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86362B1 -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86362B1
KR100186362B1 KR1019960046447A KR19960046447A KR100186362B1 KR 100186362 B1 KR100186362 B1 KR 100186362B1 KR 1019960046447 A KR1019960046447 A KR 1019960046447A KR 19960046447 A KR19960046447 A KR 19960046447A KR 100186362 B1 KR100186362 B1 KR 1001863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vator
control panel
communication task
communication
elevator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464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27616A (ko
Inventor
왕광식
Original Assignee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수, 엘지산전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종수
Priority to KR10199600464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86362B1/ko
Priority to MYPI97004864A priority patent/MY133610A/en
Priority to CN97126208A priority patent/CN1183370A/zh
Priority to SG1997003769A priority patent/SG55394A1/en
Priority to IDP973464A priority patent/ID18609A/id
Priority to US08/953,439 priority patent/US5892189A/en
Publication of KR19980027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276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863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863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3/00Applications of devices for indicating or signalling operating conditions of elev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 B66B1/3415Control system configuration and the data transmission or communication within the contro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BELEVATORS; ESCALATORS OR MOVING WALKWAYS
    • B66B1/00Control systems of elevators in general
    • B66B1/34Details, e.g. call counting devices, data transmission from car to control system, devices giving information to the control syste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Indicating And Signalling Devices For Elevators (AREA)
  • Elevator Control (AREA)
  • Small-Scale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데이타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타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이 종래의 군관리 제어장치와 승강기와의 통신방법에 있어서는 통신 타스크의 기동시점이 승강기 제어반으로 전원을 투입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므로 데이타 충돌현상이 발생되는 결함이 있고, 각 승강기가 통신 타스크를 기동하는 주기가 주 네트워크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수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통신효율성이 저하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군관리 제어장치에 수용된 승강기의 대수를 근거로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유동적으로 결정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공유라인을 통해 승강기 제어반측으로 송출하고, 승강기 제어반측에서는 상기 공유라인을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로 부터 전송되어 온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 정보를 근거로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설정하여 군관리 제어장치와 통신기능을 수행하도록 하였다.

Description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제1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 블록도.
제2도는 일반적인 승강기의 데이타 송수신에 대한 초기화 신호 흐름도.
제3도는 일반적인 승강기의 데이타 송수신 주기 타이밍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군관리 제어장치의 블록도.
제5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 및 기동시점 관리 신호 흐름도.
제6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 제어반의 초기화 처리 신호 흐름도.
제7도는 제6도에서 통신상태 감시 타스크 기동단계의 상세 신호 흐름도.
제8도는 본 발명에 의한 승강기의 데이타 송수신 주기 타이밍도.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송신데이타 포맷도.
제10도 본 발명에 의한 통신 타스크 기동처리 신호 흐름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2A-12K : 승강기 13 :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
14A-14M,15A-15M : 승강장 제어장치 41 : 군관리 제어장치
41A : 운전 제어부 41B : 통계 처리부
41C : 교통류 학습부 41D : 교통류 데이타 베이스
41E : 홀부름 등록 테이블 41F : 홀부름 할당 테이블
41G : 홀부름 할당부 41H : 승강기 통신 관리부
41I : 데이타 수신부 41J : 데이타 송신부
본 발명은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데이타가 충돌되는 것을 방지하고 데이타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주기를 군관리 제어장치에서 결정하여 승강기 제어반들이 주네트워크를 통해 데이타 송신을 수행할때 데이타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고,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대수를 근거로 승강기 제어반 내부의 통신타스크의 수행주기를 조정하여 승강기 제어반에서 군관리 제어장치측으로 전송되는 데이타의 전송속도를 향상시키는데 적당하도록한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군관리 제어장치에서는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들이 1:1 통신을 수행하므로 통신데이타간의 충돌현상이 발생될 수 없는 상황이었다. 그러나, 종래의 병렬 통신구조가 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 공유 라인을 이용하게 되면서 승강기 제어반에서 송출되는 데이타간에 충돌이 발생할 가능성이 대두되었다. 뿐만 아니라, 종래의 군관리 제어장치에서는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대수에 관계없이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의 주기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있어 비효율적인 통신이 이루어졌다.
즉, 특정 주기내에 하나의 승강기 제어반이 주네트워크를 이용할 수 있는 시간이 10ms이고 8대의 승강기가 접속되어 있다면 승강기 제어반들이 할당받은 시간은 80ms가 된다. 동일 조건에서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된 승강기의 대수가 4대라면 승강기 제어반들이 이미 할당받는 주네트워크 이용가능시간(80ms) 중 그 절반에 해당하는 40ms 동안에는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지 않는다.
제1도는 일반적인 군관리 제어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보인 개략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엘리베이터 제어 제어장치의 이상상태 발생, 특수운전 등의 제어기능을 수행하는 운전제어부(11A), 군관리 제어장치(11)의 운행성능을 평가하기 위한 각종 통계자료를 수집하여 정리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통계처리부(11B), 군관리 제어장치(11)가 최적의 호기를 할당하는 과정에서 장래의 교통류를 예측하기 위한 현실 데이타를 수집하여 교통류 데이타 베이스(11D)에 저장하는 교통류 학습부(11C), 승강장에서 발생한 홀버튼 입력신호를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13)를 통해 입력받아 등록하는 홀부름 등록데이블(11E), 입력된 홀부름에 대하여 군관리 제어장치(11)에 의해 할당된 최적의 호기를 저장하는 홀부름 할당테이블(11F), 홀부름이 발생될때 각 승강기(12A-12K)의 운행상태를 평가하여 해당 홀부름에 대한 종합평가치를 연산하고, 그 연산결과를 근거로 최적의 호기를 발생된 홀부름에 할당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홀부름 할당부(11G), 주 네트워크(NET)를 통해 승강장 데이타 집적장치(13)와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데이타 수신부(11H) 및 데이타 송신부(11I)로 구성된 군관리 제어장치(11)와; 다수의 승강기(12A-12K)에서 송출되는 데이타를 수집하여 상기 주 네트워크(NET)를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11)측으로 전송하고, 군관리 제어장치(11)에서 송출된 후 그 주 네트워크(NET)를 통해 입력되는 데이타를 승강장 제어장치(14A-14M), (15A-15M)측으로 전송하는 승강장데이타 집적장치(13)로 구성된 것으로, 이의 작용을 제2도 및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각 승강기(12A-12K) 제어반으로 부터의 데이타 수신과정을 제2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승강기(12A-12K) 제어반에 전원이 투입되면 초기화가 수행된 후 승강기 제어반이 기동할 수 있는 상태인지를 판별하고(SA1), 승강기 제어반내의 메모리를 초기화 한다(SA2). 즉, 램 영역을 클리어하거나 롬 영역의 데이타를 램에 전개하고 필요한 주소 할당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이후, 승강기 제어반에 필요한 타스크들을 기동시키고(SA3), 이어서, 데이타 송/수신 타스크를 기동시켜(SA4) 비로서 군관리 제어반으로 승강기 제어반 데이타를 송신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때, 군관리 제어장치(11)에 접속된 승강기(12A-12K) 제어반들은 서로의 운행상태를 인식할 수 없기 때문에 데이타 송수신 타스크의 기동간격이 일정하지 않게 된다. 왜냐하면 사용자가 승강기 제어반으로 전원을 투입하는 시점이 승강기 제어반의 데이타 송수신 타스크가 기동되는 시점이 되기 때문이다.
제3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각 승강기 제어반의 신호전송 타이밍도를 보여주고 있는데, 여기서 각 송수신 타스크의 기동시간은 전원을 투입하기로 결정한 상태에서 경과한 시간을 의미한다. 이러한 조건에서 승강기1(12A)이 5ms 이후에 기동되고, 승강기2(12B)가 10ms 이후에, 승강기3(12C)이 15ms 이후에, 승강기4(12D)가 20ms 이후에, 승강기5(12E)가 30ms 이후에 각기 기동되며, 각 승강기(12A-12K)에서의 통신 타스크 기동주기가 50ms로 설정된 경우, 17ms 시점에서 승강기 3(12C)에서 송신되는 데이타는 승강기2(12B)가 이미 주 네트워크(NET)를 점유하고 있으므로 지연된다.
여기에서 제시한 50ms는 군관리 제어장치가 군관리를 성공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각 승강기(12A-12K)의 제어반으로 부터 승강기(12A-12K)의 운행 상태정보를 수신하여야 하는 최소 주기이다. 즉, 군관리 제어장치(11)가 성공적인 군관리 운전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50ms 이내에 모든 승강기(12A-12K)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하여야 한다.
각 승강기(12A-12K) 제어반에서의 통신 타스크의 주기는 프로그램내에 코딩되어 있는 불변적인 요소이다. 즉, 상기 통신 타스크는 사용자가 지정한 50ms로 고정된 주기값을 가지고 있으므로 군관리 제어장치(11)에 접속된 각 승강기 제어반의 수를 4로 할 경우 승강기 제어반이 할당받는 주 네트워크의 이용시간인 50ms 중 10ms는 이용되지 않는 비효율성의 문제가 발생된다.
이와같이 종래의 군관리 제어장치와 승강기와의 통신방법에 있어서는 통신타스크의 기동시점이 승강기 제어반으로 전원을 투입하는 시간에 의해 결정되므로 승강기 제어반들이 주 네트워크에 데이타를 전송할때 데이타 충돌현상이 발생되는 결함이 있고, 각 승강기가 통신 타스크를 기동하는 주기(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주기)가 주 네트워크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수에 관계없이 프로그램상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승강기 대수가 수용 가능한 최대치 이하로 설정되는 경우 승강기 제어반이 주 네트워크를 이용하는 시간이 실제로 이용 가능한 시간보다 줄어들게 되는 결함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승강기 제어반에서 송신되는 데이타간의 충돌현상이 발생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승강기가 데이타의 송신을 수행하는 시작시점을 군관리 제어장치가 알려주고, 데이타 통신의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주 네트워크가 점유되지 않는 시간을 감지하여 데이타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은 군관리 제어장치에 수용된 승강기의 대수를 근거로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유동적으로 결정하여 상기 공유라인을 통해 승강기 제어반측으로 송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공유라인을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로 부터 전송되어 온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 정보를 근거로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설정하여 군관리 제어장치와의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진다.
제4도는 상기 본 발명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이 적용되는 군관리 제어장치의 블록도로서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나의 공유라인을 이용하여 수용된 다수의 승강기와 데이타 통신을 수행하는 군관리 제어장치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에 수용된 승강기의 대수를 근거로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유동적으로 결정하는 승강기 통신관리부(41H)를 포함하여 군관리 제어장치(41)를 구성한 것으로, 이와 같이 구성한 본 발명의 작용 및 효과를 첨부한 제1도, 제5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군관리 제어장치(41)가 기동되면 그 군관리 제어장치(41)내의 승강기 통신관리부(41H)가 기동되고, 이 승강기 통신관리부(41H)에 의해 각 승강기(12A-12K)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가 제5도와 같이 기동된다.
즉, 군관리 제어장치(41)가 초기화 수행중인지를 판단하여 조건이 성립하면 제3단계(SB3)로 직접 진행하고, 성립하지 않으면 제2단계(SB2)로 진행하여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수가 변경되었는지를 판단하고, 그 결과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그대로 복귀하고 성립하였으면 제3단계(SB3)로 진행한다.
제3단계(SB3)에서는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수를 근거로 각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기동 주기(T)를 다음과 같이 설정한다.
T = Y/S3× X
Y : 군관리 제어장치가 모든 승강기로부터 데이타를 수신해야 하는 최소주기
X :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수
X' :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 가능한 최대 승강기의 수
이후, 제4단계(SB4)에서 승강기의 일련번호를 1를 설정하고, 제5단계(SB5)로 진행하여 모든 승강기(12A-12K)에 대해 상기의 과정(SB1-SB4)이 진행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조건이 성립되면 복귀한다.
그러나, 상기 제5단계(SB5)에서 조건이 성립되지 않으면 즉, 모든 승강기(12A-12K)에 대해 상기의 과정(SB1-SB4)이 종료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 제6단계(SB6)로 진행하여 해당 승강기 제어반으로 결정된 통신 타스크 기동주기를 전송한다.
이에 따라 제7단계(SB7)에서는 결정된 각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기동지연시간만큼 수행중인 작업을 지연시키고, 제8단계(SB8)에서는 다음 처리를 위해 승강기의 번호를 1증가시킨다.
상기의 처리과정에 있어서, 제3단계(SB3)와 제6단계(SB6)에 의해 각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의 기동주기가 결정되고, 제7단계(SB7)의 수행시간 지연에 의해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기동시점이 분산된다.
예로서, 5대의 승강기(12A-12E)가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접속되어 있고, 그 군관리 제어장치(41)가 모든 승강기(12A-12E)로 부터 수신하여야 하는 최소 수신주기가 80ms,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접속 가능한 승강기의 대수가 8대라면 승강기의 통신 타스크 주기는 80ms/8대 × 5대 = 50ms가 되므로 상기 제7단계(SB7)에서의 타스크 수행 지연시간은 50ms/5 = 10ms가 된다.
이러한 처리과정 의해 승강기1(12A)가 통신 타스크 주기를 50ms로 설정하여 기동된 후 승강기2(12B)는 다시 10ms 이후에 통신 타스크 기동주기를 설정하는 방식으로 각 통신 타스크의 기동주기가 순차적으로 설정되므로 전체적으로 제8도와 같이 데이타 송신주기가 설정되어 승강기 제어반이 주 네트워크(NET)를 이용함에 있어서 중복 점유로 인한 데이타 충돌현상이 발생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처리과정에 의해 해당 승강기 제어반으로 데이타가 송신되기 전에 그 승강기 제어반에 전원이 투입되어 제6도와 같은 초기화 루틴이 이미 수행된 상태이므로 수신 타스크만 기동중인 상태가 된다. 제6도에 제시된 승강기 제어반의 초기화 루틴은 종래 기술의 제2도에 제시된 초기화 루틴과 비교해 볼때 송/수신 타스크 기동단계(SA4)가 수신 타스크 기동단계(SC4)와 통신상태 감시 타스크 기동단계(SC5)로 변경된 것을 제외하고는 동일하다.
상기 군관리 제어장치(41)가 통신 타스크 주기를 승강기 제어반측으로 전송할때 그 승강기 제어반이 기동중인 것이 보장되는데, 왜냐하면 기동중이 아니라면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접속되어 있지 않아 연산과정에 포함되지 않기 때문이다. 승강기 제어반에서는 통신 타스크 주기값을 수신하기 위하여 제4단계(SC4)에서 수신 타스크를 기동시키고, 통신 주기값을 수신한 이후의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제5단계(SC5)로 진행하여 통신 상태 감시 타스크를 기동시킨다.
상기 제6도에서 통신 상태 감시 타스크를 기동시키는 과정은 제7도에서와 같이, 먼저, 제1단계(SD1)에서 군관리 제어장치(41)측으로 부터의 통신 타스크 주기를 수신하였는지를 판단하여 조건이 성립하지 않으면 복귀한다. 그러나 조건이 성립하면 수신한 통신 타스크 주기값을 자신의 통신 타스크 주기로 설정하고, 제3단계(SD3)로 진행하여 통신 타스크를 기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이전에 기동중이던 수신 타스크는 종료된다.
상기와 같이 통신 타스크 기동주기를 조정하여 송신할 데이타가 없는 경우 기존에 송신한 데이타를 재송신함으로써 이중 송신에 의한 데이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데이타 송신속도가 향상되는데, 예로서, 80ms 동안 8대의 승강기 제어반이 1 단위의 데이타를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전송할 수 있다면 5대의 승강기가 소속된 군관리 제어장치(41)에서는 1.6단위의 데이타를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송신할 수 있도록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를 조정하여 승강기 제어반으로 부터 군관리 제어장치(41)측으로의 데이타 송신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승강기 통신 타스크 주기 및 기동시점 관리방법은 군관리 제어제어장치(41)에서 승강기(12A-12K)로 데이타를 송신하는 양식에 따라 다양하게 제시될 수 있다.
즉, 상기에서 제시한 승강기 통신 타스크 주기 및 기동시점 관리방법에 있어서는 군관리 제어장치(41)에서 승강기 제어반으로 승강기1(12A)부터 승강기 K(12K)까지 반복문을 수행하면서 하나씩 송신하는 것을 예로한 것이며, 후술할 다른 실시예에서는 제5도와 같이 통신 타스크 주기 및 기동시점을 관리하지 않고 제9도와 같이 일괄 전송 데이타를 생성하여 전송한다.
제9도에서, 군관리 편입정보는 각 비트에 해당 승강기 정보가 편입되었는지를 표현하게 되는데, 예로써 승강기2(12B)가 군관리에 편입되었다면 비트2에 1을 설정(셋팅)한다. 그리고, 통신 타스크 수행주기는 제5도의 승강기의 통신 주기값 설정단계(SB3)에서 설정된 값이다.
군관리 제어장치(41)에서 전송한 통신 타스크 주기 설정값이 승강기 제어반에 수신되면 해당 승강기 제어반은 제7도에 대신하여 제10도에서 제시한 통신 타스크 기동 과정 즉, 일괄 전송과정을 수행한다. 제10도의 1단계(SE1)에서는 일괄 전송 데이타를 분석하여 1로 설정된 비트의 수를 연산한 후 군관리 제어장치(41)에 접속된 호기의 수를 결정한다. 제2단계(SE2)에서는 자신보다 이전의 호기 중 군관리에 편입된 호기의 수를 결정하게 되는데, 예로써, 자신이 4호기라면 비트 1,2,3을 검사하여 1로 설정된 비트의 수를 연산한다.
제3단계(SE3)에서는 전체 군관리 편입호기의 수와 자신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호기의 수를 근거로 하여 다음과 같이 지연시간(T2)을 결정한다.
T2 = T1/X × Y
X : 군관리 편입호기의 수
Y : 자신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호기의 수
T1 : 통신 타스크 수행주기(일괄 전송 데이타에서 추출)
즉, 승강기의 통신 타스크 기동간격을 T1/X로 계산하고 자신보다 우선순위가 높은 승강기 제어반들이 우선적으로 기동하도록 대기한 다음 자신의 통신 타스크를 기동시키게 되는데, 이때, 각 승강기가 데이타를 수신하는 시간오차는 무시한다.
예로써, 통신 타스크 기동 주기 : 50ms
군관리 편입호기의 수 : 5대
통신 타스크 기동간격 : 10ms인 경우,
승강기1 : 즉시 기동 승강기2 : 10ms 후 기동
승강기3 : 20ms 후 기동 승강기4 : 30ms 후 기동
승강기5 : 40ms 후 기동
이상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 네트워크상의 데이타 출돌을 방지하고, 승강기 제어반이 할당받는 주 네트워크 이용시간 중 사용되지 않는 시간을 이용하기 위하여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기동주기를 조정함으로써 승강기 제어반이 군관리 제어장치측으로 데이타를 송신하는데 소요되는 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송신할 데이타가 없는 경우 기존에 송신한 데이타를 재송신함으로써 이중 송신에 의한 데이타의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6)

  1. 승강기와 군관리 제어장치가 하나의 공유라인을 이용하여 데이타를 송,수신하는 승강기 신호전송 방법에 있어서, 군관리 제어장치에 수용된 승강기의 대수를 근거로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유동적으로 결정하여 해당 정보를 상기 공유라인을 통해 승강기 제어반측으로 송출하는 제1과정과; 상기 공유라인을 통해 군관리 제어장치측으로 부터 전송되어 온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 정보를 근거로 통신 타스크 주기와 기동시점을 설정하여 군관리 제어장치와의 통신기능을 수행하는 제2과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제1과정은 군관리 제어장치에 수용된 승강기의 대수가 변경되었는지를 확인하여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를 설정하는 제1단계(SB1-SB4)와; 상기에서 설정된 통신 타스크 주기 정보를 해당 승강기 제어반으로 전송하고, 각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기동 지연시간만큼 수행중인 작업을 지연시키는 제2단계(SB5-SB8)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승강기 제어반의 통신 타스크 주기(T)는 다음의 식으로 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T = Y/X' × X
    여기서, Y : 군관리 제어장치가 모든 승강기로 부터 데이타를 수신해야 하는 최소주기
    X :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된 승강기 제어반의 수
    X' : 군관리 제어장치에 접속 가능한 최대 승강기의 수
  4. 제1항에 있어서, 공유라인을 통해 승강기 제어반측으로 송출되는 정보는 특정 호기의 정보이거나 또는 복수개 승강기의 정보임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제2과정은 메모리 초기화 수행후 제어반 및 수신 타스크를 기동시키는 제1단계(SC1-SC4)와; 통신 타스크 기동주기 정보가 수신되는지를 확인하여 그 수신되는 정보를 근거로 통신 타스크 주기를 설정하고 기동시키는 제2단계(SC5)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데이타 송,수신이 가능한 하나 혹은 복수개의 채널로 이루어진 공유라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방법.
KR1019960046447A 1996-10-17 1996-10-17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KR1001863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447A KR100186362B1 (ko) 1996-10-17 1996-10-17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MYPI97004864A MY133610A (en) 1996-10-17 1997-10-16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ssages transmission period in a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CN97126208A CN1183370A (zh) 1996-10-17 1997-10-17 在电梯群控制系统中用于确定信息传输周期的装置和方法
SG1997003769A SG55394A1 (en) 1996-10-17 1997-10-17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ssages transmission period in a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IDP973464A ID18609A (id) 1996-10-17 1997-10-17 Alat dan metode untuk menentukan periode transmisi pesan-pesan dalam sistem kontrol kelompok lift
US08/953,439 US5892189A (en) 1996-10-17 1997-10-17 Apparatus and method for determining messages transmission period in an elevator group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46447A KR100186362B1 (ko) 1996-10-17 1996-10-17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16A KR19980027616A (ko) 1998-07-15
KR100186362B1 true KR100186362B1 (ko) 1999-04-15

Family

ID=19477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46447A KR100186362B1 (ko) 1996-10-17 1996-10-17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892189A (ko)
KR (1) KR100186362B1 (ko)
CN (1) CN1183370A (ko)
ID (1) ID18609A (ko)
MY (1) MY133610A (ko)
SG (1) SG553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68971B2 (ja) * 2006-08-07 2012-02-01 東芝エレベータ株式会社 エレベータの伝送システム
US8573364B2 (en) * 2008-08-29 2013-11-05 Otis Elevator Company Automated elevator fixture addressing
JP5580936B2 (ja) * 2010-07-27 2014-08-27 オーチス エレベータ カンパニー 付属設備装置制御
CN103910256B (zh) * 2013-01-06 2016-04-06 上海三菱电梯有限公司 互联电梯系统及其运行控制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97391A (en) * 1983-10-27 1985-02-05 Otis Elevator Company Modular operational elevator control system
FI72946C (fi) * 1985-09-24 1987-08-10 Kone Oy Automatisk inlaerning av hiss.
GB2208731B (en) * 1987-08-12 1991-10-16 Hitachi Ltd Signal transmission method and system in elevator equipment
US5360952A (en) * 1993-06-01 1994-11-01 Otis Elevator Company Local area network eleveator communications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27616A (ko) 1998-07-15
CN1183370A (zh) 1998-06-03
ID18609A (id) 1998-04-23
MY133610A (en) 2007-11-30
US5892189A (en) 1999-04-06
SG55394A1 (en) 1998-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703406B1 (ko) Dma 제어 장치 및 방법
CA1266536A (en) High speed bit interleaved time division multiplexer for multinode communication systems
US6430218B1 (en) Communication control apparatus
KR100186362B1 (ko) 승강기의 신호전송 제어 방법
KR100452349B1 (ko) 공기조화 시스템 및 그 셋팅방법
CN117348998A (zh) 应用于检测计算的加速芯片架构及计算方法
US7453863B2 (en) Cell searching apparatus and method in asynchronous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753920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supporting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KR20020021101A (ko) 엘리베이터의 통신장치
JP4586625B2 (ja) ネットワーク診断装置、およびネットワーク診断方法
JP4958265B2 (ja) 伝送変換中継器
JPH08204740A (ja) データ伝送方法およびデータ伝送装置
KR0135159B1 (ko) 유무선 단일 경로를 이용한 다중 송수신 방법
EP0717541A2 (en) Cordless telephone system
JPH0764487B2 (ja) エレベータの群管理制御装置
US5844904A (en) Digital message switching system
JPH1042353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FI83467B (fi) Processorsystem.
KR100270648B1 (ko) 사설교환기의 공동회선 호출시스템 및 그 방법
JPS63318604A (ja) 多重系コントロ−ラ装置
JPH0528015B2 (ko)
JP3462756B2 (ja) エレベータ伝送制御装置
JPH01279644A (ja) 無線電話システム
JPH0548676A (ja) データ伝送システム
KR19990009281A (ko) 카 랜 시스템용 데이터 통신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