 수지형 흡착제인 AmbersorbR가 가장 강력한 흡착제인 것으로 알려졌다. 유기인 화합물은 신경전달계 효소인 아세틸콜린에스테라제를 비가역적으로 저해함으로써 극미량의 오염, 중독으로도 죽음에 이를 수 있는 치명적인 화합물이다. 따라서 그의 확실한 제독을 위한 방법 또는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Rohm and Haas사에서는 흡착 후 재탈착에 의한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역시 고분자 수지를 원료로 하는 분해제를 개발한 후 이를 Ambersorb와 혼합시켜 흡착/분해제인 Ambergard XE-555를 제조하였다.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상술한 Rohm and Haas사의 Ambergard XE-555는 인체 자극성 측면에서 다소 만족스럽지 못한 측면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Ambergard XE-555보다도 제독성능이 우수하면서도 인체 자극성이 경감되고 더욱 경제적인 새로운 흡착/분해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발명의 구성 및 작용]
본 발명자들은 현재까지 유기인 화합물에 대해 가장 우수한 흡착/분해 제독 조성물로 알려진 상기 Ambergard XE-555보다도 제독성능이 더 우수하고 인체 자극성이 경감된 새로운 흡착/분해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해 집중적으로 연구한 결과 흡착제로서 BET 비표면적이 2000㎡/g 이상인 고성능 활성탄을 이용하고 분해제로서 음이온 교환수지와 양이온 교환수지를 이용하여 이들을 적절한 비율로 혼합함으로서 기존의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조성물보다 효과가 뛰어난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 조성물을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한편, 얻어진 조성물의 유동성 증진 및 균질화를 위해 흄드 실리카(fumed silica)를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들어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분해제의 제조
원료로서 양이온 교환수지 Amberlyst 15R, 음이온 교환수지 Amberlite IRA-900R을 사용하였다.
Amberlyst 15R100g을 컬럼에 충진시킨 후 중성 pH에 도달할 때까지 증류수로 수세하였다. 80℃~100℃에서 건조시킨 후 풀버라이져를 이용하여 미세분말화하여 직경이 10㎛ 이하인 입자를 선별하여 분해제 1로 하였다.
Amberlite IRA-900R100g을 컬럼에 충진시킨 후 AgCl 침전법으로 백색 침전이 생기지 않을 때까지 1M NaOH 수용액으로 수세하였다. 카보네이트 이온이 제거된 증류수를 이용하여 중성 pH에 도달할 때까지 수세하여 60℃~80℃에서 건조시킨 후 역시 미세분말화하여 10㎛이하의 입자를 선별하여 분해제 2로 하였다.
[실시예 2]
흡착제 선정 및 분해제와의 혼합 조성물 제조
Xen348F (Rohm and Hass사 제), Merck Carbon (Merck사 제), Maxsorb (Kansai Chemical Co.사 제), 및 Carbon Cloth (Carbon Cloth, Ltd. 사제) 등의 후보물질에 대하여 그의 비표면적, 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DMMP)에 대한 포화흡착량을 시험한 결과 비표면적과 DMMP에 대한 포화흡착량이 가장 큰 Maxsorb를 고성능 활성탄으로서 선정하여 실험에 이용하였다. 다음 표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기의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BET 비표면적이 대체로 2000㎡/g이상이어야 목적하는 바를 충족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흡착제와 분해제의 조성에 대한 사전실험을 실시하여 흡착제 20-50 중량%, 양이온 수지 22-40 중량%, 음이온 수지 22-40 중량%, 및 흄드실리카 2 중량% 이하가 되도록 성분 조정을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제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상기 중량%는 수분함량을 제외한 고형분의 질량%임). 흡착제로서 Maxsorb 43 중량%, 양이온 교환수지 Amberlyst 15R28중량%, 음이온 교환수지 Amberlite IRA-900R28 중량%, 및 흄드 실리카 1 중량%로 이루어진 해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여 이를 M-Kit로 명명하여 이하의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제반성능 비교
1. 구조적 특성 비교
흡착 현상을 이용한 제독제의 특성 분석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특성은 흡착제 자체의 구조 특히 세공 특성에 있다. 이 특성은 흡착제의 원료와 탄화/활성화 처리 과정에서 일어나는 각종 변화에 의하여 결정되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질소의 액화 온도인 -196℃에서 질소 가스를 흡착시켜 측정한다. 그 평형 흡착 압력에 대한 흡착량을 BET (Brumauer, Emett, Teller) 식에 의거 구성함으로서 얻어지는 BET 비표면적 특성과 Kelvin eq.에 의하여 얻어지는 세공분포도 (pore size distribution), 그리고 세공의 직경과 형태 등을 여러가지 방법에 의하여 밝힘으로써 사용처에 따라서 적절한 세공 형태나 표면적을 갖는 흡착제 선택의 기본 특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M-Kit와 미국 Rohm and Haas 사의 Ambergard XE-555의 표면 특성을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1] 본 발명품(혼합조성, M-Kit)과 Ambergard XE-555의 표면 특성 비교
표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 M-Kit는 Ambergard XE-555에 비해 B.E.T. 비표면적과 기공 분포도 등을 비롯한 표면 특성에 있어서 보다 우수한 물성을 보유하므로 흡착성능에 있어서도 월등함이 예견된다. 실제로 이를 입증하기 위해 DMMP(디메틸메틸 포스페이트) 증기흡착 및 탈착률 비교시험을 다음과 같이 실시하였다.
2. DMMP 증기 흡탈착
제독제와 흡착제의 제독 능력은 무엇보다도 피부에 오염된 액체를 신속히 흡수/흡착하는 것이므로 흡착능력이 분해능력보다 다소 중요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흡착능력은 여러가지 측정방법이 있으나 분말형 제독제와 같이 미세분말인 경우 일반적으로 액상흡착 방법을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피부용 제독제는 분말 형태로 직접 액체작용제에 접촉시키고 탈착과정 역시 고체-기체 계면현상으로서 궁극적으로는 액상흡착이 아닌 상황에서 사용된다. 따라서 기상흡착 방법에 의한 흡착 성능 평가가 좀더 현실적인 방법이나 실질적인 기상 흡착 방법들이 입자상 흡착제에 적용하는 방식들로 보편화되어 있어서 실험방법 적용에 어려움이 많았다. 특히 미세입자의 흩날림 현상으로 인한 흡착제 중량의 유동성과 흡착 장치 내의 분말 오염등이 우려되어 정밀계측 방식에 의한 흡착시험을 실시하기 곤란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일반적으로 포화흡착량 측정에 사용되는 데시케이터 방법을 사용하여 유사작용제인 DMMP 흡착량과 탈착량을 측정하였다. 시료량은 건조된 분말 약 200mg을 바이알에 넣어 사용하였고 DMMP는 Aldrich 제품을 사용하였다. 실험 온도는 Blue M사의 Humidity Chamber를 사용하여 35℃로 유지하였으며 DMMP가 담긴 바이알을 데시케이터 내에 시료들과 함께 넣은 상태에서 데시케이터를 탈기 (outgassing)시킴으로써 내부공간이 DMMP 증기로 포화되게 하였으며 중량 증가량을 이용하여 포화흡착량을 구하였다.
한편, 탈착현상을 비교하기 위하여 6시간 정도 35℃ 진공 펌프로 탈착을 유도하였다. 내부의 진공압은 5μ Torr정도 이하였고 탈착 후의 잔류 흡착량을 포화 흡착량과 비교함으로써 체류 비율을 구하였다. 탈착 후의 잔류 흡착량은 비교적 강하고 안전하게 흡착된 것으로서 일반적인 조건에서는 쉽게 탈착하지 않으므로 흡착 제독제의 기본 성능 값으로 생각할 수 있으며 이 값의 비교를 통하여 제독제의 흡착성증 비교가 가능하다. 체류 비율은 흡착된 후 탈착되어 2차 오염을 일으킬 수 있는 양에 대한 추정을 가능케 해주는 값이다.
탈착량 측정
데시케이터를 이용한 DMMP 증기 흡탈착을 중량법으로 측정한 것과 달리 일정한 농도 조건으로 오염시킨 제독제로부터 공기 흐름에 실려 탈착되어 나오는 DMMP의 증기 탈착량을 DEP (디에틸 프탈레이트)로 포집하여 GC-FPD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이 조건은 진공 방식 아닌 공기 흐름을 이용함으로서 야전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과 유사하므로 더욱 실질적인 탈착량 측정법으로서 오염 농도와 공기 유동 등 변수가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실험 조건은 제독제 200mg에 DMMP 60 μL (약 73 mg) 또는 20μL (23mg)를 뚜껑이 있는 평량병에 가하고 밀폐된 공간에서 약 10분간 마그네틱 바아로 저어서 골고루 흡착시킨 후 이들 도 1과 같이 구성된 실험 장치의 탈착 용기 내에 평량병 용기에 부어 넣는다. 이를 35℃로 유지된 챔버에 넣고 0.5L/분의 유량으로 공기를 흘려 제독제의 표면을 거쳐 탈착된 DMMP를 휩쓸어 포집한다 (제독제 분말이 날리지 않도록 주의).
두개의 포집기는 각각 DEP를 20ml에 넣어서 초기 30분과 후반 30분으로 구분하여 포집하고 이를 FPD 장착된 HP 5890 Ⅱ GC로 분석하였다.
DMMP 흡탈착 결과
유사작용제로 널리 사용되는 DMMP에 대한 각 흡착/분해 분말 또는 일부 활성탄의 포화흡착량을 시험하여 그 결과를 다음 표 2에 나타내었다.
[표 2] 포화 흡탈착 시험 결과
Carbon : Merck사의 분말 활성탄
C.C : 영국 Charcoal cloth사의 제품을 분쇄하여 325 메쉬체로 통과시킨 것
표 2에 나타난 잔류량은 6시간 진공 탈착 후에도 잔류하는 흡착량으로서 흡착 후 자연 조건에 상당한 기간동안 방치할 경우에도 탈착되지 않을 정도의 강하게 결합된 흡착량으로서 제독제로 사용된 후 2차적인 오염과 관련한 특성 판단에 중요한 값으로 사용될 수 있다. 표 2에서 보는 것과 같이 이온교환 수지가 혼합된 제독제 분말의 경우 잔류량이 흡착제 자체에 비하여 상당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표면에 단순히 흡수된 것이 탈착되는 것으로서 이온교환 수지는 비교적 약하게 결합된 흡착량이 대부분을 구성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온교환 수지는 분해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탈착되는 오염물질을 분해하여 인체에 비교적 독성이 없는 것으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그러나 이온교환 수지 자체의 탈착량이 클 경우 흡착제만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 검토해 볼 필요성이 있다. 수지가 보유한 분해 능력이 탈착량을 충분히 소화할 수 없어 오염물질을 그대로 방출할 경우 오히려 흡착제만을 사용하는 경우보다 제독효과나 2차적 오염회피면에서 불리하며 이러한 우려는 분해제의 능력이 흡착제와 동시에 사용될 경우 미미하였다는 여러 시험 결과들로부터 추정되고 있다. 특히 고성능 흡착제를 사용할 경우 흡착량이 수배 증가하며 체류도 양호하므로 흡착제만으로도 동등 이상의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미국의 Ambergard 개발 당시 수지 활성탄을 일반적인 활성탄과 비교하였으나 고성능 활성탄 같은 고도의 흡착량을 가진 것은 비교되지 않았던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고성능 활성탄의 경우 Ambersorb를 사용한 흡착제와 흡착특성이 다소 상이할 것으로 판단되는 바 이는 세공 크기 분포가 다르기 때문이다.
Ambersorb의 경우 수십 Å 범위의 메조포어(mesopore)가 상당히 발달되어 있어 흡착속도에서 어느 정도 유리한 면이 있을 수 있으나 전반적으로 흡착력이 다소 약하여 탈착이 쉽게 일어날 수 있다. 이는 마이크로 포어(micropore)만이 집중적으로 발달하여 비교적 강한 흡착력을 가지고 있으며 엄청난 양의 세공 용적을 갖는 고성능 활성탄에 비해 Ambersorb의 경우 메조포어가 상당한 비율을 점유하기 때문이다.
메조포어는 20-500Å의 직경을 갖는 세공들로서, 낮은 분압에서 흡착이 일어나는 마이크로포어에 거의 흡착이 종료된 이후에 용적 충전(volume filling) 방식에 의하여 흡착이 진행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렇게 흡착된 물질들은 마이크로포어에 흡착된 경우 보다 먼저 탈착이 일어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흡착제의 세공 구조가 흡착질의 흡탈착 현상에 직접 연관되는 것을 나타내며, 흡착량으로부터 세공의 크기와 형태를 추정하는 이론적 근거이기도 하다.
한편 고성능 활성탄의 경우 제독제로 사용할 경우 액체방울을 직접 흡수하여 흡착 현상이 진행되므로 공기 중의 증기를 흡착하는 현상과 차이가 있으며 이 경우 흡착 속도는 비교적 중요도가 떨어질 것이고 흡수 또는 젖어듬 현상이 일차적인 역할을 할 것으로 판단된다.
탈착량 측정시험 결과
일정한 오염조건에서 제독제로부터 탈착되어 나오는 DMMP량을 포집하여 분석하였다. 탈착량은 초기 30분과 연이어 30분간 포집하여 탈착되는 양을 시간에 따라 비교하였고 또 제독제에 따라 비교검토 하였다. 실험결과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고성능 활성탄을 사용한 경우를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초기 30분의 탈착량을 후반 30분 탈착량에 비교할 때 다소 높은 값으로서 이는 과잉 흡착량이 초기에 먼저 탈착될 것이라는 추측과 일치한다고 볼 수 있다.
고성능 활성탄을 사용한 흡착/제독 분말의 경우 Ambersorb 형태의 흡착제를 사용한 경우에 비하여 높은 오염 농도에서 아주 우수한 탈착저항성을 나타내었다. 이는 포화흡착량이 극히 높음에 따라 높은 오염농도에서도 충분한 흡착 여력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과 같다.
[표 3] DMMP 탈착량 분석
3. 동물실험을 통한 피부 제독효능 비교
유기인 제제의 제독능 평가를 위한 Dunkin Hartley종 수컷 기니픽 (250±50g)과 수포 유발물질에 대한 제독능 평가 및 안점막 1차 자극성 시험을 위한 New Zealand White종 수컷 토끼 (3±0.3kg)을 이용하여 1주일 이상 온·습도 및 조명주기가 알맞게 조절된 실험실 환경에 적응시킨 후 실험에 사용하였다.
유기인 제제의 피부제독능 평가를 위하여 수컷 기니픽의 등을 실험 24시간 전 상처가 나지 않도록 전기 클리퍼와 전기 면도기로 털을 깎아 두었다. 동물을 보정한 후 Gilson 피펫으로 유기인산의 피나코릴 유도체 원액을 제독하지 않을 대조군에는 점적 도포, 제독할 군에는 직경 약 2cm로 고르게 도포하였다. 도포 2분 후 제독제 분말로 제독하였으며 24시간 후의 생존율을 기초로 중간 치사량 (LD50)을 산출하여 각 제독제의 제독능을 방어율(protection ratio, PR)로 나타내었다.
수포성 물질에 대한 피부제독능 평가로서 역시 토끼의 등을 24시간 전 전기 클리퍼와 면도기로 털을 깎고 면도해 두었다. 척추의 좌우 약 2cm 떨어진 부위에 좌우 각각 3 부위씩 선정하여 3cm 간격으로 표시해 두었다. 각 부위에 0.6 μL 의 수포성 물질을 직경 약 6mm 되게 도포하고 2분 후 우측 3부위만을 제독분말로 충분히 제독하였다(도 3). 제독 후 경시별 부종 및 괴사부의 크기(직경)와 면적을 측정하여 대조 부위와 비교함으로써 제독능 (대조군의 %)을 평가하였다.
유기인 화합물의 피부 제독능 평가결과
원액의 유기인 화합물에 피부 노출된 250±50g의 기니픽에서 제독하지 않은 경우의 LD50는 약 7.0mg/kg이었다. 그러나 2분 후 제독했을 때의 LD50는 약 9배 상승하였다. 그 결과를 다음 표 4에 나타내고 도 2에도 도시하였다. 표 4 및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M-Kit는 약 9.5배 (66.5mg/kg), 그리고 Ambergard는 약 8.9배 (62.6 mg/kg)의 방어율을 나타내어 M-Kit의 효과가 우수하였다.
[표 4] 유기인산제제 피부제독 효과 (기니픽)
이러한 제독 효과는 동물의 피부상태, 제독 시간, 흡착제의 흡착능, 방출된 제독제의 양 등 여러가지 요인에 의해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흡착능이 가장 좋고 상대적으로 초기 방출이 가장 많은 M-Kit의 제독 효과가 가장 우수하였다.
수포성 물질의 피부제독능 평가결과
0.6 μL의 수포성 화합물을 직경 약 6mm로 도포한 토끼의 피부에서 4시간 후 직경 21.0-22.4mm, 1일 후 32.0-34.3mm, 그리고 2일 후에는 29.3-31.7mm의 부종이 형성되었으며, 괴사부는 1일 5.50-6.17mm, 2일에 8.33-9.83mm, 그리고 3일에는 약 8.33-9.17mm의 크기로 형성되었다(표 5 및 표 6 참조).
[표 5] 수포 유발물질 피부제독 효과 (토끼)-병변의 크기(mm)
[표 6] 수포 유발물질 피부제독 효과 (토끼)-병변의 면적(㎟)
제독제로 제독한 후의 부종 및 괴사부 크기는 크게 감소하였는 바(도 3B), M-Kit의 효과가 좋았다. 부종의 크기에 있어서 M-Kit는 대조부위의 32.8-34.8%로, 그리고 Ambergard는 39.4-42.4%로 감소시켰다. 괴사부의 크기에 있어서도 M-Kit의 경우 1일에 대조군의 0.0%, 2일에 41.3%, 그리고 3일에는 40.7%로 감소시켰고, Ambergard의 경우에는 1일에 11%, 2일에 53.8%, 그리고 3일에는 51.5%로 감소시켰다. 이 결과를 면적 (㎟)으로 환산했을 때 표 6에서와 같이 제독 후 확실한 피부손상의 경감을 보여 주었다.
4. 안점막 자극성 평가
군당 9마리의 수컷 토끼의 오른쪽 눈에 각 제독제 분말 50mg을 주입하고 3마리는 세척하지 않고 그대로 두었으며, 나머지 6마리는 30초 후미온 생리식염수 50ml로 1분간 세척하였다. 제독제를 주입하지 않은 왼쪽 눈을 대조군으로 하였다. 안점막 등급을 의약품 등의 독성시험 기준(6)의 안구병변의 등급표에 따라 체점하였으며, 표 7의 안점막 자극표에 의하여 자극도를 평가하였다.
[표 7] 안점막 자극표
a)급성 안점막 자극지수(Acute Ocular Irritation index, 실험기간중 평균 안점막 자극지수의 최고치, 보통 1일째)
b)평균 안점막 자극지수(Mean Ocular Irritation index, 총 자극 점수/토끼 수)
c)개별 안점막 자극지수(Individual Ocular Irritatin index, 7일째)
2가지 제독 분말의 안점막 자극성은 점안 후 제 1, 2, 3, 4, 및 제 7일에 관찰하여 자극성을 평가한 결과 자극의 정도는 Ambergard가 강한 편이었다(표 8-표 11).
[표 8] M-Kit의 안점막 1차 자극성(세척군)
[표 9] M-Kit의 안점막 1차 자극성(비세척군)
[표 10] Ambergard의 안점막 1차 자극성(세척군)
[표 11] Ambergard의 안점막 1차 자극성(비세척군)
이러한 자극성은 흡착제나 분해제 자체의 자극성에도 기인하지만 눈물과 섞였을 때 분해제로부터 흘러 나올 수 있는 설폰산 및 히드록실기의 영향이 크다. 따라서 M-Kit의 경우 흡착능이 탁월한 활성탄에 의해 이들 산 및 염기 그룹이 효과적으로 흡착됨으로써 이들에 의한 자극성은 소멸되고 분말 자체의 자극성만 나타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M-Kit의 경우 세척에 의한 자극성의 변화가 크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반면, Ambergard의 경우 흡착제의 흡착능이 상대적으로 낮아 유리된 설폰산 및 히드록실기를 효과적으로 제거하지 못함으로써 높은 자극성을 나타내며, 세척에 의해 자극성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이들 제독제는 안점막 자극표 상의 평가 구분에 의하여 (표 7 참조) M-Kit는 무자극물-경도 자극물로, Ambergard는 경도 자극물로 평가되었다. 이상의 모든 결과를 종합하여 표 12에 요약하였다.
[표 12] 제독제의 안점막 1차 자극지수 비교
Claims (4)
- 분해제로서 양이온 교환수지 및 음이온 교환수지와 흡착제로서 B.E.T. 비표면적 2000㎡/g 이상의 고성능 활성탄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 제 1 항에 있어서, 유동성 및 균질화 증진제로서 실리카 겔을 추가로 함유하는 것이 특징인 조성물.
- 제 2 항에 있어서, 수분함량을 제외한 고형분의 질량% 기준으로, 고성능 활성탄 20-50 중량%, 양이온 교환수지 22-40 중량%, 음이온 교환수지 22-40 중량% 및 흄드 실리카 2 중량% 이하 (이 양은 0을 포함하지 않음)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조성물.
- 제 3 항에 있어서, 고성능 활성탄 43 중량%, 양이온 교환수지 28 중량% 음이온 교환수지 28 중량%, 및 흄드 실리카 1 중량%로 이루어진 것이 특징인 조성물.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9698A KR100186932B1 (ko) | 1996-07-23 | 1996-07-23 |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19960029698A KR100186932B1 (ko) | 1996-07-23 | 1996-07-23 |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8306A KR980008306A (ko) | 1998-04-30 |
KR100186932B1 true KR100186932B1 (ko) | 1999-04-15 |
Family
ID=1946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60029698A KR100186932B1 (ko) | 1996-07-23 | 1996-07-23 |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0186932B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7599A (ko) | 2015-09-02 | 2017-03-10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인계 파라옥손 화합물의 가수분해 활성이 증가된 파라옥소나아제 1 변이체 및 그 제조방법 |
-
1996
- 1996-07-23 KR KR1019960029698A patent/KR100186932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27599A (ko) | 2015-09-02 | 2017-03-10 |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 유기인계 파라옥손 화합물의 가수분해 활성이 증가된 파라옥소나아제 1 변이체 및 그 제조방법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980008306A (ko) | 1998-04-30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alvet | Adsorption of organic chemicals in soils. | |
JP2620506B2 (ja) | 液体を吸収するための収着剤の製造方法 | |
Sherburne et al. | Soil effects on herbicides, adsorption of 3 (p-Chlorophenyl)-1, 1-dimethylurea as a function of soil constituents | |
US3682835A (en) | Liquid blood serum control standard | |
JP3955112B2 (ja) | ゲル状脱臭剤 | |
US20150296795A1 (en) | Systems, Methods, and Compositions Involving Chlorine Dioxide and Zeolite | |
Ouass et al. | Mathematical modeling of the adsorption of trivalent chromium by the sodium polyacrylate beads | |
EP0838243A1 (en) | Device for removing one or more undesirable or dangerous substances from a gas or a vapor mixture and a gas mask comprising such a device | |
KR100186932B1 (ko) | 유기인 화합물 제거용 흡착/분해형 분말 조성물 | |
Favin et al. | In vitro study of lithium carbonate adsorption by activated charcoal | |
Çiftci et al. | Application of activated carbon obtained from waste vine shoots for removal of toxic level Cu (II) and Pb (II) in simulated stomach medium | |
JPH02115020A (ja) | 低級アルデヒド類の除去剤 | |
KR20020010480A (ko) | 이온 교환 수지상에 니코틴의 무수물 적재방법 | |
GB2293481A (en) | Iodine adsorption agent | |
Shi et al. | Uptake of aluminum by lipid vesicles | |
US5336329A (en) | Process for toxic agent removal | |
CN105771576B (zh) | 一种利用改性活性炭脱除二噁英的工艺 | |
Gomonaj et al. | Compatible adsorption of strontium and zinc ions as well as vitamins on zeolites | |
Fernández‐Pérez et al. | Bentonite and humic acid as modifying agents in controlled release formulations of diuron and atrazine | |
JP2000140834A (ja) | 環境ホルモン含有水の処理方法及び環境ホルモン含有水処理装置 | |
Beaudry et al. | Solid-state 31P MAS NMR study of the distribution and reaction of organophosphorus esters adsorbed on synthetic resin catalysts | |
Vetchý et al. | Preparation and evaluation of carriers for detection of cholinesterase inhibitors | |
Halim et al. | Adsorption study of aluminium onto Curcuma longa | |
US1595788A (en) | Filling for gas protection apparatus | |
SU1215736A1 (ru) | Поглотитель аммиак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6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41201 Year of fee payment: 17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151202 Year of fee payment: 18 |
|
EXPY | Expiration of ter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